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363A - 음성 통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통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363A
KR20000013363A KR1019980032185A KR19980032185A KR20000013363A KR 20000013363 A KR20000013363 A KR 20000013363A KR 1019980032185 A KR1019980032185 A KR 1019980032185A KR 19980032185 A KR19980032185 A KR 19980032185A KR 20000013363 A KR20000013363 A KR 20000013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packet
switching hub
la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363A/ko
Publication of KR2000001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3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leaky-bu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칭 허브, 랜 보드 및 피씨(PC)를 직렬 접속함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패킷과 피씨(PC)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패킷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음성 데이터 패킷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음성 통화에 대한 서비스 질(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도록 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송화기에서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201)와, 이 음성 처리부(201)에서의 출력 데이터에 헤더를 부가하여 소정 포맷의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제1 콘트롤부(202)와, 피씨(132)에서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스위칭 허브(130)로 바이-패스(by-pass)하다가 상기 제1 콘트롤부(201)로부터 음성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는 경우 그 음성 데이터 패킷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130)로 전송하는 제2 콘트롤부(203)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음성 통신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랜(LAN) 이더넷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씨의 이더넷 포트와 랜(LAN)의 전화 포트를 직접 연결함에 있어서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더넷 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 업체들은 업무의 편이 및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기 위하여 랜(LAN) 네트워크를 설치하였다.
도1 은 종래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설 구내 교환기(PBX)(111)와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114)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사설 구내 교환기(111)의 각 포트에 전화기(112)(113)가 각기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허브(114)의 각 포트에 피씨(PC)(115)(116)가 각기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일실시예에 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화기(112)와 피씨(115)가 한 장소에 위치하고 전화기(113)와 피씨(116)가 다른 한 장소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전화기(112)(113)간의 음성 통화는 사설 구내 교환기(111)를 통해 이루어지며 피씨(115)(116)간의 데이터 통신은 스위칭 허브(14)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는 도2 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허브(120)의 각 포트에 랜(LAN) 보드(121)(123) 또는 피씨(PC)(122)(124)가 각기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랜 보드(121)와 피씨(122)가 한 장소에 위치하고 랜 보드(123)와 피씨(124)가 다른 한 장소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음성 통화는 랜 보드(121)(123)간의 음성 통화 또는 피씨(122)(124)간의 데이터 통신은 스위칭 허브(120)를 통해 각기 이루어진다.
한편, 현재 여러 업체들은 랜(LAN)과 전화를 통합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전력하고 있으며 이미 여러 업체가 랜(LAN)상에서의 음성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전용 랜(LAN) 기반 단말기를 상품화하였다.
즉,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3 의 구성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허브(130)의 각 포트에 랜 보드(131,133,135)를 연결하고 그 랜 보드(131,133,135) 각각에 피씨(132,134,136)가 각기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 과정을 도4 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스위칭 허브(130)의 각 포트에 랜 보드(131)(133)(135)가 각기 접속되고 그 각각의 랜 보드(131)(133)(135)에 각각의 피씨(132)(134)(136)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배선 작업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랜 보드(131)(133)간의 통신이 개설되었다면 음성 통화 또는 피씨(132)(134)간의 데이터 통신은 상기 랜 보드(131)(133)가 접속된 스위칭 허브(130)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4 의 구성도를 예를 들면, 송화기(131a)의 음성 신호는 랜 보드(131)에 의해 스위칭 허브(130)를 통해 랜 보드(133)로 전송되며 그 전송된 음성 신호는 수화기(133b)를 통해 상대편이 인식하게 된다.
또한, 피씨(132)의 전송 데이터는 랜 보드(131)에 의해 스위칭 허브(130)으로 전송된 후 랜 보드(133)로 전송되며 그 전송 데이터는 피씨(134)로 전송된다.
