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830U - 제균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제균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830U
KR20000012830U KR2019980025894U KR19980025894U KR20000012830U KR 20000012830 U KR20000012830 U KR 20000012830U KR 2019980025894 U KR2019980025894 U KR 2019980025894U KR 19980025894 U KR19980025894 U KR 19980025894U KR 20000012830 U KR20000012830 U KR 200000128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germicidal
washing wat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3647Y1 (ko
Inventor
박찬의
Original Assignee
박찬의
주식회사 대신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의, 주식회사 대신정공 filed Critical 박찬의
Priority to KR2019980025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64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8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조(2)내의 세정수에 잠기며 세정수 흡입공(12)이 형성된 세정수 흡입실(11)과 제균수 토출공(15)이 형성된 제균수 토출실(14)을 가지는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설치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 흡입실(11)에 세정수 흡입관(P1)으로 연결되는 제균수 생성조(22)와, 상기 제균수 생성조의 내부에 교호로 설치되는 양극(23a)과 음극(23b)과, 상기 제균수 생성조에 연결관(P2)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균수 토출실에 제균수 토출관(P3)으로 연결되는 펌프(26)를 가지는 제균수 생성부(20)와, 상기 양극과 음극 및 펌프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27) 및 콘트롤 박스(30)를 구비하여 별도의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피 세정물을 살균 및 세정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서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도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균수 생성장치
본 고안은 야채, 육류, 어패류 및 취사도구 등의 피 세정물을 제균(除菌) 세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한 제균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채, 육류, 어패류 및 취사도구를 세정함에 있어서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물과 세제를 사용할 경우 야채, 육류, 어패류 및 취사도구 등에 세제가 잔류하게 되기 때문에 세제 잔류물에 의한 폐해가 우려되며, 세제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게 되어 물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4655호와 같이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야채, 육류, 어패류 및 취사도구 등의 미 세정물을 제균 세정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대형이며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에서 사용하는 데 제약이 뒤따르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피 세정물을 살균 및 세정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서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균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의 계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 11 : 세정수 흡입실
12 : 세정수 흡입공 13 : 여과망
14 : 제균수 토출실 15 : 제균수 토출공
20 : 제균수 생성부 21 : 케이스
22 : 제균수 생성조 23a : 양극
23b : 음극 26 : 펌프
27 : 전원제어부 30 : 콘트롤 박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조내의 세정수에 잠기며 세정수 흡입공이 형성된 세정수 흡입실과 제균수 토출공이 형성된 제균수 토출실을 가지는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 흡입실에 세정수 흡입관으로 연결되는 제균수 생성조와, 상기 제균수 생성조의 내부에 교호로 설치되는 양극과 음극과, 상기 제균수 생성조에 연결관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균수 토출실에 제균수 토출관으로 연결되는 펌프를 가지는 제균수 생성부와; 상기 양극과 음극 및 펌프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 및 콘트롤 박스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수 생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세정수 흡입공에는 여과망을 설치한다.
상기 제균수 생성조는 도전체로 형성되어 음극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지하며, 상기 양극과 음극들은 비도전체로 되어 상기 제균수 생성조를 덮는 상판에 고정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의 계통도로서, 도면에서 1은 수조(2,2)를 가지는 싱크대이고, 10은 본 고안에 의한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 20은 제균수 생성부, 30은 콘트롤 박스이다.
상기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흡입공(12)을 가지는 세정수 흡입실(11)과, 제균수 토출공(15)을 가지는 제균수 토출실(14)로 구성된다.
