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954Y1 -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 Google Patents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954Y1
KR200335954Y1 KR20-2003-0030175U KR20030030175U KR200335954Y1 KR 200335954 Y1 KR200335954 Y1 KR 200335954Y1 KR 20030030175 U KR20030030175 U KR 20030030175U KR 200335954 Y1 KR200335954 Y1 KR 2003359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ofa
base
upper leg
low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두
Original Assignee
곽병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두 filed Critical 곽병두
Priority to KR20-2003-003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9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9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9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47C20/1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using r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쿠션, 안착쿠션, 팔걸이쿠션 및 이들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상부다리와, 상기 상부다리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다리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리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청소 등의 필요시에 소파 전체를 직접 들어올리는 수고 없이 실내바닥과의 간격을 넓혀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A sofa to be adjusted the height}
본 고안은 소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소 등의 필요시에 소파 전체를 직접 들어올리는 수고 없이 다리의 길이를 조절하여 실내바닥과의 간격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도록 한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Sofa)는 서양식 가구의 일종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어 잠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거나, 손님 접대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1인이 앉을 수 있는 1인용 소파와 3인이 앉을 수 있는 3인용 소파로 구분 제조되고 이들이 한세트로 배치되어 사용된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소파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파는 등받이용 쿠션(103)과 안착용 쿠션(105), 팔을 올려놓는 팔걸이용 쿠션(106) 및 이들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용 베이스(101)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용 베이스(101) 하부 모서리 인근에는 복수개의 다리(107)가 설치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의 소파는 다리(107)의 길이가 짧아서 실내바닥으로부터 떨어진 틈새가 매우 좁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안착용 쿠션(105)에 앉았을 때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안착용 쿠션(105) 및 지지용 베이스(101)를 포함하여 상기 다리(107)가 이루는 전체 폭이 제한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불가피한 문제였다.
이러한 종래의 소파는 베이스(101)와 실내바닥이 이루는 틈으로 유아들의 물건이 자주 들어가고 이물질 및 먼지 등이 누적되어 청소가 필요하지만 상기 베이스(101)와 실내바닥이 이루는 틈이 너무 좁아서 깊숙이 들어간 물건을 꺼내거나 청소하는데 상당히 곤란하였다.
그래서 흔히 소파를 들어올려 베이스(101) 및 실내바닥 사이의 간격을 넓히려고 시도하지만 다른 대부분의 가구와 마찬가지로 부피와 중량이 상당히 큰 소파 전체를 들어 올리지 못하고 한편을 지지삼아 다른편을 비스듬히 들어 올리곤 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지지된 편의 다리(107)가 파손되거나 바닥의 장판이 찢어지는 등의 문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곤 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파를 직접 들어올리는 수고 없이 소파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다리의 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소파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를 도시한 입면도.
도 3a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b 는 도 3a 에서 본 고안의 높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c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리를 수평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참조도.
도 5a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b 는 도 5a 에서 본 고안의 높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3 : 등받이쿠션
5 : 안착쿠션 6 : 팔걸이쿠션
7 : 다리 9 : 스크류바
11 : 모터 25 : 에어실린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는 등받이쿠션, 안착쿠션, 팔걸이쿠션 및 이들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상부다리와, 상기 상부다리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다리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다리 상면에 지지 및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은 상기 하부다리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하부다리에서 승강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스크류바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몸체가 상기 상부다리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는 상기 하부다리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를 도시한 입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100)는 다리(7) 길이가 조절되면서 사용자가 직접 소파 전체를 들어올리는 수고 없이도 실내바닥과의 틈새 간격을 넓힐 수 있으며, 이러한 다리(7)의 길이 조절은 청소 혹은 기타 필요시에 스위치 또는 리모트콘트롤러를 사용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누구나가 힘들이지 않고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에서 본 고안의 높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3c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리를 수평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베이스(1)와, 등받이쿠션(3)과, 안착쿠션(5)과, 팔걸이쿠션(6)과, 중공 형성된 복수개의 다리(7)와, 상기 다리(7)를 신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는 상기 등받이쿠션(3)과 안착쿠션(5)과 팔걸이쿠션(6)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표면은 외피에 의해 둘러 싸여 있지만 그 내부에는 금속재, 목재 또는 FRP 등의 견고한 소재의 프레임(미도시됨)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쿠션(3)과 안착쿠션(5)과 팔걸이쿠션(6)은 각각 상기 베이스(1)의 후측, 상면, 양측에서 결합되어 지지되며, 그 각각의 내부에는 소정의 탄성 및 굴곡을 갖는 탄성지지부재(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이에 대한 구성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신축 가능한 다리(7) 및 승강수단의 구성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다리(7)는 상기 베이스(1)에 고정되는 상부다리(7a)와, 상기 상부다리(7a)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다리(7b)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다리(7b)에 지지되면서 상기 상부다리(7a)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 스크류바(9), 모터(11) 및 상기 모터(11)의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바(9)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다리(7a)는 상기 베이스(1)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베이스(1)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베이스(1) 내부에 별도의 지지플레이트가 견고하게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다리(7a)의 상단면에는 상기 승강수단의 스크류바(9)가 관통되는 통공(20)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상기 하부다리(7b)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된다. 여기서, 상기 통공(20)은 상기 스크류바(9)가 회전할 때 방해받지 않도록 약간 정도 여유 있는 구경으로 형성되다.
