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236A -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236A
KR20000012236A KR1019990044566A KR19990044566A KR20000012236A KR 20000012236 A KR20000012236 A KR 20000012236A KR 1019990044566 A KR1019990044566 A KR 1019990044566A KR 19990044566 A KR19990044566 A KR 19990044566A KR 20000012236 A KR20000012236 A KR 2000001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ard data
business card
item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헌
이성주
Original Assignee
황영헌
이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헌, 이성주 filed Critical 황영헌
Priority to KR101999004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236A/ko
Publication of KR2000001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83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data storage and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준화된 식별태그를 사용하여 개인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며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명함에 기록될 데이터를 개인의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여러 항목으로 나누고, 각 항목을 식별하기 위한 다수의 항목 식별수단을 그에 대응하는 항목별 명함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기설정된 언어 식별태그와 항목 식별태그에 해당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혹은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명함 데이터의 등록을 원하는 경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에 따라 각 항목별 명함데이터와 시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생/저장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명함의 데이터를 표준화된 태그를 이용하여 손쉽게 기록하거나 재생/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명함 정보를 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명함 정보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명함 정보의 입력 및 활용을 손쉽게 하여 전자 명함의 이해 및 활용도를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WRITING AND READING/STORING METHOD FOR DATA OF ELECTRONIC BUSINESS CARD}
본 발명은 전자명함의 정보를 표준화하여 기록하고 그것을 재생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수첩이나 메모리를 가진 휴대폰 등의 개인 정보 기기에 표준화된 식별태그를 사용하여 개인의 명함 정보를 입력하여 두었다가, 다른 사람의 개인 정보 기기와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송신을 통해 표준화된 명함 정보를 송수신 함으로써, 손쉽게 명함정보를 전달하며, 수신측에서도 별도의 절차 없이 주소록에 명함 정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명함에 기록된 개인정보의 이해 및 그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명함은 종이나 플라스틱 카드 등으로 만들어지며 주로 일회용으로 주고받는 형태로 사용한다. 따라서 보통 자신의 명함을 여러 개 몸에 지니고 다녀야 하며, 받은 명함을 정리하거나 보관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므로 필요 없는 명함은 대부분 버리게 되었다. 또한 명함에 기록될 개인정보가 바뀌는 경우 기존의 명함은 버리고 새로운 내용이 실린 명함을 다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일회용 명함이 갖는 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명함을 포함하는 소형 문서를 읽거나 쓸 수 있는 문서 기록/재생장치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명함을 포함하는 소형 문서가 삽입될 수 있는 문서 삽입슬롯과, 상기 문서 삽입슬롯에 투입되는 문서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스캐너를 구비하고, 상기 스캐너를 통해 읽어들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 및 메모리수단을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서 기록/재생장치는 문서 삽입슬롯에 투입되는 문서(또는 명함)의 이미지 정보를 무조건 읽어들이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저장하므로 이미지를 저장함에 따라 대용량의 메모리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때 만약 메모리 용량이 부족할 경우 먼저 기억된 순서대로 이미지 정보가 삭제되므로 원하지 않게 귀중한 명함 정보가 소실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상기 일회용 명함이 갖는 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간단하게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있는 IC칩이 내장된 전자적인 카드 형태로 전자 명함을 만들었다. 이것은 IC 칩에 전기적인 신호를 가하는 것으로 명함 내용을 손쉽게 바꿔 쓸 수 있으며 읽을 수도 있기 때문에 명함이 자주 바뀌는 사람에게 유리하다. 