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582A -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 Google Patents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582A
KR20000018582A KR1019980036228A KR19980036228A KR20000018582A KR 20000018582 A KR20000018582 A KR 20000018582A KR 1019980036228 A KR1019980036228 A KR 1019980036228A KR 19980036228 A KR19980036228 A KR 19980036228A KR 20000018582 A KR20000018582 A KR 20000018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ing
scanning sensor
scanner
angl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화
Original Assignee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101998003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582A/ko
Publication of KR2000001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8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1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85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 H04N1/00787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using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61Details relating to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e.g. transparent platen
    • H04N1/1065Support or mounting of the flat picture-bear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닝 각도가 조절되는 스케너(Scanner)에 관한 것으로, 스케닝센서 및 스케닝 평면 유리판의 각도를 수직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각도로의 회전 이동까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케닝 센서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기어와 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스케닝 센서부 및 모터를 한 쌍의 기어에 연결시키는 기어 축으로 구성된 스케닝 센서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본 발명은 스케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케닝 각도를 제어함으로 스케닝 하려는 원본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어 문자 인식 시스템이 정확하게 문자를 인식할 수 있게 한 스케너 및 스케닝 각도 회전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정보 장치의 일종인 스케너의 화상 인식 원리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종래의 가장 보편적인 플렛 베드(Plat bed) 스케너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광원(60)이 비춘 빛이 원본(20)에서 반사되어 거울(70)을 통해 렌즈(80)에 투시된다. 렌즈(80)는 한 줄 또는 세 줄의 센서(40a)가 있는 CCD(Charge Coupled Device : 전하 결합 고체 촬영 소자) 칩(40) 상에 이미지 정보를 비춘다.
CCD칩(40)은 이 빛을 아날로그 전하로 등록하고 그것이 A/D(Analog to Digital) 컨버터(95)로 보내져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CCD칩(40)은 쏘아지는 빛의 강도에 따라 빛의 레벨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전하로 등록할 수 있는 수많은 작은 센서들(40a)로 구성된 반도체 소자이며, 스케너 유형에 따라 여러 가지 구성을 한다. 센서(40a)는 CCD칩(40)상에 한 줄 또는 세 줄로 배열되며 스케너 장치는 이 배열을 이용 아날로그 원본 이미지의 전체 폭을 샘플링하여 그것을 한 줄로 기록한다.
CCD칩(40)은 한 줄의 원본 이미지를 샘플링할 때마다 아날로그 빛 레벨을 나타내는 전하를 A/D (Analog to Digital) 컨버터(95)로 보내서 2진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CCD칩(40)은 다음 줄의 전하를 받을 수 있는데 신형 스케너에서는 이 과정이 불과 수십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케너로 원본을 스케닝한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스케너와 스케닝할 원본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종래 시스템에서의 원본 스케닝 결과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기존의 평면 스케너로 그림, 문서, 그리고 사진 등을 스케닝할 때 일반적으로 손으로 적당하게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맞추어서 스케닝을 하게 된다. 그런데 스케닝할 원본 내용 중에 도 2에서와 같이 사선과 같은 그림(20)들이 있다면 그림이 깨지게 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된다.
