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175A -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175A
KR20000018175A KR1020000002013A KR20000002013A KR20000018175A KR 20000018175 A KR20000018175 A KR 20000018175A KR 1020000002013 A KR1020000002013 A KR 1020000002013A KR 20000002013 A KR20000002013 A KR 20000002013A KR 20000018175 A KR20000018175 A KR 2000001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page
menu
wizard
user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원 filed Critical 최재원
Priority to KR1020000002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175A/ko
Publication of KR2000001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윈도우에 기초한 메뉴선택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된 홈페이지의 운용과정에서 요구되는 홈페이지의 수정은 웹 페이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와 이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mplementing Homepages according to Customer's Requests}
최근 웹 기술의 발달로 가상대학과 전자상거래와 같은 인터넷 웹에 기반을 둔 멀티미디어 응용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가상대학과 전자상거래 등의 멀티미디어 응용시스템은 그 활용분야는 다르지만 모두 홈페이지 제작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많은 장치들의 소개로 초창기에 비해 많이 쉬워졌다고는 할 수 있지만 초보자나 비전공자에 있어 어렵기는 마찬가지이다. 가상대학과 전자상거래와 같은 특정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한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개발하기 위해선 HTML 문법, 각종 웹 에디터와 그래픽 툴의 사용법, CGI와 JAVA 등의 프로그래밍 기술, 네트워크 및 데이타베이스 연동기술 등의 응용이 요구되므로 컴퓨터 관련학과에서도 결코 만만치 않은 기술적인 노하우가 요구된다. 그래서 초보자의 홈페이지 제작을 돕는 위지윅 방식의 저작도구와 마법사 방식의 저작도구가 일부 소개되고는 있다.
종래의 위지윅 방식의 홈페이지 저작도구는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고, 마법사 방식의 홈페이지 저작도구는 간단한 자기소개 홈페이지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마법사 기능의 한계로 인해 응용분야에 따른 특수 목적의 주문형의 홈페이지나 사용자의 취향을 바탕으로 고객 주문형의 홈페이지 제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홈페이지는 그 특성상 내용이 계속해서 추가되거나 변경되어져야 한다. 그런데 이의 변경을 위해 직접 해당 웹 페이지의 소스를 수정해야 한다면 비전문가에게는 불편하고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다. 종래의 마법사 방식의 홈페이지 저작도구는 홈페이지의 제작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여 홈페이지의 다양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일단 홈페이지가 구축되면 이의 변경을 위해선 직접 해당 웹 페이지의 소스를 수정해야하므로 홈페이지의 내용은 계속해서 변경되어져야 하는 특성을 가만할 때 유지·보수 면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않고 있었다.
가상대학과 전자상거래와 같은 특정분야에서의 활용을 위한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홈페이지 구축 이후의 유지·보수를 위해선 HTML 문법, 각종 웹 에디터와 그래픽 툴의 사용법, CGI와 JAVA 등의 프로그래밍 기술, 네트워크 및 데이타베이스 연동기술 등의 응용이 요구되므로 컴퓨터 관련학과에서도 결코 만만치 않은 기술적인 노하우가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윈도우에 기초한 메뉴선택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응용분야에 따른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자신의 취향에 따라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홈페이지의 운용과정에서 요구되는 홈페이지의 수정은 웹 페이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와 이의 구현 방법에 관해 다루었다.