이러한 전자명함은 IC칩에 기록된 내용을 읽거나 쓸 수 있는 카드 리더기/라이트기를 전자수첩 등과 같은 정보 기기에 탑재하여, 상기 전자명함을 전자수첩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장의 전자명함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 상기 전자수첩에는 카드 삽입슬롯과 카드의 정보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카드 리더기/라이터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자명함에 기록된 개인정보가 하나의 문자열로 저장되므로, 전자명함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측에서 보면, 불필요한 정보까지도 읽어 저장하게 되므로 전자 명함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 구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지 않는 정보까지도 보관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명함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와 데이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식별태그로 명함 데이터를 각각 구분하여 기록함으로써, 명함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기 측에서 그 식별태그를 사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하게 데이터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전자명함 및 그 정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정보 기기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명함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준화된 식별태그를 사용하여 원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읽어 재생하고, 해당 정보의 등록 여부를 체크하여 자동으로 메시지를 표시해줌으로써,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기 측에서 원하는 정보만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분석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전자 명함 및 그 정보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명함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에 기록될 데이터를 개인의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여러 항목으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각 항목을 식별하기 위한 다수의 항목 식별수단을 그에 대응하는 항목별 명함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기록/판독수단 및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시스템 클럭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개인 정보 기기에서의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읽을 데이터의 언어와 읽을 데이터의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각각의 식별태그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외부 데이터 수신동작에 의해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언어 식별태그와 항목 식별태그에 해당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혹은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명함 데이터의 등록을 원하는 경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에 따라 각 항목별 명함데이터와 시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기록/판독수단 및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시스템 클럭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탑재한 개인 정보 기기에서의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읽을 데이터의 언어와 읽을 데이터의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각각의 식별태그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외부 데이터 수신동작에 의해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언어 식별태그와 항목 식별태그에 해당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혹은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명함 데이터의 등록을 원하는 경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에 따라 각 항목별 명함데이터와 그때의 시각 데이터 및/또는 GPS의 현위치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항목 식별코드와 자릿수와 명함 데이터의 내용을 차례로 기록하고 각 항목을 에러 정정코드(ECC)로 구분하여 기록한 구조의 예시도
도 2는 항목 식별코드와 명함 데이터의 내용을 차례로 기록하고 각 항목을 구분 문자(delimiter)로 구분하여 기록한 구조의 예시도
도 3은 메모리의 일정한 위치에 항목 식별코드와 명함 데이터의 내용을 각각 할당해서 기록한 구조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전자수첩이나 무선 정보 기기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블록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인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상기의 무선 정보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함데이터 기록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전자수첩이나 무선 정보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과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무선정보기기(또는 전자수첩)
11 : 키입력부 12 : 기록/판독부
13 : 디스플레이부 14 : 메모리부
15 : 무선 송/수신부 16 : 제어부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기기에서의 명함데이터 기록방법과 재생/저장방법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명함을 포함하는 소량의 데이터, 즉 특정 개인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쓰거나 읽을 수 있는 명함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명함데이터 저장수단을 액세스하여 데이터를 써넣거나 또는 읽어낼 수 있는 기록/판독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수첩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 정보 기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으로서, 상기 개인 정보 기기의 명함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될 각 개인의 정보는 우선 해당 개인의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속성별로 구분하여 여러 항목으로 나누어 다수개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개인이 소속된 회사나 집에 대한 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팩스번호, 전자메일 주소, 직책, 경력, 학위, 회사로고, 개인사진, 및/또는 해당 개인만이 가질 수 있는 특유의 정보 등을 각각 구분하여, 각각의 정보들이 하나의 데이터 항목을 구성할 수 있게 나눈다.
