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062A - Circuit for simultaneously embody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type interoffice connection - Google Patents

Circuit for simultaneously embody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type interoffice conn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062A
KR20000015062A KR1019980034783A KR19980034783A KR20000015062A KR 20000015062 A KR20000015062 A KR 20000015062A KR 1019980034783 A KR1019980034783 A KR 1019980034783A KR 19980034783 A KR19980034783 A KR 19980034783A KR 20000015062 A KR20000015062 A KR 2000001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lock
connection
transmission line
pc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95440B1 (en
Inventor
김춘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5440B1/en
Publication of KR2000001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54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PURPOSE: A circuit for simultaneously embody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type interoffice connection capable of embodying an E1 trunk connection and a T1 trunk connection in a one board by changing a transmission line matching circuit, a network sync circuit, a PCM sub highway is provided. CONSTITUTION: A circuit for simultaneously embody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type interoffice connection, the circuit compris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onnectors(100) for matching an electric transmission line; a PCM channel switch(200) for switching each PCM channel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connectors(100) and being connected to a PCM sub highway; a dividing circuit(300) for extracting a reference clock for a system synchronism from a clock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connectors(100); a phase sync and jitter attenuating circuit(500) for producing a system clock based on the reference clock extracted from the dividing circuit(300); a recovering clock selecting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ng section(600) for performing a function which selects one reference clock from a plurality of clocks and a function which designates an E1 interface and a T1 interface; and a clock dividing circuit(400) for providing a divided clock to each terminal or PCM sub highway, or a recovering clock selecting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ng section.

Description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Circuit for implement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s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한 개의 보드에서 유럽 방식(E1)과 북미 방식(T1)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렁크(trunk) 접속을 필요로 하는 소용량 시스템에서 유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connection between a European (E1) and a North American (T1) station on one board, and particularly, a method useful in a small capacity system requiring a trunk connection.

일반적으로, 국간 접속 방식에는 크게 유럽 방식의 E1 트렁크 접속과 북미 방식의 T1 트렁크 접속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T1 접속과 E1 접속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re is a large number of E1 trunk connections in Europe and T1 trunk connections in North America, and the T1 connection and the E1 connection are used interchangeably in Korea.

E1 트렁크 접속과 T1 트렁크 접속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E1 트렁크 접속을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물리적인 전송선(line) 접속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transceiver)(10)와 E1 프레임(frame)을 생성하고 추출하기 위한 프레이머(framer)(20)로 구성된다. 그리고, 망 동기 블록(30)에서는 시스템의 망 동기를 위해 송수신기(10)에서 복구되는 2.048MHz의 클럭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망 동기 클럭 2.048MHz을 발생시켜 프레이머(20)와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 이하 PCM라 칭한다) 서브 하이웨이(Sub-highway)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한다.Referring to the E1 trunk connection and the T1 trunk connection, first, for the E1 trunk connection, a transceiver 10 and an E1 fram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physical transmission line and a signal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framer 20 for creating and extracting. In addition, the network synchronization block 30 generates a network synchronization clock 2.048 MHz necessary for the system by using a 2.048 MHz clock recovered from the transceiver 10 for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system, thereby generating a framer 20 and a pulse code modulation (Pulse). Code Modul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CM) is used as a reference clock of a sub-highway.

T1 트렁크 접속을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물리적인 전송선 접속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40)와 T1 프레임을 생성하고, 추출하기 위한 프레이머(50)로 구성된다. 그리고, 망 동기 블록(60)에서는 시스템의 망 동기를 위하여 송수신기(40)에서 복구되는 1.544MHz의 클럭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망 동기 클럭 1.544MHz을 발생시켜 프레이머(50)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되며, PCM 서브 하이웨이의 기준 클럭은 2.048MHz를 사용한다.For the T1 trunk connection, a physical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and a transceiver 40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as shown in FIG. 2 and a framer 50 for generating and extracting a T1 frame are configured. In the network synchronization block 60, a network synchronization clock 1.544 MHz necessary for the system is generated by using a clock of 1.544 MHz recovered from the transceiver 40 for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system, and used as a reference clock of the framer 50. The reference clock of the PCM sub highway uses 2.048 MHz.

상기 E1 트렁크와 T1 트렁크의 기본 클럭이 달라서 각각 서로 다른 보드에 구현되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Since the basic clocks of the E1 trunk and the T1 trunk are different, they have been implemented and used on different boards. The problems of this prior art are as follows.

