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270A -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270A
KR20000013270A KR1019980032033A KR19980032033A KR20000013270A KR 20000013270 A KR20000013270 A KR 20000013270A KR 1019980032033 A KR1019980032033 A KR 1019980032033A KR 19980032033 A KR19980032033 A KR 19980032033A KR 20000013270 A KR20000013270 A KR 2000001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er information
alarm
memory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6277B1 (ko
Inventor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2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속하는 기술분야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
음성다이얼링 기능을 가지고, 상기 음성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음성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한 전화번호와 경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모리와, 전화번호부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 저장영역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발신자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 발생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정보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발신자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해당 경보를 발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들 중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없으면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음성메모리의 전화번호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본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통신단말기의 호 착신 시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착신 시 검출되는 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통신단말기는 호 착신 시 사용자 서비스 측면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알럿 위드 인포메이션 메시지(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휴대통신단말기는 상기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누구로부터 전화가 왔는지를 알 수 있도록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휴대통신단말기는 호 착신되어 발신자 정보가 검출되면 사용자에게 호가 착신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해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 모드로는 다수의 멜로디 및 링음 등과 같은 음으로 출력하는 경보음 사운드(Sound) 모드와 진동으로 출력하는 진동(Vibration)모드와, 램프(Ramp) 점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램프 점멸은 상기 경보음 사운드모드 또는 진동모드와 함께 사용된다. 사용자가 상기 경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휴대통신단말기는 상기 경보 선택 이후에 착신되는 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경보를 발생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 착신 시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경보만을 획일적으로 들어야 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키를 입력하여 경보를 바꿔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착신 시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발신자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다이얼번호를 비교하여 착신된 발신자에 따라 서로 다른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 착신 시 검출된 발신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발신자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음성다이얼링을 위한 다이얼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상기 음성다이얼링을 위해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성다이얼링 기능을 가지고, 상기 음성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음성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한 전화번호와 경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모리와, 전화번호부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 저장영역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발신자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 발생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정보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발신자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해당 경보를 발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들 중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없으면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음성메모리의 전화번호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음 발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 10은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보코더 15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코딩 또는 디코딩한다. 음성메모리20은 <표 1>과 같이 음성다이얼링(Voice Dialing)을 위한 다수의 음성데이터와 상기 각 음성데이터에 대한 다이얼번호와 경보를 저장한다.
음성데이터 전화번호 경보
홍길동 02-123-1234 톤 사운드
차돌이 0342-111-2222 제1멜로디(봄)
임꺽정 015-123-4567 제2멜로디(터키 행진곡)
장길산 011-345-6789 진동
:: :: ::
메모리 25는 디폴트(Default) 경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운드 태스크(SND_TASK) 영역과, 다수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부 영역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화번호부는 이름 필드와 다이얼번호 필드 그리고 경보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경보 필드는 <표 2>과 같이 상기 전화번호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이름 또는 전화번호에 대한 경보로서, 이름마다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이름 전화번호 경보
홍길동 02-123-1234 톤 사운드
차돌이 0342-111-2222 제1멜로디(봄)
임꺽정 015-123-4567 제2멜로디(터키 행진곡)
장길산 011-345-6789 진동
:: :: ::
키입력부 30은 다수의 숫자키와 특수한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키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0으로 제공한다. 표시부 40은 상기 키입력부 30에서 입력된 키데이터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10에서 입력받아 표시하고, 휴대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발신자 정보다수의 정보를 문자 및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코덱 50은 마이크(MIC)에서 입력하는 음성신호를 부호화 하여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 15로 인가하고, 상기 보코더 15에서 입력하는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복호화 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음성을 출력한다. RF부 60은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복조 한다. 베이스밴드 아날로그부 70은 상기 RF부 60에서 입력하는 중간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보코더 15로 인가하고, 상기 보코더 15에서 입력하는 코딩된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부 60으로 출력한다. 발신자 정보 검출부 80은 상기 보코더 15에서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발신자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통신단말기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RF부 60은 상기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복조한다. 복조된 중간주파수 신호는 베이스밴드 아날로그부 70으로 입력한다. 베이스밴드 아날로그부 70은 상기 중간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는 채널 압축된 신호로서, 보코더 15로 입력한다. 상기 보코더 15는 상기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압축 해제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데이터가 음성데이터면 코덱 50으로 출력하고, 일반 데이터이면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일반 데이터는 발신자 정보 검출부 80으로 입력하고, 상기 일반 데이터를 입력받은 발신자정보 검출부 80은 상기 데이터로부터 발신자정보를 검출하여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상기 발신자정보는 발신측에 대한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등의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 10은 상기 발신자정보 검출부 80에서 입력하는 발신자정보를 입력받아 도2의 과정을 수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기의 발신자정보를 이용한 경보 발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발신자정보 검출부 80에서 발신자정보가 검출되기 전에 제어부 10은 201단계에서 상기 발신자정보 검출부 80에서 발신자정보가 입력되는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이때 발신자정보 검출부 80으로부터 발신자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 10은 203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발신자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음성메모리 20의 음성다이얼링을 위해 음성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205단계로 진행하여 음성메모리 20의 전화번호 중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동일한 것이 있으면 제어부 10은 219단계로 진행하고, 동일한 것이 없으면 207단계로 진행한다.
음성메모리 20의 전화번호 중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없어 제어부 10이 207단계로 진행하면 메모리 25의 전화번호부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 저장영역의 전화번호와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를 비교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 10은 209단계에서 상기 전화번호부 저장영역의 전화번호들 중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가 있으면 제어부 10은 211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 40에 표시하고,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자 경보를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209단계에서 메모리 25의 전화번호부 영역의 전화번호들 중 발신자정보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없으면 215단계에서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 40에 표시한 다음, 217단계에서 메모리 25에 저장되어 있는 사운드 태스크(SND_TASK)에 저장되어 있는 경보를 발생한다.
반면, 205단계에서 219단계로 진행한 제어부 10은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 40에 표시하고, 22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1단계에서 제어부 10은 볼륨 레벨을 최대로 설정한다. 이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사용자가 스피커를 귀에 대지 않고 듣기에는 너무 작기 때문이다. 상기 221단계에서 볼륨 레벨을 최대로 설정한 다음 제어부 10은 2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음성메모리 20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를 독출하여 코덱 50으로 인가한다. 코덱 50은 상기 음성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한 음성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음성데이터가 "홍길동"이라면 스피커를 통해 "홍길동"을 출력하고, 음성출력 횟수를 카운트한다(도시하지 않음: 음성출력 횟수 초기 값은 "0"이다). 상기 222단계에서 해당 음성이 출력된 다음, 제어부 10은 223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음의 설정은 상기 <표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으나 별도의 다른 경보를 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해당 경보가 발생하면 제어부 10은 2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카운트된 음성출력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했는지를 검사한다. 제어부 10은 상기 음성출력 횟수가 일정횟수를 초과할 때까지 222단계의 음성출력과 223단계의 해당 경보음 발생을 토글 형식으로 반복해서 출력한다. 이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은 경보에 비해 호 착신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성출력과 경보를 토글시켜 출력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한 사용자에 따라 경보를 다양하게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기만의 경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들려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더 빨리 발신자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음성다이얼링 기능을 가지고, 상기 음성다이얼링을 위한 다수의 음성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한 전화번호와 경보를 저장하고 있는 음성메모리와, 전화번호부 기능을 위한 전화번호 저장영역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발신자정보를 수신하는 휴대통신단말기의 경보 발생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정보 검출부로부터 발신자정보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발신자정보가 검출되면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해당 경보를 발생하는 제2과정과,
    상기 메모리의 전화번호들 중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없으면 상기 발신자정보의 전화번호와 상기 음성메모리의 전화번호들을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동일한 것이 있으면 해당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과 제3과정에서 발신자 정보의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가 음성메모리와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으면 발신자정보를 표시한 다음, 디폴트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 4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에서 상기 음성을 출력한 다음, 경보를 발생하는 제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과 경보를 일정횟수 동안 반복해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2033A 1998-08-06 1998-08-06 발신자정보를이용한휴대통신단말기의경보음발생방법 KR10039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033A KR100396277B1 (ko) 1998-08-06 1998-08-06 발신자정보를이용한휴대통신단말기의경보음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033A KR100396277B1 (ko) 1998-08-06 1998-08-06 발신자정보를이용한휴대통신단말기의경보음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70A true KR20000013270A (ko) 2000-03-06
KR100396277B1 KR100396277B1 (ko) 2003-11-10