도 1은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의 구성
도 2는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를 구성하는 각 마법사의 홈페이지 단계별 관여
도 3은 양식구성 마법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도 4는 양식구성 마법사의 전체 수행절차
도 5는 양식구성 마법사의 초기제작과 변경제작에 따른 세부 수행절차
도 6은 양식구성 마법사의 미리보기 선택시 세부 수행절차
도 7은 양식구성 마법사의 수정과 완료하기 선택시 세부 수행절차
도 8은 양식구성 마법사의 편집모드 선택시 전체 수행절차
도 9는 양식구성 마법사의 편집모드 세부 수행절차 (서브모듈 S1과 S3)
도 10은 양식구성 마법사의 편집모드 세부 수행절차 (서브모듈 S2)
도 11은 메뉴구성 마법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
도 12는 메뉴구성 마법사의 전체 수행절차
도 13은 메뉴구성 마법사의 초기메뉴 구성을 위한 세부 수행절차와 자료구조
도 14는 메뉴구성 마법사에서 메뉴체계 변경을 위한 세부 수행절차
도 15는 메뉴구성 마법사에서 메뉴체계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
도 16은 내용구성 마법사의 전체 수행절차
도 17은 내용구성 마법사의 세부 수행절차 (서브모듈 M0 ∼ M4)
도 18은 내용구성 마법사의 세부 수행절차 (서브모듈 M5 ∼ M6)
도 19는 내용구성 마법사에 의해 제공되는 초기 입력양식의 예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홈페이지의 구축과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와 이의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식구성 마법사, 메뉴구성 마법사, 내용구성 마법사로 구성되어 있다. 양식구성 마법사는 사용자가 홈페이지의 프레임 구조, 바탕화면, 그림, 동화상, 카운트와 메뉴버튼의 모양, 배경음악 등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고,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와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인덱스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덱스페이지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메뉴구성 마법사는 상기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입력받은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미리 정의해 둔 응용분야 별 메뉴 중에서 선택하여 초기메뉴를 구성하고, 기 정의되어 있는 메뉴 체계가 변경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메뉴의 추가나 불필요한 메뉴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인덱스페이지의 메뉴에 교수의 연구실적을 소개하는 메뉴버튼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연구실적이 하나도 없는데 메뉴버튼이 존재한다면 교수의 입장에서 볼 때 그리 달갑지 않을 것이다. 즉, 필요에 의해 메뉴버튼을 추가하거나 삭제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해야 한다면 이는 사용자의 불편사항이 될 것이므로 메뉴구성 마법사는 홈페이지의 제작 시는 물론 운용과정에서도 손쉽게 메뉴체계에 변경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내용구성 마법사는 상기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입력받은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미리 정의해 둔 응용분야 별 입력양식을 상기 메뉴구성 마법사가 선택한 메뉴버튼에 연결시켜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 입력양식을 마련하고, 기본 입력양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료를 입력받는데 입력 자료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출력양식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교수의 연구실적 소개를 위한 입력양식이 논문, 저서, 특허, 연구과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학생들이 보게되는 실제 홈페이지의 출력양식에는 해당 항목에 입력자료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만 나타나도록 하고 자료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항목 자체가 나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저서가 하나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저서 항목이 공란으로 남아 있지 않도록 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내용구성 마법사는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손쉽게 홈페이지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홈페이지는 그 특성상 내용이 계속해서 추가되거나 변경되어져야 하는데 이의 변경을 위해 직접 해당 웹 페이지의 소스를 수정해야 한다면 비전문가에게는 불편하고 어려운 작업이 될 것이므로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손쉽게 홈페이지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연구실적의 저서항목에 자료를 입력하지 않아 연구실적 소개를 위한 출력양식에 저서항목이 삭제되었더라도 이후 저서가 발간되어 연구실적에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기 입력한 타 연구실적은 그대로 유지된 수정양식이 불려져 저서항목에 저서를 추가하거나 기 입력한 데이타를 변경할 수 있다.