상기 나누어진 각 항목별 명함 데이터에는 해당 항목을 식별하기 위하여 특수문자로 시작하는 각각의 항목 식별태그를 붙여 명함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함으로써, 이러한 식별태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개인 정보 기기들 간에 명함데이터들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다수의 항목 식별태그와 다수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는 하나의 항목 식별태그와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명함 데이터가 한 쌍을 이루게 하여 저장하고, 상기 각각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는 구분문자(delimeter)를 부가시켜 각 항목과 항목 사이를 구별할 수 있게 기록한다. 회사로고와 개인의 사진정보는 정보량을 줄이기 위하여 이미지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정의된 모든 태그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자신이 제시하고 싶은 정보만 태그를 사용하여 입력함으로써 정보량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태그는, 직책을 나타내는 "%TL", 학위를 나타내는 "%GD", 이름을 나타내는 "%NM", 회사명을 나타내는 "%OF", 회사주소를 나타내는 "%OA", 회사주소 우편번호를 나타내는 "%OP", 회사전화를 나타내는 "%OT", 회사팩스를 나타내는 "%OF", 집주소를 나타내는 "%HA", 전자메일을 나타내는 "%EM", 경력을 나타내는 "%HS", 회사로고를 나타내는 "%OL", 개인사진을 나타내는 "%PH"(단, "O"는 회사를 나타내고, "H"는 집을 나타내고, "P"는 개인정보를 나타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그밖에도 각 직업에 따라 분류되는 직책 또는 직급에 대한 식별태그나 특정 직업만이 가질 수 있는 다른 여러 태그들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여러 식별태그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속성의 태그만을 취하여 자신의 명함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게다가 상기 다수개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는 언어를 식별하기 위하여 특수문자로 시작하는 언어 식별태그를 상기 항목별 명함 데이터와 함께 더 기록할 수도 있다. 이는 각 국가별로 사용하는 언어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캐릭터가 설정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항목 식별태그 및 언어 식별태그에 사용되는 특수문자는 예를 들어 "^", "%", "*", … 등이며, 이들 중의 어느 하나의 문자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언어 식별태그는 각 쌍의 항목 식별태그와 명함 데이터(상기 언어로 표현되는 데이터) 앞에 미리 기록할 수 있다.
만약 한 개 이상의 언어로 표현되는 명함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서는, 상기 언어(제 1언어)와 구분되는 또 다른 언어(제 2언어)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 2언어 식별코드를 더 기록하고, 그 뒤를 이어 다시 상기 각 쌍의 항목 식별태그와 명함 데이터(상기 제2언어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기록한다. 또한 제 3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명함 데이터가 있을 경우 상기 제 2언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3언어 식별코드를 더 기록하고, 그 뒤를 이어 다시 각 쌍의 항목 식별태그와 명함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기록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언어, 즉 제 1언어는 한글을, 제 2언어는 영어를, 제 3언어는 한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제 1언어(한글) 식별태그 "^KR"를 기록한 뒤 항목 식별태그와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차례로 기록하고, 제 2언어(영어) 식별태그 "^EN"을 기록한 뒤 항목 식별태그와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차례로 반복하여 기록하고, 제 3언어(한문) 식별태그 "^CH"를 기록한 뒤 항목 식별태그와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다시 반복하여 기록한다. 이때 회사로고나 개인사진 등과 같이 이미지 형태로 저장되는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량을 줄이기 위하여 반복하여 저장하지 않는다. 특히 상기 식별태그 앞에 붙여진 특수문자가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해당 특수문자를 반복하여 기록함으로써, 명함 데이터 상에 포함된 특수문자와 식별태그 앞에 붙여진 특수문자를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명함데이터 기록방법의 각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 중에서 특히, 도 1은 항목 식별태그를 부호화시킨 식별코드와 한 항목의 데이터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자릿수와 실질적인 명함 데이터의 내용을 차례로 기록하여 각각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각의 항목을 에러 정정코드(ECC)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또한 연속적으로 기록한 구조의 예시도로서, 이것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구조이다.
도 2는 항목 식별태그를 부호화 시킨 식별코드와 실질적인 명함 데이터의 내용을 차례로 기록하여 각각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각의 항목을 구분 문자(delimiter)로 구분하여 기록한 구조의 예시도로서, 이것도 또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구조이다.
