KR20000018835U - 주차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835U
KR20000018835U KR2019990005081U KR19990005081U KR20000018835U KR 20000018835 U KR20000018835 U KR 20000018835U KR 2019990005081 U KR2019990005081 U KR 2019990005081U KR 19990005081 U KR19990005081 U KR 19990005081U KR 20000018835 U KR20000018835 U KR 200000188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rail
drive motor
senso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88421Y1 (ko
Inventor
장근석
Original Assignee
장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석 filed Critical 장근석
Priority to KR2019990005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42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8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목적] 자동차를 탑재시켜 둘 수 있는 주차대가 담장을 경계로 하여 출입할 수 있게 배치되는 주차 장치로서, 간단한 구조로 된 주차 장치를 제공함
구성] 본 고안은 담장(2)을 경계로 하여 그 안쪽 지면의 주차 위치로 부설되는 1쌍의 레일(4)과, 이 레일(4)을 타고 안내되는 랙 바(6)를 구비한 주차대(8)와, 상기 랙 바(6)가 레일(4)을 타고 견인되게 하는 정역 구동 모터(10)와, 상기 레일(4)의 주변 소정 개소에 배치되어서 주차대(8)의 위치를 검출하는 1쌍의 센서(120a)(120b)와, 이들 센서(120a)(120b)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로 상기 정역 구동 모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승차대(8)에 액츄에이터(100)의 출력단이 직결된 구성으로 된 것이다.
효과] 구조가 간단하여 시설하기가 용이하고 사용자는 조작이 간편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장치{Park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방향 전환이 어려운 좁은 골목길과 면하는 담장의 내측 공간을 주차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주차 장치로서, 특히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주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에서 점증하고 있는 주차 난은 사회 문제로 비화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따라 차고지 증명제 등과 같은 제도의 도입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도시에서 점증하는 주차 난의 해소책은 도시 계획적 측면에서 주차 빌딩의 권장, 비사용 토지의 임시 주차장화 등을 통해 개선해나갈 수 있으나, 재래 가옥이 밀집된 지역의 골목길은 자동차의 방향 전환이 불가능한 좁은 폭을 이루고 있어서 각 가옥마다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자동차를 격납시킬 수 없어 무용지물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곳에 거주하는 주민은 좁은 골목길에 자동차를 밤새 방치함으로써 여러가지 불합리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의 주차 빌딩과는 다른 형태의 주차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94-7958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장치는 하부 지지체와 상부 지지체로 되어 있고, 이들은 탑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며, 자동차는 하부 지지체의 팔레트 상에 적재되고 상기 팔레트는 담장보다 높게 이송된 후에 그 위치에서 180도 선회하고 하강함으로써 자동차가 담장 안쪽으로 주차되게 한다.
상기 구성의 주차 장치는 주변에 전신주 등의 장애물이 없는 경우를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로 사정에 따라 적용 범위가 좁아지게 되고, 또 대체로 1톤이 넘는 자동차의 중량을 감안할 때에 설비 자체도 상당히 대형화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출원인이 제안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제95-2214호에서와 같이 자동차가 탑재되는 주차대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자주 기능을 갖추게 한 것도 있으나, 이 방식은 주차대에 제동을 위한 부수적 수단이 필히 요구되기 때문에 장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특히 조작이 번거롭게 되어 사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주자 장치를 대한민국 특허 제182674호를 통해 제안한 바 있다.