대용량 시스템에서는 여러 장의 트렁크 보드가 사용되므로 E1 접속 보드와 T1 접속 보드를 따로따로 구현하여 실장하여도 문제가 되지 않으나, 단지 몇 개의 트렁크만 필요한 소용량 시스템에서는 E1 접속과 T1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최소한 2개의 보드가 필요하게 되어 공간상, 비용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 high-capacity system, several trunk boards are used, so it is not a problem to implement separate E1 board and T1 board, but in a small-capacity system that requires only a few trunks, at least two trunk boards can be used simultaneously. Two boards are required, resulting in space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송선 매칭 회로, 망 동기 회로, PCM 서브하이웨이의 변경으로 한 개의 보드에서 E1 트렁크 접속과 T1 트렁크 접속을 각 단자(port)별로 구분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E1 trunk connection and the T1 trunk connection in one board are changed for each port by changing transmission line matching circuit, network synchronization circuit, and PCM subhighwa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European-American-North American inter-station connection that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개의 보드에서 각 단자별로 E1 트렁크 접속과 T1 트렁크 접속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음으로써, 시스템 설치시 E1 전송선과 T1 전송선을 유동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E1 trunk connection and T1 trunk connection differently for each terminal in one board, so that the E1 transmission line and T1 transmission line can be flexibly selected and used in the system installation, European and North America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he inter-station connection of the scheme.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다른 목적과 새로운 특징에 대해서는 아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의 E1 인터페이스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1 interfa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종래의 T1 인터페이스 구성도.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T1 interfac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E1/T1 인터페이스 구성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1 / T1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전송선 접속 회로도.4 is a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주 회로도.5 is a dispensing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도.6 is a phase locked and jitter attenuation circuit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럭 분배 회로도.7 is a clock distribution circuit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도.8 is a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diagr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E1 송수신기10: E1 transceiver

20 : E1 프레이머20: E1 Framer

30, 60 : 망 동기 블록30, 60: network synchronization block

40 : T1 송수신기40: T1 transceiver

50 : T1 프레이머50: T1 Framer

100 : 전송선 접속부100: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110 : 임피던스 매칭 회로110: impedance matching circuit

120 : 송수신기120: transceiver

130 : 프레이머130: framer

200 : PCM 채널 스위칭부200: PCM channel switching unit

300 : 분주 회로300: division circuit

310 : 기준 클럭 선택 회로310: reference clock selection circuit

320 : 분주비 선택 회로320: division ratio selection circuit

330 : 1/256 분주 회로330 1/256 division circuit

340 : 1/193 분주 회로340: 1/193 division circuit

400 : 클럭 분배 회로400: clock distribution circuit

410 : 백본 클럭 분배 회로410: backbone clock distribution circuit

420 : 전송 클럭 선택 회로420: transmission clock selection circuit

500 :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500: phase locked and jitter attenuation circuit

510 : 디지털 위상 동기 회로510: digital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520 : 지터 감쇄 회로520 jitter attenuation circuit

600 :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600: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610 : 복구 클럭 선택 회로610: recovery clock selection circuit

620 :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620: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기적인 전송선 정합을 위한 다수의 전송선 접속부, 상기 전송선 접속부에 연결되는 각 PCM 채널을 스위칭하여 PCM 서브 하이웨이에 연결하도록 하는 PCM 채널 스위칭부, 상기 다수의 전송선 접속부로부터 수신된 클럭에서 시스템의 망 동기를 위한 기준 클럭을 추출하는 분주 회로, 상기 분주 회로에서 추출된 기준 클럭으로부터 시스템에 필요한 백본 클럭을 생성하는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 여러 개의 클럭에서 한 개의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기능 및 각 단자에 대하여 E1 인터페이스 또는 T1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 및 상기 각 단자 또는 PCM 서브하이웨이 또는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에 클럭을 분배하기 위한 클럭 분배 회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connection between a European system and a North America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ign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nits for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matching and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nit. A PCM channel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each PCM channel to be connected to the PCM sub highway, a divider circuit for extracting a reference clock for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system from clock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nits, and a reference extracted from the divider circuit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s with phase-lock and jitter attenuation circuitry that generates the backbone clocks needed by the system from the clock, the ability to select one reference clock from multiple clocks, and the ability to specify an E1 or T1 interface for each terminal A type selector, and each terminal or PCM sub This way, or comprises a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clock distribution circuitry for distributing a clock to the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본 발명은 전기적인 특성 및 전송 속도가 서로 다른 E1 접속과 T1 접속을 한 개의 보드에서 E1 접속과 T1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였다. 여기서, 전기적 특성은 점퍼 및 집적 회로 소켓(IC SOCKET)을 이용하여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E1 속도와 T1 속도에서 각각 8MHz의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을 추출하여 디지털 동기 위상 회로(Phase Loop Lock : PLL)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클럭이 위상 동기가 맞도록 클럭을 생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E1 connection and the T1 connection at the same time on the E1 connection and T1 connection with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speeds on one board. Her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re designed to be changed using a jumper and an integrated circuit socket (IC SOCKET), and a reference clock of 8 MHz is extracted from the E1 speed and the T1 speed, respectively, to obtain a digital loop lock. The clock was generated using the PLL) as a reference clock to ensure that the clock used in the system is in phase synchronization.

한 개의 보드에서 E1 PCM 데이터와 T1 PCM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E1 접속과 T1 접속 사이에 시스템적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In order to process E1 PCM data and T1 PCM data on one board at the same time, a function that can systematically synchronize between E1 connection and T1 connection is requir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E1/T1 인터페이스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3 is an E1 / T1 interface configuration diagram.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is, as follows.

