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763U - 유동액 용기 - Google Patents

유동액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763U
KR20000016763U KR2019990001840U KR19990001840U KR20000016763U KR 20000016763 U KR20000016763 U KR 20000016763U KR 2019990001840 U KR2019990001840 U KR 2019990001840U KR 19990001840 U KR19990001840 U KR 19990001840U KR 20000016763 U KR20000016763 U KR 200000167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uid
cap
container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2309Y1 (ko
Inventor
문광영
Original Assignee
김건웅
신신화학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건웅, 신신화학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건웅
Priority to KR2019990001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0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동성 재료를 수용하는 유동액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밸브체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동액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 유동액 용기는, 외력에 대해 탄력을 갖으면서 유동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와, 이 용기 본체(1)의 용액주입구(11)를 밀봉하면서 배출구(31)가 마련된 캡(3)을 포함하는 유동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단이 캡(3) 하부에 체결되고 일측면이 용기 본체(1)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탄력성과 복원성으로 인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재(20)와, 이 신축부재(20)의 신축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상기캡(3)에 형성된 배출구(31)를 개폐하도록 상기 신축부재(20)에 수직하게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에 밸브헤드(27)를 갖는 밸브축(26)으로 구성된 밸브체(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상기 캡(3)의 상단면 가장자리에는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을 때 유동액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유동액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33)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동액 용기{LIQUID VESSEL}
본 고안은 액체세제, 액체화장품, 샴푸나 액체조미료 등 유동성 재료를 수용하는 유동액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이나 합성수지재 용기내의 유동액(또는 내용액)을 배출하는데 용기 입구를 덮고 있는 캡(혹은 뚜껑)을 완전히 용기로부터 분리하여 유동액을 배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이는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캡을 벗겨 낸 다음 유동액을 일정량 배출한 다음 다시 캡을 덮어씌워야 하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으로 캡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캡을 덮어씌운 채로 사용할 수 있는 용기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캡 상부의 대략 중앙위치에 유동액의 배출구가 뚫리고, 캡 상부의 원주부분 적당한 곳에 힌지에 의해 열고 닫히는 마개를 연결함으로써, 유동액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마개를 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닫아 두게 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것은 마개를 열고 닫는 불편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개의 힌지부가 반복 사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다.
다른 제안으로는 캡 상부의 중앙부에 축수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유동액 배출구가 일직선으로 길게 뚫려 있는 주출관을 끼워서 상기 주출관의 회전에 의해 캡이 개폐 전환되게 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주출관의 회전조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캡의 구조는 구성이 복잡하여 고도의 제조 정밀도를 보장하지 않으면 내용물이 누설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내용액이 누설되지 않고 사용이 지극히 편리한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가 국내 특허공고 제92-1805호(공고일자 1992. 3. 3)로기 제안된 바 있는 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기 제안된 국내 특허를 개선함과 더불어 유동액 용기를 사용함에 있어 보다 편리함을 갖도록 고안된 것이다.
종래 제안된 유동액 용기의 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동액 용기는 탄성적인 가요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되고 내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토퍼(101)가 형성된 용기 본체(100)와, 이 용기 본체(100) 내에 수용되면서 상단에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11)가 형성된 밸브축(210)으로 이루어지고 이 밸브축(210)의 외주면 소정부위에 상기 스토퍼(101)와 계지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철부재(220)를 보유하며 하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탄성부재(230)를 갖춘 밸브체(200)와, 이 밸브체(200)의 밸브헤드(211)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310)를 보유하고 밸브시트(311)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용액주입구(102)를 밀봉하는 캡(3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용기 본체(100)는 그 몸체가 타원형이나 원통형 등 임의의 소망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가요성, 탄력성, 또는 보형성(保形性)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101)는 용기 본체(10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100)에서 스토퍼(101)가 형성되는 위치는 사용자의 손에 습관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2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단에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11)가 형성된 밸브축(210)과, 이 밸브축(210) 하부에서 밸브축(210)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항상 수직자세로 세워짐과 동시에 상방으로의 탄성력을 받을수 있도록 구비된 탄성부재(230)와, 상기 밸브축(210)의 주위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쪽으로 벌어지려는 탄성력이 비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된 접철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200)의 밸브축(210)으로부터 연장된 2개 이상의 접철부재(220)는 상기 2개 이상의 스토퍼(101)에 각각 계지된다.