도 3은 메모리의 일정한 위치에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각각 할당해서 기록한 구조의 예시도로서, 이것은 차후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기기에서의 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인 정보 기기(명함데이터 저장수단을 구비한 휴대폰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전자수첩; 10, 20)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블록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인 도시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기기(10)(20)는 명함내용에 관한 데이터 입력 또는 기능설정을 위한 다수의 키를 구비한 키입력수단(11)과, 외부의 데이터 저장수단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엑세스하여 데이터를 쓰거나 읽는 기록/판독수단(12), 및 명함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명함 데이터에 관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13)과, 개인 정보 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 작동시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수단(14)과,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수단(15) 및 상기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무선 송/수신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수단(15-1)을 구비하고,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는 타이머수단(17)과, 상기 시스템 클럭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억하는 제어수단(1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인 정보 기기(10)(20)는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할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들을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거나 출력하기 위한 메모리 입/출력수단(14-1)을 포함하여, 적어도 명함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할 수 있는 명함정보 입출력기능이 구비되어져야 하고, 또한 회사로고나 개인 사진 등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외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피시(PC) 등으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인 정보 기기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치계산수단(18)(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탑재하여 데이터 입력 장소가 변함에 따라 달라지는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의 개인 정보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함데이터 기록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명함 데이터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명함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 식별태그를 키입력하여 선택하고, 그 뒤를 이어 원하는 항목의 식별태그와 그에 대응하는 명함 데이터를 차례로 키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키입력에 의해 원하는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S511-S513)와; 명함 교환을 필요로 하는 경우 다수의 항목별 식별태그와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명함 데이터를 읽어 송신하는 단계(S514, S5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의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한 전자수첩이나 명함데이터 저장수단을 개인 정보 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초기 설정상태에서 키입력수단(11)을 이용하여 사용 언어와 항목에 대한 각각의 식별태그를 미리 설정하여, 상기 제어수단(16)으로 하여금 메모리수단(14)에 기억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S611)와; 명함 데이터의 교환(수신)이 필요한 경우, 외부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기록/판독수단(12)이나 무선 송/수신수단(15)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언어 식별태그와 항목 식별태그에 해당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수단(13)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613-S615)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혹은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명함 데이터의 등록을 원하는 경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에 따라 각 항목별 명함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S616-S625)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된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는, 특정 항목의 데이터, 예를 들어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의 데이터를 탐색하는 단계(S618)와, 상기 탐색결과로부터 해당 이름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619)를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항목별 명함데이터의 선택적인 저장은, 상기 이름 항목을 체크한 결과, 해당 이름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최초 등록임을 인식하여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그때의 시각 데이터 및/또는 위치 데이터와 함께 바로 등록하는 단계(S620)와, 반대로 해당 이름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등록된 데이터와 함께 기등록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단계(S621)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체크하여,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여야 할지(이름이 같은 타인인지)를 결정하고 실행하는 단계(S622, S6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을 체크하여, 키입력 데이터로 기등록된 내용을 갱신하여야 할지(명함 내용만 바뀐 동일인인지) 또는 기등록된 명함 데이터는 그대로 두고 그때의 시각 데이터와 위치 데이터만을 갱신 저장하여야 할지(동명이인도 아니고 명함내용도 바뀌지 않은 경우)를 결정하고 실행하는 단계(S623-S625)를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시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는 상기 타이머수단(17)의 시스템 클럭에 의해 작동하는 타이머의 시간정보로부터, 상기 위치계산수단(18)으로부터 측정되는 개인 정보 기기의 현 위치정보로부터 각각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의 명함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하기 위하여 전자수첩이나 개인 정보 기기에는 우선적으로 읽어들일 언어를 하나 이상 기록해둔다. 예를 들어 기본 언어는 한글, 2차 언어는 영어로 한 경우 한글과 영어로 기록된 명함데이터로부터는 한글 정보만, 영어와 한자로 기록된 명함의 경우에는 영어만을 읽어들이도록 한다.
이때 모든 정보는 다 읽는 것이 아니라 전자수첩이나 개인 정보 기기에 사전에 정의된 정보만 읽어들이도록 함으로써, 입력하는 정보량을 줄이도록 한다. 즉, 개인 사진 정보 등은 읽어들이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렇게 설정된 경우 개인 사진정보를 표현하는 태그와 이하의 정보는 읽어들이지 않고 스킵 한다.