또한, 상기 상부다리(7a)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끼워지는 하부다리(7b)는 상면에 암나사 형성된 너트부(21)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바(9)와 체결된다. 이로써, 상기 스크류바(9)가 회전하면 상기 하부다리(7b)가 스크류바(9)를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가 된다. 단, 상기 하부다리(7b)는 소파 전체의 하중을 받으면서 실내바닥에 지지되어 있는 관계로 실제로 이동 즉, 승강하는 것은 상기 하부다리(7b)가 아니라 상기 스크류바(9)와 상기 스크류바(9)와 결합된 상부다리(7a) 및 베이스(1)를 포함한 그 외의 구성요소들이 된다.
여기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류바(9)의 회전시 상기 하부다리(7b)가 상기 스크류바(9)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다리(7b)의 외주면과 상부다리(7a)의 내주면에 돌출된 회전방지턱(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의 스크류바(9)는 상부다리(7a) 상면에 형성된 통공(20)에 공회전되도록 관통되면서 승강시에는 상부다리(7a)를 지지하여 함께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외주면에 이탈방지턱(17)이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바(9)의 하단부에는 회전시 스크류바(9)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반형 회전체(19)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9)는 직경이 상기 하부다리(7b)의 내경과 유사한 것으로 구비되어 그 외주면이 상기 스크류바(9)의 승강시 하부다리(7b)의 내벽을 타고 함께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11)는 상기 베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력을 상기 스크류바(9)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11)를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들을 갖는 간단한 컨트롤패널을 상기 베이스(1)의 하부 또는 측면 적절한 개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리모트컨트롤러에 의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수신기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11)의 회전축(12)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3a)와, 상기 스크류바(9)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종동기어(13b)와, 상기 구동기어(13a) 및 종동기어(13b)에 연결되어 모터(11)의 회전력을 스크류바(9)에 전달하는 체인(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13a)와 종동기어(13b)의 잇수비는 소파의 승강속도 및 이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정비율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체인(15)의 경우 모터(11)의 힘을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벨트나 그 밖에 가능한 다른 부품들을 채용하여 사용하는데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인(15)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1개의 구동기어(13a)와 2개의 종동기어(13b)를 한조로 연결하는 방식에 의하여 2개가 설치되며, 이러한 방식에 따라 2개의 구동기어(13a)는 상기 모터(11)의 회전축(12)에 다단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 내부에는 상기 상부다리(7a), 스크류바(9), 모터(11)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확실히 지지할 수 있도록 넓은 수평면을 갖는 지지플레이트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1)는 상기 베이스(1) 내부에 설치되기에는 부피가 큰 관계로 상기 베이스(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되는 모터(11)를 감싸면서 지지하고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소정의 브래킷(14)이 베이스(1)의 외측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다리(7a)는 베이스(1) 내부에 전체가 삽입된 형태로 하부다리(7b)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이 경우 베이스(1)의 내부공간을 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다리(7a)가 그 내부에 충분히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트롤패널의 온/오프 스위치에 의해 전원을 인가하면 승강수단이 작동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컨트롤패널의 상승스위치를 누르면 모터(11)가 전원을 인가받아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모터(11)의 회전축(12)에 설치된 구동기어(13a)로부터 체인(15) 및 종동기어(13b)를 거쳐 모터(11)의 회전력이 스크류바(9)에 전달된다.
이때, 반경이 작은 구동기어(13a)와 상대적으로 반경이 큰 종동기어(13b)의 잇수비에 의해 상기 스크류바(9)에는 감속된 상태에서 강한 토크를 갖는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후, 상기 스크류바(9)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서 상기 하부다리(7b)에설치된 너트부(21)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바(9)의 상단부는 공회전되도록 결합된 상부다리(7a)를 들어올리면서 상부다리(7a)가 고정된 베이스(1)를 비롯하여 하부다리(7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상승하게 된다.
반면, 본 고안의 소파의 높이를 낮추기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강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모터(1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기어(13a), 체인(15) 및 종동기어(13b)를 거쳐 모터(11)의 회전력이 스크류바(9)로 전달된다.
