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112A - 폭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후강판의 폭내기 압연방법 - Google Patents

폭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후강판의 폭내기 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112A
KR20000013112A KR1019980031789A KR19980031789A KR20000013112A KR 20000013112 A KR20000013112 A KR 20000013112A KR 1019980031789 A KR1019980031789 A KR 1019980031789A KR 19980031789 A KR19980031789 A KR 19980031789A KR 20000013112 A KR20000013112 A KR 20000013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
work roll
width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527B1 (ko
Inventor
정병완
서재형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8-003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527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2Lateral spread control; Width control, e.g. by edg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6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12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5/00Forming parameters
    • B21B2265/12Rolling load or rolling pressure; rol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02Roll dimensions
    • B21B2267/06Roll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7/00Roll parameters
    • B21B2267/26Hardness of the rol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1/00Mill stand parameters
    • B21B2271/02Roll gap, screw-down position, draf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판압연에서의 폭내기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압연롤의 열팽창 수축치와 마모량을 모두 고려하여 롤 간극을 보상하므로써 폭내기후의 폭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후강판의 폭내기압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먼저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 지지롤의 마모량(BRwear), 작업롤의 열팽창량(WRther), 및 작업롤의 열수축량(WRcont)을 계산하여 이 계산치들로부터 작업롤의 간극을 보상한 다음, 이 작업롤 간극 보상량을 기초로 롤 간극을 설정하므로써 폭내기압연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폭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후강판의 폭내기압연방법
본 발명은 후판압연에서의 폭내기압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롤의 열팽창 수축치와 마모량을 모두 고려하여 롤 간극을 보상하므로써 폭내기후의 폭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후강판의 폭내기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 또는 분괴압연기에 의해 제조된 슬라브는 가역압연기를 사용해서 후판제품으로 생산한다. 후판제품을 생산하는 압연공정에서는 조압연기에 의해 먼저 고르기압연과 폭내기압연을 행한 다음, 폭내기압연된 압연재를 사상압연기에 의해 최종 목표치수대로 사상압연한다. 이를 조압연과정에서의 압연공정을 나타내고 있는 도1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조압연공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슬라브(1a)를 판길이방향으로 고르기압연해서 폭내기압연조건을 갖추도록 슬라브(1a)의 두께를 균일하게 고르기를 행한다. 소위 고르기압연공정(X)에 의해 고르기압연완료재(1b)를 얻는다. 다음에 이것을 90。 수평회전해서 고르기 압연완료재(1b)를 폭방향으로 압연해서 소정의 폭치수를 확보한다. 소위 폭내기 압연공정(Y)에 의해 폭내기압연완료재(1c)를 얻는다. 그리고 나서 다시 이것을 90。 수평회전해서 폭내기압연완료재(1c)를 소정의 판두께, 길이 및 기계적 성질이 얻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압연해서 목표치수를 얻는 사상압연공정(Z)를 행하여 압연완료재(1)를 얻는다.
앞에서 설명한 폭내기 압연공정(Y)가 완료된 후의 폭내기 압연완료재(1c)의 폭정도는 압연을 종료한 판의 길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폭내기후의 폭이 압연 목표폭보다 더 큰 경우는 강판의 길이가 짧아져서 제품의 길이를 만족할 수 없으므로 불량처리된다. 또한, 폭내기후의 폭내기압연완료재(1c)의 폭이 목표폭보다 작은 경우는 강판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절단할 때, 폭내기 압연완료재(1c)의 양쪽 에지부(edge portion)를 절단함에 있어 절단기에 물리는 크롭(crop)의 양이 적으므로 절단면이 불량하게 되거나 폭 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폭내기 압연후의 폭정도가 저하되는 원인은 롤 간극 설정 정도, 길이방향 압연시 폭 퍼짐량의 정확한 계산 및 롤마모나 열팽창에 따른 롤 간극 변화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원인은 도2와 같이, 후판압연기(10)의 롤간극(H)가 압연롤(11)(12)의 교체후 계속 변하기 때문이다.
