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987A - 컬러브라운관장치 - Google Patents

컬러브라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987A
KR20000011987A KR1019990030508A KR19990030508A KR20000011987A KR 20000011987 A KR20000011987 A KR 20000011987A KR 1019990030508 A KR1019990030508 A KR 1019990030508A KR 19990030508 A KR19990030508 A KR 19990030508A KR 20000011987 A KR20000011987 A KR 20000011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electron beam
electron
auxiliar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075B1 (ko
Inventor
다케카와츠토무
우에노히로후미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1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0Electron guns two or more guns in a single vacuum space, e.g. for plural-ray tube
    • H01J29/503Three or more guns, the axes of which lay in a common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3Aberrations by type
    • H01J2229/5635Astigmatis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브라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셀프 컨버전트 타입(self convergent type)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전자총 장치(17)에서 방출되는 일렬 배치의 3전자 빔이 편향요크의 비균일자계에 의해 편향되는 것에 의해 스크린을 향해 자기집중되고, 전자총 장치는 제 2 및 제 3 그리드(G2, G3)를 갖고, 그 사이에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가 배치되고, 제 2 그리드측의 제 1 보조그리드(Gs1)에는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고, 제 3 그리드(G3)측의 제 2 보조그리드(Gs2)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며, 따라서 제 2 그리드(G2), 제 1 및 제 2 보조그리드(Gs1, Gs2) 및 제 3 그리드(G3)에 의해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의 집속이 그 배열방향인 수평방향의 집속보다도 강한 비점수차(非点收差; astigmatism)를 갖고, 그 강도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전자렌즈가 형성되며, 그 결과, 비교적 낮은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화면 전역에 걸쳐 균일한 포커스를 얻을 수 있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컬러 브라운관 장치{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본 발명은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면 주변부에 있어서 빔 스팟의 타원왜곡을 경감시켜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브라운관은 패널(panel) 및 퍼넬(funnel)로 이루어진 외관용기(vacuum envelope)를 갖고, 그 퍼넬의 네크 내에 배치된 전자총 장치에서 3전자빔이 방출된다. 이 3전자빔이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편향되고, 섀도우마스크를 통해 패널의 내면에 설치된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게 되어 형광체 스크린이 전자빔에 의해 수평 및 수직으로 주사되는 것에 의해 컬러 화상이 형광체 스크린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컬러 브라운관에 있어서는 특히 인라인형(in-line type) 전자총 장치를 넣은 셀프 컨버전스(self convergence)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이 널리 실용화되어 있다. 인라인형 전자총 장치는 전자총이 동일 수평면상에 배치되고, 전자총에서 동일 수평면 내를 통과하는 센터 빔 및 한쌍의 사이드 빔으로 이루어진 일렬 배치의 3전자빔이 방출된다. 셀프 컨버전스형의 컬러 브라운관에서는 그 편향요크가 수평편향장계를 핀 쿠션(pin cushion)형, 수직편향자계를 배럴(barrel)형으로 하는 비균일자계를 발생시키고, 일렬 배치의 3전자빔이 스크린을 향해 자기집중(converge)된다.
일렬배치의 3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장치로서는 각종 구조의 것이 있는데, 그 하나로 바이포텐셜 포커스(BPF; Bi-Potential Focus)형 DACF(Dynamic Astigmatism Correct and Focus)방식이라고 하는 전자총 장치가 있다. 이 BPF형 DACF방식의 전자총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렬배치의 3개의 캐소드(K), 이러한 캐소드(K)에서 차례로 형광체 스크린방향에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그리드(G1∼G4)로 이루어지고, 그 제 3 그리드(G3)가 2개의 세그먼트 전극(G31, G32)으로 분할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각 그리드(G1∼G2, G31, G32, G4)는 각각 3개의 캐소드(K)에 대응하여 전자빔의 통과를 허용하는 3개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일렬배치로 형성된 일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총 장치에서는 각 캐소드(K)에 약 150V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1 그리드(G1)는 접지되고, 제 2 그리드(G2)에는 약 600∼800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는 약 6kV,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에는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인가된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하여, 이 기준전압에 부가하여 편향요크의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된다. 제 4 그리드(G4)에는 약 26kV의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전압의 인가에 의해 이 전자총 장치에서는 캐소드(K) 및 제 1 및 제 2 그리드(G1, G2)에 의해 전자빔이 발생되고, 또 후술하는 주렌즈에 대한 물점(物点)을 형성하는 3극부(三極部)가 형성된다. 또, 제 2 및 제 3 그리드(G3)를 구성하는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상기 3극부에서의 전자빔을 예비집속하는 프리포커스 렌즈(prefocus lens)가 형성된다. 또,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될 때에 수평방향으로 집속(focus)되고, 수직방향으로 발산(diverge)되는 4극자 렌즈가 형성된다. 또, 제 2 세그먼트 전극(G32) 및 제 4 그리드(G4)에 의해 전자빔을 최종적으로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집속하는 바이포텐셜(BPF)형의 주렌즈가 형성된다.
