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727U -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727U
KR20000018727U KR2019990004889U KR19990004889U KR20000018727U KR 20000018727 U KR20000018727 U KR 20000018727U KR 2019990004889 U KR2019990004889 U KR 2019990004889U KR 19990004889 U KR19990004889 U KR 19990004889U KR 20000018727 U KR20000018727 U KR 200000187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gnal
sensing
butt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88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성
Original Assignee
황인길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길,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인길
Priority to KR2019990004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727U/en
Publication of KR20000018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727U/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자의 발을 이용하여 문을 자동으로 여닫는 문 자동 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출입자의 발이 삽입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감지 박스; 상기 감지 박스내에 장착되어, 상기 발이 상기 감지 박스내에 삽입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상기 출입자가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응하는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버튼 스위치로부터 상기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기설정 시간동안 정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한후, 제 2 기설정 시간 동안 대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기설정 시간동안 역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정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정방향 구동되고, 상기 대기 신호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상기 역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역방향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문을 개방시키고, 상기 모터가 정지되면 상기 문의 개방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모터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문을 닫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문을 개방할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으며, 출입 의도가 없는 사람이 지나갈 경우에 발생될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a door by using a foot of a person, and install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door, the sensing box having a space enough to insert the foot of the person; A sensing sensor mounted in the sensing box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ot when inserted into the sensing box; A button switch generating a butt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when the person presses the button;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ing sensor or the button signal is input from the button switch, a forward driving signal is generated for a first preset time, and then a standby signal is generated for a second preset tim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reverse driving signal for a set time; A motor driven forward by the forward drive signal, temporarily stopped by the standby signal, and driven backward by the reverse drive signal; The door is opened when the motor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stopped when the motor is stopped, and the door driving part is closed when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ecause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using a h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that can occur when a person who does not intend to go out.

Description

문 자동 열림 장치{AUTOMATIC DOOR OPEN APPARATUS}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본 고안은 문 자동 열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을 이용하여 문을 자동으로 열리게 할수 있는 문 자동 열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open the door using the foot.

최근, 문을 자동으로 여닫을수 있는 장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적용되는 목적 또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many device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door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types of products are being released depending on the purpose or field of application.

문 자동 열림 장치에는 대표적으로 버튼형, 감지형등이 있으며, 버튼형의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면 문이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것으로, 주로 손을 사용하여 작동시킨다. 감지형의 경우에는 그 종류가 버튼형에 비해 훨씬 다양한데, 예를들어 적외선 감지 센서(sensor)나 카메라 감지 센서등과 같은 출입자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자를 감지하고, 출입자가 있을 경우 문이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데 그 특징점이 있다.The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includes a button type, a sensing type,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button type,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the case of the sensing type, the types are much more diverse than the button type. For example, an infrared sensor or a camera sensor may be used to detect an access person, and if there is an access person, the door opens automatically. There is a characteristic point.