상기와 같이 읽혀져 수록된 명함 데이터는 일단 전자수첩이나 개인 정보 기기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 전자수첩이나 개인 정보 기기는 읽을 항목을 미리 설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저장버튼을 눌러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만일 이전에 입력한 명함데이터와 중복되는 경우 이러한 사실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년, **월, **일에 입력된 정보와 같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보여줌으로써, 상대방에 대한 기억을 되살릴 수 있게 유도한다.
또는 이름만 같고, 이하 정보가 다른 경우에 대해서는 "***란 이름은 이미 등록되어 있습니다." 라는 메시지를 내보내도록 한다. 만일 동명이인인 경우는 새롭게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정보가 바뀐 경우는 기존 정보를 수정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정보가 저장될 때는 내장된 타이머의 시각 데이터를 사용하여 만난 시간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으며, 지피에스(GPS)가 탑재된 기기에서는 특히 만난 장소에 관련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정보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에 의하면, 명함데이터를 표준화된 태그를 이용하여 손쉽게 기록하거나 재생/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잦은 직장이동 및 직책 변화 등으로 명함의 제작이 빈번한 사업가들에게 명함카드 제작 및 자신의 정보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명함을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받은 정보를 쉽게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게 되어 정보의 입력 및 활용이 손쉽게 하여 전자 명함의 이해 및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명함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명함에 기록될 데이터를 개인의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 여러 항목으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각 항목을 식별하기 위한 다수의 항목 식별수단을 그에 대응하는 항목별 명함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는 언어를 식별하기 위한 언어 식별수단을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에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항목 식별수단과 다수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
    하나의 항목 식별수단과 그에 대응하는 하나의 명함 데이터가 한 쌍을 이루게 하여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명함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는 상기 언어 식별수단을 기록하고, 그 뒤를 이어 각 쌍의 항목 식별수단 및 항목별 명함 데이터(상기 언어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언어로 표현되는 명함 데이터를 기록함에 있어,
    상기 언어(제 1언어)와 구분되는 또 다른 언어(제 2언어)를 식별하기 위한 제 2언어 식별수단을 기록하고, 그 뒤를 이어 각 쌍의 항목 식별수단 및 항목별 명함 데이터(상기 제2언어로 표현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는 에러정정코드(ECC)를 사용하여 각각의 명함 데이터를 구분하여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항목별 명함 데이터는 구분문자(delimeter)를 사용하여 각각의 명함 데이터를 구분하여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의 메모리 영역을 상기 나누어진 각 항목별로 할당하여 지정된 메모리 번지에 상기 항목별 명함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기록방법.
