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723U - 손톱깍기 - Google Patents

손톱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723U
KR20000017723U KR2019990003300U KR19990003300U KR20000017723U KR 20000017723 U KR20000017723 U KR 20000017723U KR 2019990003300 U KR2019990003300 U KR 2019990003300U KR 19990003300 U KR19990003300 U KR 19990003300U KR 20000017723 U KR20000017723 U KR 200000177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nail clipper
side plates
protrusion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원
Original Assignee
이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원 filed Critical 이영원
Priority to KR2019990003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723U/ko
Publication of KR20000017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23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손톱깍기에 개량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측날보다 상측 날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상하측판에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작동판에 의해서 상측판이 하강할때 상하측판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측판이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손톱을 약간 경사지게 깍도록 함으로서 손톱을 깍고 난 다음 마감줄질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하측판(1,2) 전방에 절단날(1a,2a)을 구비하고 상하측판에 구멍(1c,2c)을 뚫어 핀(3)을 끼우고 상측판외부로 돌출되는 핀(3)에 작동판(4)을 부가하되 작동판(4)이 회동되고 세워지도록 하는 통상의 손톱깍기(A)에 있어서,
하측 절단날(2a)보다 상측 절단날(1a)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핀(3) 후방의 하측판(2)에는 대략 삼각모양의 돌출부(2b)를 돌출시키고 돌출부(2b) 상부의 상측판(1)에는 두개의 돌출부(1b)를 반원형으로 형성하되 전광후협되게 배열하고 상하측판(1,2)의 후단 연결부는 탄력성이 우수한 밴딩쿠션(5)을 마련하는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손톱깍기{A nail clipper}
손톱깍기에 개량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측날보다 상측 날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상하측판에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작동판에 의해서 상측판이 하강할때 상하측판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측판이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손톱을 약간 경사지게 깍도록 함으로서 손톱을 깍고 난 다음 마감줄질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을 깍고 난 다음에 거칠어진 손톱끈단을 마감줄로 갈아서 부더럽게 하여 왔으며 이같은 종래의 손톱깍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측판11,12 전방의 수직선상에 절단날11a,12a을 구비하고 상하측판11,12에 구멍을 뚫어 핀13을 끼우고 상측판외부로 돌출되는 핀13에 작동판14을 부가하되 작동판14이 회동되고 세워지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작동판14을 세워서 눌리게 되면 상측판11이 하강하여 손톱을 깍는 것으로 절단되고 난 후의 절단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손톱을 깍고나면 특히 손톱상측 끝이 거칠어지게 되어 부가적으로 손질을 하여야 된다.
상기와 같은 손톱깍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손톱을 깍고난 다음에는 손톱깍기에 부수적으로 달리거나 별도의 마감줄을 사용하여 거칠어진 손톱끝을 갈아서 부드럽게 하여야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손톱을 절단할때 절단된 손톱은 대부분이 손톱깍기 외부로 튕기어 나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외부에 별도의 커버를 부착하여 불평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번거러움을 해소코자 안출한 고안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키 위해서 본 고안자는 손톱깍기의 절단날의 작동각을 적당히 두어 손톱을 약간 경사지게 깍도록 하여 손톱을 깍고난 다음 마감줄질을 하지 않토록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하측날보다 상측날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상하측판에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작동판이 하강할때 상측판이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손톱이 깍기도록 하는 것에 기술적 과제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D- D'선 단면도
도 3은 도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손톱깍기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손톱깍기 1 : 상측판
1a,2a : 절단날 1b,2b : 돌출부
1c,2c : 구멍 2 : 하측판
3 : 핀 3a : 돌출부
4 : 작동판 5 : 밴딩쿠션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2의 평면도이다.
상하측판1,2 전방에 절단날1a,2a을 구비하고 상하측판에 구멍1c,2c을 뚫어 핀3을 끼우고 상측판외부로 돌출되는 핀3에 작동판4을 부가하되 작동판4이 회동되고 세워지도록 하는 통상의 손톱깍기A에 있어서,
하측 절단날2a보다 상측 절단날1a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핀3 후방의 하측판2에는 대략 삼각모양의 돌출부2b를 돌출시키고 돌출부2b 상부의 상측판1에는 두개의 돌출부1b를 반원형으로 형성하되 전광후협되게 배열하고 상하측판1,2의 후단 연결부는 탄력성이 우수한 밴딩쿠션5을 마련한 구성이다.
상기의 상하측판1,2의 돌출부1b,2b는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측판1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후단의 밴딩쿠션5은 상측판1의 이동과 복원이 자유롭게 한다.
상기의 상측판1의 핀구멍1c은 상측판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장홈으로형성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하측판1,2에 끼워지는 핀3의 일측에 돌출부3a를 형성하여 상측판1이 하강할 때 핀3의 돌출부3a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 것으로서 하측판에 구멍2c을 장홈으로 형성하여 핀3의 돌출부3a가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이 같은 본 고안의 사용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손톱깍기A와 같이 핀3에 부가된 작동판4을 세워서 회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한 다음 작동판4을 눌리면 핀3을 기점으로 작동판4이 지렛대역활을 하며 상측판1을 가압하여 손톱B을 깍게 된다.
상기에서 상측판1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작동판4의 누럴때 상측판1의 돌출부1b는 하측판2의 돌출부2b에 얹혀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측 절단날1a을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측 절단날1a과 하측 절단날2a은 도 1에의 C - C'와 같이 손톱B 상단에서 하단으로 조금기울어진 각도를 유지하며 상측절단날1a이 하강하여 손톱B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손톱은 상측판의 절단날이 경사지게 완만한 속도로 하강하여 손톱이 절단됨으로 절단된 손톱이 손톱깍기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상측판1의 돌출부1b는 반원형으로 되고 전광후협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손톱깍기A를 사용시에 상측판1의 안내역활을 수행하게되고 상측판1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되며 후단에 탄력성이 우수한 밴드쿠션5을 부가함으로서 상측판1의 이동이 자유롭게하였으며, 또한 상측판1의 복원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구성하여도 핀3의 돌출부3a에 의해서 작동판1이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에서와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손톱깍기A를 개량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하측 절단날보다 상측 절단날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상하측판에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작동판에 의해서 상측판이 하강할때 상하측판의 돌출부에 의해서 상측판이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손톱을 약간 경사지게 깍도록 함으로서, 손톱을 깍고 난 다음 마감줄질을 하지 않아도 되고 절단된 손톱등이 튕기지 않게 되어 별도로 방지커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밴드쿠션을 이용하여 외관미를 부과할 수도 있는 등 실용성이 우수한 손톱깍기가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상하측판1,2 전방에 절단날1a,2a을 구비하고 상하측판에 구멍1c,2c을 뚫어 핀3을 끼우고 상측판외부로 돌출되는 핀3에 작동판4을 부가하되 작동판4이 회동되고 세워지도록 하는 통상의 손톱깍기A에 있어서,
    하측 절단날2a보다 상측 절단날1a이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게하고 핀3 후방의 하측판2에는 대략 삼각모양의 돌출부2b를 돌출시키고 돌출부2b 상부의 상측판1에는 두개의 돌출부1b를 반원형으로 형성하되 전광후협되게 배열하고 상하측판1,2의 후단 연결부는 탄력성이 우수한 밴딩쿠션5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손톱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측판1,2에 끼워지는 핀3의 일측에 돌출부3a를 형성하여 상측판1이 하강할 때 핀3의 돌출부3a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깍기.
KR2019990003300U 1999-03-03 1999-03-03 손톱깍기 KR200000177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00U KR20000017723U (ko) 1999-03-03 1999-03-03 손톱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300U KR20000017723U (ko) 1999-03-03 1999-03-03 손톱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23U true KR20000017723U (ko) 2000-10-05