즉, 롤 교체후 초기에는 도2b와 같이, 압연후 소재의 두께가 Hb를 나타내지만, 압연롤의 열팽창과 마모에 의해 롤 간극이 변하는 경우 롤 간극 설정치가 동일하더라도 압연진행에 따라 롤이 열팽창되어 직경이 커지므로 도2a와 같이, 두께가 Ha로 되어 롤교체 초기의 두께보다 얇아진다. 또한, 압연시간 경과에 따라 롤의 마모가 증가되면 도2c와 같이, 직경이 점점 작아져서 압연후 두께는 Hc로서 롤교체 초기대비 더 두꺼워지게 된다.
예를들면, 압연작업롤 직경이 열팽창에 의해 상하를 합쳐서 1mm 커졌다고 가정하면 실제 롤 간극도 1mm작아지게 된다. 만일 두께×폭×길이가 220mm×1600mm×3000mm인 슬라브를 고르기 및 폭내기압연하는 경우 편의상 계산에서 폭방향의 퍼짐량을 고려하지 않고 표1과 같은 고르기 및 폭내기압연 목표치수로 압연을 했을 때, 상기에서와 같이 롤의 열팽창에 의해 롤간극이 1mm 작아진 상태에서 롤간극의 보상없이 작업하면, 표2에서 처럼 폭내기 후의 폭은 고르기 및 폭내기 후의 실두께가 164mm, 81.5mm로 작아져서 결과적으로 폭이 19mm 더 큰 값을 나타낸다.
이와 반대로 압연량 증가에 의해 롤마모량이 1mm 발생한 경우는 폭내기후의 폭이 19mm 작아지게 된다.
구분 두께(mm) 폭(mm) 길이(mm)
압연목표치수 15.0 3200 22000
고르기압연 목표치수 165 1600 4000
폭내기압연 목표치수 82.5 3200 -
구분 두께(mm) 폭(mm) 길이(mm)
롤의 열팽창이 1mm발생시 고르기압연후의 실제치수 164 1600 4024
폭내기압연후의 실제치수 81.5 3219 4024
롤 마모가 1mm발생시 고르기압연후의 실제치수 166 1600 3976
폭내기압연후의 실제치수 83.5 3181 3976
한편, 상기 압연롤 교체후의 압연시간 경과에 따라 롤의 열팽창 및 마모현상은 도2d와 같은 양상을 나타낸다. 열팽창량은 도2d와 같이, 압연롤 교체후 점점 증가하여 일정시간에 도달하면 포화상태를 이루어 더 이상 열팽창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 마모량은 압연시간경과에 따라 롤마모량이 계속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결국, 롤의 직경변화는 상기 열팽창 및 마모에 의한 롤직경 변화량의 합으로 표시된다. 결국, 롤 교체후의 롤 마모 및 열팽창은 폭내기 편차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도3은 그 일례로서, 목표로 하는 후판의 폭에 따라 발생한 폭내기 오차에 대한 산포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통상 압연롤을 교체한 후, 압연롤이 열팽창 및 마모에 의해 직경이 변하여도 정확한 폭내기를 위해서는 롤의 열팽창, 수축 및 마모량을 압연이력에 의해 계산하여 보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롤 간극을 보상하는데 종래에는 주로 조업자가 경험에 의해 행하여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조업자별 숙련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조업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후판압연기에서 압연롤 교체후 압연롤의 열팽창과 마모량을 계산하여 이 값을 고르기압연 및 폭내기압연중에 두께 제어를 위한 롤 간극 설정식에 포함시켜 계산하므로써, 롤 간극 보상에 의해 폭내기 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폭내기압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는 통상적인 조압연공정에서의 압연과정을 보이는 모식도
도2a 내지 도2c는 후판압연기의 롤간극변화에 따른 소재두께변화를 보이는 모식도
도2d는 열팽창과 마모량에 기인한 후판압연기의 롤직경에 대한 경시변화 그래프
도3은 목표로 하는 강판의 폭과 그 때 발생된 폭내기 오차에 대한 산포도
도4는 후판압연기의 작업롤 교체후 시간에 따른 롤의 열팽창변화를 보이는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폭내기압연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폭내기압연 적용 유무에 따른 폭편차 변화를 보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 슬라브(1a) 1b ...... 고르기 압연완료재
1c ...... 폭내기압연완료재 10 ...... 후판압연기