이 전자총 장치에서는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고 화면의 중앙을 향할 때에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사이에 4극자 렌즈는 형성되지 않고, 3극부에서의 전자빔은 프리포커스 렌즈에 의해 예비집속된 후, 주렌즈에 의해 화면의 중앙 위에 집속된다.
이에 대해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방향에 편향될 때는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라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의 전압이 높아지고,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 간에 전자빔을 수평방향에 집속하고, 수직방향에 발산하는 4극자 렌즈가 형성된다. 동시에,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의 전압의 상승에 의해 제 2 세그먼트 전극(G32)과 제 4 그리드(G4)에 의해 형성되는 주렌즈의 강도가 약해진다. 그것에 의해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방향에 편향될 때에는 전자광학적으로 전자총 장치에서 형광체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고, 상점(像点)이 멀어지는 것에 대응하여 렌즈 배율이 변화되어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수평편향자계가 핀 쿠션형으로, 수직편향자계가 배럴형인 것에서 생기는 편향수차가 보상된다.
그런데, 컬러 브라운관의 화질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화면 전면의 포커스 특성을 양호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일렬배치의 3전자빔을 방출하는 통상의 전자총 장치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은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중앙부의 빔 스팟(1a)은 대략 원이어도,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1b)은 편향수차에 의해 수평방향에 긴 타원형상으로 왜곡(1b)(옆이 찌그러짐), 또한 수직방향에 번짐(2)이 발생한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DACF방식을 채용한 전자총 장치의 BPF형 주렌즈를 형성하는 저전압측의 전극이 복수개 세그먼트 전극으로 분할되고, 이러한 세그먼트 전극에 의해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라 4극자 렌즈가 형성되어 편향수차를 보상하는 전자총 장치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은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주변부에 형성되는 빔 스팟(1b)의 번짐(2)을 해소할 수 있고,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총 장치에 있어서도, 화면 주변부에서의 빔 스팟(1b)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은 해소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전자빔과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과의 간섭에 의해 무아레(moire)가 생겨서 화면 상의 문자 등의 표시를 보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대책으로서 상기 전자총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대향하는 제 2 그리드(G2)의 대향면에 수평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전자빔 통과구멍(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총 장치는 제 2 그리드(G2)와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포커스 렌즈의 수평방향의 집속작용이 수직방향의 집속작용보다도 약하게 형성되고, 주렌즈에 대한 수평방향의 가상물점 직경이 축소되고, 수직방향의 가상물점 직경이 확대된다. 그 결과,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중앙부의 빔 스팟(1a)이 세로로 길게 되는 동시에, 주변부의 빔 스팟(1b)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이 완화되고,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과의 간섭에 의해 생기는 무아레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 전자총 장치는 제 2 그리드의 수평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오목구멍(4)을 깊게할 수록,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1b)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지만, 그것에 수반하여 화면 중앙부의 빔 스팟(1a)이 세로로 길어지는 것이 조장되고, 빔 스팟의 수직방향 직경이 확대되기 때문에, 화면 중앙부의 해상도가 열화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그리드(G2)와 제 3 그리드(G3)를 구성하는 제 1 세그먼트 전극(G31)과의 사이에 세로로 긴 또는 가로로 긴 비원형상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갖는 보조 그리드(Gs)가 배치되고, 이 보조 그리드(Gs)에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 또는 감소하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구조를 갖는 전자총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제 2 그리드(G2)와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포커스 렌즈의 수평방향의 집속과 수직방향의 집속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고 화면 중앙을 향할 때에는 프리포커스 렌즈의 수평방향의 집속과 수직방향의 집속이 같고, 전자빔이 화면 주변방향에 편향될 때에 프리포커스 렌즈에 수평방향의 집속이 약하고, 수직방향의 집속이 강한 비점수차를 주어 수평방향의 가상물점 직경을 축소하고, 수직방향의 가상물점 직경을 확대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화면 중앙부에서의 해상도를 열화시키지 않고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의 수직직경을 확대하여 화면 주변부에서 옆이 찌그러지는 것을 완화하고,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여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와 같은 전자총 장치에서 소망하는 전자빔 발산각 및 가상물점 직경을 얻기 위해서는 보조 그리드(Gs)에 1.5∼3kV와, 비교적 높은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보조 그리드(Gs)가 약 6kV로 비교적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과 대향하기 때문에, 보조 그리드(Gs)의 전압을 낮게 하면,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서 보조 그리드(Gs)의 전위의 침투가 너무 커지고, 프리포커스 렌즈의 비점수차가 너무 강해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 그리드(Gs)에 비교적 높은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다이나믹 전압을 발생하는 구동회로가 필요하므로, 회로의 비용이 비싸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컬러 