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058U -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058U
KR20000013058U KR2019980026185U KR19980026185U KR20000013058U KR 20000013058 U KR20000013058 U KR 20000013058U KR 2019980026185 U KR2019980026185 U KR 2019980026185U KR 19980026185 U KR19980026185 U KR 19980026185U KR 20000013058 U KR20000013058 U KR 200000130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cam operating
operating surface
refrigerator door
but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1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61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058U/ko
Publication of KR200000130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058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며 측면, 바닥면 및 회전 캠 작동면을 가지는 버터 보관함에 있어서, 회전 캠 작동면의 측면과 만나는 부위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회전 캠 작동면이 바닥면 선단의 중앙부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이며,
냉장고 도어에 형성되는 버터 보관함이 측면과 바닥 면과 회전 캠 작동 면과의 3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반경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기에 반경이 커지는 경우를 없애도록 회전 캠 작동 면을 바닥 면의 중앙부에 일정 길이 형태를 유지토록 구성하여 3면이 만나는 지점을 강제로 없애 내부 공간을 크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 도어에 형성되고 측면과 바닥 면과 회전 캠 작동 면으로 이루어지는 버터 보관함의 회전 캠 작동 면을 바닥 면의 중앙부에 양측과 접하지 않는 일정 길이 형태로 유지토록 구성하여 3면이 만나는 지점을 강제로 없애 내부 공간을 크게 한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냉장고는 수용하는 용적이 수십 ℓ - 수백 ℓ인 가정용 냉장고에서 수십 kℓ인 업무용 냉장고까지 있으며, 어느 것이나 하나의 건축물로 볼 수 없다는 점에서 냉장창고와는 다르다. 냉각방식에 따라 전기냉장고, 가스냉장고, 얼음 냉장고, 전자냉장고 등이 있는데,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은 전기냉장고이다. 냉장고에서 냉각되는 속도는 식품의 모양이나 크기, 두께 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3-4 시간은 넣어 두는 것이 좋다. 뜨거운 것은 반드시 식힌 뒤에 넣어야만 냉장고 안의 온도 상승에 따른 다른 식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냉장고 안은 공기의 대류에 의해 고르게 냉각되므로 많은 것을 채워 넣거나 중간 선반에 쟁반 같은 것을 넣어 두면, 아랫부분이 잘 냉각되지 않는다. 냉장고 안은 저온이기 때문에 증기압이 낮아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빼앗으므로 식품은 건조상태가 된다. 또 물과 함께 냄새도 휘발하므로 냄새가 가득 차게 되고 그 냄새가 다른 식품에 옮아가기 쉽다. 따라서 건조하면 안 되는 것, 냄새가 강한 것 등은 밀폐용기에 넣거나 비닐 등으로 싸서 냉장한다. 또한 여름철에 냉장고를 자주 열고 닫거나 하면, 그 속의 온도가 즉각 상승하여 문을 닫아도 몇 분 동안은 회복되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냉장고의 원리는 냉매인 프레온이 증발기 속에서 기화될 때 냉장(동)실 내의 열을 기화열로 흡수하여 냉각시키며, 외부에서는 반대로 액화하여 흡수한 열을 발산한다. 이러한 작용이 압축기에 의해 반복되어 저장실 안의 온도는 일정한 저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냉장고의 일반적인 구조는 증발기, 냉동(장)실, 운전제어장치로 되어 있다. 이중 증발기는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매를 압축, 순환시켜 증발 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냉장고 내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시켜 냉장고 안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냉동(장)실은 식품을 넣는 공간으로서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내부 온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외기와 차단하기 위해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 단열재가 들어 있다. 운전제어장치에는 온도조절기와 제상장치가 있다.
온도조절장치는 냉장고 안을 적당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며, 그 온도는 수납하는 식품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5∼7 ℃이다. 서리제거(제상)장치는 냉장고문의 개폐에 따라 침입한 외기 중의 수분이나 냉장고 안의 식품에서 증발한 수증기 등이 서리가 되어 증발기에 부착하는데, 서리가 많아지면 냉각력이 저하하므로 제거해야 한다. 서리제거장치는 서리를 융해하는 장치이며 자동식·다이얼식·누름단추식 등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냉장고의 일 예로는 도 1 과 같이 냉장고의 상부에 냉동실(1)이 하부에는 냉장실(3)이 설치되며, 냉동실(1)에는 증발기(2)가 설치된다. 증발기(2)주위의 냉동실(1)에는 온도센서(8)를 설치한다. 상기 증발기(2)의 냉기는 냉기 덕트(5)를 통하여 이동하여 노즐(6)에서 냉장실(3)로 냉기가 분출한다. 냉장실(3)에는 일정 간격의 수납 선반(4)이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1) 및 냉장실(3)의 전면에는 개폐 작동을 하는 도어(15)가 설치된다. 또한 증발기(2)와 연통하는 제상수 통로(11,12)를 구비하여 물받이(13)로 배출토록 한다. 이 경우 일부에는 제상수가 습도 유지 기능을 수행토록 물받이(13) 전단에 수분 공급탱크(10)를 안치시키고 수분 공급탱크(10)에는 가습장치(14)를 설치하여 야채상자(7)로 수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야채상자(7)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9)를 또한 설치한다. 냉장고의 냉동실(1) 및 냉장실(3)의 전면에는 도어(15)가 설치된다.