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의 필수 구성요건인 양식구성 마법사, 메뉴구성 마법사, 내용구성 마법사, 유지보수 마법사 외에도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제작 마법사와 완성된 홈페이지를 임의의 워크스테이션에 자동으로 설치해 주는 설치지원 마법사가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지원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응용제작 마법사는 학기별로 복수의 과목을 개설 가능하도록 하고, 교육의 구성요소가 되는 교과목, 담당교수, 강의실, 수강학생을 개설 과목별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강의개설 마법사와; 과목별로 강의계획, 강의록, 강의자료, 자료실, 게시판, 토론실, 성적관리, 강의평가, 강의자료 백업 등과 같은 강의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반강의 운용 마법사와; 일반강의 형태의 강의운용과 더불어 가상의 강의실에서 다수를 대상으로 한 강의의 특성을 가만한 출석관리, 성적관리, 레포트관리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강의 운용 마법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육지원을 위한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는 제 1도에서와 같이 양식구성 마법사, 메뉴구성 마법사, 내용구성 마법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윈도우에 기초한 메뉴선택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작된 홈페이지의 운용과정에서 요구되는 홈페이지의 수정은 웹 페이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는 3개의 마법사로 구성되어 있으나, 각 마법사는 홈페이지의 제작과 설치가 이루어지는 홈페이지의 구축단계와 완성된 홈페이지가 임의의 워크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홈페이지의 활용단계 모두에서 작용한다. 제 2도에서는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를 구성하는 각 마법사의 작용을 홈페이지의 구축과 활용 단계 별로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제 3도에는 양식구성 마법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양식구성 마법사는 프레임세트(main.htm), 상위프레임(up.htm), 하위프레임(down.htm)의 3개의 문서로 구성되어 있고, 무늬, 색상, 그림, 카운트, 버튼의 클릭 시에는 관련내용이 독립창 형태로 출력되게 된다. 사용자정보로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학교명, 학과명, 전자우편,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홈페이지주소, 관심분야, 주요경력 등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Edit Box, Drop-down List Box, Text Area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뉴구조, 배경무늬, 배경색상, 액세서리, 카운트, 버튼모양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출력은 HTML의 레이어와 이미지 태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메뉴구성선택에 의해 메뉴프레임의 구조가 결정되고, 이는 Radio Button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무늬는 클릭시 무늬선택 창이 열리고 5개씩 출력되며 총 100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시 무늬가 배경무늬에 출력되며 버튼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색상은 클릭시 색상 팔레트 상자가 나타나고 사용자가 적절히 Red, Green, Blue 값을 조절할 수 있고 완료시 색상이 배경색상에 출력되며 버튼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카운터는 클릭시 10개의 카운트 이미지가 나타나고 선택시 카운트모양에 출력되며 버튼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버튼은 클릭시 메뉴구조에 따라 각각 5개의 버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클릭시 버튼모양에 출력되며 버튼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찾아보기는 클릭시 파일열기대화상자가 출력되고 원하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FILE 태그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응용분야는 Drop-down List Box로 구현할 수 있고, 이의 선택으로 메뉴구성 마법사와 내용구성 마법사에 의해 용도에 따른 홈페이지 제작이 이루어진다.
양식구성 마법사의 구현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덱스페이지가 제작되도록 하는 양식구성 마법사는 홈페이지의 구축단계에서 초기의 인덱스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 주고, 활용단계에서도 인덱스페이지를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 4도와 5도에서와 같이 우선 구축단계의 초기제작인지 활용단계의 변경제작인지를 확인하고, 초기제작이면 사용자는 초기화된 인덱스페이지 편집창을 만나게 되고, 변경제작이면 이전에 사용자가 선택하였던 내용이 반영된 인덱스페이지 편집창을 만나게 된다. 다음은 윈도우의 이벤트 구동(Event Driven)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미리보기, 수정, 완료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모드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기 선택하였던 내용이 변경제작 시에 기본값으로 편집창에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정보와 인덱스페이지의 내용정보가 파일에 유지되어야 한다. 구현시 성명 || 주민등록번호 || … 형태로 각 항목의 내용을 || 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제 6도와 7도에는 사용자가 미리보기, 수정하기, 혹은 완료하기 버튼 클릭시의 수행절차를 나타내었고, 제 8도에는 편집모드에서의 전체 수행절차를, 제 9도와 10도에는 편집모드에서의 서브모듈의 수행절차를 상세히 나타내었다. 서브모듈 S4와 S5는 서브모듈 S1과 S3의 다음과 이전 버튼의 기능을 제외하면 동일하며, S4는 인터페이스만 약간 차이난다. 서브모듈 S2에서는 원하는 색상을 직접 색상조합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서브모듈 S6은 업로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서버에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한 뒤 다시 그 이미지를 일정한 파일이름으로 불러와 미리보기를 행한다.
