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308B1 -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 Google Patents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308B1
KR101306308B1 KR1020110128580A KR20110128580A KR101306308B1 KR 101306308 B1 KR101306308 B1 KR 101306308B1 KR 1020110128580 A KR1020110128580 A KR 1020110128580A KR 20110128580 A KR20110128580 A KR 20110128580A KR 101306308 B1 KR101306308 B1 KR 10130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rizontal
optical fiber
horizontal portion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141A (ko
Inventor
김광택
김민국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28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3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02B6/266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the optical element being an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 G02B6/35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stationary waveguides with moving interposed optical elements the optical element being a shutter, baffle, beam dump or opaqu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66Manufacturing methods
    • G02B2006/12195Tapering

Abstract

본 발명은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직경의 제1코어를 갖는 입력단 광섬유와, 제1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제2코어를 갖는 출력단 광섬유와, 입력단 광섬유의 제1코어의 종단에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1전이코어를 갖는 제1전이부와, 제1전이부로부터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1수평코어를 갖는 제1수평부분과, 제1수평부분과 이격되어 제1수평부분과 동일한 외경으로 연장된 제2수평코어를 갖는 제2수평부분과, 출력단 광섬유의 제2코어로부터 제2수평부분의 제2수평코어를 향하여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2전이코어를 갖는 제2전이부와,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2수평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제1수평부분의 제1수평코어를 통해 제2수평부분의 제2수평코어로 전송되는 광전송영역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리개를 구비한다. 이러한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에 의하면, 전송되는 광의 밀도가 낮아지게 한 후 조리개의 개구 사이즈를 조정하여 전송 광량을 조절할 수 있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광량 조정이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controll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large diameter optical fiber}
본 발명은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테이퍼진 형태의 광섬유 사이에 조리개의 개구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광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된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섬유는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용도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체의 피부조직에 광을 조사하여 피부 또는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레이저 광을 전송하는 대구경 광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구경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저 광은 인체의 피부 상태 또는 광민감성등에 따라 적절한 파워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광원 자체의 파워를 조정하는 방식은 광의 강도를 선형적으로 미세하게 변화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대구경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을 감쇄시킬 수 있는 가변 광감쇄기를 제공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는 제1직경의 제1코어를 갖는 입력단 광섬유와; 상기 제1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제2코어를 갖는 출력단 광섬유와; 상기 입력단 광섬유의 상기 제1코어의 종단에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1전이코어를 갖는 제1전이부와; 상기 제1전이부로부터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1수평코어를 갖는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과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부분과 동일한 외경으로 연장된 제2수평코어를 갖는 제2수평부분과; 상기 출력단 광섬유의 상기 제2코어로부터 상기 제2수평부분의 제2수평코어를 향하여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2전이코어를 갖는 제2전이부와; 상기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2수평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평부분의 상기 제1수평코어를 통해 상기 제2수평부분의 상기 제2수평코어로 전송되는 광전송영역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리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코어와 상기 제2코어의 외경은 0.8mm 내지 1.1mm이고, 상기 입력단 광섬유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1전이부의 상기 제1전이코어의 외주면의 연장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은 1 내지 5°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1전이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코어의 직경을 기준으로 4 내지 7배의 길이로 적용되고, 상기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2수평부분 사이의 이격거리는 1.5 내지 2.5mm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에 의하면, 전송되는 광세기 밀도가 낮아지게 광전송 횡단면적을 확장함으로써 강한 광에너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조리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개로 미세하게 대구경 광섬유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리개의 삽입영역에서의 불필요한 광에너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개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개의 개구가 개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변 광감쇄기(100)는 조리개(15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테이퍼진 형상의 광섬유가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가변 광감쇄기(110)를 구분하면, 입력단 광섬유(I), 제1전이부(T1), 제1수평부분(P1), 조리개(150), 제2수평부분(P2), 제2전이부(T2) 및 출력단 광섬유(O)로 되어 있다.
입력단 광섬유(I)는 제1직경의 제1코어(111)를 갖으며, 클래드(113)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출력단 광섬유(O)는 조리개(150)를 기준으로 입력단 광섬유(I) 맞은편에 위치하고, 입력단 광섬유(I)와 동일구조로 되어 있다.
즉, 출력단 광섬유(O)는 입력단 광섬유(I)의 제1코어(111)의 제1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제2코어(121)를 갖으며 클래드(123)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여기서, 직경이 동일한 제1코어(111)와 제2코어(121)의 외경은 고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0.8mm 내지 1.1mm인 것이 적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1.0mm인 것을 적용한다.