브라운관의 화질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화면 전면에 걸쳐 양호한 포커스 상태를 유지하고, 또 빔 스팟의 타원 왜곡을 적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점, 종래의 BPF형 DACF방식의 전자총 장치는 BPF형 주렌즈를 형성하는 저전압측의 전극에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여 4극자 렌즈를 형성하는 동시에 주렌즈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편향수차에 의한 화면주변부에서의 빔 스팟의 수직방향의 번짐을 없앨 수 있고,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전자총 장치는 화면 주변부에서의 빔 스팟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을 해소할 수 없고,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과의 간섭에 의해 무아레를 일으켜서 화면 상의 문자 등의 표시를 보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 화면 주변부에서의 빔 스팟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 3 그리드의 세그먼트 전극에 대향하는 제 2 그리드의 대향면에 수평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오목구멍을 형성한 전자총 장치가 있다. 이 전자총 장치에 의하면, 주변부 근방에서의 빔 스팟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을 완화하여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구멍과의 간섭에 의해 생기는 무아레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전자총 장치는 화면 중앙부의 빔 스팟이 세로로 길어진다. 또, 제 2 그리드의 수평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오목구멍을 깊게할수록,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은 완화할 수 있지만, 그것에 수반하여 화면 중앙부의 빔 스팟의 세로로 길어지는 것을 조장하여 화면 중앙부의 해상도가 열화된다.
즉, 상기 전자총 장치에서는 화면 중앙에서의 화상의 보기 쉬움을 중시하며, 화면 주변부 근방에서의 화상이 열화되고, 반대로 화면 주변부 근방에서의 화상의 보기 쉬움을 중시하면, 화면 중앙에서의 화상이 열화된다. 그 때문에, 상기 구조의 전자총 장치를 넣은 컬러 브라운관은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양호하게 할 수 없고, 타협적인 설계를 실행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 2 그리드와 인접하는 제 3 그리드의 세그먼트 전극과의 사이에 세로로 긴 또는 가로로 긴 비원형상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갖는 보조 그리드를 배치하고, 이 보조 그리드에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 또는 감소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도록 한 전자총 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화면 중앙부에서의 해상도를 열화시키지 않고,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의 수직직경을 확대하여 화면 주변부에서의 옆이 찌그러지는 것을 완화하고,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여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전자총 장치는 보조 그리드에 1.5∼3kV로 비교적 높은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동회로의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낮은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화면 전역에 걸쳐 균일한 포커스를 얻을 수 있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용의 전자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의 (a)는 종래의 통상의 전자총 장치를 갖는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형성되는 빔 스팟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의 (b)는 종래의 BPF형 DACF방식 전자총 장치를 갖는 컬러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형성되는 빔 스팟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의 (c)는 도 2의 (b)에 나타낸 BPF형 DACF방식 전자총 장치의 제 2 그리드에 수평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3개의 비원형상의 오목구멍을 형성한 전자총 장치를 갖는 컬러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형성되는 빔 스팟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제 2 그리드와 제 3 그리드의 제 1 세그먼트 전극 사이에 보조 그리드가 배치된 종래의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용의 전자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실시예에 관련된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컬러 브라운관 장치의 전자총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도 5에 나타낸 전자총 장치의 제 2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b는 도 5에 나타낸 전자총 장치의 제 1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c는 도 5에 나타낸 전자총 장치의 제 2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7a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해 편향 요크에 공급되는 수평편향전류 및 전자빔의 수평편향에 동기하여 도 5에 나타낸 제 1 보조 그리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7b는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기 위해 편향요크에 공급되는 수직편향전류 및 수직편향에 동기하여 제 1 보조 그리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도 5에 나타낸 전자총 장치에 있어서 제 2 그리드 및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 및 제 3 그리드의 제 1 세그먼트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포커스 렌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실시예에 관련된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의 화면상에 형성되는 빔 스팟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패널 11: 퍼넬
12: 형광체 스크린 13: 섀도우마스크
15: 네크 16: 전자빔
16G: 센터 빔 16B, 16R: 사이드 빔
17: 전자총 장치 18: 대직경부(퍼넬)
20: 편향 요크 22: 전자빔 통과구멍(G1, G2)
23: 전자빔 통과구멍(Gs1) 24: 전자빔 통과구멍(Gs2)
26H: 수평편향전류 26V: 수직편향전류
27H: 다이나믹 전압(수평) 27V: 다이나믹 전압(수직)
34: 빔 스팟 K: 캐소드
G1: 제 1 그리드 G2: 제 2 그리드
G3: 제 3 그리드 G4: 제 4 그리드