Family

ID=5475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300U KR20000017723U (ko) 1999-03-03 1999-03-03 손톱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72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5247B2 (ja) 2方向から押圧可能なスライダーを有するカッター及びカッター用スライダー
CA2395174A1 (en) Film cutter assembly
CN201728661U (zh) 具按压操控机构的美工刀
US5490327A (en) Retainer for a nail clipper
US5964034A (en) Electric shaver having floating trimmer blades, a main blade, and hair raising portions
JPH02161975A (ja) 散髪方法
USD464552S1 (en) Cutter with retractable and snappable blade
JP2023515647A (ja) 爪切り
KR20000017723U (ko) 손톱깍기
JPH0755268B2 (ja) 安全かみそり刃組立体
WO2018191544A1 (en) Nail clipper
CN211137236U (zh) 多功能刀
KR200369894Y1 (ko) 회전식 손톱깎기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JPS58177229A (ja) たこ鑢
KR200373054Y1 (ko) 손톱깎이
CN209951365U (zh) 一种防刀片脱落的脚刨刀
US20020134395A1 (en) Nail clipper with viewing window
CN215825457U (zh) 刀头组件及应用有该刀头组件的裁纸刀
JPH058907Y2 (ko)
KR100475464B1 (ko) 손톱깎기
JPS594562Y2 (ja) 爪切
KR200312902Y1 (ko) 손톱깎기
KR200367485Y1 (ko) 돋보기가 구비된 손톱깍기
KR200369893Y1 (ko) 축이 없는 손톱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