본 발명은 트렁크 접속인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을 한 개의 보드에서 동시에 구현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전송선 정합을 위한 전송선 접속부(100), 전송선 접속부(100)에 연결되는 각 PCM 채널을 스위칭하여 PCM 서브 하이웨이에 연결하도록 하는 PCM 채널 스위칭부(200), 전송선으로부터 수신된 클럭에서 시스템의 망 동기를 위한 기준 클럭을 추출하는 분주 회로(300), 클럭을 분배하기 위한 클럽 분배 회로(400), 추출된 기준 클럭에서 시스템의 망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위상 동기 회로(510), T1 클럭인 1.544MHz 클럭에 대해 지터를 감쇄하기 위한 지터 감쇄 회로(520), 그리고 여러 개의 수신 클럭에서 한 개의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기능 및 각 단자에 대하여 E1 인터페이스 또는 T1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600)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witch the PCM channel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portion 100,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portion 100 for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matching in order to implement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ethod of trunk connection at the same time on a single board to the PCM sub highway PCM channel switching unit 200 to connect, the division circuit 300 for extracting the reference clock for the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system from the clock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line, the club distribution circuit 400 for distributing the clock, the extracted reference clock Phase-synchronizing circuit 510 for generating the network synchronization clock of the system, jitter attenuation circuitry 520 for attenuating jitter for the 1.544 MHz clock T1, and selecting one reference clock from multiple receive clocks. A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600 having a function and a function of specifying an E1 interface or a T1 interface for each terminal. It is made.

전송선 접속부(100)는 임피던스 매칭(Impedence matching) 회로(110), 송수신기(120) 및 프레이머(130)로 구성된다. 임피던스 매칭 회로(110)에서는 E1 접속과 T1 접속의 전기적인 특성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전송선 보호(Protection) 및 변형(transformer) 회로를 E1과 T1에서 같이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송선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해서는 E1의 임피던스 저항과 T1의 임피던스 저항을 점퍼로 분리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송수신기(120)와 프레이머(130)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부품을 사용하여 E1 접속과 T1 접속의 전기적 특성 정합을 이 부품의 교체로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IC 소켓을 이용하였다. 사용한 부품은 DALAS사에서 제조한 것으로, E1 접속에 대해서는 DS2153Q, T1접속에 대해서는 DS2151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송수신기(120)의 수신 블록에서는 수신되는 수신 전송선에서 수신 클럭과 수신 데이터를 추출하고, 송신 블록에서는 송신 클럭에 동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 전송선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레이머(130)에서는 각각 E1 프레임과 T1 프레임을 추출 및 생성하여 각 채널에 대한 PCM 데이터를 PCM 단자로 송수신한다.The transmission line connector 100 includes 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110, a transceiver 120, and a framer 130. The impedance matching circuit 110 allows the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and transformer circuits to be used together at E1 and T1 to match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E1 connection and the T1 connection. In order to match the transmission line impedance, the impedance resistance of E1 and the impedance resistance of T1 are separated by a jumper and designed to be connected. The transceiver 120 and the framer 130 use parts that can perform both function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E1 connection and the T1 connection can be replaced by the replacement of these parts, and the IC can be easily replaced. A socket was used. The components used were manufactured by DALAS, using the DS2153Q for the E1 connection and the DS2151 for the T1 connection. The reception block of the transceiver 120 extracts a reception clock and reception data from a received reception transmission line, and transmits transmission data to the transmission transmission lin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ransmission clock. The framer 130 extracts and generates an E1 frame and a T1 frame, respectively, and transmits and receives PCM data for each channel to the PCM terminal.

전송선 접속부의 프레이머(130)로부터 복구되는 PCM 채널은 E1 접속일 때 32 채널이고, T1 접속일 때 24 채널이다. 프레이머(130)와 PCM채널 스위칭부(200) 사이의 PCM 단자는 32 채널 구조의 2.048bps 전송 속도를 가진다. 그래서, T1 접속일 때는 8개의 채널을 아이들(IDLE)로 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이 사용하지 않는 채널들은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1, 5, 9, 13, 17, 21, 25, 29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PCM 채널 스위칭부(200)는 각 PCM 단자의 채널들을 PCM 서브하이웨이로 스위칭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PCM 서브하이웨이는 PCM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른 블록과 연결되어 PCM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하였다. 이것은 타임 스위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The PCM channel recovered from the framer 130 of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nit is 32 channels in the E1 connection and 24 channels in the T1 connection. The PCM terminal between the framer 130 and the PCM channel switching unit 200 has a 2.048bps transmission rate of 32 channel structure. Therefore, in the T1 connection, eight channels are not used as idle. These unused channels do not use 1, 5, 9, 13, 17, 21, 25, 29 channels to distribute traffic. The PCM channel switching unit 200 switches the channels of each PCM terminal to the PCM subhighway to be connected. The PCM subhighway is connected to other blocks for processing PCM data so that the PCM data is processed. This is accomplished using a time switch component.