G31: 제 1 세그먼트 전극 G32: 제 2 세그먼트 전극
Gs1: 제 1 보조 그리드 Gs2: 제 2 보조 그리드
øGs1H: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평방향직경
øGs1V: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직방향직경
øG2: 제 2 그리드(G2)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구멍직경
øGs2: 제 2 보조 그리드(Gs2)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구멍직경
본 발명에 의한 컬러 브라운관 장치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동일 평면상을 통과하는 일렬 배치의 3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장치를 갖고, 이 전자총 장치가 상기 3전자빔을 발생하는 3극부를 형성하는 캐소드, 이 캐소드에 차례로 인접하여 형광체 스크린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그리드, 3극부에서의 전자빔을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집속하는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그리드에 인접하는 제 3 그리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을 갖고, 이 전자총 장치에서 방출되는 3전자빔을 편향요크가 발생하는 비균일한 수평,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편향하는 것에 의해 자기집중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전자총 장치를 제 2 그리드와, 제 3 그리드 사이에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가 배치되고, 그 제 2 그리드측에 위치하는 제 1 보조그리드에는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고, 제 3 그리드측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그리드에는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고, 이러한 제 2 그리드,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 및 제 3 그리드에 의해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집속이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집속보다도 강한 비점수차를 갖고, 또 제 1 보조 그리드에 인가되는 다이나믹 고압에 의해 비점수차의 강도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2) (1)의 컬러 브라우관 장치에 있어서, 제 1 보조 그리드에 제 2 그리드의 전압과 거의 같은 전압으로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전압이 중첩된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3)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2 보조 그리드에 제 2 그리드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4)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1 보조 그리드에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이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보다도 큰 비원형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5)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2 보조 그리드에 원형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6)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2 보조 그리드에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과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이 다른 비원형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7)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2 그리드의 제 1 보조 그리드와 대향하는 면에 이 제 2 그리드의 3개의 전자빔 통과구멍에 대해 독립하여 3전자빔의 배열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오목구멍 또는 전자빔의 배열방향으로 긴 홈을 형성하고 있다.
(8)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2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원형, 제 1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이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보다도 큰 비원형, 제 2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원형으로 하고, 그 제 2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직경을 øG2, 제 1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을 øGs1V,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을 øGs1H, 제 2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직경을 øGs2로 할 때,
øG2≤øGs1H<øGs2≤øGs1V
로 형성하고 있다.
(9) (1)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에 있어서, 제 3 그리드를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분할하고, 제 2 보조 그리드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제 2 전극에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컬러 브라운관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련된 인라인형 컬러 브라운관 장치가 나타나 있다. 이 컬러 브라운관 장치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상의 패널(10)과 깔때기형상의 퍼넬(11)로 이루어진 외관용기를 갖고, 그 패널(10)의 내면에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도트형상 또는 스트라이프형상의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 스크린(12)이 설치되고, 이 형광체 스크린(12)과 대향하여 그 안쪽에 섀도우마스크(1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퍼넬(11)의 네크(15) 내에 동일 수평면상을 통과하는 센터 빔(16G) 및 한쌍의 사이드 빔(16B, 16R)으로 이루어지는 일렬배치의 3전자빔(16B, 16G, 16R)을 방출하는 하기 구조를 갖는 전자총 장치(17)가 배치되어 있다. 또, 퍼넬(11)의 대직경부(18)와 네크(15)의 경계부 부근의 바깥쪽에 핀쿠션형 수평편향자계 및 배럴형 수직편향자계로 이루어지는 비균일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요크(2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총 장치(17)에서 방출되는 3전자빔(16B, 16G, 16R)은 편향요크(20)가 발생하는 수평 및 수직자계에 의해 편향되고, 섀도우마스크(13)를 통해 형광체 스크린(12)을 향하고, 이 형광체 스크린(12)이 3전자빔(16B, 16G, 16R)에 의해 수평 및 수직으로 주사되는 것에 의해 컬러 화상이 형광체 스크린(12)에 표시된다.