그러나, 버튼형의 경우 손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출입자의 양손에 어떤 물건들이 들려 있다면 문을 열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지형의 경우에는, 단지 문앞에 사람이 있는지, 또는 없는지만을 판단할뿐, 문앞에 있는 사람이 출입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수 없기 때문에, 예를들어 문 옆을 지나가는 사람을 출입자로 오인하여 문이 자동으로 열리게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utton-type, you have to use a hand, if there are any objects in both hands of the accessor has a problem that is very difficult to open the door. Also, in the case of the sensing type, it is only to judge whether there is a person at the door or not, and it is not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person at the door is willing to enter. It often happens that the door opens automatically.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발을 이용하여 문을 자동으로 여닫을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동작을 방지하고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는 문 자동 열림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using the foot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door, to prevent malfunction and to provide a 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출입자의 발을 이용하여 문을 자동으로 여닫는 문 자동 열림 장치로서: 상기 문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출입자의 발이 삽입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감지 박스; 상기 감지 박스내에 장착되어, 상기 발이 상기 감지 박스내에 삽입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 상기 출입자가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응하는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버튼 스위치로부터 상기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기설정 시간동안 정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한후, 제 2 기설정 시간 동안 대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기설정 시간동안 역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정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정방향 구동되고, 상기 대기 신호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상기 역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역방향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문을 개방시키고, 상기 모터가 정지되면 상기 문의 개방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모터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문을 닫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door by using the foot of the person: install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the sensing having a space enough to insert the foot of the person box; A sensing sensor mounted in the sensing box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ot when inserted into the sensing box; A button switch generating a butt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when the person presses the button; 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ing sensor or the button signal is input from the button switch, a forward driving signal is generated for a first preset time, and then a standby signal is generated for a second preset tim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reverse driving signal for a set time; A motor driven forward by the forward drive signal, temporarily stopped by the standby signal, and driven backward by the reverse drive signal; The door is opened when the motor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stopped when the motor is stopped. When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oor driving unit closes the do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 자동 열림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발감지 센서와 버튼 스위치의 설치 위치가 도시된 도면,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nsor and the button switch of Figure 1,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발감지 센서의 설치 방법이 도시된 도면.3A and 3B illustrate a method of installing the foot sensor of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0 : 발감지 센서 110 : 제어부100: detection sensor 110: control unit

120 : 버튼 스위치 130 : 모터120: button switch 130: motor

140 : 도어 구동부140: door driv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문 자동 열림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가 도시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the automatic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문 자동 열림 장치는 발감지 센서(100), 제어부(110), 버튼 스위치(120), 모터(130), 및 도어(door) 구동부(140)를 포함한다.In FIG. 1, the automatic door opening apparatus includes a foot detection sensor 100, a controller 110, a button switch 120, a motor 130, and a door driver 140.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라인L1상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라인L1상의 구동 신호는 발감지 센서(100)에 입력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ler 110 provides a driving signal on a line L1. The drive signal on the line L1 is input to the detection sensor 100.

발감지 센서(100)는 발광 소자(102)와, 발광 소자(102)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수광 소자(104)로 구성되며, 라인L1상의 구동 신호는 발광 소자(102)에 입력된다. 발광 소자(102)는 구동 신호에 의거하여 광을 생성하고, 발광 소자(102)에 의해 생성된 광은 수광 소자(104)에 전달된다.The detection sensor 100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102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104 provid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and a driving signal on the line L1 is input to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generates light based on the driving signal, and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수광 소자(104)는 발광 소자(102)로부터 광이 전달되어 오면 로우 상태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광이 전달되어 오지 않으면 하이 상태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라인L2상에 제공한다.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a low state when light is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a high state when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and provides it on the line L2.

한편, 버튼 스위치(120)는 출입자가 버튼을 누르면 하이 상태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라인L3상에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switch 12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of a high state when the person presses the button to provide on the line L3.

도 2와, 도 3a, 및 도 3b에는 발감지 센서(100)와 버튼 스위치(12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방법에 관한 도면이 도시된다.2, 3A, and 3B are views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n installation method of the foot sensor 100 and the button switch 120.

도 2를 참조하면, 발감지 센서(100)는 문(200)에 근접한 벽면 하부에 감지 박스(box)(210)를 형성한 뒤, 감지 박스(210)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 박스(210)는 출입자의 발이 충분히 삽입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갖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oot detection sensor 100 may be installed in the detection box 210 after forming a detection box 210 on a lower wall surface adjacent to the door 200. In addition, the sensing box 210 to have a space enough to insert the foot of the person.

이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2)와 수광 소자(104)를 감지 박스(210)의 좌,우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할수도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2)와 수광 소자(104)를 감지 박스(210)의 상, 하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할수도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A, the light emitting device 102 and the light receiving device 104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nsing box 210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3B, the light emitting device ( 10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nsing box 210 so as to face each other.