제 11도에는 메뉴구성 마법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사용자가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홈페이지의 응용분야를 결정하면, 메뉴구성 마법사는 해당 응용분야의 초기메뉴(혹은 주메뉴)를 기 정의해 둔 분야별 초기메뉴 데이타베이스로부터 결정하게 된다. 구현의 편의를 위해 주메뉴의 추가·삭제는 못하도록 하더라도 주메뉴 내에 사용자메뉴를 두고, 사용자메뉴 내의 부메뉴는 임의로 추가·삭제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메뉴에는 변경될 수 있는 주메뉴 리스트가 나오도록 하고, Drop-down List Box로 구현할 수 있다. 부메뉴는 주메뉴에 부속된 메뉴로서 추가·삭제가 가능하고 List Box로 구현할 수 있다. 메뉴이름은 부메뉴의 이름이고, 링크문서는 부메뉴 선택시에 연결될 문서이름으로 각각 Edit Box로 구현할 수 있다. 추가/수정/삭제/완료는 부메뉴의 추가/수정/삭제/완료 시에 이용되고 Button으로 구현할 수 있다.
메뉴구성 마법사의 구현방법은 다음과 같다. 홈페이지 응용분야에 따른 초기메뉴의 구성과 메뉴체계의 변경을 관장하는 메뉴구성 마법사는 제 12도와 13도에서와 같이 우선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해당 메뉴정보 파일을 읽어 주메뉴와 부메뉴의 구성을 파악한다. 다음은 윈도우의 이벤트 구동(Event Driven)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버튼 클릭에 따라 메뉴의 조회, 선택, 추가, 삭제, 수정, 완료를 위한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제 14도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뉴체계를 변경하기 위한 세부 수행절차를 나타내었다. 메뉴체계의 변경은 제 15도에서와 같이 menutemp.htm 파일에서 서브메뉴가 출력되는 <DIV> 태그 사이에 식별이 가능한 주석태그를 표시하고, 후에 이 부분이 치환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되어질 수 있다. 즉, 주메뉴 각각에 대한 서브메뉴의 구조가 주석부분에 치환되도록 함으로써 메뉴체계에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장치 내에는 메뉴에 대한 템플릿이 미리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이 템플릿 파일을 변경함으로써 실제 메뉴페이지가 완성되는 것이다. 초기 입력양식과 출력양식의 내용구성을 관장하는 내용구성 마법사의 구현방법은 다음과 같다.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홈페이지의 응용분야가 결정되면, 메뉴구성 마법사는 해당 응용분야의 초기메뉴를 결정하고, 내용구성 마법사는 각 메뉴버튼에 연결될 기본 입력양식을 마련하는 일과 입력자료의 유무에 따라 출력양식을 재구성하는 일을 수행한다.