분주 회로(300)는 기준 클럭 선택 회로(310), 분주비 선택 회로(320), 1/256 분주 회로(330), 1/193 분주 회로(340)를 갖는다. 기준 클럭 선택 회로(310)에서는 시스템 동기에 필요한 기준 클럭을 생성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전송선에서 입력되는 수신 클럭(RxCLK[1:n]) 중에서 한 개의 특정 클럭을 선택한다. 분주비 선택 회로(320)에서는 이 선택된 클럭이 E1 단자의 수신 클럭이면 1/256 분주 회로(330)로 보내어 256 분주하여 8KHz 클럭을 만들고, T1 단자의 수신 클럭이면 1/193 분주 회로(340)로 보내어 193 분주하여 8KHz 클럭을 만들어 기준 클럭으로 사용한다. 수신 클럭(RxCLK[1:n]) 중에서 한 개의 특정 클럭 선택은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600)의 SEL_CLK_D[1:n] 신호를 이용하고, E1/T1 단자 선택은 SEL_E1/T1 신호를 이용한다. 이 회로는 EPLD를 이용하여 로직으로 구현하였다.The division circuit 300 includes a reference clock selection circuit 310, a division ratio selection circuit 320, a 1/256 division circuit 330, and a 1/193 division circuit 340. The reference clock selection circuit 310 selects one specific clock from among the reception clocks RxCLK [1: n] input from 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in order to generate a reference clock required for system synchronization. In the division ratio selection circuit 320, if the selected clock is the reception clock of the E1 terminal, it is sent to the 1/256 division circuit 330 to divide the signal by 256 to make an 8KHz clock, and if the reception clock of the T1 terminal is the 1/193 division circuit 340 193 is divided into 8KHz clock and used as the reference clock. Selection of one specific clock among the received clocks (RxCLK [1: n]) uses the SEL_CLK_D [1: n] signal of the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600, and selection of the E1 / T1 terminals is performed by the SEL_E1 / T1 signal. Use This circuit is implemented in logic using EPLD.

시스템에 필요한 백본 클럭(Backbone Clock)을 생성하기 위해서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500)에서는 Rec_8KHz의 기준 클럭을 이용하여 디지털 위상 동기 회로(510)를 구동한다. 이로써, 프레임 동기를 위한 8KHz의 PCM_SYNC 신호와 16.384MHz 오실레이터 클럭을 입력받아서는 2.048MHZ의 E1 속도의 클럭을 만들고, 12.352MHz 오실레이터 클럭을 입력받아서는 1.544MHz의 T1 속도의 클럭을 만든다. 1.544MHz 클럭에는 지터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프레임 동기(Frame Sync. : FS)와 동기가 정확히 맞지 않고 클럭이 흔들린다. 이 지터 성분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지터 감쇄 회로(520)를 통과시켜 사용한다. 디지털 위상 동기 회로(510)는 Mitel사의 MT8941 부품을 사용하여 구현하고, 지터 감쇄 회로(520)는 LevelOne사의 LXP604 부품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In order to generate a backbone clock required for the system, the phase lock and jitter attenuation circuit 500 drives the digital phase lock circuit 510 using a reference clock of Rec_8KHz. In this way, an 8KHz PCM_SYNC signal and a 16.384MHz oscillator clock are input to generate an E1 speed clock of 2.048MHZ, and a 12.352MHz oscillator clock is input to create a 1.544MHz T1 clock. The 1.544MHz clock contains a lot of jitter, which causes the clock to be out of sync with Frame Sync. In order to attenuate this jitter component, the jitter attenuation circuit 520 is passed through and used. The digital phase-lock circuit 510 is implemented using Mitel's MT8941 component, and the jitter attenuation circuit 520 is implemented using LevelOne's LXP604 component.