또한, 조리개(150)를 제외한 입력단 광섬유(I)로부터 출력단 광섬유(O)까지의 광섬유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전이부(T1)는 입력단 광섬유(I)의 제1코어(111)의 종단에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1전이코어(131)와 제1전이코어(131)를 에워싸는 클래드(11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전이부(T1)는 입력단 광섬유(I)의 제1코어(111)를 통해 전송되는 광의 전송 횡단면적을 증가시켜 횡단면상에서 전송되는 광세기의 밀도를 낮춤으로서 고출력광에 의한 후술되는 조리개(150)의 손상을 억제시키고, 조리개(150) 설치 영역을 위해 요구되는 제1수평부분(P1)과 제2수평부분(P2) 사이의 이격거리(S)의 증가에 따른 광손실도 억제시킬 수 있다.
제2전이부(T2)는 조리개(150)를 중심으로 제1전이부(T1)와 대칭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2전이부(T2)는 출력단 광섬유(O)의 제2코어(121)로부터 조리개(50) 방향 즉, 제2수평부분(P2)을 향해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2전이코어(133)와 제2전이코어(133)를 에워싸는 클래드(12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단 광섬유(I)의 연장방향과 제1전이부(T1)의 제1전이코어(131)의 외주면의 연장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a)은 1 내지 5°가 되게 적용한다.
또한, 출력단 광섬유(O)의 연장방향과 제2전이부(T1)의 제2전이코어(133)의 외주면의 연장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a)도 제1전이부(T1)와 동일하게 1 내지 5°가 되게 적용한다.
여기서, 내각(a)을 1°미만으로 적용하면 전체길이가 너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5°를 초과하게 되면 광전송 손실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제1전이부(T1)의 연장 길이(D)는 제1코어(111)의 직경을 기준으로 4 내지 7배의 길이로 적용한다.
마찬가지로 제2전이부(T2)의 연장 길이(D)도 제1전이부(T1)와 동일하게 제1코어(111)의 직경을 기준으로 4 내지 7배의 길이로 적용한다.
여기서, 제1 및 제 2전이부(T1)(T2)의 연장 길이(D)가 제1코어(111)의 직경을 기준으로 4배 미만이면 후술되는 조리개(150)의 크기를 작게 제작해야하기 때문에 제작 난이도를 증가시키고, 7배를 초과하면 규모가 너무 커지게 된다.
제1수평부분(P1)은 상기 제1전이부의 제1전이코어(131)로부터 조리개(150) 방향을 향해 수평상으로 동일 외경으로 연장된 제1수평코어(141)와, 제1수평코어(141)를 에워싸는 클래드(113)로 되어 있다.
제2수평부분(P2)은 조리개(150)를 중심으로 제1수평부분(P1)과 대칭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수평부분(P2)은 제1수평부분(P1)과 이격되어 제1수평부분(P1)과 동일한 외경으로 연장된 제2수평코어(143)와, 제2수평코어(143)를 에워싸는 클래드(123)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1수평부분(P1)과 제2수평부분(P2) 사이의 이격거리(S)는 적용하고자 하는 조리개(150)의 크기와 광전송 손실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하면 되고, 1.5 내지 2.5mm로 적용하거나 바람직하게는 2mm로 적용한다.
여기서, 이격거리(S)가 1.5mm 미만이면 조리개(150)의 장착공간 확보가 용이하기 않고, 2.5mm 이상이 되면 이격거리를 광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광손실이 커지게 된다.