내용구성 마법사의 전체 수행절차는 제 16도 ∼ 18도에 나타내었고, 이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지원용 홈페이지에 있어서 교수의 연구실적을 소개하기 위한 페이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내용구성 마법사는 제 19도와 같은 연구실적 소개를 위한 초기 입력양식을 주메뉴의 연구실적버튼에 연결시키고, 이를 클릭시 교수가 자신의 연구실적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양식이 불려진다. 연구실적 입력양식은 논문, 저서, 특허, 연구과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항목은 자료입력을 위한 요소들을 가진다. 입력양식을 구성하는 항목을 그 특성에 따라 항목별 요소의 개수가 변하지 않는 정적항목과 요소의 추가·삭제로 요소의 개수가 변할 수 있는 동적항목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교수의 이름과 소속은 정적항목에 속하고, 연구실적이나 경력은 동적항목에 속한다. 사용자가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기 위해 추가버튼을 누르면 CGI 프로그램이 동작하게 되고, 기 입력하였던 내용은 CGI 프로그램의 입력 파라메타로 전달되어 restemp.dat라는 임시파일에 저장되고, 입력양식에는 해당 항목에 하나의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어 나타나게 된다. 이때 restemp.dat를 읽어 기 입력하였던 내용은 입력양식에 반영되어 나타나도록 한다. 사용자가 모든 내용을 입력한 후에 완료버튼을 누르면 역시 CGI 프로그램이 동작하여 이때까지 입력하였던 모든 내용이 restemp.dat 파일에 저장하고 이를 research.dat 파일에 복사한 후, 최종 결과가 출력양식에 나타나도록 한다. 이때 CGI 프로그램은 각 항목별로 입력자료의 유무를 확인하여 입력자료가 없으면 출력양식에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최종 결과는 research.dat 파일에 저장되나, 내용의 입력 시 restemp.dat 임시파일에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중도에 취소버튼을 누르는 경우 이전 자료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윈도우에 기초한 메뉴선택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응용분야에 따른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자신의 취향에 따라 제작할 수 있고, 제작된 홈페이지의 운용과정에서 요구되는 홈페이지의 수정은 웹 페이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응용분야에 따라 초기 메뉴와 입력양식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되어 응용분야에 따른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제작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는 사용자가 홈페이지의 프레임 구조, 바탕화면, 그림, 동화상, 카운트와 메뉴버튼의 모양, 배경음악 등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인덱스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식구성 마법사와; 기 정의되어 있는 메뉴 체계가 변경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메뉴의 추가나 불필요한 메뉴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메뉴구성 마법사와;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손쉽게 홈페이지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구성 마법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윈도우에 기초한 메뉴선택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된 홈페이지의 운용과정에서 요구되는 홈페이지의 수정은 웹 페이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구성 마법사는 홈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홈페이지의 프레임 구조, 바탕화면, 그림, 동화상, 카운트와 메뉴버튼의 모양, 배경음악 등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고,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와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인덱스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덱스페이지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구성 마법사는 홈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입력받은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미리 정의해 둔 응용분야 별 메뉴 중에서 선택하여 초기메뉴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며,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 기 정의되어 있는 메뉴 체계가 변경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메뉴의 추가나 불필요한 메뉴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구성 마법사는 홈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입력받은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미리 정의해 둔 응용분야 별 입력양식을 메뉴구성 마법사가 선택한 메뉴버튼에 연결시켜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 입력양식을 마련하는 것이 특징이며,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 기본 입력양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료를 입력받는데 입력 자료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출력양식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손쉽게 홈페이지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는 양식구성 마법사, 메뉴구성 마법사, 내용구성 마법사를 필수 구성요소로 가지지만,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제작 마법사와 완성된 홈페이지를 임의의 워크스테이션에 자동으로 설치해 주는 설치지원 마법사가 부가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제작 마법사가 교육분야 지원을 위한 것이라면 학기별로 복수의 과목을 개설 가능하도록 하고, 교육의 구성요소가 되는 교과목, 담당교수, 강의실, 수강학생을 개설 과목별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강의개설 마법사와; 과목별로 강의계획, 강의록, 강의자료, 자료실, 게시판, 토론실, 성적관리, 강의평가, 강의자료 백업 등과 같은 