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565U -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565U
KR20000018565U KR2019990004621U KR19990004621U KR20000018565U KR 20000018565 U KR20000018565 U KR 20000018565U KR 2019990004621 U KR2019990004621 U KR 2019990004621U KR 19990004621 U KR19990004621 U KR 19990004621U KR 20000018565 U KR20000018565 U KR 20000018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uge
key groove
shaft
magnet
auxilia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6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찬
Original Assignee
신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찬 filed Critical 신현찬
Priority to KR20199900046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565U/ko
Publication of KR20000018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65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twisted spindl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5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twisted spindl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기울기상태에 관계없이 게이지의 눈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 연료계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로트 게이지는 부구가 레버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레버에 의해 회동되는 평기어와 피니언기어로 회동력이 전달되어 샤프트를 회동시키며,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는 자석A가 부착되어 회동되면서 자력에 의해 게이지 몸체 외측에 설치된 자석B가 작동되어 눈금판상의 지침을 작동시켜 연료의 충전량을 가리키도록 구성되었으나 요철이 심한 비포장도로나 경사지 및 급감속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과다하게 요동될 경우 유량지침이 과도하게 움직여 충격소음이 발생하며, 게이지 눈금측 저항값이 수시로 변하여 계기 고장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게이지몸체(10)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어 부구(1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 하 이동기능만을 갖도록 하는 보조지지대(120)와; 상기 보조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정나사(141)에 의해 고정되며 키홈 샤프트(110)를 지지하는 베어링(150)을 구비한 지지판(140)과; 상기 보조지지대(120)의 사이 중앙부에는 상부의 지지베어링(160)과 하부 지지판(140)의 베어링(1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에는 피치가 긴 나선형의 키홈(1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자석A(170)가 부착된 키홈 샤프트(110)와; 상기 키홈 샤프트(110)의 키홈(111)에 끼어지도록 중앙홀(131)과 상기 중앙홀(131)의 일측에 키돌기(13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보조지지대(120)에 끼워지도록 보조홀(133)이 형성된 부구(130)로 구성되어 키홈 샤프트(110)가 비스듬히 위치할 경우 부구의 중앙홀(131)과 키홈 샤프트(110)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상, 하 이동이 방지되어 지침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임.

Description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A vertical float gauge for fuel tank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량을 감지하여 주는 게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요동이나 경사지에서의 차량의 기울기상태에 무관하게 게이지의 눈금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연료로 사용하는 LPG 연료탱크의 경우 고압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밀폐성을 매우 강조하여 설계 제작하여야 하며, 특히 연료량을 측정하는 게이지부의 설계에 매우 신중을 기해야 한다.
따라서 게이지부의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게이지눈금과 내부의 작동부재간에는 간접접촉에 의한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자석에 의한 간접작동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적인 연료게이지는 부구를 이용하여 탱크내의 연료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종래의 플로트 게이지부 구성은 부구(1)가 레버(2)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레버(2)에 의해 회동되는 평기어(3)와 상기 평기어(3)에 맞물리어 작동되는 피니언기어(4)로 회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4)는 샤프트(5)를 회동시키며, 상기 샤프트(5)의 선단부에는 자석A(6)가 부착되어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자석A(6)를 포함하는 내부 작동부는 외부 게이지부와의 사이에 게이지 몸체(7)에 의해 분리되어 밀폐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자석A(6)와의 자력에 의해 외측에 설치된 자석B(8)는 따라 작동되며, 상기 자석B(8)는 눈금판(9)상의 지침을 작동시켜 연료의 충전량을 가리키도록 함은 물론 눈금판측에 저항선이 있어 이 신호가 운전석의 연료메타에 접속되어 운전석에 연료량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요철이 심한 비포장도로나 경사지 및 급감속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과다하게 요동될 경우 유량지침이 과도하게 움직이고 충격소음이 발생하며, 엘피지 연료 등의 요동으로 게이지 눈금측 저항값이 수시로 변하여 계기 고장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연료탱크내의 액체유동에 따라 게이지 눈금이 심하게 요동되어 정확한 연료량의 감지가 불가능하며, 아울러 심한 소음을 동반하며, 심한 요동으로 계기가 고장나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장시간 동안 언덕길의 주행시 불규칙한 연료량의 감지로 인하여 운전자들로 하여금 불만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엘피지 연료 또는 가솔린연료 탱크내의 연료가 차량의 요동시에도 평형상태의 지시상태를 유지하며, 요동으로 인하여 게이지 눈금측 저항값이 수시로 변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므로서 정확한 유량측정 및 계기의 고장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키홈 샤프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부구의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정면 구성상태도.