그 원인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너로 읽고자 하는 원본의 내용 중에 사선이 있거나 하는 경우, 종래의 스케너는 도3과 같이 스케닝 센서부(40)가 상하로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사선을 따라 스케닝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 스케닝한 결과는 도 2의 돋보기(30) 내부에 도시된 것과 같으며, 스케닝된 원본(50)의 일부분(P)이 확대된 그림과 같이, 원본내의 사선이 원형대로 재현되지 않고 왜곡되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된다. 이것을 응용 프로그램으로 원상 복구시키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며, 설령 가능하다고 해도 원형과 동일한 형태로의 복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원본 내의 사선이 원형대로 재현되지 않고 왜곡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스케닝하려는 원본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어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시스템에서의 원본 스케닝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종래 시스템에서의 원본 스케닝 결과를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3은 종래 시스템의 스케닝 센서부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플렛 베드(Flat bed) 스케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스케닝 센서부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스케닝 평면 유리판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스케닝 센서부의 회전 이동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스케닝 센서부는 문서 또는 화상을 인식한다. 스케닝 평면 유리판은 스케닝할 원본과 스케닝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여 스케닝 데이터를 투과시킨다.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는 스케닝 센서를 자유롭게 회전 이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케닝의 각도를 종래의 수직 이동만 가능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각도로의 회전 이동까지 가능하도록 한다. 그럼으로써 스케닝하고자 하는 원본을 원형 그대로 정확하게 스케닝을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스케닝 센서의 회전 이동을 구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스케닝 센서부(100)는 문서 또는 화상을 인식한다. 스케닝 평면 유리판(200)은 스케닝할 원본과 스케닝 센서부(100) 사이에 위치하여, 스케닝 데이터를 투과시킨다.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300)는 스케닝 센서부(100)를 자유롭게 회전 이동시킨다.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300)에서 모터(305)는 회전을 한다. 모터(305)에는 제 2 기어(303)가 직렬로 연결되어 모터(305)와 연동 되어 회전 운동을 한다. 큰 기어(301)는 작은 기어(303)와 맞물려 있으며, 기어축(302)이 스케닝 센서부(100)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CCD칩(40) 부분과 스케닝 센서 구동부(300)를 제외하고 도 4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광원(60)이 비춘 빛이 원본(20)에서 반사되어 거울(70)을 통해 렌즈(80)에 투시된다. 스케닝된 원본(20)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렌즈(80)를 거쳐 한 줄로 배열된 전극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렌즈(80)는 스케닝 각도가 원본(20)의 수직 및 수평 방향에 맞게 조절된 한 줄 또는 세 줄의 센서(40a)가 있는 CCD칩(40) 상에 이미지 정보를 비춘다. CCD칩(40)은 이 빛을 아날로그 전하로 등록하고 그것이 A/D(Analog to Digital) 컨버터(95)로 보내져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스케닝 하려는 도형이나 일러스트레이션은 모두 도트 패턴(dot pattern), 즉 점 집합으로 표현된다. 그래서 도형 정보를 CCD칩(40)내의 스케닝 센서(40a)로 감지하고, 그 정보를 A/D(Analog to Digital) 컨버터(95)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도면에 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컴퓨터에 입력시킨다. 그때 CCD칩(40)은 비디오 카메라처럼 2차원 평면 화상을 표현하지 않고 1차원 화상, 즉 점 집합을 축 방향으로 스케닝 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이때, 스케너로 읽고자 하는 원본의 내용 중에 사선이 있거나 하는 경우,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스케너와는 달리 스케닝 센서 구동부(300)를 작동시켜 한 쌍의 기어(301,303)를 움직여 스케닝 센서부(10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다. 그리함으로 사선과 평행하게 스케닝 하여 원형의 왜곡됨 없이 정확하게 화상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즉, 모터(305)를 작동시켜 제 2 기어축(304)을 통해 제 1 기어(303)를 구동한다. 제 1 기어(303)에 맞물려 있는 제 2 기어(301)가 훨씬 작은 움직임으로 동시에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 1 기어축(302)을 통해 스케닝 센서부(100)의 위치가 조절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스케너의 스케닝 센서부(100)의 각도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스케닝 평면 유리판(200)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도 5에서 기술한 원형대로 정확하게 스케닝 하는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시스템은 스케닝 하려는 원본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정확하게 맞추어 원형의 왜곡됨을 방지하고 문자 인식 시스템이 보다 정확하게 문자를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비록 이 발명은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발명은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케닝 센서 구동부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자동으로 스케닝 센서 및 스케닝 평면 유리판의 각도를 제어하는 등 후술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Claims (6)

  1. 문서 또는 화상을 인식하는 스케닝 센서부와;
    스케닝할 원본과 상기 스케닝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여 스케닝 데이터를 투과시키는 스케닝 평면 유리판과;
    상기 스케닝 센서부를 자유롭게 회전 이동시키는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케닝 각도를 제어하는 스케너.
