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362A -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 Google Patents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362A
KR20000014362A KR1019980033757A KR19980033757A KR20000014362A KR 20000014362 A KR20000014362 A KR 20000014362A KR 1019980033757 A KR1019980033757 A KR 1019980033757A KR 19980033757 A KR19980033757 A KR 19980033757A KR 20000014362 A KR20000014362 A KR 2000001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waveguide
mode
guide path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552B1 (ko
Inventor
황월연
홍현하
양충렬
한선규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3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55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5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02B6/12033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figuring the device, e.g. moveable element for wavelength tu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8Tapered waveguides, e.g. integrated spot-size transfor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02B6/266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the optical element being an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4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hermo-optic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48Variable attenua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고차모드(high order modes)를 여기시킨 후 차모드만 필터링하는 기술로서, 광감쇄기의 감쇄 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도파로형 가변 광감쇄기를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집적광학형 광감쇄기를 제공하므로 병렬 집적화가 용이하도록 하며, 광감쇄기 어레이(array) 제작에 유리한 직선 광도파로 구조이므로 기본손실이 낮고, 빛의 위상 변화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광변조기나 스위치 형태의 소자에 비해 출력의 안정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광도파로(폴리머, 실리카)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외부의 전기적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의 굴절률 섭동을 이용하므로 단일모드에서 동작하는 열광학 소자에 비해 소요 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본 발명은 집적광학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에 관한 것이다.
광감쇄기는 입력광 신호의 세기를 감쇄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가변 광감쇄기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광신호의 감쇄 정도를 외부에서 조절해 줄 수 있는 광감쇄기를 말한다. 광감쇄기의 용도는 시스템 또는 소자의 광세기에 대한 특성 분석 등에서부터, 최근의 파장분할다중(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WDM) 기반 광 교차접속(cross connect)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WDM 기반의 전송 및 전달망 등에서는 다수의 파장이 파장 다중화되어 전송되며, 각 파장별로 광세기는 특정 범위내로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광신호 처리 과정에서 각 파장별로 소자의 증폭 및 손실특성이 다르다. 따라서 가변 광감쇄기를 사용하여 각 파장별 출력광 광세기를 균일하게 만들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때 광감쇄의 정도가 입력 광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감쇄의 정도를 외부에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가변 광감쇄기가 필요하다. 또한 다파장을 동시에 병렬로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광감쇄기가 병렬로 집적화되기 쉬운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광감쇄기 관련 기술은 주로 광섬유 광감쇄기에 관한 것으로, 광도파로 소자에서는 광변조기나 스위치를 감쇄기 대용으로 사용해 왔다. 광섬유에서 사용되어 온 광감쇄기로는 광섬유에 벤딩(bending)을 줌으로서 방사손실(radiation loss)을 조절하는 것, 두개의 광섬유 사이의 결합 거리를 변화시키는 것, 두개의 광섬유 사이에 자유공간 광감쇄기(optical density filter)나 전장에 따른 산란손실 변화를 이용하는 액정(liquid crystal) 평면 등을 삽입한 것이 있다. 그리고, 광도파로에서의 광감쇄기는 광변조기 또는 광스위치의 입력 전류 또는 전압에 따른 출력 변화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마하-첸더(Mach-Zehnder) 간섭계형이나 밸런스트 브릿지(balanced bridge) 형태의 2×2 스위치 등이 있다. 또한 반도체의 전계 흡수 효과를 이용한 가변 광감쇄기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광섬유 광감쇄기의 경우, 집적화가 어려우며, 기본손실(excess loss)이 높은 단점이 있다. 광도파로에서는 변조기나 광스위치를 이용하여 광감쇄가 가능하지만 빛의 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출력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Y-브랜치, 벤딩 형태의 광도파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자의 기본손실이 높다. 또한 반도체의 전계흡수형 광감쇄기는 파장 대역폭이 좁고, 진행손실이 높으며, 또한 독립된 소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섬유와의 결합손실 등도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본손실이 낮고, 집적화가 용이하며, 출력의 안정성이 높은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광감쇄기의 개략적 구조도.