상기 전자총 장치(1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H축방향)에 일렬로 배치된 3개의 캐소드(K), 이러한 캐소드(K)를 각각 가열하는 3개의 히터(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캐소드(K)에서 차례로 형광체 스크린방향으로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제 1 내지 제 4 그리드(G1∼G4)를 갖고 있다. 제 3 그리드(G3)는 제 2 그리드(G2)쪽에서 제 4 그리드(G4)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된 2개의 세그먼트 전극(G31, G32)(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에 분할되어 있다. 또, 이 전자총 장치(17)에 있어서는 제 2 그리드(G2)와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과의 사이에 2개의 보조 그리드(Gs1, Gs2)(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가 배치되어 있다.
그 제 1 및 제 2 그리드(G1, G2) 및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는 각각 캐소드(K)의 배열방향을 직경이 길어지게 하는 일체 구조의 판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제 3 그리드(G3)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은 캐소드(K)의 배열방향을 직경을 길게 하는 일체 구조의 통형상 전극, 제 4 그리드(G4)는 캐소드(K)의 배열방향을 직경을 길게 하는 일체 구조의 컵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그 제 1 및 제 2 그리드(G1, G2)의 판면에는 각각 3개의 캐소드(K)에 대응하여 3개의 원형 전자빔 통과구멍(22)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에는 제 2 그리드에 대해 나타나고, 3개의 원형전자빔 통과구멍(22)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배치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것에 대해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판면에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방향 직경(øGs1H)보다도 수직방향직경(øGs1V)이 큰 3개의 비원형 전자빔 통과구멍(23)이 수평방향으로 일렬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보조그리드(Gs2)의 판면에는 3개의 캐소드(K)에 대응하여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원형전자빔 통과구멍(24)이 수평방향으로 일렬 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s1), 제 4 그리드(G4)에 대향되는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의 대향면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에 대향되는 제 4 그리드(G4)의 대향면에는 각각 3개의 캐소드(K)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보조 그리드(Gs2)의 전자빔 통과구멍(24)보다도 큰 3개의 원형 전자빔 통과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대향하는 제 3 그리드(G3)의 제 2 세그먼트 전극(G31)의 대향면에는 3개의 캐소드(K)에 대응하여 수평방향 직경이 수직방향 직경보다도 큰 3개의 비원형 전자빔 통과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배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제 2 그리드(G2)의 전자빔 통과구멍(22)의 구멍직경(øG2),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수평방향 직경(øGs1H), 수직방향직경(øGs1V) 및 제 2 보조 그리드(Gs2)의 구멍직경(øGs2)에는
øG2≤øGs1H<øGs2≤øGs1V
의 관계가 있다.
이 전자총 장치(17)는 각 캐소드(K)에 약 150V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1 그리드(G1)는 접지되고, 제 2 그리드(G2)에는 약 600∼8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1 보조 그리드(Gs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빔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전압, 즉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그리드의 전압과 거의 같은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 및 수직편향전류(26H, 26V)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전압이 중첩된 다이나믹 전압(27H, 27V)이 인가된다. 제 2 보조 그리드(Gs2)는 관내에서 제 2 그리드(G2)에 접속되고, 제 2 그리드(G2)와 같은 약 600∼8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는 약 6kV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에는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인가되는 전압을 기준전압으로 하여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전압이 중첩된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된다. 제 4 그리드(G4)에는 약 26k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은 전압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전자총 장치(17)는 캐소드(K) 및 제 1 및 제 2 그리드(G1, G2)에 의해 전자빔을 발생하고, 또 후술하는 주렌즈에 대한 물점을 형성하는 3극부가 형성되고, 제 2 그리드(G2),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 및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상기 3극부로부터의 전자빔을 예비집속하는 프리포커스 렌즈가 형성되고, 제 3 그리드(G3)의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 및 제 4 그리드(G4)에 의해 상기 프리포커스 렌즈에 의해 예비집속된 전자빔을 최종적으로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집속하는 바이포텐셜(BPF)형의 주렌즈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의 전압을 설정하면, 제 2 그리드(G2)와 같은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보조 그리드(Gs2)가 제 3 그리드(G3)의 전계를 실드하고, 제 3 그리드(G3)에서의 과잉 전위의 침투를 억제한다. 그것에 의해 제 2 그리드(G2),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 사이를 거의 같은 전위로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전극간에 전자렌즈는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 2 보조 그리드(Gs2)에는 원형전자빔 통과구멍(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보조 그리드(Gs2)와 제 3 그리드(G3) 사이에는 비점수차를 갖지 않은 회전대칭의 렌즈가 형성된다.