11 ...... 작업롤 12 ...... 지지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작업롤과 지지롤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압연기에서 고르기압연과 폭내기압연하는 조압연공정;과 상기 조압연공정에서 폭내기압연된 폭내기압연재를 사상압연기에서 최종 목표치수로 마무리압연하는 사상압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현재 작업중인 작업롤이 새로 교체조립된 작업롤이면 그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과 더불어 열팽창량(WRther) 및 지지롤의 마모량(BRwear)을 제로로 설정하고, 현재 작업중인 작업롤이 새로 조립된 작업롤이 아니면 교체조립이전의 임의의 작업롤에 대한 압연이력과 실마모량의 관계로부터 회귀분석을 통하여 그 작업롤의 마모계수(Cf1) 정보를 사전에 구한 다음, 압연하고자 하는 소재에 대한 최종 목표 압연재의 폭(B)과 길이(L)를 정하고, 상기 소재에 대한 압연하중(P)을 실측한 후, 압연재와 작업롤의 접촉투영 길이(ℓd) 및 직경(Dw)을 구하여 수식1에 의해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을 계산하는 단계;
그 다음, 교체조립이전의 임의의 지지롤에 대한 압연이력과 실마모량의 관계로부터 회귀분석을 통하여 그 지지롤의 마모계수(Cf2) 정보를 사전에 구한 다음, 현재 지지롤의 전체길이(Lb)와 직경(Db)를 측정하여 수식2를 통해 지지롤의 마모량(BRwear)을 계산하는 단계;
그 다음, 상기 압연하고자 하는 소재에 대한 최종 목표 압연재의 폭(B), 압연재의 실측된 입측온도(Tm), 압연재와 작업롤의 접촉투영 길이(ℓd), 압연시간(Tr)와 작업롤의 열팽창계수(Cr)을 수식3에 대입하여 작업롤과 압연재의 접촉에 의한 작업롤의 열팽창량(WRther)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재에 대해 실제 압연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비압연시간(Tc)를 측정하고, 단위시간당 냉각수량(Qc)을 수집하여 열수축계수(Cc)를 수식4에 대입하여 압연중지중의 냉각에 따른 작업롤의 열수축량(WRcont)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구한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 열팽창량(WRther), 열수축량(WRcont) 및 지지롤의 마모량(BRwear)으로부터 수식5를 이용하여 작업롤의 간극에 대한 보상치(RGcom)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와 같이 계산된 작업롤의 간극 보상치(RGcom)에 따른 작업롤의 간극을 수식6에 의해 계산하고, 이 계산값에 의해 작업롤의 간극을 조정하여 최종 목표 압연폭까지 소재를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폭내기 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폭내기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르기 및 폭내기압연을 조압연기에서 실시하고, 폭내기압연재를 사상압연기에서 최종 목표치수로 마무리압연하는 후판압연공정에 매우 유용하다. 그중에서도 본 발명은 도2b와 같이 작업롤(work roll)(11)과 지지롤(back-up roll)(12)로 구성된 가역식 후판 조압연기(10)에서의 폭내기압연에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은 먼저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 지지롤의 마모량(BRwear), 작업롤의 열팽창량(WRther), 및 작업롤의 열수축량(WRcont)을 계산하여 이 계산치들로부터 작업롤의 간극을 보상한 다음, 이 작업롤 간극 보상량을 기초로 롤 간극을 설정하므로써 폭내기압연을 행하는 방법이다.
우선, 작업롤과 지지롤의 마모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업롤의 마모량은 압연하중, 압연재와의 상대미끄럼, 작업롤의 마찰계수, 롤의 재질 등의 많은 인자에 의해 지배된다. 그러나, 이들 인자를 전부 고려한 작업롤의 마모량에 대한 계산은 매우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계산식을 적용한다.
즉, 본 발명의 작업롤의 마모량에 대한 계산식은 단위면적당 압연하중과 작업롤과 압연재의 동일점에서의 접촉회수와의 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해서 수식1과 같은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P : 압연하중(톤)
B : 압연재의 폭(mm)
L : 압연재의 길이(mm)
ℓd : 압연재와 작업롤의 접촉투영 길이(mm)
Dw : 작업롤의 직경(mm)
Cf1: 작업롤의 마모계수
수식1의 경우 P/(B·ℓd)는 (압연하중)/(압연재와 롤 접촉면적)로서 단위면적당 압연하중을 나타내며, L/(π·Dw)는 (압연판의 길이)/(롤 원주길이)로서 동일점에서 롤과 압연재의 접촉회수를 의미한다.
