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218U -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218U
KR20000014218U KR2019980027516U KR19980027516U KR20000014218U KR 20000014218 U KR20000014218 U KR 20000014218U KR 2019980027516 U KR2019980027516 U KR 2019980027516U KR 19980027516 U KR19980027516 U KR 19980027516U KR 20000014218 U KR20000014218 U KR 200000142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ray
plate
knock
entry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7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218U/ko
Publication of KR20000014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218U/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기술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다목적 트레이에서 용지 양의 변동시에도 용지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급지 상태를 향상시킨다.
다. 그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용지의 선단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와, 용지의 후단이 적재되는 트레이 및 녹업플레이트의 선단 상측에 장착되는 픽업롤러가 본체의 적소에 구비된 프린터의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트래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일측이 고정 부착되며, 상부면이 볼록하게 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부면에 위치하는 탄성 판형 가이드 필름을 가진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본 고안은 일반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수동 급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목적 트레이에서 용지 양의 변동시에도 용지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등에서 사용되는 급지장치로는 다수매의 용지가 적재되어 본체의 하측에 장착되는 급지카세트형식(paper cassette type)과, 본체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사용자가 소량의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트레이형식(tray type)이 있다. 상기 급지 카세트 형식을 자동급지방식이라 하고, 상기 트레이형식을 수동급지방식이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트레이의 일 예시 측면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트레이형식을 살펴보면, 프린터의 본체 일측에서 필요에 따라 외측으로 개방되는 트레이(급지대) 10과, 후면에 구비되는 스프링 14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트레이 10의 내측에서 용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 12가 본체의 적소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10의 상측에는 용지를 프린터의 화상형성부(도시되지 않음)로 이송시키기 위한 픽업롤러(pick-up roller) 20이 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적재된 용지를 낱장씩 본체로 급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 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10의 양 상측단부에는 용지를 가이드하며 정돈하기 위한 가이드 16이 설치된다.
도 2a, 2b는 도 1의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양에 따른 용지 진입 각도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이다. 도 2a는 용지 18의 양이 많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용지 양이 적은(1매)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18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녹업플레이트 12와 트레이 10이 이루는 각도는 적재된 용지들의 하중 및 두께에 의해 거의 수평이 된다. 이에 따라 녹업플레이트 12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의 픽업롤러 20으로 진입하는 용지 18의 진입 각도는 픽업롤러 20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예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용지 18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녹업플레이트 12가 용지 18을 픽업롤러 20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픽업롤러 20측의 단부가 스프링 14에 의해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 10으로 진입된 용지 18은 녹업플레이트 12에서 진입단이 구부러져서 픽업롤러 20으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픽업롤러 20으로 진입하는 용지 18의 진입 각도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지 양이 많을 때의 진입 각도보다 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지 18의 진입 각도가 커지게 되면, 중송(double pickup) 상태의 발생 등 급지 상태가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목적 트레이에서 용지 양의 변동시에도 용지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급지 상태를 향상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지의 선단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와, 용지의 후단이 적재되는 트레이 및 녹업플레이트의 선단 상측에 장착되는 픽업롤러가 본체의 적소에 구비된 프린터의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일측이 고정 부착되며, 상부면이 볼록하게 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부면에 위치하는 탄성 판형 가이드 필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다목적 트레이의 일 예시 측면 구조도
도 2a, 2b는 도 1의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양에 따른 용지 진입 각도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
도 3a,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트레이의 구조도
도 4a, 4b는 도 3의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양에 따른 용지 진입 각도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 3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트레이의 구조도이다. 도 3a는 측면도이며, 3b는 사시도이다. 도 3a,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레이를 살펴보면, 본체 일측에서 외측으로 개방가능한 트레이 10과, 트레이 10의 내측에서 용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녹업플레이트 12, 스프링 14, 픽업롤러 20, 마찰패드 22 및 가이드 16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그런데, 용지 진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이 10의 하단 즉 녹업플레이트 12와 마주보는 단부에 홈 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 11에 일측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필름 24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필름 24는 전체적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상부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로 상기 녹업플레이트 12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필름 24는 PET/PVC 등의 약간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4a, 4b는 도 3의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양에 따른 용지 진입 각도를 나타낸 측면 구조도이다. 도 4a는 용지 18의 양이 많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4b는 용지 양이 적은(1매)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18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녹업플레이트 12와 트레이 10이 이루는 각도는 적재된 용지들의 하중 및 두께에 의해 거의 수평이 된다. 또한 녹업플레이트 12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는 가이드 필름 24는 용지의 무게 의해 상부 볼록한 면이 눌려져서 납작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이 된다. 이에 따라 녹업플레이트 12에 의해 가압되어 상측의 픽업롤러 20으로 진입하는 용지 18의 진입 각도는 픽업롤러 20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용지가 많은 상태에서의 각과 거의 동일한 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용지 18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녹업플레이트 12가 용지 18을 픽업롤러 20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픽업롤러 20측의 단부가 스프링 14에 의해 밀려 올라가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필름 24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부면이 다시 볼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 10으로 진입된 용지 18은 녹업플레이트 12의 상부면에 위치한 가이드 필름 24의 볼록한 면에 가이드되어 적절한 진입각을 가지며 픽업롤러 20으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픽업롤러 20으로 진입하는 용지 18의 진입 각도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지 양이 많을 때의 진입 각도와 거의 동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지 18의 진입 각도가 용지 양이 변동에 의해서도 변동되지 않으며 동일하게 되므로 급지 상태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장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지의 선단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와, 용지의 후단이 적재되는 트레이 및 녹업플레이트의 선단 상측에 장착되는 픽업롤러가 본체의 적소에 구비된 프린터의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일측이 고정 부착되며, 상부면이 볼록하게 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부면에 위치하는 탄성 판형 가이드 필름을 가짐으로, 다목적 트레이에서 용지 양의 변동시에도 용지의 진입 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여 급지 상태를 향상시킨다.

