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565U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565U
KR20000012565U KR2019980025583U KR19980025583U KR20000012565U KR 20000012565 U KR20000012565 U KR 20000012565U KR 2019980025583 U KR2019980025583 U KR 2019980025583U KR 19980025583 U KR19980025583 U KR 19980025583U KR 20000012565 U KR20000012565 U KR 200000125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icrowave oven
food
cooking tray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공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5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565U/ko
Publication of KR200000125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65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리될 음식물이 적재되는 조리용트레이를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의 상면에 위치인식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음식물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는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
본 고안은, 조리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리될 음식물이 적재되는 조리용트레이를 갖는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파를 조리실에 수용되는 음식물에 투과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로서, 전자파가 음식물에 골고루 투사되도록 하기 위해 음식물을 적재시키는 조리용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의 조리용트레이는, 조리실내 공급되는 전자파의 공급방식에 따라 고정식의 스터러형과, 회전식의 턴테이블형으로 구분된다.
도 3은 종래의 턴테이블형 전자렌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리용트레이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렌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1)와,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해 본체(101)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103)을 갖는다. 본체(101)의 전방에는 조리실(103)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1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11)의 우측영역에는 전자렌지의 조작을 위한 조작판넬(11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판넬(113) 후방영역의 본체(101)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품실(미도시)내에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미도시)을 비롯하여 전자렌지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103)내의 저면에는 음식물을 적재하는 원판상의 조리용트레이(110)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조리용트레이(110)에 적재된 음식물은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자파에 의해 조리되게 된다. 이 때, 조리될 음식물은 조리효율이 높은 조리실(103)내의 중앙영역, 즉, 조리용트레이(110)의 중앙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렌지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트레이(110)의 상면이 단순한 평판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자렌지가 설치된 공간의 조명이 어둡거나, 특히,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할 경우에는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의 위치인식이 어렵다. 이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용트레이(110)에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수용되어 불균일하게 조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는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형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2는 도1에 따른 조리용트레이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턴테이블형 전자렌지의 사시도,
도 4는 도3에 따른 조리용트레이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조리실
10 : 조리용트레이 11 : 도어
13 : 조작판넬 20 : 인식홈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조리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리될 음식물이 적재되는 조리용트레이를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의 상면에 위치인식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은 함몰형성된 인식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가지고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턴테이블형 전자렌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따른 조리용트레이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렌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와,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해 본체(1)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을 갖는다. 본체(1)의 전방에는 조리실(3)의 전면개구를 회동개폐하는 도어(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어(111)의 우측영역에는 전자렌지의 조작을 위한 조작판넬(1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판넬(13) 후방영역의 본체(1)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부품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품실내에는 전자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미도시)을 비롯하여 다수의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3)내의 저면에는 음식물을 적재하는 원판상의 조리용트레이(10)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조리용트레이(10)에 적재된 음식물은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자파에 의해 조리되게 된다.
한편, 조리용트레이(10)의 중앙영역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트레이(10)의 중앙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상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인식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식홈(2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조명이 어두운 곳에서도 조리할 음식물을 조리효율이 높은 조리실(3)내의 중앙영역, 즉, 조리용트레이(10)의 중앙영역에 음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에도 인식홈(20)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리용트레이(10)의 중앙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전술한 및 실시예에서는,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인식용 패턴을 함몰 형성된 인식홈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홈형상이 아닌 돌기형상으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을 턴테이블형 전자렌지의 조리용트레이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스터러형 전자렌지의 조리용트레이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음식물이 골고루 조리될 수 있는 전자렌지가 제공된다.

Claims (2)

  1. 조리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조리실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리될 음식물이 적재되는 조리용트레이를 갖는 전자렌지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트레이의 중앙영역의 상면에 위치인식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함몰형성된 인식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2019980025583U 1998-12-19 1998-12-19 전자렌지 KR200000125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83U KR20000012565U (ko) 1998-12-19 1998-12-19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83U KR20000012565U (ko) 1998-12-19 1998-12-19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65U true KR20000012565U (ko) 2000-07-05

Family

ID=6950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583U KR20000012565U (ko) 1998-12-19 1998-12-19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5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121B1 (ko) 전자렌지
KR20000012565U (ko) 전자렌지
JPH01184332A (ja) 調理器
KR200154602Y1 (ko) 전자 렌지용 마이크로파 분산 구조
KR200390575Y1 (ko) 전자레인지의 회전식 히터시스템
JP2005098601A (ja) 加熱調理器
KR19990032049A (ko) 전자 렌지
KR100233197B1 (ko) 전자레인지
KR100277980B1 (ko) 전자렌지의 인코더 스위치
JPH04319287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KR960006981B1 (ko) 전자렌지의 컨백션팬 및 도파관 설치구조
KR200214972Y1 (ko) 전자렌지
JP2005083586A (ja) 加熱調理器
KR0170112B1 (ko) 전자렌지 도파관의 스터브 이동장치
KR200153686Y1 (ko) 전자렌지의 조리접시 받침판
KR100277581B1 (ko) 전자렌지
JPH08247471A (ja) 電子レンジ
KR930000251Y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조리용 기기
KR200337655Y1 (ko) 전자 레인지
KR20040087219A (ko) 전자레인지
KR20040087220A (ko) 전자레인지
KR20000013712U (ko) 전자렌지의 초고주파 분산구조
KR19990011735A (ko) 전자렌지
KR19990060096A (ko) 전자렌지의 히터 장치
KR19990011733A (ko)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