도 6은 종래의 연료량감지 플로트 게이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게이지 몸체 11: 연료탱크
100: 내부 작동부 110: 키홈 샤프트
111: 키홈 120: 보조지지대
130: 부구 131: 중앙홀
132: 키돌기 133: 보조홀
140: 지지판 141: 고정나사
150: 베어링 160: 지지베어링
170: 자석 A 200: 게이지부
210: 자석 B 220: 눈금판
230: 지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자석A를 포함하는 내부작동부와 외부 게이지부가 게이지 몸체에 의해 분리되어 밀폐되고, 상기 자석A와의 자력에 의해 외측의 게이지부에 설치된 자석B가 작동되면서 눈금판상의 지침을 작동시켜 연료의 충전량을 가리키도록 함은 물론 눈금판측에 저항선이 설치되어 이 신호가 운전석의 연료메타에 접속되어 운전석에 연료량을 표시하도록 하는 연료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내부작동부의 기능을 보다 명확하고 차량의 요동시 게이지의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구의 작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부구와 키홈 샤프트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작동을 통제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게이지부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11)의 일측에 부착 설치되며, 내부작동부(100)와 외부게이지부(200)가 게이지 몸체(10)에 의해 분리되어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작동부(100)는 게이지 몸체(10)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어 부구(1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사. 하 작동만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지지대(120)가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지지대(120)의 하부에는 고정나사(141)에 의해 고정되고, 중앙의 키홈 샤프트(110)를 지지하는 베어링(150)을 구비한 지지판(1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지지대(120)의 사이 중앙부에는 상부의 지지베어링(160)과 하부 지지판(140)의 베어링(150)에 의해 회동가능하며, 둘레에는 피치가 길게 형성된 나선형의 키홈(1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자석A(170)가 부착된 키홈 샤프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홈 샤프트(110)의 키홈(111)에 끼워 설치되는 부구(130)는 연료량에 따라 상. 하 이동되면서 상기 키홈 샤프트(110)를 회전시키도록 중앙홀(131)과 상기 중앙홀(131)의 일 측에 키돌기(13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보조지지대(120)에 끼워지도록 보조홀(1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구(130)는 연료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양측의 보조지지대(120)에 부구(130)의 보조홀(133)이 끼워져 회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연료량에 따라 부구(130)가 상. 하 작동될 경우 부구(130)의 중앙홀(131) 내에 형성된 키돌기(132)가 키홈 샤프트(110)의 키홈(111)에 끼워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키홈 샤프트(110)는 부구(130)의 위치에 따라 회동하게 된다.
상기 키홈 샤프트(110)는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부의 지지베어링(160)과 하부 지지판(140)의 베어링(150)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부구(130)가 상. 하 작동됨에 따라 키홈 샤프트(110)는 회동되며, 상기 키홈 샤프트(110)의 상부에 고정된 자석 A(170)의 자력에 의해 외부의 게이지부(200)의 자석 B(210)는 따라서 회동되면서 외부로 연료량을 표시하도록 한다.
그런데 본 고안의 특징은 차량의 요동시 차량이 기울어진 상태 즉 상기 키홈 샤프트(110)가 비스듬한 상태에서는 부구(130)의 중앙홀(131)과 상기 키홈 샤프트(110)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부구(130)가 상. 하 이동되지 않도록 하였다.
