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489A -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489A
KR20000012489A KR1019990055729A KR19990055729A KR20000012489A KR 20000012489 A KR20000012489 A KR 20000012489A KR 1019990055729 A KR1019990055729 A KR 1019990055729A KR 19990055729 A KR19990055729 A KR 19990055729A KR 20000012489 A KR20000012489 A KR 2000001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uide
screw shaft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661B1 (ko
Inventor
유철현
Original Assignee
유철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현 filed Critical 유철현
Priority to KR101999005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6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의 상판을 상,하측으로 승강시킴으로서 어른이나 어린이들의 앉은키에 맞춰 테이블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테이블 상판을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판 양측에 형성되는 제1안내장공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내부에 안착되는 지지판의 측면 양측에 형성된 제2안내장공과, 상기 제1안내장공과 제2안내장공에 상,하측이동핀으로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토록 되어있고 상판과 지지판의 타측부에는 상,하측 고정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단으로된 신축링크와, 상기 신축링크의 상,하측이동핀을 제1안내장공과 제2안내장공내에서 이동시켜 신축링크를 신축시키기 위해 지지판 양측의 제2안내장공에 결합된 하측이동핀을 연결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제2안내장공 범위내에서 직진 및 후진을 시키기 위해 양측지지판을 연결하고 있는 전,후면고정체에 구동축과 연장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체와 나사결합을 하고 있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자동 및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축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a Table}
본고안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속모우터 또는 손잡이를 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신축링크를 신축시켜 테이블의 상판을 상,하측으로 승강시킴으로서 어른이나 어린이들의 앉은키에 맞춰 테이블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테이블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정에서 응접실용으로 사용되는 테이블이나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탁등은 상판과 다수개의 받침다리들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의 테이블과 식탁의 상판과 다리들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높이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과 식탁을 사용하는 사람의 앉은키에 맞춰 테이블과 식탁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해져 있는 테이블과 식탁에 사람들의 앉은키를 맞춰야 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순은 어른들에게 모든 규격이 맞춰져 있어 어른들에게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지만 키가 작은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보조의자등을 사용하거나 테이블과 식탁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상을 이용하여야만 된다.
특히, 상기의 테이블 및 식탁을 어린이들이 책상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어린이들의 키가 작은 관계로 인해 매우 불편한 사용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응접실이나 주방에서 사용되는 테이블 및 식탁의 높이를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어린들의 책상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감속모우터 또는 손잡이를 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신축링크를 신축시켜 테이블의 상판을 상,하측으로 승강시키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발명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 투시 사시도
도2는 본발명 테이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상판 102-제1걸림턱
103-제1안내장공 111-승강대
112-제1안내홈 113-제2걸림턱
114-제3걸림턱 121-받침대
122-제2안내공 123-제4걸림턱
131-신축링크 132-상측이동핀
133-상측고정핀 134-하측이동핀
141-감속모우터 142-상측 스플로킷
143-체인 144-하측 스플로킷
145-구동축 146-나사축
147-연장축 148-돌기
151-지지판 152-전면고정체
153-제2안내장공 154-후면고정체
155-이동체 156-리미트스위치
161-회전축 162-걸림편
163-삽입홈 164-탄성부재
165-손잡이 167-베어링하우징
171-스피커 181-테이블
본발명의 구성을 도1 및 도2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테이블(181) 상판(101)을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판(101)양측에 형성되는 제1안내장공(103)과,
상기 상판(101)을 지지하는 받침대(121)의 내부에 안착되는 지지판(151)의 측면 양측에 형성된 제2안내장공(153)과,
상기 제1안내장공(103)과 제2안내장공(153)에 상,하측이동핀(132)(134)으로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토록 되어있고 상판(101)과 지지판(151)의 타측부에는 상,하측 고정핀(133)(135)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단으로된 신축링크(131)와,
상기 신축링크(131)의 상,하측이동핀(132)(134)을 제1안내장공(103)과 제2안내장공(153)내에서 이동시켜 신축링크(131)를 신축시키기 위해 지지판(151) 양측의 제2안내장공(153)에 결합된 하측이동핀(134)을 연결하는 이동체(155)와,
상기 이동체(155)를 제2안내장공(153) 범위내에서 직진 및 후진을 시키기 위해 양측 지지판(151)을 연결하고 있는 전,후면고정체(152)(154)에 구동축(145)과 연장축(147)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체(155)와 나사결합을 하고 있는 나사축(146)과,
상기 나사축(146)을 자동 및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축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나사축의 회전수단은 나사축(146)의 구동축(145)에 결합되는 하측 스플로킷(144)과,
상기 하측 스플로킷(144)에 하측부를 연결하고 있는 체인(143)과,
상기 체인(143)을 회전시키기 위해 체인(143)상측부에 연결되는 상측 스플로킷(142)과,
상기 상측 스플로킷(142)을 자동으로 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판(151) 상측에 안착되어 회전축을 상측 스플로킷(142)에 연결하고 있는 감속모우터(141)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나사축의 회전수단은 나사축(146)의 연장축(147)에 형성되는 돌기(148)와,
상기 돌기(148)와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홈(163)을 형성하고 있는 베어링 하우징(167)에 이동 용이토록 결합된 회전축(161)과,
상기 회전축(161)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축(161)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165)와,
상기 회전축(161)의 삽입홈(163)이 평상시에는 연장축(147)의 돌기(148)와 분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축(161)의 걸림편(162)과 일측의 베어링하우징(167)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164)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판(101)의 원할한 승강을 위해 상판(101)의 하측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102)과,
상기 제1걸림턱(10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제1걸림턱(102)을 안내할 수 있는 제1안내홈(112)을 형성하고 있고 제1안내홈(112)의 상측부에는 제2걸림턱(113)을 형성하고 있는 승강대(111)와,
상기 승강대(111)의 외측에 형성된 제3걸림턱(114)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제3걸림턱(114)을 안내할 수 있는 제2안내홈(122)이 형성되고 제2안내홈(122)의 상측부에는 제4걸림턱(123)을 형성하고 있는 받침대(121)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상판(101)의 승강시 이동되는 이동체(155)와 접촉되도록 전면고정체(152)에 장착되는 리미트 스위치(156)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152)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멜로디를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상판(101)에 장착되는 스피커(171)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발명의 테이블(181)상판(101)을 자동으로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승강보턴(도시안됨)을 누르면 된다.