도 2는 열선과 도파로가 이루는 각도에 따른 본 발명의 가변 광감쇄기의 감쇄 특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
2 : 입력단 테퍼드 광도파로
3 : 다중모드 광도파로
4 : 출력단 테퍼드 광도파로
5 :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
6 : 열선에 의한 비스듬한 굴절률 변화가 시작되는 경계면
7 : 열선에 의한 비스듬한 굴절률 변화가 끝나는 경계면
8 : 열선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징적인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는 입사된 광신호를 단일모드로 광도파로에 결합시키는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 상기 광신호를 상기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에서 다중모드 광도파로로 결합시키기 위한 입력단 테퍼드 광도파로; 고차의 광도파모드를 도파시킬 수 있는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 상기 광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로 결합시키기 위한 출력단 테퍼드 광도파로;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여기된 상기 고차의 광도파모드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 및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 입사된 상기 광신호의 일부를 상기 고차의 광도파모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 열을 제공하되,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열제공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고차모드(high order modes)를 여기시킨 후 0차모드만 필터링하는 기술로서, 광감쇄기의 감쇄 특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도파로형 가변 광감쇄기를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집적광학형 광감쇄기를 제공하므로 병렬 집적화가 용이하도록 하며, 광감쇄기 어레이(array) 제작에 유리한 직선 광도파로 구조이므로 기본손실이 낮고, 빛의 위상 변화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광변조기나 스위치 형태의 소자에 비해 출력의 안정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광도파로(폴리머, 실리카)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외부의 전기적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의 굴절률 섭동을 이용하므로 단일모드에서 동작하는 열광학 소자에 비해 소요 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광감쇄기의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1)는 광섬유(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사되는 신호를 단일모드로 광도파로에 결합시키며, 테퍼드(tapered) 광도파로(2)는 단일모드 광도파로에서 넓은 다중모드 광도파로(3)로 광신호를 손실 없이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는 1차 이상의 고차 광도파모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출력단 테퍼드 광도파로(4)가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서 다시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5)로 광신호를 결합시키게 된다.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5)는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서 열광학 효과에 의하여 여기된 고차의 도파모드를 제거한다. 그리고, 열선(8)은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열광학 효과에 의한 굴절률 변화를 유기시키기 위해 다중모드 광도파로(3) 영역 상에 제공된다.
본 가변 광감쇄기의 동작 원리는 광섬유로부터 입사하는 단일모드 광신호를 광도파로에서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입력광의 일부를 고차(1차 이상) 모드로 여기시킨 후, 광도파로 출력단에서 단일모드(0차모드)만을 통과시키고 고차모드는 제거함으로서 출력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광섬유로부터 입사한 빛은 광도파로 입력단에서 단일모드(0차모드)로 광도파로에 결합된다.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1)를 진행한 빛은 입력단 테퍼드 광도파로(2)를 통하여 광손실 없이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서의 0차모드로 변환된다. 만약 열선(8)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다중모드 지역의 굴절률 섭동이 없기 때문에 다중모드 광도파로 영역에서도 고차모드로의 결합 없이 0차모드만 존재하게 되며, 이는 다시 출력단 테퍼드 광도파로(4)를 통하여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5)로 광손실 없이 출력된다. 그러나, 만약 열선(8)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면 다중모드 광도파로(3) 영역에서 고차모드(1차 이상)로의 에너지 결합이 생겨나게 된다. 이러한 고차모드는 출력단 테퍼드 광도파로(4)를 거치면서 일부 필터링 되며, 최종적으로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5)에서 완전히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최종 출력은 다중모드 지역에서 여기된 고차모드의 광 에너지만큼 감쇄된 순수 단일모드(0차모드)가 출력되게 된다.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서 열선(8)에 의해 고차모드가 생겨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일모드 광도파로(1, 5)는 하나의 광도파모드(0차모드)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도파로를 의미하며, 다중모드 광도파로(3)는 0차모드뿐만 아니라 1차 이상의 광도파모드를 도파시킬 수 있는 광도파로를 의미한다. 이 경우,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 여기될 수 있는 총 도파모드의 수는 도파로의 너비 및 도파로의 굴절률 분포에 의존하게 된다.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1)와 입력단 테퍼드 광도파로(2)를 거쳐 다중모드 광도파로(3)로 입사된 빛은 다중모드 광도파로(3)에서 정의되는 0차모드로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열선(8)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면 열선(8) 하부의 다중모드 광도파로(3) 온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굴절률은 감소하게 된다. 다중모드 광도파로(3)를 진행하던 빛은 열선(8)에 의하여 굴절률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입사 경계면(6)에서부터 도파로와 열선(8)이 이루는 경사각 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사진 굴절률 변화를 겪게 된다. 따라서 진행하던 빛의 일부는 굴절률 경계면을 투과하여 계속 진행하지만, 경계면에서 반사된 일부는 열선(8)에 의해 형성된 굴절률 경계면을 따라서 경사진 열선이 끝나는 지점(7)까지 비스듬하게 진행하여 입력 경계면(6)에서 보다 직경이 작은 도파로 모드를 만들게 되고, 경계면(7) 이후부터는 다시 본래의 다중모드 광도파로(3)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열광학 효과에 의하여 변형된 도파모드는 본래 다중모드 광도파로(3)의 고유 도파모드(eigen mode)가 아니기 때문에 경계면(7) 이후의 도파로를 진행하면서 0차모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고차모드를 동시에 여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차모드로의 에너지 결합은 열광학 효과에 의한 굴절률 변화량이 커질수록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5)에서 제거되는 고차모드의 에너지 양이 많아지므로 결과적으로 광감쇄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다중모드 광도파로(3)와 열선(8)이 이루는 경사각 α가 각각 2/100 rad, 3/100 rad, 4/100 rad, 5/100 rad, 6/100 rad일 경우 열선(8) 하부의 광도파로 굴절률 감소에 따른 출력광의 감쇄 특성을 도시한 것으로, 열선의 각도 α에 따라서 동일한 굴절률 감소에 대하여도 출력광의 감쇄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시스템에서 필요한 감쇄 정도를 알면 적절한 광감쇄기를 설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성 계산에 사용된 파장은 1.55㎛이며, 클래딩층과 코아층의 유효굴절률 차이는 0.004, 입/출력 단일모드 도파로(1, 5)의 너비는 6㎛, 다중모드 도파로(3)의 너비는 30㎛, 입/출력 테퍼드 도파로(2, 4)의 길이는 2500㎛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광이 광섬유로부터 입사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는 입력광이 일반 광도파로로부터 입사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광감쇄기는 직선 도파로 형태이기 때문에 기본손실이 낮으며, 다중모드 도파로에서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기 때문에 소자의 동작 전력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도파로와 열선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서 소자의 감쇄 특성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WDM 시스템 응용을 위하여 다수의 광감쇄기를 병렬로 집적화 하기에 유리하다.