이때, 상기 밸브체(200)의 각 부분들은 폴리에치렌과 같이 일반적으로 가요성, 탄력성, 복원성이 양호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동일 재질 혹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진다.
또한 이들 각 부분은 상호 일체로 혹은 따로 만들어서 적당히 조립하여 밸브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캡(300)에 의해 밀봉되는 용기 본체(100)는 용액주입구(102)의 주변에 숫나사 혹은 걸림턱 형태로 형성된 스커트부(103)를 보유하고 있다.
이때, 상기 캡(300)은 상기 스커트부(103)에 대응하는 원주벽을 통해 나사결합방식 또는 강제 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용액주입구(102)를 밀봉시키게 된다.
이렇게 용기 본체(102)를 밀봉하는 캡(300)은 그 중앙부에 배출구(310)를 보유하는 한편, 이 배출구(310)로부터 내측으로 밸브시트(311)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동액 용기의 작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 본체(100)내에 유동액을 넣었을 때, 상기 밸브체(200)를 이루는 밸브축(210)의 밸브헤드(211)가 상기 캡(300)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310)를 항상 폐쇄시켜서 내용물의 누설 또는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부를 손으로 눌러 압착하였을 때, 상기 밸브체(200)가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하향 이동되면서 캡(300)의 배출구(310)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용기 본체(100)의 촉수영역을 통해 외부에서 압착력을 가하게 되면,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밸브축(210)의 일측에 부착된 접철부재(220)가 접혀지게 되면서 상기 밸브체(200)의 밸브축(210)을 하향 연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축(210)의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11)가 캡(300)의 배출구(310)에서 이탈하게 되면서 상기 배출구(310)가 개방되어 내용액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00)를 외부에서 가압하는 압착력을 소멸시키면, 상기 용기 본체(100)가 자체 탄성 복원력으로 형상 복원됨과 동시에 그 내부의 밸브체(200)도 탄성부재(230)와 접철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연동되어 밸브축(210)의 절추형 또는 원통형의 밸브헤드(211)가 캡(300)의 배출구(310)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용기 본체(100)를 손으로 눌러 압착하면, 상기 캡(300)의 배출구(310)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용이하게 유동액이 배출되고, 다시 용기 본체(100)에 가한 압착력을 거두면, 상기 캡(300)의 배출구(310)가 자동으로 폐쇄되어 즉시로 보관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캡(300)을 열거나 캡(300)의 주출관을 조작하거나 캡(3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벗겨 내는 번거로운 운동을 하지 않고 손쉽게 유동액을 배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한 유동액 용기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유동액이 누설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 방법에 있어서도 지극히 편리한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상기 유동액 용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수평 돌출되어 있는 스토퍼(101)에 상기 밸브체(200)의 밸브축(210)으로부터 연장된 접철부재(220)를 각각 계지시켜야 하는 바, 상기 접철부재(220)를 정확하게 스토퍼(210)에 계지시키는 작업이 정밀성을 필요로 하게 되어 유동액 용기를 조립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유동액 용기의 들어 있는 내용액이 얼마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들은 상태에서 손으로 용기 본체(100)를 압착하여 내용액이 중력에 의해 자연히 캡(300)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한 다음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유동액이 흘러내리는 시간이 길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하면 되지만 종래의 유동액 용기에는 캡(300) 상면의 배출구(310)가 약간 돌출되어있어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은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밸브체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얼마 남지 않은 내용액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액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동액 용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유동액 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밸브체를 도시한 절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체의 밸브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용기 본체에 형성되는 가압영역을 도시한 용기 본체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용기 본체 2 ; 밸브체