클럭 분배 회로(400)는 백본 클럭 분배 회로(410)와 송신 클럭 선택 회로(420)로 이루어진다. 백본 클럭 분배 회로(410)에서는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500)에서 PCM_SYNC, CLK_2.048MHz, CLK_1.544MHz를 받아서 백본 클럭으로 필요한 FS[1;n], CLK_2.048MHz[1:n] 신호를 각 단자의 프레이머(130), PCM 채널 스위칭 부분(200), PCM 서브 하이웨이에 공급한다. 그리고, 송신 클럭 선택 회로(420)에서는 각 단자의 송신에서 필요한 TxCLK[1:n] 클럭을 각 단자의 상태에 따라 E1 접속일 때는 CLK_2.048MHz으로 공급하고, T1 접속일 때는 CLK_1.544MHz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각 단자에 대한 E1/ T1 접속 선택은 SEL_E1/T1_D[1:n] 신호를 이용하여 선택한다.The clock distribution circuit 400 includes a backbone clock distribution circuit 410 and a transmission clock selection circuit 420. The backbone clock distribution circuit 410 receives the PCM_SYNC, CLK_2.048MHz, and CLK_1.544MHz from the phase lock and jitter attenuation circuit 500 to receive the FS [1; n] and CLK_2.048MHz [1: n] signals required as the backbone clocks. It is supplied to the framer 130, the PCM channel switching part 200, and the PCM sub highway of each terminal. The transmission clock selection circuit 420 supplies the TxCLK [1: n] clock necessary for transmission of each terminal to CLK_2.048MHz for the E1 connection and to CLK_1.544MHz for the T1 connection, depending on the state of each terminal. Here, the E1 / T1 connection selection for each terminal is selected using the SEL_E1 / T1_D [1: n] signal.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600)는 복구 클럭 선택 회로(510)와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520)로 구성된다. 복구 클럭 선택 회로(510)에서는 CPU의 프로그램에서 전송선의 상태를 체크한 후에 가장 오랜 시간동안 에러가 없는 안정된 전송선의 수신 클럭을 선택한다. 그리고, CPU_DATA[0:7]와 CPU_SEL_CLK 신호를 이용하여 복구 클럭 선택 레지스터인 SEL_CLK_D[1:n]에 선택된 값을 기록한다.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520)에서는 CPU_DATA[0:7]과 CPU_SEL_E1/T1 신호를 이용하여 각 보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단자 상태 저장 레지스터인 SEL_E1/T1_D[1:n]에 각 단자의 상태값을 기록하여 저장한다. 이 저장된 값들을 이용하여 백본 클럭 복구를 위한 기준 클럭을 선택하고, 각 단자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분주 회로,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 클럭 분배 회로들은 EPLD로 구현하였다.The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600 includes a recovery clock selection circuit 510 and a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520. The recovery clock selection circuit 510 selects a reception clock of a stable transmission line without error for the longest time after checking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line in the program of the CPU. The selected value is written to the recovery clock selection register SEL_CLK_D [1: n] using the CPU_DATA [0: 7] and CPU_SEL_CLK signals. The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520 writes the status value of each terminal to the terminal status storage register SEL_E1 / T1_D [1: n] using the CPU_DATA [0: 7] and CPU_SEL_E1 / T1 signals. Save it. The stored values are used to select a reference clock for backbone clock recovery and to provide the clock required for each terminal. The division circuit, recovery clock selection,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and clock distribution circuit are implemented in EPL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본 동작은 시스템 초기 구성 단계에서 각 단자에 대하여 E1 접속을 가질지, T1 접속을 가질지를 선택한다. 각 전송선 접속 부분에서는 E1 접속에 대해서 전기적 특성은 120ohm 임피던스 매칭, E1 송수신기와 E1 프레이머를 실장하고, 이에 해당되는 E1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한다. T1 접속에 대해서는 전기적 특성을 100ohm 임피던스로 매칭하고, T1 송수신기와 T1 프레이머를 실장하고, 이에 해당하는 T1 드라이브 프로그램이 수행되도록 한다. CPU의 프로그램에서는 각 단자의 선택된 상태(E1/T1)를 전송선 타입 선택 부분에 기록하고, 여러 개의 단자 중에서 에러가 없고 상태가 가장 양호한 단자를 찾아서 시스템 망 동기의 기준 클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준 클럭 선택 부분에 한 개의 기준 클럭을 선택한다. 분주 회로에서는 선택되어진 기준 클럭이 E1 클럭이면 2.048MHz의 주파수를 가지므로, 256 분주하여 8KHz의 레퍼런스 클럭을 만들고, 선택되어진 기준 클럭이 T1 클럭이면 1.544MHz의 주파수를 가지면 193 분주하여 8KHz의 레퍼런스 클럭을 만들어 위상 동기 회로의 레퍼런스 클럭으로 사용한다. 위상 동기 회로에서는 8KHz의 레퍼런스 클럭을 만들어 위상 동기 회로의 레퍼런스 클럭으로 사용한다. 위상 동기 회로에서는 8KHz의 레퍼런스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16.384MHz 오실레이터 클럭에 디지털 위상 동기 회로를 사용하여 선택되어진 기준 클럭에 위상 동기 맞는 프레임 동기와 2.048MHz의 클럭을 만들어 클럭 분배 회로에 공급하고, 12.352MHz 오실레이터 클럭에 디지털 동기 위상 회로를 사용하여 선택되어진 기준 클럭에 위상 동기 맞는 1.544MHz 클럭을 만들어 상기 1.544MHz 클럭의 지터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터 감쇄 회로를 통과시켜 프레임 동기와 지터를 보상한 후에 클럭 분배 회로에 공급한다. 클럭 분배 회로에서는 각 단자의 구성에 따라서 송신 클럭(TxCLK)을 E1 접속이면 2.048MHz를 각 단자의 송수신기에 보내고, T1 접속이면 1.544MHz를 각 단자의 송수신기에 보낸다.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백본 클럭(Backbone Clock)으로 프레임 동기와 2.048MHz 클럭을 각 단자의 프레이머, 채널 스위칭 부분, PCM 서브 하이웨이에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진 E1 접속 단자와 T1 접속 단자를 한 개의 보드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The basic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elects whether to have an E1 connection or a T1 connection for each terminal in a system initial configuration step. In each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part,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E1 connection are 120ohm impedance matching, the E1 transceiver and the E1 framer are mounted, and the corresponding E1 drive program is executed. For the T1 connection, match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to 100 ohm impedance, mount the T1 transceiver and T1 framer, and run the corresponding T1 drive program. The program of the CPU records the selected state (E1 / T1) of each terminal in the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section, and selects the reference clock to find the terminal with the best error free status among several terminals and use it as the reference clock for system network synchronization. One reference clock is selected for the part. In the divider circuit, if the selected reference clock has an E1 clock, it has a frequency of 2.048 MHz. If the selected reference clock has a frequency of 1.544 MHz, it is divided into 193 and divides 193 if the selected reference clock has a frequency of 1.544 MHz. And use it as the reference clock of the phase-lock circuit. In the phase-lock circuit, an 8KHz reference clock is created and used as the reference clock of the phase-lock circuit. The phase-lock circuit uses a digital phase-lock circuit for the 16.384 MHz oscillator clock based on an 8-KHz reference clock to create a frame-locked frame-synchronized clock and a 2.048-MHz clock to supply the clock distribution circuit. Using a digital synchronous phase circuit to the oscillator clock, a clock-sharing circuit is created by compensating frame synchronization and jitter by passing a jitter attenuation circuit to reduce the jitter of the 1.544 MHz clock by creating a 1.544 MHz clock that is phase-locked to the selected reference clock. To feed. In the clock distribution circuit, the transmission clock TxCLK is sent to the transceiver of each terminal when the E1 connection is made, and 1.544 MHz is sent to the transceiver of each terminal when the T1 connection is established. A backbone clock for use in the system, which provides frame sync and 2.048MHz clocks to the framer, channel switching portion, and PCM subhighway at each terminal. In this way, E1 and T1 terminals with different speeds can be accommodated on one board.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라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the disclosure thereof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nly.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specification, but rather that the invention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출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우리나라에서는 트렁크 접속에 북미 방식인 E1 접속과 유럽 방식인 T1 접속이 공존하고 있다. 그래서,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위해서는 별도의 변환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수용하기 위해 별도의 시스템 또는 보드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In Korea, North American E1 connection and European T1 connection coexist in trunk connection. Thus, a separate converter is requir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systems. And a separate system or board was needed to accommodate both.