그 결과, 제 2 그리드(G2),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 및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포커스 렌즈를 비점수차를 갖지 않은 전자총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주렌즈에 대한 가상물점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직경을 같은 크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프리포커스 렌즈에서 예비집속된 전자빔은 그 후, 주렌즈에 의해 집속되어 화면 중앙에 도달한다. 이 경우, 제 3 그리드(G3)의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에는 같은 전압이 인가되고, 이러한 세그먼트 전극(G31, G32) 사이에는 전자렌즈는 형성되지 않고, 전자빔은 제 2 세그먼트 전극(G32)과 제 4 그리드(G4)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에 의해 집속되고, 형광체 스크린 상의 빔 스팟은 원형이 된다.
또, 이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의 프리포커스 렌즈에서의 전자빔의 발산각 및 가상물점 직경을 소망하는 크기로 하기 위해서는 제 2 그리드(G2)의 전자빔 통과구멍(22)의 구멍직경(øG2)과 제 2 보조 그리드(Gs2)의 전자빔 통과구멍(24)의 구멍직경(øGs2)을
øG2<øGs2
로 하면 좋다.
상기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전자빔이 화면 주변에 편향되는 경우는 제 1 보조 그리드(Gs1)에는 상기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의 제 2 그리드(G2),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 및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포커스 렌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렌즈 작용을 갖는다. 도 8에 있어서, 관축(Z축)보다 위쪽이 수직방향, 즉 수직면 내(V축 및 Z축으로 규정되는 면 내) 및 아래쪽이 수평방향, 즉 수평면 내(H축 및 Z축으로 규정되는 면 내)에서의 전계분포(29) 및 전자빔의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압이 상승되는 것에 의해 제 2 그리드(G2)의 전자빔 통과구멍(22)에 전계(29)가 들어가고, 제 2 그리드(G2)에서 제 2 그리드(G2)와 제 1 보조 그리드(Gs1)와의 중간까지의 영역(A)에서는 전자빔(16)(16B, 16G, 16R)은 수평 및 수직방향 모두 집속작용을 받는다. 이 집속작용은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압이 높아질수록 강해진다.
이에 대해 제 2 그리드(G2)와 제 1 보조 그리드(Gs1)와의 중간에서 제 1 보조 그리드(Gs1)와 제 2 보조 그리드(Gs2)와의 중간에 걸친 영역(B)에서는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자빔 통과구멍(23)에 제 2 그리드(G2)측 및 제 2 보조 그리드(Gs2)측에서 각각 전계(30, 31)가 들어가고, 전자빔(16)은 발산작용을 받는다. 이 경우, 이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자빔 통과구멍(23)은 수평방향 직경(øGs1H)보다도 수직방향 직경(øGs1V)가 크기 때문에, 수평방향에는 강한 발산작용을 받지만, 수직방향에는 극히 약한 발산작용을 받는다. 또, 이 발산작용은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압이 높아질수록 강해진다.
이에 대해 제 1 보조 그리드(Gs1)과 제 2 보조 그리드(Gs2)와의 중간에서 제 2 보조 그리드(Gs2)에 걸친 영역(C)에서는 제 2 보조 그리드(Gs2)의 전자빔 통과구멍(24)에 제 3 그리드(G3)쪽에서 전계(32)가 들어가고, 전자빔(16)은 수평 및 수직방향 모두 집속작용을 받는다. 이 집속작용은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압이 변화해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또, 이 전자빔이 편향되는 경우의 수평방향의 발산작용 및 수직방향의 집속작용을 충분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제 1 보조 그리드(Gs1)의 전자빔 통과구멍(23)의 수평 및 수직방향 직경(øGs1H, øGs1V)을 제 2 그리드(G2)의 전자빔 통과구멍(22)의 구멍직경(øG2) 및 제 2 보조 그리드(Gs2)의 전자빔 통과구멍(24)의 구멍직경(øGs2)에 대해
øG2≤øGs1H<øGs2
øGs2≤øGs1V
즉,
øG2≤øGs1H<øGs2≤øGs1V
로 하면 좋다.
이상, 즉 전자빔이 편향되는 경우는 제 2 그리드(G2),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Gs1, Gs2) 및 제 3 그리드(G3)의 제 1 세그먼트 전극(G31)에 의해 형성되는 프리포커스 렌즈는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평방향의 집속작용이 약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수직방향의 집속작용이 강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음의 비점수차가 강해진다. 그것에 의해 전자빔은 이 프리포커스 렌즈의 음의 비점수차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가상물점의 수평방향직경이 작고, 수직방향직경이 커진다. 또, 전자빔의 발산각이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수평방향으로는 확대하고, 수직방향으로는 축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포커스 렌즈에 의해 예비집속된 전자빔은 제 3 그리드(G3)의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 및 제 4 그리드(G4)에 의해 형성되는 주렌즈에 의해 최종적으로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집속된다.