따라서, 감지 박스(210)내에 발이 삽입되지 않으면 발광 소자(102)에서 생성된 광은 수광 소자(104)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수광 소자(104)는 로우 상태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라인L2상에 제공한다. 반면, 출입자가 발을 감지 박스(210)내에 삽입하면, 발광 소자(102)에서 생성된 광이 수광 소자(104)에 전달되지 않게되고, 이에 따라 수광 소자(104)는 하이 상태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라인L2상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foot is not inserted into the sensing box 210,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is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and thu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in a low state to generate a line L2 phase. To prov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son inserts the foot into the sensing box 210,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is not transmitted to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so that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is a high state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on line L2.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2)와 수광 소자(104)를 감지 박스(210)의 좌,우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하는 것보다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102)와 수광 소자(104)를 감지 박스(210)의 상, 하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 이유는 출입자가 감지 박스(210)내에 발을 삽입할 경우, 발의 측면보다도 발등면이 비교적 넓어, 출입자 발의 삽입 여부를 보다 확실히 감지할수 있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3A, the light emitting element 10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nsing box 210 so as to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3B. )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04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nsing box 210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reason is that when the person inserts the foot into the sensing box 210, the instep surface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side of the foot, so that the person's foot can be more reliably detected.

또한, 버튼 스위치(120)는 문(200)에 근접하되, 출입자의 신장을 고려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이르는곳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utton switch 120 is close to the door 20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n a place reach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in consideration of the elongation of the person.

라인L2상의 전기적 신호 및 라인L3상의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110)에 제공된다. 제어부(110)는 라인L2, 또는 라인L3을 통하여 하이 상태의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기설정 시간동안 정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한후, 제 2 기설정 시간 동안 대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기설정 시간동안 역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라인L4상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제 1 기설정 시간과 제 3 기설정 시간을 동일하게 하고, 제 2 기설정 시간을 2 내지 3 초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The electrical signal on the line L2 and the electrical signal on the line L3 ar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10. When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high state is input through the line L2 or the line L3, the controller 110 generates the forward driving signal for the first predetermined time, and then generates the standby signal for the second predetermined time, The reverse driving signal is generated and provided on the line L4 for a preset time. Here,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1st preset time and the 3rd preset time the same, and to set the 2nd preset time to 2-3 seconds.

라인L4상의 구동 신호 및 대기 신호는 모터(130)에 입력된다. 모터(130)는 라인L4상의 정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정방향 구동되고, 대기 신호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역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역방향 구동된다.The drive signal and the wait signal on the line L4 are input to the motor 130. The motor 130 is driven forward by the forward drive signal on the line L4, temporarily stopped by the standby signal, and driven backward by the reverse drive signal.

도어 구동부(140)는 모터(130)가 정방향 구동되면 문을 개방시키고, 모터(130)가 정지되면 문의 개방 동작을 중지시키며, 모터(130)가 역방향 구동되면 문을 닫는다.The door driver 140 opens the door when the motor 130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stops the door opening operation when the motor 130 is stopped, and closes the door when the motor 130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문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출입자의 발이 삽입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감지 박스를 설치하고, 감지 박스내에 감지 센서를 부착한후, 감지 박스내에 출입자의 발이 삽입되면 자동으로 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손을 이용하지 않고도 문을 개방할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수 있으며, 출입 의도가 없는 사람이 지나갈 경우에 발생될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box having a spa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oot of the person close to the bottom of the door, attach the sensor to the sensing box, if the foot of the person is inserted into the sensing box By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the door can be opened without the use of a hand,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that can occur when a person who does not intend to enter.

