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435U -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435U
KR20000012435U KR2019980025409U KR19980025409U KR20000012435U KR 20000012435 U KR20000012435 U KR 20000012435U KR 2019980025409 U KR2019980025409 U KR 2019980025409U KR 19980025409 U KR19980025409 U KR 19980025409U KR 20000012435 U KR20000012435 U KR 200000124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vacuum cleaner
mounting portion
dust ba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5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435U/ko
Publication of KR20000012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435U/ko

Link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동작 시 내부의 먼지봉투 장착부(130)와, 청소기의 상부덮개(120)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130)에 얹혀져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200)에 다수개의 절곡부(210)를 형성하여 상기 먼지봉투의 장착부(130)와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기 가동시 발생하는 장착부의 유동에 의한 먼지 누설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동작 시 내부의 먼지봉투 장착부와, 청소기의 상부덮개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에 얹혀져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에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먼지봉투의 장착부와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기 가동시 발생하는 장착부의 유동에 의한 먼지 누설을 방지하도록 한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에 의해 먼지가 도시하지 않은 흡입구, 호스 등을 통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0) 내의 먼지집진부(20)에 먼지가 집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청소기 동작 시 흡입력에 의해 먼지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먼지 누설방지구조(1)는 상부덮개(11)와 집진실(20) 내부에 장착되는 먼지봉투 장착부(30)를 가진 먼지봉투(31)와, 상기 상부덮개(11)에 장착되고 먼지봉투 장착부(30)에 접하며 상기 장착부(30)에 접하는 끝단이 외곽으로 곡면을 이루어 벌어지는 형상의 밀폐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먼지 누설방지구조는 상기 밀폐부재(40)의 끝단이 먼지봉투 장착부(30)에 눌려지며 얹히면 상기 집진실(20)의 먼지봉투(31) 내와 외부가 밀폐되어 상기 먼지봉투(21) 내부에서 먼지가 걸러져 집진실의 청결을 유지하며 먼지를 포집할 수가 있다.
그러나, 먼지가 인입에 의하여 먼지봉투 및 장착부가 도 1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위로 유동이 발생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유동되는 각도가 커져서 상기 밀폐부재가 충분히 대응을 하지 못해 틈새(S)가 발생하여 먼지가 누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청소기의 동작시 내부의 먼지봉투 장착부와, 청소기의 상부덮개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에 얹혀져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를 요철 모양으로 하여 상기 먼지봉투의 장착부와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청소기 동작 시 발생하는 장착부의 유동에 의한 먼지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흡입구를 갖는 상부덮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먼지봉투를 내장한 집진실과, 상기 먼지봉투를 집진실에 장착하기 위한 먼지봉투 장착부와, 상기 상부덮개와 먼지봉투 장착부에 접하며 흡입되는 먼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 누설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에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먼지 흡입시 먼지봉투 장착부의 아래위 유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상부덮개 110 : 흡입구
120 : 집진실부 130 : 먼지봉투 장착부
131 : 먼지봉투 200 : 밀폐부재
210 : 절곡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먼지 누설방지 구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10)를 갖는 상부덮개(100)와, 상기 흡입구(110)를 통하여 들어오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먼지봉투(131)를 내장한 집진실(120)과, 상기 먼지봉투(131)를 집진실(120)에 장착하기 위한 먼지봉투 장착부(130)와, 상기 상부덮개(100)와 먼지봉투 장착부(130)에 접하며 흡입되는 먼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200)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 누설방지구조는 종래와 같고, 다만 본 고안은 상기 밀폐부재(200)에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곡부(210)를 형성하여 먼지 흡입시 먼지봉투 장착부(130)의 아래위 유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에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2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곡부(210)의 상부와 하부의 피치가 다르게 형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유동되는 각도가 커지는 것에 충분히 대응하여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는 상기 밀폐부재(200)의 일단이 먼지봉투 장착부(130)에 눌러지며 얹혀지면 집진실(120)의 먼지봉투(131) 내부와 외부가 밀폐되어 먼지봉투(131) 내부에서 먼지가 인입에 의해 걸러져 집진실(120)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며 먼지를 포집할 수가 있다.
이때, 진공청소기의 동작 시 먼지의 인입에 의해 먼지봉투(131) 및 먼지봉투 장착부(130)가 아래위로 유동되더라도 상기 밀폐부재(2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곡부(210)에 의해 유연하게 이에 대응하여 상부의 절곡부(h)와 하부의 절곡부(h')의 피치가 다르게 형성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유동되는 각도가 커지는 것에 충분히 대응하여 연동함으로서, 먼지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동작 시 내부의 먼지봉투 장착부와, 청소기의 상부덮개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에 얹혀져 밀폐하기 위한 밀폐부재에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먼지봉투의 장착부와 함께 연동되도록 함으로서, 청소기 동작 시 발생하는 장착부의 유동에 대응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먼지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흡입구를 갖는 상부덮개와,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먼지봉투를 내장한 집진실과, 상기 먼지봉투를 집진실에 장착하기 위한 먼지봉투 장착부와, 상기 상부덮개와 먼지봉투 장착부에 접하며 흡입되는 먼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부재로 구성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 누설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에 다수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먼지 흡입시 먼지봉투 장착부의 아래위 유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곡부의 상부와 하부의 피치가 다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KR2019980025409U 1998-12-17 1998-12-17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KR200000124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409U KR20000012435U (ko) 1998-12-17 1998-12-17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409U KR20000012435U (ko) 1998-12-17 1998-12-17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435U true KR20000012435U (ko) 2000-07-05

Family

ID=69507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409U KR20000012435U (ko) 1998-12-17 1998-12-17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43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45348B2 (en) Detachable dust receptacle for a vacuum cleaner
CA2645364C (en) Cyclone dust collector
US5991969A (en) Noise absorb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000012435U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누설 방지구조
JP2003180570A (ja) 電気掃除機
JP2003180569A (ja) 電気掃除機
CN215733828U (zh) 一种电机组件及表面清洁设备
CN213821244U (zh) 一种清洁设备
CA2397437C (en) Discharging duct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CN219538157U (zh) 尘杯吸口密封件及吸尘器
KR200214600Y1 (ko) 진공청소기용본체의모터소음저감구조
CN217013887U (zh) 基站
KR100205687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JP3063473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KR20020022925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패킹
KR100456170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실링구조
KR100617628B1 (ko) 진공 청소기 집진 필터의 고정 장치
KR20050064940A (ko)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 확인 장치
JP3540621B2 (ja) 電気掃除機
JP2004267683A (ja) 電気掃除機
KR200172939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더스트실링
KR19990048527A (ko) 진공청소기의 패킹소켓
CN113827150A (zh) 一种用于洗地机管路的密封结构
JPH0549570A (ja) 電気掃除機の集塵フイルター
JPS61373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