  9.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기록/판독수단 및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시스템 클럭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개인 정보 기기서의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읽을 데이터의 언어와 읽을 데이터의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각각의 식별태그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외부 데이터 수신동작에 의해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언어 식별태그와 항목 식별태그에 해당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혹은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명함 데이터의 등록을 원하는 경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에 따라 각 항목별 명함데이터와 시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여부 판단단계는,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수신된 명함데이터의 기등록여부를 우선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체크결과, 이름이 같은 명함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기등록 되어 있는 명함데이터와는 별도로 중복 저장하여야 할 명함데이터(이름이 같은 타인)인지, 이전에 등록된 내용을 갱신하여야 할 명함데이터(내용이 바뀐 동일인)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명함 데이터와 해당 메시지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된 명함데이터의 저장 혹은 삭제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별 명함데이터 선택 저장단계는,
    상기 시스템 클럭에 의해 작동하는 타이머의 시각데이터를 취하여 상기 명함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12. 데이터를 쓰거나 읽을 수 있는 기록/판독수단 및 외부 기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시스템 클럭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재생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하거나 기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탑재한 개인 정보 기기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읽을 데이터의 언어와 읽을 데이터의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각각의 식별태그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와;
    외부 데이터 수신동작에 의해 상기 기록/판독수단이나 무선 송/수신수단을 통해 데이터가 입력되면, 기설정된 언어 식별태그와 항목 식별태그에 해당하는 명함 데이터만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된 명함 데이터를 저장 혹은 삭제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명함 데이터의 등록을 원하는 경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 여부에 따라 각 항목별 명함데이터와 그때의 시각 데이터 및/또는 GPS의 현위치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데이터의 기등록여부 판단단계는,
    이름을 나타내는 항목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수신된 명함데이터의 기등록여부를 우선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우선 체크결과, 이름이 같은 명함데이터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 기등록되어 있는 명함데이터와는 별도로 중복 저장하여야 할 명함데이터(이름이 같은 타인)인지, 이전에 등록된 내용을 갱신하여야 할 명함데이터(내용이 바뀐 동일인)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명함 데이터와 해당 메시지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된 명함데이터의 저장 혹은 삭제여부를 다시 결정하는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별 명함데이터 선택 저장단계는,
    상기 시스템 클럭에 의해 작동하는 타이머의 시각데이터를 취하여 상기 명함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별 명함데이터 선택 저장단계는,
    상기 지피에스(GPS)로부터 측정되는 개인 정보 기기 현위치데이터를 취하여 상기 명함 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데이터 재생/저장방법.
KR1019990044566A 1999-10-14 1999-10-14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KR20000012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66A KR20000012236A (ko) 1999-10-14 1999-10-14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566A KR20000012236A (ko) 1999-10-14 1999-10-14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36A true KR20000012236A (ko) 2000-03-06

Family

ID=1961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566A KR20000012236A (ko) 1999-10-14 1999-10-14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2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47B1 (ko) * 2000-05-06 2004-03-04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복수 컬러 셀들의 조합으로 표현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4425B1 (ko) * 2007-07-18 2008-08-26 (주)세솔 명함지갑 및 이를 포함하는 명함관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247B1 (ko) * 2000-05-06 2004-03-04 주식회사 칼라짚미디어 복수 컬러 셀들의 조합으로 표현된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4425B1 (ko) * 2007-07-18 2008-08-26 (주)세솔 명함지갑 및 이를 포함하는 명함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26077C (zh) 物品管理装置及其方法
US5682549A (en) Image data management system for accessing image data from communication network by reading file name information stored in an IC card
CA2327376A1 (en) Cellular telephone
EP1087207B1 (en) A point retrieval output system by a telephone number, and a memory medium
US20050216786A1 (en) Data accumulation system
EP1191451A2 (en) Radio apparatus for storing and managing data to be processed by data-processing apparatuses
KR20050017316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주소록 관리 장치및 방법
US20030002081A1 (en) Printing methodology and apparatus adapted to receive data form a portable memory device and generate personalized print items
KR20000012236A (ko) 전자명함데이터 기록 및 재생/저장방법
GB2328304A (en) Portable device for storing and displaying personal information
JP2003244340A (ja) 名刺代行機能搭載携帯電話機
EP1104147B1 (en) Telephone set having removable storage medium
KR20000037013A (ko)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바코드 명함을 이용한 명함정보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4032419B2 (ja) 顧客管理システム
KR200205726Y1 (ko) 명함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명함정보기록재생단말장치
JP2007265234A (ja)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蓄積サーバ
JP2003123035A (ja) 入力機能付き電子無線名刺交換機
KR100673448B1 (ko) 메모 검색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244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자동 저장 방법
KR200408912Y1 (ko) 명함용 박막형 메모리칩을 읽고/쓰기가 가능한 전자수첩
JP2007089225A (ja) 携帯電話機
US200301322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data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ame
JPH0969128A (ja) 名刺による顧客管理システム
JPS6069788A (ja) 名刺による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20022845A (ko) 바코드 리더가 장착된 휴대폰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