강의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반강의 운용 마법사와; 일반강의 형태의 강의운용과 더불어 가상의 강의실에서 다수를 대상으로 한 강의의 특성을 가만한 출석관리, 성적관리, 레포트관리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상강의 운용 마법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교육지원을 위한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지원 마법사는 사용자가 제작 완료된 홈페이지를 설치할 서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설치명령을 내리면 지정한 서버에 홈페이지를 자동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방법은 사용자가 홈페이지의 프레임 구조, 바탕화면, 그림, 동화상, 카운트와 메뉴버튼의 모양, 배경음악 등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그에 따른 인덱스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양식구성 단계와; 기 정의되어 있는 메뉴 체계가 변경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메뉴의 추가나 불필요한 메뉴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메뉴구성 단계와;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손쉽게 홈페이지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내용구성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웹 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나 비전공자라 할지라도 윈도우에 기초한 메뉴선택과 최소한의 필요정보 입력만으로 자신의 취향에 따른 특수 목적의 홈페이지 제작이 가능하고, 제작된 홈페이지의 운용과정에서 요구되는 홈페이지의 수정은 웹 페이지 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의 양식구성 단계에 있어서, 홈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홈페이지의 프레임 구조, 바탕화면, 그림, 동화상, 카운트와 메뉴버튼의 모양, 배경음악 등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고,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와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인덱스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인덱스페이지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의 메뉴구성 단계에 있어서, 홈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입력받은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미리 정의해 둔 응용분야 별 메뉴 중에서 선택하여 초기메뉴를 구성하는 것과;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 기 정의되어 있는 메뉴 체계가 변경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메뉴의 추가나 불필요한 메뉴의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의 내용구성 단계에 있어서, 홈페이지의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식구성 마법사에서 입력받은 홈페이지의 응용분야에 따라 미리 정의해 둔 응용분야 별 입력양식을 메뉴구성 마법사가 선택한 메뉴버튼에 연결시켜 홈페이지 제작을 위한 기본 입력양식을 마련하는 것과; 홈페이지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과정에서 기본 입력양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자료를 입력받는데 입력 자료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출력양식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직접 홈페이지 소스를 수정하지 않고도 손쉽게 홈페이지에 내용을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00002013A 2000-01-17 2000-01-17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000018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13A KR20000018175A (ko) 2000-01-17 2000-01-17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13A KR20000018175A (ko) 2000-01-17 2000-01-17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75A true KR20000018175A (ko) 2000-04-06

Family

ID=1963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13A KR20000018175A (ko) 2000-01-17 2000-01-17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17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220A (ko) * 2000-05-24 2000-08-05 이한수 홈페이지 운영 시스템
KR20010008161A (ko) * 2000-11-13 2001-02-05 이성혜 웹디자인 전자상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10106679A (ko) * 2000-05-22 2001-12-07 유권선 기능성 홈페이지 자동 구축 방법
KR20010111359A (ko) * 2000-06-10 2001-12-17 장성도 사이버 공동체 형성 서버 시스템과 가족 홈페이지제작의뢰 온라인 접수 방법 및 그 가족 홈페이지를 통한배너 광고 방법
KR20020001034A (ko) * 2000-06-23 2002-01-09 황상민 분산관리 및 자동생성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온라인교육시스템
KR20020004418A (ko) * 2000-07-05 2002-01-16 조충희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1501A (ko) * 2000-10-20 2002-05-02 김영돈, 정춘보 웹상에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KR20020089067A (ko) * 2001-05-23 2002-11-29 (주)미로직스 웹기반 아이티시스템 구축시 화면설계명세서 및 소스코드자동생성 방법
KR20040015630A (ko) * 2002-08-13 2004-02-19 케이피(주) 홈페이지 제작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969A (ja) * 1997-03-14 1998-09-25 Net Biretsuji Kk ホームページ自動作成システム
JPH10283281A (ja) * 1997-04-09 1998-10-23 Sony Corp ホームページ自動生成及び電子メール送信装置と、ホームページ自動生成及び電子メール送信方法