즉, 상기 승강보턴을 누르면 외부와 전원이 연결된 감속모우터(142)가 회전을 하면서 상측스플로킷(142)을 회전시키게 되고 아울러 상측 스플로킷(142)에 연결된 체인(143)을 회전 이동시키게 되어 체인(143)과 연결된 하측 스플로킷(14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측 스플로킷(144)의 회전에 의해 전면고정체(152)에 결합된 구동축(145)과 나사축(146)그리고 후면고정체(154)에 결합된 연장축(147)모두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나사축(146)의 회전은 나사축(146)상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이동체(155)를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상기 이동체(155)양측의 하측이동핀(134)들도 양측의 지지판(151)에 형성된 제2안내장공(153)내부에서 직선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장공(153)내에서 이동되는 하측이동핀(134)의 외측부에는 신축링크(131)의 하측 일단부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이동핀(134)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면서 신축링크(131)를 벌리고 오무리는 신축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신축링크(131)의 상측 일단부에 결합된 상측이동핀(132)은 상판(101)의 제1안내장공(103)에 결합되어 하측이동핀(134)과 동일하게 제1안내장공(103)내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신축링크(131)의 상측 타단부와 하측 타단부는 상,하측 고정핀(133)(135)에 의해 각각 상판(1010과 지지판(15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신축링크(131)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발명의 테이블(181)을 사용시 정전 상황이 발발하면 수동으로 상판(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2에 나타낸 바와같이 손잡이(165)를 테이블(181)방향으로 밀면 베어링하우징(167)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161)이 탄성부재(164)를 압축하면서 이동하며 회전축(161)의 삽입홈(163)이 연장축(147)의 돌기(148)에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의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나사축(146)이 회전되면서 이동체(155)가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신축링크(131)의 신축작용이 유발되면서 상판(10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판(101)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잡고 있던 손잡이(165)를 놓게 되는바, 이때에는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164)가 이완되면서 걸림편(162)및 회전축(161)을 원위치로 이동시켜주게 되고 아울러 연장축(147)의 돌기(148)로 부터 삽입홈(163)도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발명의 상판(101)의 원활한 승강동작을 얻는 동시에 안전한 승강을 위해 상판(101)의 승강시 승강대(111)도 승강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상판(101)의 상승 이동시 상판(101)의 제1걸림턱(102)은 승강대(111)에 형성된 제1안내홈(112)의 안내를 받아 상승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제1걸림턱(102)은 승강대(111)의 제2걸림턱(113)과 접촉하면서 승강대(111)를 끌고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111)의 상승에 의해 제3걸림턱(114)도 받침대(121)의 제2안내공(122)을 따라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3걸림턱(114)이 받침대(121)의 제4걸림턱(123)과 접촉을 하게 되면 상승을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181)상판(101)의 높이조절을 큰폭으로 할수 있게 되고 상판(101)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대(121)에 의해 내부의 구조를 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미려한 외관을 안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발명 테이블(181)상판(101)의 이동시 어린이들에게 흥미로움을 주는 동시에 높이조절이 되고 있음을 알려주기 위해 이동체(155)가 이동하면서 전면고정체(152)에 고정된 리미트스위치(156)와 접촉 또는 비접촉을 하게 되면 상판(101)의 스피커(101)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멜로디를 흘려보내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감속모우터 또는 손잡이를 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신축링크를 신축시켜 테이블의 상판을 상,하측으로 승강시킴으로서, 응접실이나 주방에서 사용되는 테이블 및 식탁의 높이를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어린들의 책상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테이블 상판을 승강시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판 양측에 형성되는 제1안내장공과,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의 내부에 안착되는 지지판의 측면 양측에 형성된 제2안내장공과,
    상기 제1안내장공과 제2안내장공에 상,하측이동핀으로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토록 되어있고 상판과 지지판의 타측부에는 상,하측 고정핀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단으로된 신축링크와,
    상기 신축링크의 상,하측이동핀을 제1안내장공과 제2안내장공내에서 이동시켜 신축링크를 신축시키기 위해 지지판 양측의 제2안내장공에 결합된 하측이동핀을 연결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제2안내장공 범위내에서 직진 및 후진을 시키기 위해 양측지지판을 연결하고 있는 전,후면고정체에 구동축과 연장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체와 나사결합을 하고 있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을 자동 및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나사축의 회전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의 회전수단은 나사축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하측 스플로킷과,