따라서, 스위칭 허브(130)의 임의의 한 포트에 접속된 하나의 통신 케이블에 랜 보드(131 또는 133 또는 135)를 직접 연결한 후 그 랜 보드(131 또는 133 또는 135)의 확장 포트에 전화기 및 피씨(132 또는 134 또는 136)를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케이블 설치로 인한 이중적인 비용과 시간 소요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는 랜(LAN) 케이블과 전화 케이블이 각기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케이블 배선 작업을 위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케이블에 랜 보드를 직접 연결한 후 그 랜 보드에 전화기 및 피씨(PC)를 연결하여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데이터 통신 및 음성 통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음성 통화에 대한 우선권이 주어지지 않으므로 음성 통화의 질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스위칭 허브, 랜 보드 및 피씨(PC)를 직렬 접속함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패킷과 피씨(PC)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 패킷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음성 데이터 패킷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음성 통화에 대한 서비스 질(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하도록 창안한 음성 통신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3는 종래의 기술을 개선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4는 도3 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랜 보드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랜 보드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30 : 스위칭 허브 131,133,135 : 랜 보드
132,134,136 : 피씨(PC) 201 : 음성 처리부
202∼204 : 콘트롤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위칭 허브의 각 포트에 복수의 랜 보드를 각기 연결하고 그 각각의 랜 보드에 피씨를 각기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랜 보드는 송화기에서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와, 이 음성 처리부에서의 출력 데이터에 헤더를 부가한 후 우선권을 부여하여 소정 포맷의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제1 콘트롤부와, 피씨에서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스위칭 허브로 바이-패스(by-pass)하다가 상기 제1 콘트롤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는 경우 그 음성 데이터 패킷을 우선적으로 상기 스위칭 허브로 전송하는 제2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은 도3 과 동일하게 스위칭 허브(130)의 각 포트에 랜 보드(131,133,135)를 각기 연결하고 그 각각의 랜 보드(131,133,135)마다 각각의 피씨(132,134,136)를 각기 연결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랜 보드(131,133,135)는 도5 의 블럭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화기에서의 음성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201)와, 이 음성 처리부(201)에서의 출력 데이터에 헤더를 부가하여 소정 포맷의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제1 콘트롤부(202)와, 피씨(132)에서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스위칭 허브(130)로 바이-패스(by-pass)하다가 상기 제1 콘트롤부(201)로부터 음성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는 경우 그 음성 데이터 패킷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130)로 전송하는 제2 콘트롤부(203)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시된 도5 와 같은 구성은 음성 및 데이터 입출력 포트를 제공하는 제2 콘트롤부(203)가 자체의 MAC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 없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패킷들은 고유한 MAC 어드레스를 할당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인 이더넷 NIC(Network Interface Card)에서 사용되는 MAC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1 콘트롤부(202)를 구성하고 피씨(PC)(132/134/136)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패킷과 랜 보드 자체의 음성 데이터 패킷을 동일한 물리적 포트로 전달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위칭 허브에서 사용하는 MAC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2 콘트롤부(203)를 구성한다.
이를 도4 의 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이 개설되어 피씨(132)로부터 발생된 MAC 프레임의 데이터 패킷이 랜 보드(131)에 입력되면 제2 콘트롤부(203)는 그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변경함이 없이 그대로 바이-패스(by-pass)하여 스위칭 허브(130)으로 전송한다.
이때, 스위칭 허브(130)는 랜 보드(131)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랜 보드(133)으로 전송하며 그 랜 보드(133)는 제2 콘트롤부(203)가 데이터 패킷을 처리함이 없이 그대로 바이-패스하여 피씨(134)로 전송한다.
이 후, 피씨(134)에서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면 랜 보드(133)를 통해 스위칭 허브(13)으로 전송되고 그 스위칭 허브(130)는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랜 보드(131)로 전송함에 의해 피씨(132)의 화면에 상기 피씨(134)에서 전송된 내용이 표시되어진다.
이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전송인 경우 랜 보드(131, 133)에 구비된 제2 콘트롤부(203)가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변경함이 없이 그대로 바이-패스함으로써 피씨(132,134)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와 같이 데이터 패킷의 전송이 수행하는 중에 송화기(131a)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랜 보드(131)는 음성 처리부(201)가 상기에서의 음성 신호를 소정 포맷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1 콘트롤부(202)로 전송한다.
이때, 제1 콘트롤부(202)는 음성 처리부(201)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 자체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하여 데이터 포맷을 변경함과 아울러 우선권을 부여하여 제2 콘트롤부(203)에 입력시킨다.
이에 따라, 제2 콘트롤부(203)는 데이터 패킷을 임시 메모리에 저장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한 후 제1 콘트롤부(202)에서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 허브(130)로 전송한다.
이때, 스위칭 허브(130)가 랜 보드(131)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랜 보드(133)으로 전송하면 제2 콘트롤부(203)가 제1 콘트롤부(202)로 전송하며 그 제1 콘트롤부(202)는 음성이 전송된 상대측을 판단함과 아울러 음성 데이터 패킷의 헤더를 점검하여 음성이 전송된 상대측을 판단함과 아울러 음성 데이터만을 음성 처리부(201)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 처리부(201)가 제1 콘트롤부(202)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성 신호를 수화기(133b)에 전송함으로써 음성 신호의 전송이 종료된다.