상기 세정수 흡입실(11)과 제균수 토출실(14)은 격벽(16)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흡입공(12)에는 흡입되는 세정수중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균수 생성부(20)는 케이스(21)와, 제균수 생성조(22)와, 펌프(26)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는 통상적인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싱크대(1)의 바닥판(3)위에 얹어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균수 생성조(22)는 그 일측부가 상기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의 세정수 흡입실(11)에 세정수 흡입관(P1)으로 연결되며, 그 내부에는 양극(23a)과 음극(23b)이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양극(23a)은 티타늄(Titanium)판이 사용되고, 음극(23b)은 스테인레스강판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균수 생성조(22)는 스테인레스강판으로 형성되어 음극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양극(23a)과 음극(23b)은 각각 그 상단에 고정편(24a)(24b)을 용접 또는 볼트/너트로 고정하고, 이 고정편(24a)(24b)의 상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균수 생성조(22)의 상부를 덮는 비도전체의 상판(22a)에 수나사부를 관통시키고 이에 너트(25a)(25b)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펌프(26)는 그 흡입단이 상기 제균수 생성조(22)의 타측부에 연결관(P2)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그 토출단이 상기 흡,토출부(10)의 제균수 토출실(14)에 제균수 토출관(P3)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양극(23a)과 음극(23b) 및 펌프(26)에 대한 전원 제어와 운전 제어를 위하여 전원제어부(27)와 콘트롤 박스(30)가 설치된다.
도시례에서는 전원제어부(27)이 제균수 생성부(20)의 케이스(21)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콘트롤 박스(30)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전원제어부(27)는 상기 양극(23a)과 음극(23b)에 대한 전원과 상기 펌프(26)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회로가 내장된 것이다.
상기 콘트롤 박스(30)는 상기 전원제어부(27)에 지시값을 주어 콘트롤 박스(30)로 하여금 양극(23a)와 음극(23b)에 대한 전원과 펌프(26)에 대한 전원을 원하는 상태로 제어하도록 함과 아울러 운전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운전 상태를 확인할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원스위치(31)와 작동스위치(32) 및 표시부(33)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제균수 생성장치는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는 걸고리(17)를 이용하여 싱크대(1)의 수조(2)에 걸쳐놓고, 제균수 생성부(20)는 싱크대(1)의 바닥에 올려놓고 콘트롤 박스(30)는 벽면에 걸쳐놓는 것에 의하여 간편하게 설치된다.
이때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에 걸고리를 설치하여 이를 이용하여 수조(2)에 걸쳐 놓을 수도 있으나 상기 세정수 흡입관(P1), 제균수 토출관(P3)을 가요성 호스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이들 호스를 수조(2)의 가장자리에 걸쳐놓는 것으로도 충분히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에는 싱크대(1)의 수조(2)에 걸쳐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걸고리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기
이와 같이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를 싱크대(1)의 수조(2)에 걸쳐놓은 다음, 수조(2)에 세정수(수도물)와 식염을 주입하거나 식염수를 주입을 투입하고 세정하고자 하는 피 세정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콘트롤 박스(30)에 의하여 운전 지시를 하게 되면 전원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하여 양극(23a)와 음극(23b)에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펌프(26)에 전원이 인가되어 펌프(26)가 펌핑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펌프(26)가 펌핑 작동을 하게 되면 수조(2)내의 세정수(식염수)가 흡입공(12)을 통해 세정수 흡입실(11)으로 흡입되고, 세정수는 세정수 흡입관(P1)을 통하여 제균수 생성부(20)의 제균수 생성조(22)로 유입된다.
세정수가 제균수 생성조(22)로 유입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양극(23a)과 음극(23b)에 의해 전기 분해 원리에 의하여 pH 8.8이하의 약알카리수인 제균수가 생성된다.
제균수 생성조(22)에서 생성된 제균수는 펌프(26)에 의하여 연결관(P2)을 통해 펌핑되어 제균수 토출관(P3)를 통해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의 제균수 토출실(14)로 유입되어 토출공(15)를 통해 싱크대(1)의 수조(2)로 공급된다.
수조(2)에 공급된 제균수는 pH 8.8이하인 약알카리수로서 야채 등의 변색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제균력을 가지게 되어 별도의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제균 및 세정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하여 생성된 제균수의 제균 및 세정 작용 원리를 설명한다.