이 장치는 주차대가 가옥 담장에서 도로를 향해 부설된 레일을 타고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차대는 로프에 의해 견인되어서 담장 안쪽에서 도로까지 왕복 이송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주차 장치는 설비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1회 조작으로 주차대를 도로상으로 이송시키거나 담장 안쪽으로 격납할 수 있어서 대단히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실제 설비를 행함에 있어서는 로프의 결속이 번거로워 작업성이 좋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조작이 간편하게 개선된 주차 장치를 제공함에 두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담장을 경계로 하여 그 안쪽 지면의 주차 위치로 1쌍의 레일이 부설되고, 이 레일에는 승차대로부터 연장된 랙 바가 견인 안내되며, 상기 랙 바는 정역 구동 모터의 동력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레일의 주변 소정 개소에는 주차대의 위치를 검출하는 1쌍의 센서가 배치되고, 이들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컨트롤러가 상기 정역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 본 고안은 담장을 경계로 하여 그 안쪽 지면의 주차 위치로 1쌍의 레일을 부설하고, 이 레일로 주차대에서 연장된 랙 바를 안내시킴과 아울러 상기 주차대의 밑면에는 유체압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를 연결하여 이를 견인할 수 있게 하고, 또 상기 레일의 주변 소정 개소에 주차대의 위치를 검출하는 1쌍의 센서를 배치하고, 이들 센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컨트롤러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 장치에서, 상기 랙 바의 견인은 상기 레일의 일측 종단에 축을 관통 설치하고, 이 축에는 상기 정역 구동 모터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스프로켓과, 상기 레일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피니온을 배치하고, 상기 레일을 타고 안내되는 랙 바의 그 하측에 상기 피니온과 치차 연결되는 랙기어를 현수한 구성으로 된 다.
또한, 상기 랙기어는 양측면에 롤러를 갖추어 레일의 내측에서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주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치에 관련된 제어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도 3의 플라그 1에 대한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5는 도 4의 플라그 2에 대한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 1에 대응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담장4 : 레일
6 : 랙 바8 : 승차대
10 : 정역 구동 모터12 : 컨트롤러
42 : 종동 스프로켓46 : 피니온
64 : 랙기어66 : 롤러
100 : 액츄에이터104 : 구동 스프로켓
108 : 클러치 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주차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본 고안의 장치는 셔터 등에 의해 개폐되는 담장(2)을 경계로 하여 그 안쪽 지면에 부설되는 1쌍의 레일(4)과, 이 레일(4)을 타고 안내되는 랙 바(6)를 구비한 주차대(8), 그리고 상기 랙 바(6)가 레일(4)을 타고 견인되게 하는 정역 구동 모터(10) 및 이 정역 구동 모터(1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4)은 단면 “”자상으로 된 철제 앵글이며, 이것은 1쌍 2조로 대칭 배치되는 한편, 담장(2)에 인접한 단부에는 종동 스프로켓(42)이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역 구동 모터(10)는 그 출력축(102)이 상기 레일(4)에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또 이 출력축(102)에는 구동 스프로켓(104)이 장착 되어 있으며, 이 구동 스프로켓(104)과 상기 종동 스프로켓(42)과의 사이는 체인(106)을 개재하여 동력 연결되어 있다. 또 정역 구동 모터(10)와 출력축(102) 사이에는 클러치수단(108)이 개재되어서 동력의 단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종동 스프로켓(42)은 정역 구동 모터(10)의 동력을 받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서 종동 스프로켓(42)을 레일(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켜 주는 축(44)은 상기 레일(4)의 내측에서 피니온(46)을 관통하여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 피니온(46)은 축(44)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며, 이것은 레일(4)의 내측에서 체결요소(62)에 의해 상기 랙 바(6)의 하측으로 현수되는 랙기어(64)와 치차 연결됨으로써 상기 종동 스프로켓(42)의 회전에 편승한 축(44)의 회전이 시작되면 상기 랙기어(64)를 추진할 수 있게 배치된 것이다.
또한, 랙기어(64)는 피니온(46)에 의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롤러(66)를 보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랙기어(64)가 피니온(46)에 연동하여 추진되는 것에 의해 랙 바(6)가 승차대(8)를 견인하게 되고, 이 때 승차대(8)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캐스터 등을 갖추고 있어서 부드럽게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2)는 레일(4)의 소정 개소에 배치된 1쌍의 센서(120a)(120b)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토대로 상기 정역 구동 모터(10)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양 센서(120a)(120b)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의 양태는 다음 표와 같이 구분된다.