KR19980080559A (ko) * 1997-03-24 1998-11-25 가시오가즈오 홈페이지작성시스템, 홈페이지작성장치 및 프로그램기록매체와홈페이지표시시스템 및 프로그램기록매체
JPH11134338A (ja) * 1997-10-31 1999-05-21 Oki Electric Ind Co Ltd ホームページ作成装置
KR19990083933A (ko) * 1999-09-01 1999-12-06 윤정필 웹키오스크를 이용한 홈페이지 자동 구축시스템 및 그방법
KR19990084036A (ko) * 1999-09-07 1999-12-06 정창욱 월드와이드웹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원격지유닉스 계열 시스템의 조작 방법 및 그 도구, 그리고이들을 이용한 웹페이지 저작, 관리 방법 및 도구
KR20000018116A (ko) * 2000-01-13 2000-04-06 최재원 웹 브라우져 기반의 홈페이지 설치 자동화 장치 및 방법
KR20010011443A (ko) * 1999-07-28 2001-02-15 최재학 홈페이지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969A (ja) * 1997-03-14 1998-09-25 Net Biretsuji Kk ホームページ自動作成システム
KR19980080559A (ko) * 1997-03-24 1998-11-25 가시오가즈오 홈페이지작성시스템, 홈페이지작성장치 및 프로그램기록매체와홈페이지표시시스템 및 프로그램기록매체
JPH10283281A (ja) * 1997-04-09 1998-10-23 Sony Corp ホームページ自動生成及び電子メール送信装置と、ホームページ自動生成及び電子メール送信方法
JPH11134338A (ja) * 1997-10-31 1999-05-21 Oki Electric Ind Co Ltd ホームページ作成装置
KR20010011443A (ko) * 1999-07-28 2001-02-15 최재학 홈페이지 제작 방법
KR19990083933A (ko) * 1999-09-01 1999-12-06 윤정필 웹키오스크를 이용한 홈페이지 자동 구축시스템 및 그방법
KR19990084036A (ko) * 1999-09-07 1999-12-06 정창욱 월드와이드웹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원격지유닉스 계열 시스템의 조작 방법 및 그 도구, 그리고이들을 이용한 웹페이지 저작, 관리 방법 및 도구
KR20000018116A (ko) * 2000-01-13 2000-04-06 최재원 웹 브라우져 기반의 홈페이지 설치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679A (ko) * 2000-05-22 2001-12-07 유권선 기능성 홈페이지 자동 구축 방법
KR20000050220A (ko) * 2000-05-24 2000-08-05 이한수 홈페이지 운영 시스템
KR20010111359A (ko) * 2000-06-10 2001-12-17 장성도 사이버 공동체 형성 서버 시스템과 가족 홈페이지제작의뢰 온라인 접수 방법 및 그 가족 홈페이지를 통한배너 광고 방법
KR20020001034A (ko) * 2000-06-23 2002-01-09 황상민 분산관리 및 자동생성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온라인교육시스템
KR20020004418A (ko) * 2000-07-05 2002-01-16 조충희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31501A (ko) * 2000-10-20 2002-05-02 김영돈, 정춘보 웹상에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KR20010008161A (ko) * 2000-11-13 2001-02-05 이성혜 웹디자인 전자상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89067A (ko) * 2001-05-23 2002-11-29 (주)미로직스 웹기반 아이티시스템 구축시 화면설계명세서 및 소스코드자동생성 방법
KR20040015630A (ko) * 2002-08-13 2004-02-19 케이피(주) 홈페이지 제작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2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theme and associating it with a collaboration space user interface
US7594181B2 (en) Prototyp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69967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place type to be used as a template for other places
US71679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updateable web sites and web pages
US63081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web site with automated workflow
US61855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web site with automated help
US62196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a web site for use in E-commerce with user specific pricing
US7877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d using documents in a distributed computing network
US69736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orting MS office forms
KR102170306B1 (ko) 레이아웃 템플릿 기반 통합 사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95443A1 (en) Idea page system and method
Rees A feasible user story tool for agile software development?
KR20000018175A (ko) 고객 중심의 주문형 홈페이지 자동화 장치 및 방법
WO2002039232A2 (en) Method of using web-enabling technology in support of workflow policies and processes
KR100457428B1 (ko) 웹사이트 구축 및 관리 방법
JPH10214022A (ja) グループ学習教材編成方法及びシステム
EP1158444A1 (en) A customisable data driven computer application
Stephanidis et al. Engineering universal access: unified user interfaces
Hodel Presentation Layer
Coppola et al. Understanding the Open Source Portfolio, Version 2.1, 2.2
Stahl Personalizing the web
Tomlinson et al. Content Types
JP2004302760A (ja) ホームページの作成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ホームページの作成を支援す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Isakowitz Distributed Design of Hypermedia Applications
Vennix An Introduction to Website Development for Course Webpages at Michigan State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