또한, 작업롤 마모계수(Cf1)는 롤의 재질, 상대미끄럼 상태, 압연온도에 의해서 결정되는 요인으로서, 새로 교체이전에 압연완료한 작업롤에 대해 압연이력과 실마모량의 관계에서 회귀분석을 통하여 구한다. 상기 작업롤 마모계수는 작업롤 기준직경이 1160mm인 경우 약 1.091×10-3~ 1.189×10-3, 정도의 값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압연재의 폭(B)과 길이(L)는 압연하고자 하는 압연재의 최종 목표치이고, 압연하중(P)은 실측된 값이다.
다음에, 지지롤의 마모량 계산식은 기본적으로 작업롤과 동일하나 지지롤과 접촉하는 물체가 압연재가 아니고, 작업롤이므로 단위 압연하중은 `압연하중/지지롤 길이'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수식2와 같이 구성된다.
Lb : 지지롤 전체길이(mm)
Db : 지지롤 직경(mm)
Cf2: 지지롤 마모계수
여기서, 지지롤 마모계수(Cf2)는 롤 재질에 의해서 결정되는 요인으로서, 압연완료후 교체한 지지롤에 대해 압연이력과 실마모량의 관계에서 회귀분석을 통해 구하고, 지지롤의 길이와 직경은 실측한다. 상기 지지롤 마모계수는 기준직경 2000mm 일 경우 1.89×10-3~ 2.11×10-3이 적당한 값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 작업롤의 열팽창과 수축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4는 실제 압연롤의 교체후 압연과 압연중지에 따라 롤의 열팽창량과 열수축량을 보이고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의 교체후 열팽창량은 초기에제한치인 e점까지 도달된 다음에는 더 이상 팽창하지 않으며, 압연중지시점인 f점에서는 수축에 의해 열팽창량이 감소하여 제한치 이하로 내려가게 된다. 이후 다시 g점에서 압연이 시작되면 롤의 열팽창량은 증가되어 다시 제한치 h점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압연과 압연중지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작업롤의 열팽창량 계산식은 압연재의 온도, 가공열, 마모열, 압연재길이, 패스간 비압연시간 소재와 롤간 열전도도 등 수 많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이들 인자를 모두 고려하여 열팽창 계산식을 구성하려면 실조업에서 수 많은 데이터를 수집해야 하고, 계산식 자체도 매우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업실적의 회귀분석에 의한 간편식을 사용한다. 압연에 의한 롤의 열팽창은 압연재 온도가 높을수록, 압연재와 롤의 접촉면적이 클수록 압연시간이 길수록 큰 값을 나타내므로 수식3과 같이 구성된다.
WRther = Cr·Tm·B·ℓd·Tr
Cr : 작업롤의 열팽창계수
Tm : 압연재의 실측된 입측온도(Tm)
B : 최종 목표 압연재의 폭
ℓd : 압연재와 작업롤의 접촉투영 길이
Tr : 압연시간
여기서, 압연에 의한 롤 열팽창 영향계수(Cr)은 조압연기에서 일정 두께까지압연후 실두께를 측정하여 압연이력과 측정두께의 관계에서 구한다. 이때, 압연재의 두께 측정은 마이크로미터나 사상압연기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방사선 두께계를 이용한다. 열팽창 영향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동일한 치수의 압연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두께 계산식에서 밀정수(mill module)의 정확도 등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작업롤의 열팽창계수는 롤직경이 1160mm인 경우 2.392×10-3~ 2.608×10-3로 조사되었다.
상기 열팽창 계산치는 도4와 같이 일정치(α)로 제한해야 한다. 예를들면, 열팽창량제한치(α)는 압연롤의 치수 조업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작업롤의 온도는 보통 55~60℃로 관리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열팽창계수를 고려할 때 약 0.70mm와 같이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작업롤의 수축량 계산식은 롤 표면적이 클수록, 냉각수량이 많을수록, 비압연시간이 길수록 큰 값을 나타내므로 수식4와 같이 구성된다.
WRcont = Cc·Dw·Qc·Tc
Cc : 작업롤의 열수축계수
Dw : 작업롤의 직경
Qc : 단위시간당 냉각수량(Qc)
Tc : 비압연시간
여기서, 롤 수축영향계수(Cc)는 압연기를 공회전시키면서 롤간극의 변화를 시간대별로 측정하여 구한다.