이후, 상기 스크류바(9)가 모터(11)의 역회전 방향과 일치한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하부다리(7b)의 너트부(21)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스크류바(9)와 함께 상기 상부다리(7a) 및 베이스(1)를 비롯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필요한 경우 간단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상부다리(7a) 및 하부다리(7b)로 이루어진 다리(7)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실내바닥으로부터 소파의 높이를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청소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승강수단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계속해서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에, 도 5a 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b 는 도 5a 에서 본 고안의 높여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승강수단으로서 에어실린더(25)가 구비되며, 에어실린더(25)의 몸체(27)는 상기 상부다리(7a)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29)는 상기 하부다리(7b)에 결합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에어실린더(25)의 로드(29)가 몸체(27)로부터 진퇴하게 되면 상기 상부다리(7a)로부터 하부다리(7b)가 슬라이딩되어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다리(7b)는 실내바닥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실제로는 상기 상부다리(7a) 및 베이스(1)가 승강하게 되며, 실린더(25)의 로드(29)가 몸체(27)로부터 진출하면 상기 상부다리(7a) 및 베이스(1)는 상승하고 상기 로드(29)가 퇴거하면 상기 상부다리(7a) 및 베이스(1)는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실린더(25)는 각각의 다리(7)에 하나씩 복수개 설치되고, 복수개의 에어실린더(25)를 제어하는 제어기(33)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33)는 상기 복수개의 에어실린더(25)를 동시에 작동 및 정지시키는 것은 물론, 로드(29) 서로간의 진퇴 정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소파가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게 승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에어실린더(25)는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랙타입의 로드(29)를 구비한 것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러실린더(25)의 서로간에 로드(29)가 진퇴되는 정도를 제어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로드(29)의 진출 또는 퇴거에 따라 다리(7)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면서 실내바닥으로부터 높낮이가 변화하는 동작을 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는 지지를 위한 다리의 길이가 신축 가능하여 실내바닥과의 간격을 용이하게 넓힐 수 있으므로 소파 전체를 힘들여 들어올리는 수고 없이 소파 밑으로 들어간 물건을 꺼내서나 청소를 하는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파를 사용자가 직접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지지편의 다리 또는 바닥의 장판이 손상되는 문제는 물론 사용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등받이쿠션, 안착쿠션, 팔걸이쿠션 및 이들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상부다리와, 상기 상부다리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다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다리에 지지되어 상기 상부다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다리 상면에 지지 및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은 상기 하부다리와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하부다리에서 승강되는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로부터 스크류바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몸체가 상기 상부다리에 고정 설치되고 로드는 상기 하부다리에 결합되는 에어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KR20-2003-0030175U 2003-09-24 2003-09-24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KR2003359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75U KR200335954Y1 (ko) 2003-09-24 2003-09-24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175U KR200335954Y1 (ko) 2003-09-24 2003-09-24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954Y1 true KR200335954Y1 (ko) 2003-12-11

Family

ID=4934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175U KR200335954Y1 (ko) 2003-09-24 2003-09-24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9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359B1 (ko) * 2018-12-31 2019-06-28 박광용 다기능 전동 소파
CN113995260A (zh) * 2021-10-11 2022-02-01 浙江山河家具有限公司 一种带升降功能的智能沙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359B1 (ko) * 2018-12-31 2019-06-28 박광용 다기능 전동 소파
CN113995260A (zh) * 2021-10-11 2022-02-01 浙江山河家具有限公司 一种带升降功能的智能沙发
CN113995260B (zh) * 2021-10-11 2023-11-24 浙江山河家具有限公司 一种带升降功能的智能沙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235B2 (en) Convertible piece of upholstered furniture with chair and bed function
KR101033004B1 (ko) 전동식 테이블 높낮이 조절장치
US9078794B2 (en) Electric bed front motor drive structure
CN215382615U (zh) 一种家具的升降结构及家具
KR200335954Y1 (ko) 높낮이가 조절되는 소파
KR100872791B1 (ko) 환자용 전동의자
CN108095402B (zh) 一种家用便于调节角度的孕妇座椅
CN214905309U (zh) 一种语音智能控制坐躺可变形沙发
KR101931678B1 (ko) 소파 겸용 침대
CN210520550U (zh) 一种手动升降的沙发
KR20000012489A (ko) 테이블의 높이 조절장치
CN211797409U (zh) 一种可升降坐便式辅助器
EP3646757B1 (en) A shampoo bed
KR200474640Y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CN218105382U (zh) 一种坐垫可变形的沙发
JP2001057919A (ja) 昇降椅子
CN110897542A (zh) 一种设有升降扶手的智能马桶
CN219940112U (zh) 一种可升降木质椅子
KR102438801B1 (ko) 높낮이 조절용 좌식 의자
KR20040088329A (ko) 다리 스트레칭기구
KR200233758Y1 (ko) 싱크대 발판 승강장치
CN212878520U (zh) 一种带腿部支撑调节装置的椅子
CN212098624U (zh) 一种房车用的升降桌
CN210540096U (zh) 一种新型椅子扶手
CN213664482U (zh) 一种自适应靠背的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