첫째, 래디컬에 의한 살균 작용
래디컬이란 강력한 산화 작용을 가진 유리(遊離) 상태에 있는 원자나 분자를 말한다. 물의 전기 분해에 의해 새성되는 대표적인 래디컬은 히드록시 래디컬(OH)이다. 이 산화 전위(전극 전위)는 약 2.8eV로 염소가 가진 약 1,4eV의 2배이고 또 이 래디컬은 살균 작용을 발휘하여 안정된 다음 유해한 부산물이라든가 공해 원인을 일으키는 일도 없다. 래디컬에 의한 살균 작용은 전기적으로 중성 유리 원자라든가 유리 분자의 반응에 의해 세균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의 구성 요소인 단백질을 분해함으로써도 야기된다. 이러한 래디컬은 수조(2)에 주입된 세정수가 펌프(26)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제균수 생성조(22)로 유입되면 음극(23b)측에서는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플러스 이온 Ca+2라든가 Mg+2등의 금속 이온이 전자를 주고 받음으로써 전극에 부착하여 금속이 되어 석출(析出)하고 수소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때 물속에는 다음과 같은 반응식(1)에 의해 생기는 수산기 이온(OH-)에서 히드록시 래디컬이 생성된다.
4H2O+4e-→ 4OH-+2H2
한편, 양극(23a)측에서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마이너스 이온인 Cl-, SO4 -, NO2 -등이 증가하여 다음 반응식(2)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산화되어 산소 가스가 발생하는데 이때 물속의 수소 이온은 증가한다.
4OH-→ 2H2O+O2↑+4e-
둘째, 차아염소산 또는 차아염소산 소다에 의한 살균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 분해 과정에서 물속에 미량 존재하는 Cl이온이 산화되어 다음 반응식(3)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Cl-+H2O → ClO-+2H++2e-
생성된 ClO-와 2H+반응에 의해 차아염소산(CHCLO)이 생성한다. 또 양극(23a)측에서 생기는 염소의 고르지 못한 분해 때문에도 다음 반응식(4)에 의해 차아염소산이 생성된다.
Cl2+H2O → HClO+H++Cl-
또 세정수로서 식염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전기 분해로 인해 다음 반응식(5)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고 이러한 반응으로 생성되는 차아염소산 소다에 의해 살균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차아염소산 소다는 식품 첨가물로서도 인정되고 있는 동시에 높은 살균 작용을 갖고 있으므로 매우 유효하다. 또한 이 방법이라면 세정 공정에서 전기 분해로 생성되는 고(高) 활성 차아염소산 소다가 그때 그때 살균에 활용되므로 세정액 중의 차아염소사 소다 농도가 과다하게 상승되는 일이 없이 비교적 저(低) 농도에서도 안정되어 뛰어난 살균 효과가 발휘된다.
Cl2+2NaOH → NaOCl+NaCl+H2O
셋째, 금속 이온에 의한 살균 작용
살균에 관한 다른 요인으로서 수중(水中) 금속 이온을 들 수 있다. 즉 물을 전기 분해하면 전자를 주고 받음으로 인한 금속 이온의 이동이 생기고 Mg+2, Ca+2등의 플러스 이온은 음극을 향해 이동하는 한편 NO3 -2나 Cl-등의 마이너스 이온은 양극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세균의 생세포와 금속 이온이 마주치면 세포와 금속 이온과의 사이에 전자 이동이 생기고 세포내의 산소와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 세포의 활성이 저하되다가 마침내 죽음에 이를 것이다. 종전부터 은 이온 등에 기대되는 살균 작용은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세균의 종류에 따라서 활성을 저하시키는 산화 환원 전위에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0.5eV∼1.0eV 정도의 양극 전위를 필요로 한다.
넷째, 전지(電池) 형성에 의한 살균 작용
세균의 생세포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면 전기적 힘에 의해 세포내에서 분극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때 보통 세균의 크기는 10μm이하이기 때문에 수중 세균은 전극 표면에서 전기적으로 끌어 당겨지고 해당 전기 에너지를 장시간 받으면 전극과 세균의 사이에서 전해 반응이 진행되다가 마침내는 죽음이 이른다.