Claims (4)

출입자의 발을 이용하여 문을 자동으로 여닫는 문 자동 열림 장치로서:As a door automatic ope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door using the person's foot: 상기 문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출입자의 발이 삽입될수 있을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감지 박스;A sensing box installed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the sensing box having a space such that the foot of the person can be inserted therein; 상기 감지 박스내에 장착되어, 상기 발이 상기 감지 박스내에 삽입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센서;A sensing sensor mounted in the sensing box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oot when inserted into the sensing box; 상기 출입자가 버튼을 누르면 이에 대응하는 버튼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스위치;A button switch generating a butt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button when the person presses the button;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가 입력되거나, 상기 버튼 스위치로부터 상기 버튼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기설정 시간동안 정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한후, 제 2 기설정 시간 동안 대기 신호를 생성하며, 제 3 기설정 시간동안 역방향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When the sensing signal is input from the sensing sensor or the button signal is input from the button switch, a forward driving signal is generated for a first preset time, and then a standby signal is generated for a second preset time. A control unit generating a reverse driving signal for a set time; 상기 정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정방향 구동되고, 상기 대기 신호에 의해 일시 정지되며, 상기 역방향 구동 신호에 의해 역방향 구동되는 모터;A motor driven forward by the forward drive signal, temporarily stopped by the standby signal, and driven backward by the reverse drive signal; 상기 모터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문을 개방시키고, 상기 모터가 정지되면 상기 문의 개방 동작을 중지시키며, 상기 모터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문을 닫는 도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자동 열림 장치.The door is opened when the motor is driven in a forward direction, and stops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when the motor is stopped, and includes a door driver for closing the door when the motor is driven in a reverse direction.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 센서는:The detection sensor is: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광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와, 상기 발광 소자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 소자에서 생성된 광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감지 박스의 상,하면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자동 열림 장치.A light emitting device generat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light receiving device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to generate the detection signal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device is received;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nsing box.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 1 기설정 시간과, 상기 제 3 기설정 시간은 서로 동일한 시간인 문 자동 열림 장치.And the first preset time and the third preset time are the same tim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대기 시간은 2 내지 3초인 문 자동 열림 장치.The waiting time is 2 to 3 seconds.
KR2019990004889U 1999-03-26 1999-03-26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KR20000018727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89U KR20000018727U (en) 1999-03-26 1999-03-26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889U KR20000018727U (en) 1999-03-26 1999-03-26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727U true KR20000018727U (en) 2000-10-25

Family

ID=5476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889U KR20000018727U (en) 1999-03-26 1999-03-26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727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15B1 (en) * 2006-03-31 2007-08-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door system and open-shut method for reducing loss of electric pow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15B1 (en) * 2006-03-31 2007-08-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door system and open-shut method for reducing loss of electric pow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232A (en) Automatic garage door control device
US20060162254A1 (en) Sensor device for automatic door assembly
DE69814924D1 (en) SECURITY SYSTEM
ATE364285T1 (en) INTEGRATED SECURITY AND COMMUNICATIONS SYSTEM WITH SECURE COMMUNICATIONS CONNECTION
CA2248617A1 (en)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CA2109144A1 (en) Electronic Switch Assembly for Motorized Window System
WO2001056142A8 (en) Safety interlock for mechanically actuated closure device
EP0563192B1 (en) Monitoring apparatus
KR20000018727U (en) Automatic door open apparatus
KR100707518B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type key safekeep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402794Y1 (en) Apparatus for sensing lock door of a train device case
KR19980074630A (en) Automatic door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0230809Y1 (en) A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having a dust keeper
JP2536637Y2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 shutter
JPH0810856Y2 (en) Door opener for home appliances
KR200269625Y1 (en) a safety device sliding door
KR100460540B1 (en) Cable guider for auto door
KR0152509B1 (en) Apparatus of children protection door lock switch control vehicle
KR970065895A (en) Automatically controlled switchgear
JPH0762948A (en) Noncontact type automatic opening/closing door
KR20000025388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unk lid lock of vehicle
KR970011730A (en) Refrigerator door cond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0134743B1 (en)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panel, the circuit and metho of
KR200328425Y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riving Tray for TV/DVD Combo
JPS6356654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