조리개(150)는 제1수평부분(P1)과 제2수평부분(P2) 사이에 삽입되어 제1수평부분(P1)의 제1수평코어(141)를 통해 제2수평부분(P2)의 제2수평코어(143)로 전송되는 개구(155)에 대한 광전송 영역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리개(150)는 몸체(151)에 상호 순차적으로 겹치게 설치된 날개편(153)이 회동조작에 따라 상호 연동하면서 개구(155)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리개(150)의 개구(155) 크기를 가변시키기 위한 날개편(153)의 조작은 수동식 또는 구동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조리개(150)의 상세구조는 카메라에 채용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고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1999-0031840호, 국내 등록특허 10-1018380호 등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100)는 조리개(150)의 개구(155) 크기를 조절하여 광전송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 입력단 광섬유 T1: 제1전이부
T2: 제2전이부 P1: 제1수평부분
P2: 제2수평부분 O : 출력단 광섬유
150: 조리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제1직경의 제1코어를 갖는 입력단 광섬유와;
    상기 제1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제2코어를 갖는 출력단 광섬유와;
    상기 입력단 광섬유의 상기 제1코어의 종단에서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1전이코어를 갖는 제1전이부와;
    상기 제1전이부로부터 수평상으로 연장된 제1수평코어를 갖는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과 이격되어 상기 제1수평부분과 동일한 외경으로 연장된 제2수평코어를 갖는 제2수평부분과;
    상기 출력단 광섬유의 상기 제2코어로부터 상기 제2수평부분의 제2수평코어를 향하여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연장된 제2전이코어를 갖는 제2전이부와;
    상기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2수평부분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수평부분의 상기 제1수평코어를 통해 상기 제2수평부분의 상기 제2수평코어로 전송되는 광전송영역의 단면적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조리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코어와 상기 제2코어의 외경은 0.8mm 내지 1.1mm이며,
    상기 입력단 광섬유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1전이부의 상기 제1전이코어의 외주면의 연장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내각은 1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이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코어의 직경을 기준으로 4 내지 7배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2수평부분 사이의 이격거리는 1.5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KR1020110128580A 2011-12-02 2011-12-02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KR10130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80A KR101306308B1 (ko) 2011-12-02 2011-12-02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580A KR101306308B1 (ko) 2011-12-02 2011-12-02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41A KR20130062141A (ko) 2013-06-12
KR101306308B1 true KR101306308B1 (ko) 2013-09-09

Family

ID=4885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580A KR101306308B1 (ko) 2011-12-02 2011-12-02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62A (ko) * 1998-08-20 2000-03-15 이계철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KR20030028311A (ko) * 2001-09-29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도파로와 mems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가변 광 감쇠기
KR20050023440A (ko) * 2002-07-29 2005-03-09 쇼화덴센덴란가부시끼가이샤 광 파이버 부품
JP2008083447A (ja) 2006-09-28 2008-04-10 Toyota Central R&D Labs Inc 自己形成光導波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362A (ko) * 1998-08-20 2000-03-15 이계철 열광학 효과를 이용한 집적광학형 가변 광감쇄기
KR20030028311A (ko) * 2001-09-29 200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도파로와 mems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가변 광 감쇠기
KR20050023440A (ko) * 2002-07-29 2005-03-09 쇼화덴센덴란가부시끼가이샤 광 파이버 부품
JP2008083447A (ja) 2006-09-28 2008-04-10 Toyota Central R&D Labs Inc 自己形成光導波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41A (ko)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6061A3 (en) Low loss optical fiber
CA2683951C (en) Optical fibre amplifier
CN104094483B (zh) 具有分布式模式吸收器的大功率光纤激光器系统
BR0012719A (pt) Guia de onda ótica tendo dispersão negativa e aef grande
WO200504086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ffusing laser energy that fails to couple into small core fibers
BR0316940A (pt) Método para produzir uma lente em uma fibra óptica, e uma lente em uma guia de onda óptica
WO2008089180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through a photonic band gap crystal
US9692200B2 (en) Fiber laser
FR2974638B1 (fr)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nergie lumineuse et procede de transmission associe
DE60227397D1 (de) Variables optisches dämpfungsglied
CN101408641A (zh) 锥形微结构光纤高阶模滤波器
US201500637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mode instability in an optical waveguide
EP1884808A3 (en) Optical fibers for high power applications
BR0010012A (pt) Fibra ótica e um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a fibra ótica de dispersão de modo de polarização baixa e baixa atenuação
JP2016521851A5 (ko)
EP3885804A4 (en) MULTI-CORE OPTICAL FIBER, MULTI-CORE OPTICAL FIBER DESIGN METHOD AND OPTICAL TRANSMISSION METHOD
SG10201907359VA (en) An active optical fibre
EP2426533A3 (en) Optical fiber, optical fiber preform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101306308B1 (ko) 대구경 광섬유를 적용한 가변 광감쇄기
CN106814421A (zh) 一种高损伤阈值空芯微结构光纤
CN105182545B (zh) 激光装置
EP2778727B1 (en) Ring combiner
CN103353678A (zh) 基于磁流体和无芯光纤的磁控可调光衰减器
CN105261927A (zh) 一种超短脉冲激光器及获得长距离传输激光的方法
CN203658616U (zh) 软玻璃光子晶体光纤偏振分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