Family

ID=1954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033A KR100396277B1 (ko) 1998-08-06 1998-08-06 발신자정보를이용한휴대통신단말기의경보음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2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674A (ko) * 1999-05-25 2000-12-15 강성열 발신자 전화번호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폰 단말기
KR20020073879A (ko) * 2001-03-16 2002-09-28 유기웅 발신자에 따라 설정된 콜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전화기의 콜모니터링방법
KR100432143B1 (ko) * 2001-08-31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번호의 음성표시 방법
KR100441668B1 (ko) * 2001-10-30 2004-07-27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착신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0739662B1 (ko) * 2000-07-18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확인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239A (ko) * 1994-11-24 1996-06-17 정장호 발신자 확인 기능을 갖는 다기능 전화기 및 그의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674A (ko) * 1999-05-25 2000-12-15 강성열 발신자 전화번호 및 발신자 정보 전송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휴대폰 단말기
KR100739662B1 (ko) * 2000-07-18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자 확인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그를 이용한 송신자확인방법
KR20020073879A (ko) * 2001-03-16 2002-09-28 유기웅 발신자에 따라 설정된 콜모니터링 신호를 출력하는전화기의 콜모니터링방법
KR100432143B1 (ko) * 2001-08-31 2004-05-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번호의 음성표시 방법
KR100441668B1 (ko) * 2001-10-30 2004-07-27 주식회사 거원시스템 착신 대기 중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6277B1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96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ming call for use with the same
KR1007134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100396277B1 (ko) 발신자정보를이용한휴대통신단말기의경보음발생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JP3631695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リモート操作方法
KR200242884Y1 (ko) 발신자정보 음성발생장치
KR20030018951A (ko) 발신자 번호의 음성표시 방법
KR20030056068A (ko)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KR100439224B1 (ko)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JPH1075470A (ja) 通信装置
JPH11341567A (ja) 携帯電話端末
KR100268236B1 (ko) 휴대용 무선 전화단말기에서 착신음 뮤트방법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20000027956A (ko) 무선단말기의 정숙모드 설정 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20050025458A (ko) 휴대단말기의 착신 경보 방법
JP2000224270A (ja) 電話装置
KR200400933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긴급수신모드 구현 방법
KR200400219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자 알림방법
KR200300395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업자번호를 부가하여 발신하는 방법
JP2004007054A (ja) 通信装置
KR2004001786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링 신호 출력 전환 장치 및 방법
JP2000253105A (ja) 電話装置
KR20030026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착신모드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705

Effective date: 2003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