3 ; 캡 11 ; 용액주입구
12 ; 스커트부 13 ; 촉수판
20 ; 신축부재 21 ; 탄성부
22 ; 체결부 23 ; 플랜지
24 ; 배출공 25 ; 안내공
26 ; 밸브축 27 ; 밸브헤드
28 ; 끼움턱 29 ; 끼움공
31 ; 배출구 32 ; 끼움고정부
33 ; 지지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동액 용기는 외력에 대해 탄력을 갖으면서 유동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용액주입구를 밀봉하면서 배출구가 마련된 캡을 포함하는 유동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단이 캡 하부에 체결되고 일측면이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탄력성과 복원성으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재와,이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상기 캡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신축부재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에 밸브헤드를 갖는 밸브축으로 구성된 밸브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유동액을 넣었을 때, 상기 밸브축의 밸브헤드가 캡상면의 배출구를 항상 폐쇄시켜서 내용물의 누설 또는 외부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게 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를 손으로 눌러 압착하였을 때, 상기 밸브체의 탄성부재가 탄성 압착되면서 상기 밸브체의 밸브축이 용기 본체의 내부에서 하향 이동되어 캡의 배출구를 개방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을 때, 유동액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캡의 상단면 가장자리에 유동액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 명칭을 붙이지만 도면부호를 달리하여 구별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동액 용기는 탄성적인 가요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되어 외력에 대해 탄력을 갖으면서 유동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를 밀봉하면서 상면 중앙에 배출구(31)가 마련된 캡(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1)는 그 몸체가 타원형이나 원통형 등 임의의 소망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가요성, 탄력성, 또는 보형성(保形性)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되어있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캡(3)에 의해 밀봉되는 용기 본체(1)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액주입구(11)의 주변에 숫나사(12b) 혹은 걸림턱(12a) 형태로 형성된 스커트부(12)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캡(3)에는 상기 스커트부(12)에 대응하는 부위에 끼움고정부(32)가 구비되어 있어 이 끼움고정부(32)를 통해 나사 결합방식 또는 강제 끼워 맞춤방식으로 상기 용기 본체(1)에 결합하여 용기 본체(1)의 용액주입구(11) 밀봉시키게 되는바, 상기 끼움고정부(32)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 본체(1)의 스커트부(12)에 형성된걸림턱(12a)과 대응하여 체결되는 걸림턱(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1)와 캡(3)에 각각 걸림턱(12a,32a)을 형성하는 것은 캡(3)을 용기 본체(1)에 조립한 후에 분리가 잘 안되게 꽉 끼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용기 본체(1)를 밀봉하는 캡(3)은 그 중앙부에 약간 돌출된 배출구(31)를 보유하는 한편, 내측 저면에 후술하는 신축부재(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상기한 끼움고정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1)로는 후술하는 밸브축(26)의 밸브헤드(27)가 끼워져 이를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는 밸브체(2)의 구성에 특징을 둔 것으로, 상기 밸브체(2)가 상기 용기 본체(1)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탄력성과 복원성을 갖도록 상단이 체결부(22)에 의해 캡(3) 하부에 체결되어 외력을 받아 신축하는 신축부재(20)와, 이 신축부재(20)의 신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동하면서 상기 캡(3)에 형성된 배출구(31)를 개폐하도록 상기 신축부재(20)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에 밸브헤드(27)를 갖는 밸브축(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밸브체(2)의 각 부분들은 폴리에틸렌과 같이 일반적으로 가요성, 탄력성, 복원성이 양호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동일 재질 혹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만들어져도 무난하다.