이에 하나의 보드에 E1과 T1 접속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시스템, 특히 소용량 시스템에서 E1과 T1 접속의 포트 구성 변경이 용이하게 되며, 시스템 가격 및 크기 등을 줄일 수 있게 된다.By allowing E1 and T1 connections to be accommodated on one board at the same time, it is easy to change the port configuration of the E1 and T1 connections in one system, especially a small capacity system, and reduce the system price and size.

Claims (20)

전기적인 전송선 정합을 위한 다수의 전송선 접속부;A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connections for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matching; 상기 전송선 접속부에 연결되는 각 PCM 채널을 스위칭하여 PCM 서브 하이웨이에 연결하도록 하는 PCM 채널 스위칭부;A PCM channel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each PCM channel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nit to be connected to a PCM sub highway; 상기 다수의 전송선 접속부로부터 수신된 클럭에서 시스템의 망 동기를 위한 기준 클럭을 추출하는 분주 회로;A division circuit for extracting a reference clock for network synchronization of a system from clock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 connections; 상기 분주 회로에서 추출된 기준 클럭으로부터 시스템에 필요한 백본 클럭을 생성하는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A phase locked and jitter attenuating circuit for generating a backbone clock required for the system from the reference clock extracted by the division circuit; 여러 개의 클럭에서 한 개의 기준 클럭을 선택하는 기능 및 각 단자에 대하여 E1 인터페이스 또는 T1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진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 및A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having a function of selecting one reference clock from multiple clocks and a function of designating an E1 interface or a T1 interface for each terminal; And 상기 각 단자 또는 PCM 서브하이웨이 또는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에 클럭을 분배하기 위한 클럭 분배 회로를 포함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And a clock distribution circuit for distributing a clock to each terminal or to a PCM subhighway or a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a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 접속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ng portion, E1 접속과 T1 접속을 매칭시키고, 전송선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임피던스 매칭 회로;An impedance matching circuit for matching the E1 connection and the T1 connection and matching the transmission line impedance; 수신되는 수신 전송선에서 수신 클럭과 수신 데이터를 추출하는 수신 블록과 송신 클럭에 동기하여 송신 데이터를 송신 전송선으로 보내는 송신 블록으로 구성된 송수신기; 및A transceiver comprising a reception block for extracting a reception clock and reception data from a received reception transmission line and a transmission block for transmitting transmission data to the transmission transmission line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ransmission clock; And E1 프레임과 T1 프레임을 추출 및 생성하여 각 채널에 대한 PCM 데이터를 PCM 단자로 송수신하는 프레이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And a framer for extracting and generating an E1 frame and a T1 frame to transmit and receive PCM data for each channel to a PCM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1 접속과 T1 접속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전송선 보호 및 변형 회로를 E1과 T1에서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3.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and modification circuits can be used in E1 and T1 together to match the E1 connection and the T1 conn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하여 E1의 임피던스 저항과 T1의 임피던스 저항을 점퍼로 분리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3. The circuit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edance resistance of E1 and the impedance resistance of T1 is separated by a jumper so as to match the transmission line impedan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와 프레이머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3.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ransceiver and the framer are interchangeab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와 프레이머의 교체시 IC 소켓을 이용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6.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European-American-North American station-to-station connection is simultaneously used using an IC socket when the transceiver and the framer are repla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M 채널 스위칭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CM channel switching unit, 상기 전송선 접속부의 프레이머로부터 복구되는 각 PCM 단자의 채널들을 상기 PCM 서브하이웨이로 스위칭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A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European-American-North American interface between the channels of each PCM terminal recovered from the framer of the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unit by switching to the PCM subhighw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로부터 복구되는 PCM 채널은 E1 접속일 때 32 채널이고, T1 접속일 때 24 채널인,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8. The circuit of claim 7, wherein the PCM channel recovered from the framer is 32 channels in an E1 connection and 24 channels in a T1 conn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이머와 PCM채널 스위칭부 사이의 PCM 단자는 32 채널 구조의 2.048 bps 전송 속도를 가지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8. The circui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CM terminal between the framer and the PCM channel switching unit has a 2.048 bps transmission rate of 32 channel struc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CM 서브하이웨이는, PCM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른 블록과 연결되어 PCM 데이터가 처리되도록 하며, 타임 스위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CM subhighway is connected to another block for processing the PCM data so that the PCM data is processed, and simultaneously implements a connection between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stations, which are implemented using a time switch component. Circuit for doing so. 제 7 항에 있어서,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T1 접속일 때는 8개의 채널, 즉 1, 5, 9, 13, 17, 21, 25, 29 채널을 아이들로 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8.