상기 롤수축영향계수는 계절에 따른 냉각수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인자로서 냉각수 온도가 15~30℃의 범위에 있을 때 2.59×10-7~ 3.22×10-7이 적당한 값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지지롤은 소재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작업롤을 통한 간접적인 열이동이고, 냉각수에 의해 계속 냉각되므로 지지롤의 온도변화는 매우 작아서 무시할 정도이므로 별도로 계산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마모 및 열팽창계산식이 작성되면 압연 각 패스별로 작업롤 마모량, 지지롤 마모량, 작업롤 열팽창량 및 수축량을 구하고, 수식5를 이용하여 롤간극 보상량(RGcom)을 구한다.
RGcom = -WRwear -BRwear + WRther - WRcont
그 다음, 수식6을 이용하여 롤간극설정량(screw down;SD)을 구하여 스크류하강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롤간극을 설정한다.
SD = TH - RF/ MM + So + RGcom
TH : 출측두께
RF : 계산압연하중(roll force)
MM : 밀 정수(mill module)
So : 롤간극 영점 보정치
이와같은 계산과정을 통해 롤 간극을 설정하는 본 발명의 폭내기압연을 위한 롤 간극 설정 순서는 도5에 상세히 보이고 있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폭내기압연은 제1단계로서, 새로 작업롤을 교체했을 경우는 지금까지 누적계산하였던 작업롤 마모량, 지지롤 마모량, 및 열팽창량을 삭제하여 초기화시킨다.
여기서, 지지롤 마모량을 삭제하는 이유는 작업롤 교체후에는 스크류하강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롤간극을 다시 0점 조정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마모량은 0점조정에 의해 소멸되기 때문이다. 만약 작업롤을 교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경우에는 현재까지의 누적 마모량 및 열팽창량 실적에 다음 압연재에 대한 작업롤 마모량, 지지롤 마모량, 작업롤 열팽창량 및 작업롤 수축량을 수식1, 2, 3, 및 4에 의해 계산한다.
그 다음, 수식6을 이용하여 작업롤의 간극 보상량을 구한 후, 수식6을 이용하여 작업롤의 간극 설정치를 구하고, 이 설정값을 기준으로 스크류하강구동장치를 이용하여 롤간극을 설정한 후 압연을 실시한다. 이후는 앞에서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두께 220~250mm× 폭 1500~2250mm ×길이 2500~4000mm인 슬라브를 후판압연기를 통해 최종 압연재의 목표치수를 두께 6~120mm×폭 1500~4650mm ×길이 15000~45000mm인 후판을 약 500매 정도 제조하고, 본 발명의 적용 유무에 따른 폭오차를 측정하여 도6에 나타내었다.
도6은 본 발명방법 사용전후의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개선전(도6a)에는 폭내기오차가 평균 11.5mm, 편차(1σ) 12.5mm이지만, 개선후(도6b)에는 평균 7.1mm, 편차(1σ) 7.6mm로서 폭내기정도가 매우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롤교체후 압연롤의 열팽창 및 마모량 계산식을 실조업 데이터에 의해 도출하고, 실압연시 롤의 마모 및 열팽창 계산식에 의해 롤간극 변화량을 구해 이 값을 이용하여 롤간극을 설정하므로써, 고르기 및 폭내기 압연시 정확한 두께를 제어하여 폭내기 정도에 매우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작업롤과 지지롤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압연기에서 고르기압연과 폭내기압연하는 조압연공정;과 상기 조압연공정에서 폭내기압연된 폭내기압연재를 사상압연기에서 최종 목표치수로 마무리압연하는 사상압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강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현재 작업중인 작업롤이 새로 교체조립된 작업롤이면 그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과 더불어 열팽창량(WRther) 및 지지롤의 마모량(BRwear)을 제로로 설정 하고, 현재 작업중인 작업롤이 새로 조립된 작업롤이 아니면, 교체조립이전의 임의의 작업롤에 대한 압연이력과 실마모량의 관계로부터 회귀분석을 통하여 그 작업롤의 마모계수(Cf1) 정보를 사전에 구한 다음, 압연하고자 하는 소재에 대한 최종 목표 압연재의 폭(B)과 길이(L)를 정하고, 상기 소재에 대한 압연하중(P)을 실측한 후, 압연재와 작업롤의 접촉투영 길이(ℓd) 및 직경(Dw)을 구하여 수식1에 의해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을 계산하는 단계;
    그 다음, 교체조립이전의 임의의 지지롤에 대한 압연이력과 실마모량의 관계로부터 회귀분석을 통하여 그 지지롤의 마모계수(Cf2) 정보를 사전에 구한 다음, 현재 지지롤의 전체길이(Lb)와 직경(Db)를 측정하여 수식2를 통해 지지롤의 마모량(BRwear)을 계산하는 단계;