그리고, 상기 밸브체(2)를 이루는 각 부분은 상호 일체로 혹은 따로 만들어서 적당히 조립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신축부재(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캡(3)의 하부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에 플랜지(23)가 형성된 컵 모양의 체결부(22)와, 이 체결부(22)의 밑면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방향으로 뻗어 나오면서 폭이 넓어지는 대략 U자 형상의 탄성부(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컵 모양의 체결부(22) 밑면판에는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유동액이 상기 캡(3)의 배출구(31)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출공(24)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22)의 밑면판 중앙에는 밸브측(26)이 끼워져 지지되고 안내되는 안내공(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출공(24)은 유동액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공 주위에 최대한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21)는 체결부(22)의 밑면판 하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U자 형태를 취함은 물론 상기 용기 본체(1)의 내주면에 일측부가 접촉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갖고 신축하도록 유동액 용기 저면에서 일정높이로 떨어져 있고, 탄성부(21)의 최하측 선단면 중앙에는 상기 밸브축(26)의 일측단을 끼워 고정할 수 있는 끼움공(29)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21)와 용기 본체(1)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부위는 사용자가 용기를 손으로 잡기 쉬운 부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잡기 쉬운 위치란 용기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보통 사용되고 있는 샴푸용기를 예로 들면, 용기 본체(1)를 3등분하였을 때 대략 중간 위치가 될 것이다.
상기 밸브체(2)의 밸브축(26)은 길다란 막대 모양의 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출구(31)를 개폐하는 일측단에는 밸브헤드(27)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선단에 끼움턱(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끼움턱(28)은 신축부재(20)의 하측 선단면에 구비된 끼움공(29)에 끼워져 밸브축(26)이 용기 본체(1)의 내부에서 항상 수직자세로 세워짐과 동시에 신축부재(20)의 탄성 및 복원에 따라 탄성 복원력을 받으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축(26)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각형 등 어떤 형상이라도 무방하고, 내부가 빈 중공축으로 해도 별 문제는 없다.
상기 밸브축(26)의 밸브헤드(27)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요컨대 상기 용기 본체(1)의 용액주입구(11)에 캡(3)이 씌워져서 밀봉된 후에 상기 캡(3)의 배출구(31)를 긴밀하게 폐쇄할 수 있고, 반대로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유동액의 배출이 용이하게 되는 형태라면 족하다.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형상으로는 개방시에 그 개방면적이 넓고 또 폐쇄과정에서 캡(3)의 배출구(31)에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폐쇄된 후에는 배출구(31)와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는 절추형 밸브헤드(27)가 좋다.
상기 밸브헤드(27)의 재질은 캡(3)의 배출구(31)와 잘 밀착되고, 또 내용물이 그 표면을 타고 양호하게 유동되는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밸브헤드(27)는 밸브축(26)에 종속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요구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밸브헤드(27)에 패킹재를 끼워 붙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축부재(20)와 밸브축(26)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계지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1)의 대략 중간부를 손으로 잡고 외측방에서 화살표 방향에 따라 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용기 본체(1)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는 신축부재(20)의 탄성부(21)가 안쪽으로 압력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서 상기 신축부재(20)에 끼워진 밸브축(26)을 하측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를 밀봉하는 캡(3)의 상단 외주면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지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33)의 돌출높이는 캡(3)의 상단면에서 약간 돌출된 배출구(31)의 돌출높이와 같거나 더 길게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도 9는 본 고안에 관련된 용기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가압영역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본체의 사시도를 보여 주고 있다.