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ethods of claim 7, wherein eight channels, i.e., 1, 5, 9, 13, 17, 21, 25, 29 channels, are not used as idles in a T1 connection to distribute traffic. Circuit for simultaneously connecting sta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 회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divider circuit, 상기 다수의 전송선에서 입력되는 수신 클럭(RxCLK[1:n]) 중에서 한 개의 특정 클럭을 선택하는 기준 클럭 선택 회로;A reference clock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one specific clock from among the reception clocks (RxCLK [1: n]) input from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lines; 상기 선택된 클럭이 E1 단자의 수신 클럭이면 1/256 분주 회로를 선택하고, T1 단자의 수신 클럭이면 1/193 분주 회로를 선택하는 분주비 선택 회로;A division ratio selection circuit for selecting a 1/256 division circuit if the selected clock is a reception clock of an E1 terminal and a 1/193 division circuit for a reception clock of a T1 terminal; 상기 선택된 클럭을 256 분주하여 8KHz 의 기준 클럭으로 만들어내는 1/256 분주 회로; 및A 1/256 frequency divider circuit for dividing the selected clock 256 to produce a reference clock of 8 KHz; And 상기 선택된 클럭을 193 분주하여 8KHz의 기준 클럭으로 만들어내는 1/193 분주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And a 1/193 divider circuit for dividing the selected clock into 193 to form a reference clock of 8 kHz.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클럭(RxCLK[1:n]) 중에서 한 개의 특정 클럭 선택은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부의 SEL_CLK_D[1:n] 신호를 이용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one specific clock selection of the reception clock RxCLK [1: n] uses a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a SEL_CLK_D [1: n] signal of a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unit. Circuitry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the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는,The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phase locked and jitter attenuating circuit comprises: 상기 분주 회로에서 만들어진 기준 클럭(Rec_8KHz)에서 시스템의 망 동기 클럭을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위상 동기 회로; 및A digital phase synchronizing circuit for generating a network synchronizing clock of the system from a reference clock Rec_8KHz made by the division circuit; And T1 클럭인 1.544MHz 클럭에 대해 지터를 감쇄하기 위한 지터 감쇄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A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European-American-North American station connection, comprising a jitter attenuation circuit for attenuating jitter for a 1.544 MHz clock which is a T1 clock. 재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위상 동기 회로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igital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프레임 동기를 위한 8KHz의 PCM_SYNC 신호와 16.384MHz 오실레이터 클럭을 입력받아서는 2.048MHZ의 E1 속도의 클럭을 만들고, 12.352MHz 오실레이터 클럭을 입력받아서는 1.544MHz의 T1 속도의 클럭을 만드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methods produce 848Hz PCM_SYNC signal and 16.384MHz oscillator clock for E1 speed clock input, and 12.352MHz oscillator clock for 1.544MHz T1 speed input.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station-to-station conn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분배 회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ock distribution circuit, 상기 위상 동기 및 지터 감쇄 회로에서 PCM_SYNC, CLK_2.048MHz, CLK_1.544MHz를 받아서 백본 클럭으로 필요한 FS[1;n], CLK_2.048MHz[1:n] 신호를 상기 각 단자의 프레이머, PCM 채널 스위칭 부분, PCM 서브 하이웨이에 공급하는 백본 클럭 분배 회로; 및Framer, PCM channel switching part of each terminal receives FS [1; n] and CLK_2.048MHz [1: n] signals required for the backbone clock by receiving PCM_SYNC, CLK_2.048MHz, and CLK_1.544MHz from the phase-lock and jitter attenuation circuit. A backbone clock distribution circuit for supplying the PCM sub highway; And 상기 각 단자의 송신에서 필요한 TxCLK[1:n] 클럭을 각 단자의 상태에 따라 E1 접속일 때는 2.048MHz으로 공급하고, T1 접속일 때는 1.544MHz으로 공급하는 송신 클럭 선택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The TxCLK [1: n] clock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the respective terminals is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clock selection circuit for supplying 2.048 MHz for the E1 connection and 1.544 MHz for the T1 connection, depending on the state of each terminal. Circuit for simultaneously implementing North American inter-station connection.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에 대한 E1/ T1 접속 선택은 SEL_E1/T1_D[1:n] 신호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17. The circuit of claim 16, wherein the E1 / T1 connection selection for each terminal is selected using a SEL_E1 / T1_D [1: 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구 클럭 선택 및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는,The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recovery clock selection and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comprises: CPU의 프로그램에서 전송선의 상태를 체크한 후에 가장 오랜 시간동안 에러가 없는 안정된 전송선의 수신 클럭을 선택하고, CPU_DATA[0:7]와 CPU_SEL_CLK 신호를 이용하여 복구 클럭 선택 레지스터인 SEL_CLK_D[1:n]에 선택된 값을 기록하는 복구 클럭 선택 회로; 및After checking the status of the transmission line in the program of the CPU, select the reception clock of the stable transmission line without error for the longest time, and use the CPU_DATA [0: 7] and CPU_SEL_CLK signals to recover the SEL_CLK_D [1: n] A recovery clock selection circuit for recording a value selected in the circuit; And 상기 CPU_DATA[0:7]과 CPU_SEL_E1/T1 신호를 이용하여 각 보드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단자 상태 저장 레지스터인 SEL_E1/T1_D[1:n]에 각 단자의 상태값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that records the state value of each terminal in the terminal state storage register SEL_E1 / T1_D [1: n] by using the CPU_DATA [0: 7] and CPU_SEL_E1 / T1 signals. A circuit for implementing a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 at the same time comprising a.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선 타입 선택 회로에 저장된 값들을 이용하여 백본 클럭 복구를 위한 기준 클럭을 선택하고, 각 단자에 필요한 클럭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European-North American connection between the European and North American stations that selects a reference clock for backbone clock recovery using the values stored in the transmission line type selection circuit and controls the supply of the necessary clock to each terminal is simultaneously performed. Circuitry to impl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주 회로, 복구 클럭 선택 회로, 클럭 분배 회로들은 EPLD로 구현하는,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회로.The circuit of claim 1, wherein the division circuit, the recovery clock selection circuit, and the clock distribution circuits are implemented in EPLD.
KR1019980034783A 1998-08-27 1998-08-27 Circuit for implement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s simultaneously KR1002954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83A KR100295440B1 (en) 1998-08-27 1998-08-27 Circuit for implement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s simultaneous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783A KR100295440B1 (en) 1998-08-27 1998-08-27 Circuit for implement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s simultaneous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62A true KR20000015062A (en) 2000-03-15
KR100295440B1 KR100295440B1 (en) 2001-07-12