센서(120a)의 출력신호 센서(120b)의 출력신호 진행상태
오프 오프 출고필
오프 진행중
입고필
이상 열거한 센서(120a)(120b)의 신호를 통한 정역 구동 모터(10)의 제어는 도 3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에 따라 진행된다.
즉, 도 3에서 사용자가 컨트롤러(12)를 통해 조작 정보를 입력하였을 때, 입력된 정보가 입고 지시일 경우에, 먼저 센서(120a)(120b)의 온 오프 상태를 체크하여 모두 오프로 확인되면 상기 컨트롤러(12)는 정역 구동 모터(10)를 정회전 구동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라그 1으로 넘어간다.
정역 구동 모터(10)의 정회전은 컨트롤러(12)에 센서(120a)(120b)의 스위칭 온 신호가 차례로 입력될 때까지 지속되고, 마지막으로 센서(120b)에서 스위칭 온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는 일정 시간 지연된 다음 정지한다.
상기 일정 시간 지연은 정역 구동 모터(10)의 작동으로 견인되는 승차대(8)가 완전히 담장(2)의 안쪽으로 입고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만약 승차대(8)의 완전 입고가 일정 시간 지연이 종료되기 전에 완료되어 정역 구동 모터(10)로 부하가 가해질 경우에는 클러치 수단(108)이 동력 전달 경로를 자동으로 끊어 주기 때문에 별 다른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또 사용자가 입력한 조작 정보가 출고 지시인 경우에는 센서(120a)(120b)의 온 오프 상태를 체크하여 모두 온으로 확인되면 상기 컨트롤러(12)는 정역 구동 모터(10)를 역회전 구동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라그 1으로 넘어간다.
마찬가지로 정역 구동 모터(10)의 역회전은 컨트롤러(12)에 센서(120b)(120a)의 스위칭 오프 신호가 차례로 입력될 때까지 지속되고, 그 후에는 일정 시간 지연된 다음 정지한다.
플라그 1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센서(120a)가 오프이고, 다른 센서(120b)는 온인 경우를 체크하였을 때는 고장 경보를 울리고, 그렇지 않은 때에는 플라그 2로 넘어간다.
본 고안의 장치에서 센서(120a)가 오프인 때에는 승차대(8)가 출고 위치에 있는 때이므로 다른 센서(120b)에서 온 신호가 나올 수 없기 때문에 컨트롤러(12)는 이를 고장으로 자기 진단하는 것이다.
또한, 플라그 2는 도 5에 상세히 묘사한 바와 같이 센서(120a)가 온이고, 다른 센서(120b)는 오프인 때를 체크하였을 때에 리세트 경보를 울리는 단계이다.
이 경우는 승차대(8)가 입고 또는 출고 위치를 벗어나 정지하고 있는 때이므로 이를 원점으로 되돌린 다음에 다시 시작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세트 정보를 컨트롤러(12)에 입력하여 주면, 정역 구동 모터(10)가 정회전되어서 승차대(8)는 입고되어 초기화로 되돌려진다.
그리고 센서(120a)와 센서(120b) 중의 하나 또는 모두에서 아무런 신호가 나오지 않은 경우에도 플라그 2까지 체크된 다음에 고장 경보를 발하고 종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 장치에서 승차대(8)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은 정역 회전 모터(10)외에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압으로 작동되는 액츄에이터(100)를 채용할 수도 있으며, 이 액츄에이터(100)는 클러치 수단(108)과 랙기어(64), 피니온(46), 종동 스프로켓(42) 등을 생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므로 장치 구조가 더욱 간단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차대와 1쌍의 레일, 그리고 정역 구동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시공하기가 간편하고 제작 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조작이 간단하게 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담장(2)을 경계로 하여 그 안쪽 지면의 주차 위치로 부설되는 1쌍의 레일(4)과, 이 레일(4)을 타고 안내되는 랙 바(6)를 구비한 주차대(8)와, 상기 랙 바(6)가 레일(4)을 타고 견인되게 하는 정역 구동 모터(10)와, 상기 레일(4)의 주변 소정 개소에 배치되어서 주차대(8)의 위치를 검출하는 1쌍의 센서(120a)(120b)와, 이들 센서(120a)(120b)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로 상기 정역 구동 모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로 구성된 주차 장치.