즉, 상기 용기 본체(1)의 외표면에는 점선 혹은 외표면에서 약간 돌출 형성되는 촉수판(13)을 부가하여 가압영역을 표시해 둔 것으로, 이렇게 상기 용기 본체(1)의 내주면과 신축부재(20)가 접촉하는 용기 본체(1)의 외표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을 표시해 두면, 사용자가 용기 본체(1)를 압착할 때 보다 정확한 부위를 압착할 수 있어 내용액의 배출을 한층 정확하고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점선 또는 촉수판(13)으로 한정되는 가압영역은 외주면에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 등이 닿는 부위로 국한하여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촉수판(13)이 상기 용기 본체(1)의 내측면에 대향 형성된 신축부재(20)와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제10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용기 본체(1)의 외표면을 압착할 때 양 신축부재(20)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좁혀지게 하고, 그 결과로 밸브체(2)의 보다 현저한 작동을 가능케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촉수판(13)은 해당부위에 미적 감각을 고려하여 도형 등으로 표시할수 있게 하면 보다 바람직한 데, 상기 용기 본체(1)를 사출 성형하면서 미적 감각이 고려된 작은 요철 돌기부나 또는 꽃무늬상의 돌기부로 형성함으로써, 외관미가 향상되면서 손으로 용기 본체(1)를 쥐었을 때 촉감이 부드럽고 안정감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본 고안에 따른 유동액 용기의 조립과정과 사용상태를 도 5 및 도 6과, 도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신축부재(20)의 체결부(22)에 형성된 안내공(25)을 통해 상기 밸브축(26)을 삽입하여 밸브축(26)의 일측단에 형성된 끼움턱(28)을 신축부재(20)의 탄성부(21)에 형성된 끼움공(29)에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밸브체(2)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캡(3)의 끼움고정부(32)에 상기 신축부재(20)의 체결부(22)을 끼워 상기 밸브체(2)를 캡(3)의 하부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끼움고정부(32)에는 상기 체결부(22)의 플랜지(23)가 강제끼워맞춤 방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방식대로 유동액(또는 내용액)을 충전시킨 용기 본체(1)에 상기 밸브체(2)가 하부에 조립된 캡(3)을 결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본체(1)내에 밸브체(2)의 신축부재(20)를 삽입할 때는 신축부재(20)의 탄성부(21)가 용기 본체(1)의 용액주입구(11)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탄성 복원력이 있는 탄성부(21)를 압착하여 상기 용기 본체(1)의 용액주입구(11)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삽입한다.
이때 상기 용기 본체(1)에 밸브체(2)를 삽입하는 과정은 정밀성을 요하지 않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재(20)의 탄성부(21)를 압착하여 상기 용기 본체(1)에 삽입하게 되면, 용기 본체(1)내에 수용된 신축부재(20)의 탄성부(21)가 탄성 복원되어 탄성부(21)의 일측부가 용기 본체(1)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
다만, 상기 밸브체(2)의 삽입방향은 용기 본체(1)가 원통형인 경우에는 어느 위치에서라도 무방하나, 타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신축부재(20)의 탄성부(21)와 용기 본체(1)의 내주면이 접하는 부위가 용기 본체(1)의 단경방향(폭이 좁은 쪽)에 위치하도록 삽입해야 한다.
이렇게 상기 밸브체(2)를 용기 본체(1)에 삽입함과 동시에 캡(3)을 씌우게 되면, 상기 밸브체(2)의 밸브헤드(27)와 캡(3)의 배출구(31)가 긴밀하게 접촉되므로, 용기 본체(1)는 밀폐상태가 되어 유동액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위의 조립과정에서 용기 본체(1)에 유동액을 주입한 상태에서 캡(3)의 하부에 밸브체(2)를 조립한 다음, 밸브체(2)를 용기 본체(1)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캡(3)을 씌워 밀봉하는 조립 순서를 밟아도 되고, 상기 밸브체(2)를 용기 본체(1)에 삽입한 후에 밸브체(2)의 배출공(24)을 통해 유동액을 주입한 다음 캡(3)의 끼움고정부(32)와 밸브체(2)의 체결부(22)를 끼워 맞춰 조립하는 조립순서를 선택해도 좋을 것이다.