즉 키홈 샤프트(110)가 비스듬할 경우 부구(130)는 부력으로 평형을 유지하려고 하므로 중앙홀(131)이 상기 키홈 샤프트(110)에 엇비스듬히 위치하게 되어 상. 하 이동이 방지되며, 따라서 키홈 샤프트(110)의 회동이 방지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지지대(120)는 일측에 하나만 설치된 것으로 작동상태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요동시나 급정거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일측으로 쏠릴 경우 연료의 유면에 따라 상. 하 이동되는 부구의 작동을 자체적으로 통제하도록 하므로서 게이지의 불필요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므로서 게이지의 정확한 표시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은 물론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보다 정확한 차량관리를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2)

  1. 자석A(170)를 포함하는 내부작동부(100)와 외부 게이지부가 게이지몸체(10)에 의해 분리되어 밀폐되고, 상기 자석A(170)와의 자력에 의해 외측의 게이지부(200)에 설치된 자석B(210)가 작동되면서 눈금판(220)상의 지침(230)을 작동시켜 연료의 충전량을 표시하도록 하는 연료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내부작동부(100)는 게이지몸체(10)의 하부 양측에 고정되어 부구(130)의 회전을 방지하고, 상. 하 이동기능만을 갖도록 하는 보조지지대(120)와;
    상기 보조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정나사(141)에 의해 고정되며 키홈 샤프트(110)를 지지하는 베어링(150)을 구비한 지지판(140)과;
    상기 보조지지대(120)의 사이 중앙부에는 상부의 지지베어링(160)과 하부 지지판(140)의 베어링(15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에는 피치가 긴 나선형의 키홈(1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자석A(170)가 부착된 키홈 샤프트(110)와;
    상기 키홈 샤프트(110)의 키홈(111)에 끼어지도록 중앙홀(131)과 상기 중앙홀(131)의 일측에 키돌기(13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보조지지대(120)에 끼워지도록 보조홀(133)이 형성된 비중이 낮은 재질로 된 부구(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120)는 일측에 하나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KR2019990004621U 1999-03-23 1999-03-23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KR200000185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21U KR20000018565U (ko) 1999-03-23 1999-03-23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621U KR20000018565U (ko) 1999-03-23 1999-03-23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65U true KR20000018565U (ko) 2000-10-25

Family

ID=5476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621U KR20000018565U (ko) 1999-03-23 1999-03-23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5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646A (ko) * 2002-12-04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KR100917761B1 (ko) * 2008-12-23 2009-09-15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Lng 연료용기의 과충전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646A (ko) * 2002-12-04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 레벨 센서
KR100917761B1 (ko) * 2008-12-23 2009-09-15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Lng 연료용기의 과충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116B2 (en) Liquid level gauge with removable Hall device
JPS6311608Y2 (ko)
US3709038A (en) Liquid level indicator
US20150346018A1 (en) An apparatus for non-contact level sensing
KR20100062725A (ko) 차량용 연료 센더 어셈블리
KR102001811B1 (ko) 뜨개식 레벨게이지
KR20000018565U (ko) 차량 연료탱크용 수직 플로트 게이지
US6341524B1 (en) Fuel gauge unit for a fuel tank
JPS62294916A (ja) カ−トリツジ油タンクの油量計
JPH0413409Y2 (ko)
JPS59590Y2 (ja) 車両用液面検出装置
KR100427869B1 (ko) 이중 뜨개를 이용한 연료 게이지
CN214251196U (zh) 一种方便安装的真空液位计
KR19990047831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측정장치
JPH0342337Y2 (ko)
JPS5833546Y2 (ja) 液量計制動装置
US4063459A (en) Variable-span pressure gauge
JPH0672162A (ja) 燃料タンクの残量検出装置
KR20230081145A (ko) 연료량 측정 장치
KR100235871B1 (ko) 오일게이지
JP2018105780A (ja) 液位検知装置
KR200242661Y1 (ko) 가스용기의 가스잔량 검출장치
JP2023123934A (ja) 液面計測計
AU2004222795B2 (en) Liquid level gauge with removable hall device
KR100187128B1 (ko) 자동차 연료의 평균 유량 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