  2. 담장(2)을 경계로 하여 그 안쪽 지면의 주차 위치로 부설되는 1쌍의 레일(4)과, 이 레일(4)을 타고 안내되는 랙 바(6)를 구비한 주차대(8)와, 상기 주차대(8)의 밑면에 출력단이 연결되어 이를 견인하는 액츄에이터(100)와, 상기 레일(4)의 주변 소정 개소에 배치되어서 주차대(8)의 위치를 검출하는 1쌍의 센서(120a)(120b)와, 이들 센서(120a)(120b)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로 상기 액츄에이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로 구성된 주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4)의 일측 종단에는 상기 정역 구동 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종동 스프로켓(42)을 갖춘 축(44)이 관통 설치되고, 이 축(44)에는 상기 레일(4)의 내측에 위치하는 피니온(46)이 고정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레일(4)을 타고 안내되는 랙 바(6)는 그 하측에 랙기어(64)를 현수한 구성으로 된 것이 특징인 주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64)는 양측면에 롤러(66)를 갖춘 구성으로 된 것이 특징인 주차 장치.
KR2019990005081U 1999-03-30 1999-03-30 주차 장치 KR200288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81U KR200288421Y1 (ko) 1999-03-30 1999-03-30 주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081U KR200288421Y1 (ko) 1999-03-30 1999-03-30 주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35U true KR20000018835U (ko) 2000-10-25
KR200288421Y1 KR200288421Y1 (ko) 2002-09-10

Family

ID=5476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081U KR200288421Y1 (ko) 1999-03-30 1999-03-30 주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4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29B1 (ko) * 2001-04-12 2003-11-12 주식회사 명성금속 주차장치
WO2004083562A2 (en) * 2003-03-18 2004-09-30 Jeong Hak Kim Parking apparatus for side stree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125B1 (ko) * 2017-10-12 2019-07-01 이완영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29B1 (ko) * 2001-04-12 2003-11-12 주식회사 명성금속 주차장치
WO2004083562A2 (en) * 2003-03-18 2004-09-30 Jeong Hak Kim Parking apparatus for side street
WO2004083562A3 (en) * 2003-03-18 2004-12-16 Jeong Hak Kim Parking apparatus for side str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421Y1 (ko) 200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260B2 (en) Intelligent car garage-moving device based on single-chip microcomputer control
US9752341B2 (en) Vehicle parking with automated guided vehicles, vertically reciprocating conveyors and safety barriers
CN102828640B (zh) 一种多停车道多载车板的塔式立体车库
US7819262B1 (en) Apparatus for covering semitrailer payloads
CN100516440C (zh) 一种带智能车库的多层建筑物
CN205172096U (zh) 一种升降双向横移无避让地下立体车库
CN209429633U (zh) 一种用于地坑式立体车库的升降安全门结构及立体车库
KR20000018835U (ko) 주차 장치
CN106812360A (zh) 一种升降双向横移无避让地下立体车库
KR100873175B1 (ko) 주차장치
CN109707200B (zh) 模块化装配式立体停车库
CN107620506A (zh) 车辆检测系统及立体停车库
CN201265270Y (zh) 立体停车设备
KR102334434B1 (ko) 자동차 세차장용 회전롤 타입 자동 차광막 시공시스템
CN111364819A (zh) 一种无载车托盘智能立体停车库及存取车方法
CN210134687U (zh) 立体停车库
KR100397821B1 (ko) 박스형 주차설비
CN201265273Y (zh) 单排立体停车设备
CN213742564U (zh) 一种智慧型双层组合立体停车设备
CN107605197A (zh) 立体停车库
CN206530116U (zh) 移车平台系统
KR0182674B1 (ko) 주차 장치
RU65537U1 (ru)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стоянка вертикального типа
JPS61286464A (ja) 駐車設備
KR940003685Y1 (ko) 승강식 간이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