반대로, 랜 보드(133)측에서 송화기(133a)에 입력된 음성 신호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처리되어 랜 보드(131)측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이 상호간에 수행됨에 의해 음성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 후, 음성 신호의 입력이 없으면 제2 콘트로부(203)는 데이터 패킷을 그대로 바이-패스하여 스위칭 허브(130)으로 전송함으로써 다시 피씨(132)(134)간의 데이터 통신이 시작된다.
상기의 동작 과정은 도7 의 신호 흐름도와 동일하다.
또한, 도6 의 다른 실시예는 일실시예의 제1,제2 콘트롤부(202)(203)의 기능을 모두 갖는 제3 콘트롤부(204)만을 구비한 경우로서 일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으로 동작한다.
이 경우 전화기와 피씨(132)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2개의 포트를 구비한 제3 콘트롤부(204)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중에 음성 처리부(201)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자체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하여 MAC 프레임의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우선권을 부여하여 그 음성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 허브(130)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스위칭 허브 포트를 이용하여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고 케이블 구성도 단순화할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랜(LAN)상에서 음성을 전달하는 CTI 및 LTI 분야에 적용하여 음성의 서비스질(QOS)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스위칭 허브의 각 포트에 랜 보드를 각기 연결하고 그 각각의 랜 보드에 피씨를 각기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랜 보드는 송화기에서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 처리부와, 이 음성 처리부에서의 출력 데이터에 자체의 MAC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하여 소정 포맷의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함과 아울러 우선권을 부여하는 제1 콘트롤부와, 피씨에서의 데이터 패킷을 상기 스위칭 허브로 바이-패스(by-pass)하다가 상기 제1 콘트롤부로부터 음성 데이터 패킷이 입력되는 경우 그 음성 데이터 패킷을 우선적으로 상기 스위칭 허브로 전송하는 제2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콘트롤부는 음성 데이터의 입력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에서 음성 데이터의 입력시 그 음성 데이터에 자체의 MAC 어드레스를 부가하고 우선권을 부여하여 소정 포맷의 음성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에서 변환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제2 콘트롤 블럭으로 전송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신 제어 장치.
KR1019980032185A 1998-08-07 1998-08-07 음성 통신 제어 장치 KR20000013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185A KR20000013363A (ko) 1998-08-07 1998-08-07 음성 통신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185A KR20000013363A (ko) 1998-08-07 1998-08-07 음성 통신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363A true KR20000013363A (ko) 2000-03-06

Family

ID=1954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185A KR20000013363A (ko) 1998-08-07 1998-08-07 음성 통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3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560B1 (ko) * 2000-06-20 2004-04-03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단말기의 액티브 포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랜 경로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560B1 (ko) * 2000-06-20 2004-04-03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단말기의 액티브 포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랜 경로제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2134A (en) Single-wiring network for integrated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JP3247540B2 (ja) パケット化通信装置および切替え装置
JPH0667019B2 (ja) 交換機制御方式
US20030016807A1 (en) Voice CODEC designating system
US20090296695A1 (en) Hybrid type telephony system
FI89658C (fi) Arrangemang foer styrning av en ekoslaeckare
US7599477B2 (en) Telephone system using one or several micro-computers
KR20000013363A (ko) 음성 통신 제어 장치
US6754201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line appearances on a single line for connecting multiple devices
JPH06268741A (ja) 発・着呼番号変換接続方式
KR100548238B1 (ko) 개인용 컴퓨터와 어드레스를 공유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폰 및 그의 제어방법
JP2654027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JP2654025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JP2654024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JP2654026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JP3039726B2 (ja) インタトーク制御方式
JP2003153315A (ja) 構内交換装置への収容登録方法および構内交換システム
JP2973275B2 (ja) Isdn同報方式
US20020118672A1 (en) Concentrator
JP2001186195A (ja) 音声通信システム
US20040049583A1 (en) Internet communication system
JPH03135148A (ja) 同時通信発信接続制御方式
KR20090072492A (ko) 다수의 교환 장치를 포함하는 교환 시스템 및 그의voip 통신 방법
JPH0369223B2 (ko)
JPH01284136A (ja) データ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