즉, 전자빔이 편향되는 경우, 제 3 그리드(G3)의 제 2 세그먼트 전극(G32)에는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제 2 세그먼트 전극(G32)과 제 4 그리드(G4)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의 강도가 약해지고, 화면 주변부에 입사하는 전자빔의 궤도의 증대분이 보정된다. 동시에 제 1 및 제 2 세그먼트 전극(G31, G32) 간에 양의 비점수차를 가진 4극자 렌즈가 형성되고, 편향수차와 상기 프리포커스 렌즈에서 생긴 음의 비점수차에 의한 전자빔의 발산각의 변화가 보정된다.
그 결과, 상기 주렌즈에서 집속되어 화면 주변부에 도달하는 전자빔(16B, 16G, 16R)은 수평, 수직방향 모두 형광체 스크린(12) 상에 바르게 상을 형성하고, 또 프리포커스 렌즈에서 받은 음의 비점수차에 의해 가상물점의 수평방향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12)상의 빔 스팟의 수평방향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가상물점의 수직방향직경이 커지는 것에 의해 화면 주변부에서의 빔 스팟의 수직방향직경이 커진다. 그것에 의해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의 타원 왜곡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총 장치(17)를 구성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면 전역의 빔 스팟(34)의 형상을 거의 원형으로 하여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고,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2 그리드의 3개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원형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도 1에 나타낸 제 2 그리드와 마찬가지로, 이 제 2 그리드의 제 1 보조 그리드와 대향하는 면에 3개의 전자빔 통과구멍에 대해 독립하여 그 배열방향(3전자빔의 배열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오목구멍, 또는 3전자빔의 배열방향으로 긴 3개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공통으로 가로지르는 홈을 형성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그리드를 구성하면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발산각과 수직방향의 발산각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고, 화면 전역의 빔 스팟(34)의 형상을 보다 간단하게 원형으로 하여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고,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원형으로 했지만, 이 제 2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은 비원형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2 보조 그리드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비원형으로 하면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발산각과 수직방향의 발산각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고, 화면 전역의 빔 스팟(34)의 형상을 간단하게 원형으로 하여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고,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그리드의 형광체 스크린측에 차례로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제 1 보조 그리드와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제 2 보조 그리드를 배치하고, 이러한 제 2 그리드,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 및 제 2 보조 그리드의 형광체 스크린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그리드에 의해 수평방향의 집속보다도 수직방향의 집속이 강한 비점수차를 갖고, 또 제 1 보조 그리드에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그 비점수차의 강도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구조로 전자총 장치를 구성하면, 비교적 낮은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전자빔의 가상물점 직경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화면 주변부의 빔 스팟의 타원왜곡을 완화할 수 있고, 구동회로의 비용을 억제하면서 화면 전역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여 양호한 화상을 표시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외관용기;
    상기 형광체 스크린을 향하여 3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 장치로서,
    동일 평면 위를 통과하는 일렬 배치의 3전자빔을 발생하고, 3극부를 형성하는 캐소드,
    상기 캐소드와 형광체 스크린과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그리드,
    상기 3극부에서의 전자빔을 상기 형광체 스크린 상에 집속하는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그리드에 인접하는 제 3 그리드; 및
    제 2 그리드와 제 3 그리드 사이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를 포함하는 전자총 장치;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발생하여 제 1 보조 그리드에 인가하고, 일정 전압을 발생하여 제 2 보조 그리드에 인가하는 인가수단으로서, 상기 제 2 그리드, 제 1 및 제 2 보조 그리드 및 제 3 그리드에 의해 전자렌즈를 형성하고, 상기 전자렌즈는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집속이 상기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집속보다도 강한 비점수차를 갖고, 또 상기 제 1 보조 그리드에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압에 의해 상기 비점수차의 강도가 동적 변화하는 전자렌즈를 형성시키는 인가수단; 및
    형광 스크린을 향한 3전자빔을 편향하는 비균일한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를 발생하는 편향요크로서 상기 비균일한 수평 및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편향하는 것에 의해 자기집중하는 편향요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인가수단은 제 1 보조 그리드에 제 2 그리드의 전압과 거의 같은 전압으로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증대하는 전압이 중첩된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인가수단은 제 2 보조 그리드에 제 2 그리드의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보조 그리드는 3전자빔이 각각 통과하는 전자빔 통과구멍을 갖고 이 각 구멍은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이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보다도 큰 비원형의 전자빔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보조 그리드는 3전자빔이 각각 통과하는 원형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보조 그리드는 3전자빔이 각각 통과하는 전자빔 통과구멍을 갖고, 이 각 구멍은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과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이 다른 비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그리드는 3전자빔이 각각 통과하는 전자빔 통과구멍을 갖고, 제 1 보조 그리드와 대향하는 면의 각 구멍의 주위에는 3전자빔의 배열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비원형상의 오목구멍 또는 전자빔의 배열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그리드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원형의 구멍을 갖고, 제 1 보조 그리드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구멍을 갖고, 이 구멍은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이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보다도 큰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2 보조 그리드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원형의 구멍을 갖고, 이 제 2 보조 그리드의 구멍의 직경을 øG2, 상기 제 1 보조 그리드의 구멍의 3전자빔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직경을 øGs1V, 또 3전자빔의 배열방향의 직경을 øGs1H, 제 2 보조 그리드의 구멍의 직경을 øGs2로 할 때,
    øG2≤øGs1H<øGs2≤øGs1V
    의 관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그리드는 제 1 및 제 2 전극으로 이분할되고,
    인가수단은 제 2 보조 그리드에서 떨어져서 배치된 제 2 전극에 전자빔의 편향에 동기하여 변화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브라운관 장치.