    상기 하측 스플로킷에 하측부를 연결하고 있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해 체인 상측부에 연결되는 상측 스플로킷과,
    상기 상측 스플로킷을 자동으로 회전 및 역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판 상측에 안착되어 회전축을 상측 스플로킷에 연결하고 있는 감속모우터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의 회전수단은 나사축의 연장축에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와 결합할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있는 베어링 하우징에 이동 용이토록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축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회전축의 삽입홈이 평상시에는 연장축의 돌기와 분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전축의 걸림편과 일측의 베어링하우징 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원할한 승강을 위해 상판의 하측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과,
    상기 제1걸림턱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제1걸림턱을 안내할 수 있는 제1안내홈을 형성하고 있고 제1안내홈의 상측부에는 제2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외측에 형성된 제3걸림턱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해 제3걸림턱을 안내할 수 있는 제2안내홈이 형성되고 제2안내홈의 상측부에는 제4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받침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승강시 이동되는 이동체와 접촉되도록 전면고정체에 장착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멜로디를 흘려 보낼 수 있도록 상판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KR1019990055729A 1999-12-08 1999-12-08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KR10033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29A KR100330661B1 (ko) 1999-12-08 1999-12-08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729A KR100330661B1 (ko) 1999-12-08 1999-12-08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89A true KR20000012489A (ko) 2000-03-06
KR100330661B1 KR100330661B1 (ko) 2002-03-29

Family

ID=1962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729A KR100330661B1 (ko) 1999-12-08 1999-12-08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960B1 (ko) * 2004-07-08 2006-07-06 한재승 나사잭이 구비된 높이조절 책상
CN110145762A (zh) * 2019-06-03 2019-08-20 五邑大学 一种适老性灶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236B1 (ko) * 2008-03-27 2009-10-20 (주)상아프론테크 양 사이드 플레이트들 간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 장치가구비된 카세트
KR101278222B1 (ko) 2012-11-08 2013-06-24 채준석 리프트 휠체어
KR101527121B1 (ko) 2015-02-27 2015-06-10 에스케이이 주식회사 높이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N105962641A (zh) * 2016-07-04 2016-09-28 张传开 一种可调高学习桌
KR102163892B1 (ko) 2019-04-16 2020-10-12 전규성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다용도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3325U (ko) * 1987-12-26 1989-07-12
JPH054923U (ja) * 1991-07-02 1993-01-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Oa機器用机
JPH07298928A (ja) * 1994-05-09 1995-11-14 Yoshizawa:Kk 可変高さ重量物支持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960B1 (ko) * 2004-07-08 2006-07-06 한재승 나사잭이 구비된 높이조절 책상
CN110145762A (zh) * 2019-06-03 2019-08-20 五邑大学 一种适老性灶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661B1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32901A (en) Adjustable ottoman
US5129112A (en) Bathtub chair lift
WO2003059278A3 (en) Passive motion apparatus providing a controlled range of motion
DE60300064D1 (de) Stuhl mit beweglichem Sitz und Rückenlehne
EP1522298A3 (en) Reclining seat with movable back support
KR100330661B1 (ko)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CN110946723A (zh) 一种便利型老年人起居辅助装置
KR20100065440A (ko) 전동식 테이블 높낮이 조절장치
CA2448744A1 (en) Convertible seating furniture
CN215382615U (zh) 一种家具的升降结构及家具
CN210932335U (zh) 一种护理床升降系统
KR100645400B1 (ko) 환자용 침대의 매트리스각도조절을 위한 프레임구조
JP3149869U (ja) 移動式流し台
KR200404866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강대상용 발판
KR100658508B1 (ko) 높이 조절 책상
KR200286709Y1 (ko) 높이조절과 각도조절이 용이한 책상
KR102297093B1 (ko) 소음 방지 및 미세 높낮이 조절 가능한 이동형 승강테이블
KR200335954Y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CN209573931U (zh) 一种活动沙发电动椅机械伸缩装置
KR20040088329A (ko) 다리 스트레칭기구
CN213247468U (zh) 一种可电动调节高度的折叠桌
CN212590927U (zh) 一种方便休憩的智能办公桌
JPH0998842A (ja) 調理実習台
CN214434880U (zh) 一种适老型带滑轮机构的座椅
CN210540096U (zh) 一种新型椅子扶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