이는 유동액을 용기에 투입하는 공정 순서에 따라 조립 공정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동액의 주입이 끝난 후에는 배출구(31)를 스티커로 봉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조립된 용기에서 유동액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의 배출구(31)에서 스티커를 떼어낸 다음, 용기 본체(1)의 외측면에 설정된 가압영역을 손으로 쥐고 압착하게 되면, 상기 신축부재(20)가 내측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신장하게 되어 신축부재(20)에 끼워져 있는 밸브축(26)이 하방으로 연동되고, 그 결과로 캡(3)의 배출구(31)를 폐쇄하고 있는 밸브축(26)의 밸브헤드(27)가 배출구(31)에서 이탈되면서 배출구(31)가 개방되는 것이며, 또한 용기 본체(1)로 가한 압착력을 소멸시키면, 신축부재(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축(26)이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하여 자연스럽게 밸브헤드(27)가 캡(3)의 배출구(31)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동액(혹은 내용액)이 소량으로 남아 있을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용기 본체(1)를 거꾸로 세워 놓은 상태로 용기를 사용하게 되면, 유동액이 배출구(31) 쪽으로 모아지게 되고, 이렇게 모아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용기 본체(1)의 가압영역을 압착하면, 유동액이 손쉽게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이 더 한층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밸브체를 삽입할 때 정밀성을 요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밸브체의 조립이 보다 용이해짐과 동시에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캡의 상단면에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얼마 남지 않은 유동액도 손쉽게 배출할 수 있어 사용성이 더 한층 향상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유동액 용기는 유동성을 갖는 여러 가지 용액을 넣어 사용할 수 있는 바, 샴푸, 액체화장품, 액체세제, 접착풀, 본드, 마요네즈, 액체조미료, 기타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외력에 대해 탄력을 갖으면서 유동액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용액주입구를 밀봉하면서 배출구가 마련된 캡을 포함하는 유동액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단이 캡 하부에 체결되고 일측면이 용기 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외력의 작용에 따라 탄력성과 복원성으로 인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는 신축부재와, 이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상기 캡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신축부재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일측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에 밸브헤드를 갖는 밸브축으로 구성된 밸브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캡의 하부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선단에 플랜지가 형성된 컵 모양의 체결부와, 이 체결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측 방향으로 뻗어 나오면서 폭이 넓어지는 대략 U자 형상의 탄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단면 가장자리에는 유동액 용기를 거꾸로 세워 놓을 때 유동액 용기가 넘어지지 않도록 유동액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밑면판에는 상기 밸브측이 끼워져 지지되고 안내되도록 형성된 안내공과, 이 안내공 주변으로 용기 내부에 들어 있는 유동액이 상기 캡의 배출구 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액용기.
KR2019990001840U 1999-02-06 1999-02-06 유동액 용기 KR200222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840U KR200222309Y1 (ko) 1999-02-06 1999-02-06 유동액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840U KR200222309Y1 (ko) 1999-02-06 1999-02-06 유동액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763U true KR20000016763U (ko) 2000-09-25
KR200222309Y1 KR200222309Y1 (ko) 2001-05-02

Family

ID=5475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840U KR200222309Y1 (ko) 1999-02-06 1999-02-06 유동액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0364B2 (ja) 2019-06-28 2023-07-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表示装置及び陳列棚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229A (ko) * 2002-10-21 2004-04-28 손상운 자동개폐형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0364B2 (ja) 2019-06-28 2023-07-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表示装置及び陳列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09Y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5353A (en) Dispensing cap with gripping means
US5950848A (en) Cap articulated to a connecting element
RU2272763C2 (ru) Доз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дачи продукта с удлиненным кончиком, содержащим открываемый давлением клапан
US6409034B2 (en) Hinged container cap
US7377296B2 (en)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cosmetic or another care product
KR100613174B1 (ko) 튜브 타입 용기
US6116465A (en) Container stopper with shut-off valve
JP3674688B2 (ja) 分配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
JPH072501B2 (ja) 容器の取出口の閉鎖装置および関連の容器
US6199725B1 (en) Automatically closing stopper for dispensing liquids from deformable containers
KR920001805B1 (ko) 유동액 용기 및 용액의 배출방법
KR102161468B1 (ko) 마사지 기능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US20050155979A1 (en) Cosmetics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200222309Y1 (ko) 유동액 용기
US20230079495A1 (en) Contents container
JPH0939990A (ja) セルフシールキャップ
WO1997031836A1 (en) Closure with a collapsible funnel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0175208B1 (ko) 자동개폐캡 및 내용액 자동토출방법
KR20210006770A (ko)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CN112804911A (zh)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JPH0618927Y2 (ja) 定量注出容器
KR200446474Y1 (ko) 액상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