KR1019990030508A 1998-07-27 1999-07-27 컬러 브라운관 장치 KR100312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10892A JP2000048737A (ja) 1998-07-27 1998-07-27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JP10-210892 1998-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87A true KR20000011987A (ko) 2000-02-25
KR100312075B1 KR100312075B1 (ko) 2001-11-03

Family

ID=1659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0508A KR100312075B1 (ko) 1998-07-27 1999-07-27 컬러 브라운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39284B1 (ko)
JP (1) JP2000048737A (ko)
KR (1) KR100312075B1 (ko)
CN (1) CN1146007C (ko)
TW (1) TW4694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132B1 (ko) * 2000-06-29 2003-12-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음극선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163A (ja) * 1999-08-19 2001-02-27 Toshiba Electronic Engineering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KR100370070B1 (ko) * 2000-07-14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JP3516141B2 (ja) * 2000-10-11 2004-04-05 ソニー株式会社 陰極線管用電子銃及び陰極線管
KR20060098321A (ko) * 2005-03-11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음극선관
US20110001057A1 (en) * 2009-07-01 2011-01-06 Sge Analytical Sciences Pty Ltd Component for manipulating a stream of charged particles
US20110001056A1 (en) * 2009-07-01 2011-01-06 Sge Analytical Sciences Pty Ltd Component for manipulating a stream of charged particles
US8349068B2 (en) * 2010-01-28 2013-01-08 Custom Building Products, Inc. Rapid curing water resistant composition for grouts, fillers and thick coatings
CN111326378B (zh) * 2018-12-13 2021-07-30 陕西利友百辉科技发展有限公司 多悬浮栅阴极结构、电子枪、电子加速器及辐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163A (en) 1980-06-30 1982-03-09 Rca Corporation Electron gun with deflection-synchronized astigmatic screen grid means
JP2581680B2 (ja) * 1986-10-22 1997-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ラ−ブラウン管用電子銃
US5061881A (en) * 1989-09-04 1991-10-29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In-line electron gun
JPH0636705A (ja) * 1992-07-17 1994-02-10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JP3262619B2 (ja) * 1993-02-24 2002-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装置
US5864203A (en) * 1994-03-25 1999-01-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ynamic focusing electron gun
JP3672390B2 (ja) * 1995-12-08 2005-07-2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JP3734327B2 (ja) 1997-01-30 2006-01-11 東芝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132B1 (ko) * 2000-06-29 2003-12-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음극선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075B1 (ko) 2001-11-03
US6339284B1 (en) 2002-01-15
CN1146007C (zh) 2004-04-14
CN1243332A (zh) 2000-02-02
TW469471B (en) 2001-12-21
JP2000048737A (ja) 200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075B1 (ko) 컬러 브라운관 장치
US6172450B1 (en) Election gun having specific focusing structure
KR0141662B1 (ko) 음극선관
KR100270387B1 (ko) 컬러음극선관
KR20010041374A (ko) 칼라음극선관장치
KR20020016518A (ko) 음극선관장치
KR100261719B1 (ko) 칼라 브라운관
KR10021990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41229B1 (ko) 칼라음극선관 장치
US6335597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432058B1 (ko) 음극선관장치
US6489736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221926B1 (ko) 해상도가 개선된 컬러음극선관
JP3672390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US647995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383857B1 (ko) 컬러음극선관장치
JP3734327B2 (ja) カラーブラウン管装置
US6646370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662938B1 (ko) 음극선관장치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960498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234053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JPH11167880A (ja) カラーブラウン管
KR20040076117A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0123756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