  2. 제1항에서,
    상기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직렬 연결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기어축이 상기 스케닝 센서부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제 2 기어를 포함하는
    스케닝 각도를 제어하는 스케너.
  3. 제2항에서,
    상기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는
    상기 스케닝 센서부의 각도를 수직 방향뿐 아니라 회전 방향까지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스케닝 하고자 하는 원본을 원형 그대로 정확하게 스케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닝 각도를 제어하는 스케너.
  4. 제1항에서,
    상기 스케닝 평면 유리판을 회전시켜 그 각도를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스케닝 하고자 하는 원본을 원형 그대로 정확하게 스케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닝 각도를 제어하는 스케너.
  5. 제1항에서,
    상기 스케닝 센서 회전 구동부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상기 스케닝 센서부의 각도를 수직 방향뿐 아니라 회전 방향까지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스케닝 하고자 하는 원본을 원형 그대로 정확하게 스케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닝 각도를 제어하는 스케너.
  6. 제4항에서,
    컴퓨터와 연결하여 자동으로 상기 스케너 평면 유리판의 각도를 수직 방향뿐 아니라 회전 방향까지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스케닝 하고자 하는 원본을 원형 그대로 정확하게 스케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닝 각도를 제어하는 스케너.
KR1019980036228A 1998-09-03 1998-09-03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KR20000018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228A KR20000018582A (ko) 1998-09-03 1998-09-03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228A KR20000018582A (ko) 1998-09-03 1998-09-03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82A true KR20000018582A (ko) 2000-04-06

Family

ID=1954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228A KR20000018582A (ko) 1998-09-03 1998-09-03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0435A (zh) * 2019-04-18 2019-07-12 山东省分析测试中心 一种原位失效分析样品台及扫描电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0435A (zh) * 2019-04-18 2019-07-12 山东省分析测试中心 一种原位失效分析样品台及扫描电镜
CN110010435B (zh) * 2019-04-18 2024-02-20 山东省分析测试中心 一种原位失效分析样品台及扫描电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013B1 (en) Hand-holdable optical scanner particularly useful as electronic translator
US5073770A (en) Brightpen/pad II
EP0277964A1 (en) OPTICAL READER EQUIPPED WITH POSITION SENSORS.
US5898171A (en) Imaging scanner with light source and pivoting mirror in lid
JP2001133855A (ja) 文書展望鏡
US5227896A (en) Image reader for producing and synthesizing segmented image data
US4866535A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facing an image scanner with a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0134433A (ja) 光学式スキャナ用変換器
US4901157A (en) Line scan image scanner for use with reflective originals and transparent films
KR20000018582A (ko) 스케닝 각도가 제어되는 스케너
AU671833B2 (en) Micrographic reader with digitized image
JPH0720196B2 (ja) 書類走査装置
US5315414A (en)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filters in a color raster input scanner
US6211508B1 (en) Lensless optical system in imaging sensing module
JP2710211B2 (ja) イメージスキャナ装置
JPS6359160A (ja) ハンデイタイプイメ−ジスキヤナ
JPH07193682A (ja) 読取り装置
JPH01180685A (ja) 指紋画像入力装置
JPS6110356A (ja) 画情報読取装置
JPS62136166A (ja) 画像入力装置
JPS61164369A (ja) 手動式イメ−ジスキヤナ
JPH0324858A (ja) 事務用机とそれに内蔵される等倍センサ及び画像読取装置
JPS61292470A (ja) 携帯画像読取装置
JPS61144981A (ja) 電子式スチ−ルカメラ
JPH08279018A (ja) 画像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