Claims (1)

  1. 용지의 선단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와, 용지의 후단이 적재되는 트레이 및 녹업플레이트의 선단 상측에 장착되는 픽업롤러가 본체의 적소에 구비된 프린터의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과,
    상기 홈에 일측이 고정 부착되며, 상부면이 볼록하게 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부면에 위치하는 탄성 판형 가이드 필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980027516U 1998-12-30 1998-12-30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KR200000142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16U KR20000014218U (ko) 1998-12-30 1998-12-30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16U KR20000014218U (ko) 1998-12-30 1998-12-30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218U true KR20000014218U (ko) 2000-07-25

Family

ID=6950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516U KR20000014218U (ko) 1998-12-30 1998-12-30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2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23B1 (ko) * 2002-08-28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급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23B1 (ko) * 2002-08-28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급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315A (en) Universal paper cassette
US4852868A (e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US4372547A (en) Sheet feed apparatus
US20020096819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automatic document using the same
US6830244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11339013B2 (en) Medium feeding apparatus
US6170817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20060163798A1 (en) Reproducing apparatus and retractable feeding apparatus thereof
EP0909733B1 (en) Sheet separating and conveying apparatus
US7011303B2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267665B2 (en) Medium feed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KR20000014218U (ko)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진입 각도 조절 장치
US7481419B2 (en) Two-way paper pickup system
US5890711A (en) Paper feeding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ink-jet printer
US7204483B2 (en) Sheet media input tray
US7883082B2 (en) Sheet feed device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sheet feed devices
JPH1053340A (ja) 給紙カセット
KR102386933B1 (ko) 인쇄용지의 분리 장치 및 프린터
US5503385A (en) Paper feeding cassette
JPH0748591Y2 (ja) 給紙トレイ
JP2008019063A (ja) 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
KR19990017804U (ko) 다목적 트레이의 용지 홀더장치
JP2001106361A (ja) 給紙装置
US20050018217A1 (en) Print media feeding system and method
JP2002152463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