도 2 는 일반적인 도어의 개폐 실링성을 좋게 하는 가스켓을 일부 분리하여 나타낸 일주절결 사시도로, 도어(15)에는 가스켓 홈(16)이 주연부에 형성되고, 가스켓 홈(16)에는 가스켓(20)이 결합 고정된다. 가스켓(20)은 가스켓 홈(16)에 끼움 결합하고 내부에 공간부를 이루는 후크부(26)와, 후크부(26)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와의 결착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24)를 수용하는 마그네트 수용부(25)를 포함한다. 아울러 도어(15)의 내측에는 측면(31), 바닥 면(32) 및 회전 캠 작동 면(33)을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버터 보관함(30)을 가진다.
도 3 은 도 2 의 요부 평면도로, 버터 보관함(30)은 바닥 면(32)과, 바닥 면(32) 양측의 측면(31) 및 바닥 면(32) 전면의 회전캠 작동 면(3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버터 보관함(30)은 측면(31)과 바닥 면(32)과 회전 캠 작동 면(33)이 만나는 세모서리면(34)을 이루게 되는데, 통상 버터 보관함(30)은 진공상태에서 사출원료를 공급하여 사출 성형하는 공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조상의 특성이 있어서, 사출의 용이를 위하여 세모서리면(34) 부위는 자연히 그 반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계할 수밖에 없고, 그로 말미암아 버터 보관함(30)의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고, 이를 해소키 위하여는 도 3 과 같이 바닥 면(32)의 폭(W)을 크게 하여야만 하고, 이에 따라 냉장고의 내부 공간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를 해소코자하는 것으로, 냉장고의 버터 보관함을 이루는 세모서리 부위가 회전캠 작동면 부위와 양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냉장고 버터 보관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냉장고의 버터 보관함을 이루는 회전캠 작동 면을 양측과는 분리시키고 바닥 면 중앙에만 일정 길이를 갖도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단면도,
도 2 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버터 보관함을 보이는 일부 절결 확대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버터 보관함의 모서리를 보이는 요부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버터 보관함 41;절단부
42;회전 캠 작동부
즉 본 고안은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며 측면, 바닥 면 및 회전 캠 작동 면을 가지는 버터 보관함에 있어서, 회전 캠 작동 면의 측면과 만나는 부위에 절단 부를 형성하여 회전 캠 작동 면이 바닥 면 선단의 중앙부에만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로, 종래의 도 2 및 도 3 에 보인 회전 캠 작동 면(33)과 측면(31)이 만나는 부위에 절단부(41)를 형성하여 바닥 면(32) 선단의 중앙부에만 회전 캠 작동 면(42)이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 캠 작동 면(42)은 바람직하기는 바닥 면(32)의 길이의 1/3 내지 2/3을 이루도록 함이 좋고, 회전캠 작동 면(42)의 양단은 바닥 면의 길이(L1)가 상단의 길이(L2)보다 길도록 함이 보관 및 배출에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사용할 때에는 절단부(41)가 있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버터 등의 물품을 쉽게 보관 및 인출 가능케 한다. 그리고 회전 캠 작동 면(42)은 하부의 길이(L1)가 상부의 길이(L2)보다 길어서 상부 모서리에 닿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보관 및 인출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절단부(41)에 의하여 회전 캠작동면(42)과 측면(31)의 접촉이 제한되는 방식의 구조를 이루므로 세면이 접하는 구조가 아니어서 사출 성형시 별도로 반경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없어 바닥 면(32)의 내부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버터 보관함을 이루는 바닥 면과 측면과 회전 캠 작동 면의 세 모서리를 없애는 구조를 이루도록 회전 캠 작동 면의 양측에 측면과 분리되는 절단 부를 형성하므로, 버터 보관함의 세모서리부가 없어져 세모서리부를 사출성형 때 반경을 크게하여야하는 문제점을 없앨 수 있어 내부 공간의 축소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며 측면, 바닥 면 및 회전 캠 작동 면을 가지는 버터 보관함에 있어서, 회전 캠 작동 면의 측면과 만나는 부위에 절단 부를 형성하여 회전 캠 작동 면이 바닥 면 선단의 중앙부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KR2019980026185U 1998-12-23 1998-12-23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KR200000130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185U KR20000013058U (ko) 1998-12-23 1998-12-23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185U KR20000013058U (ko) 1998-12-23 1998-12-23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58U true KR20000013058U (ko) 2000-07-15

Family

ID=6950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185U KR20000013058U (ko) 1998-12-23 1998-12-23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0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997A (en) Refrigerator air circulation system
JP2009063245A (ja) 冷蔵庫
KR100381660B1 (ko) 김치저장고의 야채실 히팅구조
US3213639A (en) Automatic humidity control for vegetable and fruit storage
JP2624051B2 (ja) 冷凍冷蔵庫
CN217636292U (zh) 一种冰箱的制冷系统
JP2008057904A (ja) 冷蔵庫
KR100678777B1 (ko) 냉장고
KR20000013058U (ko) 냉장고 도어의 버터 보관함
EP0928934B1 (en) Domestic refrigerator
JP4375220B2 (ja) 冷蔵庫
JP2007064553A (ja) 冷蔵庫
JP2015014423A (ja) 冷蔵庫
JP3749087B2 (ja) 冷蔵庫
JPH05164449A (ja) 冷凍冷蔵庫
KR200153709Y1 (ko) 냉장고의 증발장치
KR100376833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커버 체결부 구조
KR100201273B1 (ko) 쇼케이스
KR100412409B1 (ko) 공간활용을 개선한 김치저장고
KR20220115175A (ko) 냉장고
KR20000013048U (ko) 냉장고용 가스켓
KR20000013057U (ko) 냉장고의 제빙실 구조
KR20000013059U (ko) 냉장고용 제빙기
KR100595221B1 (ko) 김치 냉장고
KR200213314Y1 (ko) 김치저장고의 이슬방지용 히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