Claims (4)

  1. 입사된 광신호를 단일모드로 광도파로에 결합시키는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
    상기 광신호를 상기 입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에서 다중모드 광도파로로 결합시키기 위한 입력단 테퍼드(tapered) 광도파로;
    고차의 광도파모드를 도파시킬 수 있는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
    상기 광신호를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로 결합시키기 위한 출력단 테퍼드 광도파로;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서 여기된 상기 고차의 광도파모드를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출력단 단일모드 광도파로; 및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 입사된 상기 광신호의 일부를 상기 고차의 광도파모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에 열을 제공하되,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와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제공되는 열제공수단
    을 포함하는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모드 광도파로와 상기 열제공수단이 이루는 상기 경사각을 조절하여 출력되는 상기 광신호의 광감쇄 특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제공수단이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가 광섬유 또는 광도파로부터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KR1019980033757A 1998-08-20 1998-08-20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KR10028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757A KR100281552B1 (ko) 1998-08-20 1998-08-20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757A KR100281552B1 (ko) 1998-08-20 1998-08-20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362A true KR20000014362A (ko) 2000-03-15
KR100281552B1 KR100281552B1 (ko) 2001-02-15

Family

ID=1954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757A KR100281552B1 (ko) 1998-08-20 1998-08-20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55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48B1 (ko) * 2003-12-26 2006-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선 도파로형 열광학 가변 광 감쇄기
US8055106B2 (en) 2008-12-10 2011-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digital optical switch
WO2012060567A2 (ko) * 2010-11-02 2012-05-10 주식회사 피피아이 폴리머 삽입형 실리카 광도파로를 이용하는 전반사형 광 스위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06308B1 (ko) * 2011-12-02 2013-09-09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KR20180058619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스위치의 제조방법 및 그의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48B1 (ko) * 2003-12-26 2006-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선 도파로형 열광학 가변 광 감쇄기
US8055106B2 (en) 2008-12-10 2011-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digital optical switch
WO2012060567A2 (ko) * 2010-11-02 2012-05-10 주식회사 피피아이 폴리머 삽입형 실리카 광도파로를 이용하는 전반사형 광 스위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2060567A3 (ko) * 2010-11-02 2012-06-28 주식회사 피피아이 폴리머 삽입형 실리카 광도파로를 이용하는 전반사형 광 스위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9207403B2 (en) 2010-11-02 2015-12-08 Photonics Planar Integration Technology, Inc. Total reflection type optical switch using polymer insertion type silica optical wave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06308B1 (ko) * 2011-12-02 2013-09-09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KR20180058619A (ko) * 2016-11-23 2018-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 스위치의 제조방법 및 그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1552B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zuki et al. Integrated-optic double-ring resonators with a wide free spectral range of 100 GHz
Li et al. Silica-based optical integrated circuits
US9057839B2 (en) Method of using an optical device for wavelength locking
US86496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aveguide mode filters
US6628850B1 (en) Dynamic wavelength-selective grating modulator
EP1048971A1 (en) MMI Thermo-optic coupler
US8494023B2 (en) Composite optical waveguide, variable-wavelength laser, and method of oscillating laser
US20050207721A1 (e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20050232543A1 (en) Heating optical devices
Lierstuen et al. 8-channe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based on multimode interference couplers
US6801692B2 (en) Optical coupling structure
Lipson et al. A six-channel wavelength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for single mode systems
JP3521124B2 (ja) 基本モードの導波特性を修正するための可変屈折率コーティングを持つテーパ状の光ファイバ・デバイス
US6707969B2 (en) Digital thermo-optic switch integrated with variable optical attenuators
KR100281552B1 (ko)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CN113589429B (zh) 一种基于辅助波导的阵列波导光栅
JP2000275470A (ja) 入出力ファイバ付き平面型光波回路デバイス
CN108627919B (zh) 一种偏振不敏感的硅基光开关
JP2003029219A (ja) 平面導波路型可変光減衰器
JPH11507741A (ja) マッハ・ツェンダ・スイッチ
Keiser et 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KR100520027B1 (ko) 적어도 하나의 브래그-격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광 파장 선택 디바이스
US20030198438A1 (en) Tunable add/drop multiplexer
KR101423978B1 (ko) 열광학 가변 광감쇄기
JP2008281639A (ja) 光偏向素子、光偏向モジュール及び光スイッチモジュール、並びに光偏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