    그 다음, 상기 압연하고자 하는 소재에 대한 최종 목표 압연재의 폭(B), 압연된 압연재의 실측된 입측온도(Tm), 압연재와 작업롤의 접촉투영 길이(ℓd), 압연시간(Tr)와 작업롤의 열팽창계수(Cr)을 수식3에 대입하여 작업롤과 압연재의 접촉에 의한 작업롤의 열팽창량(WRther)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압연재에 대해 실제 압연이 진행되고 있지 않은 비압연시간(Tc)를 측정하고, 단위시간당 냉각수량(Qc)을 수집하여 열수축계수(Cc)를 수식4에 대입하여 압연중지중의 냉각에 따른 작업롤의 열수축량(WRcont)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구한 작업롤에 대한 마모량(WRwear), 열팽창량(WRther), 열수축량(WRcont) 및 지지롤의 마모량(BRwear)으로부터 수식5를 이용하여 작업롤의 간극에 대한 보상치(RGcom)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계산된 작업롤의 간극 보상치(RGcom)에 따른 작업롤의 간극을 수식6에 의해 계산하고, 이 계산값에 의해 작업롤의 간극을 조정하여 최종 목표 폭을 완료할 때까지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폭내기 오차 정도가 개선되는 폭내기압연방법
KR10-1998-0031789A 1998-08-04 1998-08-04 폭오차정도가개선되는후강판의폭내기압연방법 KR10037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789A KR100376527B1 (ko) 1998-08-04 1998-08-04 폭오차정도가개선되는후강판의폭내기압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789A KR100376527B1 (ko) 1998-08-04 1998-08-04 폭오차정도가개선되는후강판의폭내기압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12A true KR20000013112A (ko) 2000-03-06
KR100376527B1 KR100376527B1 (ko) 2003-11-28

Family

ID=1954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789A KR100376527B1 (ko) 1998-08-04 1998-08-04 폭오차정도가개선되는후강판의폭내기압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5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6527B1 (ko) 200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87284A1 (ja) 圧延スタンドのロール摩耗分散方法および圧延システム
JPH0635007B2 (ja) 1基のストリップ材料圧延用の圧延機の制御方法
GB2042389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width of slab during hot rough-rolling
EP405477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roll gap in a rolling mill
CN109365542B (zh) 一种粗轧立辊磨损的计算方法
KR100376527B1 (ko) 폭오차정도가개선되는후강판의폭내기압연방법
KR100388040B1 (ko) 후 강판의 제조방법
CA2344194A1 (en) Combined control system for producing particular product characteristicsin the rolling of austentic, mixed austenitic-ferritic and ferritic gra des of steel
KR100568346B1 (ko) 조압연 후면온도 예측에 의한 바 온도 제어방법
JP2001137925A (ja) 多段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KR20010112335A (ko) 균일한 냉간 스트립을 얻기 위한 표면 균일도 제어 방법
Bolobanova et al. Study and modeling of slab deformation processes in the roughing stands of Severstal’s Mill-2000 hot-rolling line
JP2709777B2 (ja) 圧延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978056B2 (ja) 圧延機のロール間接触摩耗予測方法
KR101629754B1 (ko) 에저롤 영점 조절 방법 및 장치
RU2301123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KR100349158B1 (ko) 테이퍼 후판의 제조방법
JP4227686B2 (ja) 冷間圧延時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JP4568164B2 (ja) 差厚鋼板の圧延矯正方法
CN111716250A (zh) 轧辊辊型的磨削控制方法
JP2001137926A (ja) 多段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
KR20020045697A (ko) 폭방향 두께가 균일한 스트립의 제조방법
SU1764727A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прокатных валков
JPS6245002B2 (ko)
KR101595032B1 (ko) 후판의 도그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