Family

ID=1954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783A KR100295440B1 (en) 1998-08-27 1998-08-27 Circuit for implement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s simultaneous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54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928A (en)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Trunk car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125A (en) * 1993-12-18 1995-07-28 김광호 Universal digital trunk circu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928A (en) * 1998-12-24 2000-07-15 서평원 Trunk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5440B1 (en)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3887B1 (en) HTU-C clocking from a single source
US4727541A (en) Hierarchical data transmission system
US6356550B1 (en) Flexible time division multiplexed bus using sonet formatting
US6816818B2 (en) Method, clock generator module and receiver module for synchronizing a receiver module
MXPA04004404A (en) Multiple dataport clock synchronization.
CA1316241C (en) Electronic exchange apparatus synchronized with digital network
JP2001211228A (en) Telephone terminal
KR100295440B1 (en) Circuit for implementing European and North American connections simultaneously
EP0210799B1 (en) Access port clock synchronizer
US76131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an internal clock for radio network controller
EP1340330B1 (en)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tdm bus
KR100228020B1 (en) Clock production apparatus capabling of producing derived clock in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system
GB2213024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0293939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clock of multi line telecommunication system
JPH04267648A (en) Radio terminal station equipment
KR100306161B1 (en) A circuit for synchronizing clock between exchange station systems
KR100383234B1 (en) Apparatus for suppling network timing reference/TCM-ISDN timing reference clock in DSLAM system
KR100315689B1 (en) Tdm-bus sharing apparatus
KR20000007200A (en) Device for receiving clock from digital clock supplying device of radio subscriber network system
KR100270687B1 (en) Constitution of synchronous hierarchy micro-wave system with hitless switching
JPH0965465A (en) Network synchronization device
JPH11177519A (en) Sonet/sdh synchronous message conversion circuit
JP2001007805A (en) Extension extending system in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11956U (en) Dual Inductive Synchronous Clock Supply System in Synchronous Optical Transmission
KR20000041928A (en) Trunk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