본 고안은 상술한 작용들이 동시에 병행으로 진행되어 비교적 단시간에 처리됨으로써 피 세정물의 청정화와 살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로 흐르는 전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게 하면 피 세정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 살균 작용의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세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피 세정물을 살균 및 세정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소형으로서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도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수조(2)내의 세정수에 잠기며 세정수 흡입공(12)이 형성된 세정수 흡입실(11)과 제균수 토출공(15)이 형성된 제균수 토출실(14)을 가지는 세정수 흡입 및 제균수 토출부(10)와;
    상기 수조의 외부에 설치되는 케이스(2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 흡입실(11)에 세정수 흡입관(P1)으로 연결되는 제균수 생성조(22)와, 상기 제균수 생성조의 내부에 교호로 설치되는 양극(23a)과 음극(23b)과, 상기 제균수 생성조에 연결관(P2)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균수 토출실에 제균수 토출관(P3)으로 연결되는 펌프(26)를 가지는 제균수 생성부(20)와,
    상기 양극과 음극 및 펌프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부(27) 및 콘트롤 박스(3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수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흡입공(15)에는 여과망(13)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수 생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수 생성조는 도전체로 형성되어 음극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지하며, 상기 양극과 음극들은 비도전체로 되어 상기 제균수 생성조를 덮는 상판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수 생성장치.
KR2019980025894U 1998-12-21 1998-12-21 살균수생성장치 KR200253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94U KR200253647Y1 (ko) 1998-12-21 1998-12-21 살균수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894U KR200253647Y1 (ko) 1998-12-21 1998-12-21 살균수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830U true KR20000012830U (ko) 2000-07-15
KR200253647Y1 KR200253647Y1 (ko) 2002-11-23

Family

ID=4172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894U KR200253647Y1 (ko) 1998-12-21 1998-12-21 살균수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6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1133A1 (en) * 2005-07-15 2007-01-25 Chil-Young Kim Apparatus for freshly storing foodstuff and method thereof
KR20140133254A (ko) * 2013-05-10 2014-11-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생활용수를 이용한 살균 및 탈취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1133A1 (en) * 2005-07-15 2007-01-25 Chil-Young Kim Apparatus for freshly storing foodstuff and method thereof
KR100725353B1 (ko) * 2005-07-15 2007-06-07 김칠영 신선도를 유지하는 음식물 저장 장치 및 그 저장 방법
AU2006270647B2 (en) * 2005-07-15 2009-06-04 Chil-Young Kim Apparatus for freshly storing foodstuff and method thereof
US8419909B2 (en) 2005-07-15 2013-04-16 Chil-Young Kim Apparatus for freshly storing foodstuff and method thereof
KR20140133254A (ko) * 2013-05-10 2014-11-1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생활용수를 이용한 살균 및 탈취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647Y1 (ko) 200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044B1 (ko) 전해수 생성 장치
RU2007144503A (ru) Метод по очистке, стерилизаци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посуды, другой кухонной утвари и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1017416B1 (ko) 초음파 세척기
CN111657822B (zh)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101206227B1 (ko) 야채 및 과일 세척소독용 버블발생기
CN111466840A (zh) 一种地面消毒机器人
KR100443894B1 (ko)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KR20070098292A (ko) 전해 살균수와 초음파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JPH09299953A (ja) 電解水生成装置
KR200253647Y1 (ko) 살균수생성장치
KR20190108703A (ko) 플라즈마 멸균 세척기
JPH11156312A (ja) 洗浄装置
JP2000152914A (ja) 内視鏡用洗浄装置
KR20060102455A (ko) 이온수가 발생되는 초음파세척기
JPH05137689A (ja) 食器洗浄機
KR100453008B1 (ko) 수조의순환살균장치
KR100282852B1 (ko) 살균세정기
KR100929118B1 (ko) 전해수 생성장치
KR20180032295A (ko) 버블염소세척기
CN209136519U (zh) 一种新型电解离子水清洗机
JPH1119648A (ja) 殺菌装置
JPH08132050A (ja) 洗浄用水の製造機構
KR20070098293A (ko) 전해 살균수를 이용한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
KR101243107B1 (ko) 전기분해 방식의 초음파 세척기
JP3183481B2 (ja) 殺菌用処理液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