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592A - 유체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592A
KR20000011592A KR1019990027642A KR19990027642A KR20000011592A KR 20000011592 A KR20000011592 A KR 20000011592A KR 1019990027642 A KR1019990027642 A KR 1019990027642A KR 19990027642 A KR19990027642 A KR 19990027642A KR 20000011592 A KR20000011592 A KR 20000011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outlet
passage
block coup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492B1 (ko
Inventor
야마지미치오
나리아이도시로
모로코시히로시
Original Assignee
오가와 슈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와 슈우헤이,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오가와 슈우헤이
Publication of KR20000011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9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 G05D7/063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egulator means by action on throttl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109Convertible
    • Y10T137/5283Units interchangeable between alternate lo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Housing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유체 제어 장치는 입구 통로 및 출구 통로가 있는 질량 유량 제어기와, 질량 유량 제어기의 입구 통로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있는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과,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있는 입구측 접속 부재와,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의 통로와 입구측 접속 부재의 통로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가 있는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과, 질량 유량 제어기의 출구 통로와 연통하며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있는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과,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있는 출구측 접속 부재와,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의 통로와 출구측 접속 부재의 통로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8a)가 있는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체 제어 장치{FLUI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등에 이용되는 유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유량을 조정하는 질량 유량 제어기와 개폐 밸브 등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유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상부"와 "하부"라는 단어는 각각 도 1의 상측과 하측을 지칭한다. 이러한 단어는 편의상 이용되는 것으로, 유체 제어 장치는 거꾸로 또는 측방으로 회전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반도체 제조에 이용되는 유체 제어 장치는 유량을 조정하는 질량 유량 제어기,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기 등의 조정기 및 개폐 밸브 등이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지만, 본원의 발명자들은 이 경우의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질량 유량 제어기와 이것에 접속되는 개폐 밸브 등의 접속 부재를 복수의 블록 커플링을 매개로 접속하는 것을 제안하였다(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9-278495호, 즉 미국 특허 출원 제09/168,858호 참조).
도 3에는 이러한 유체 제어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좌측과 우측"은 도 1 및 도 3의 좌측 및 우측을 지칭한다.
도 3에 있어서, 유체 제어 장치(31)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 통로(32a) 및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 통로(32b)가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방형 질량 유량 제어기(32)와, 질량 유량 제어기(32)의 입구 통로(32a)와 연통하고 하방으로 개방된 역 L자형 통로(33a)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3)과,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3)의 좌측에 인접하고 하방으로 개방된 역 L자형 통로(34a)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접속 부재(34)와,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3)의 통로(33a)와 입구측 접속 부재(34)의 통로(34a)를 연결하는 V자형 통로(35a)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35)과, 질량 유량 제어기(32)의 출구 통로(32b)와 연통하고 하방으로 개방된 역 L자형 통로(36a)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6)과,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6)에 인접하고 하향으로 개방된 굴곡형 통로(37a)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접속 부재(37)와,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6)의 통로(36a)와 출구측 접속 부재(37)의 통로(37a)를 연결하는 V자형 통로(38a)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38)을 구비한다.
입구측 접속 부재(34)는 블록 커플링이며, 이것의 좌측에 인접하여 제1 블록밸브(39)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블록 밸브(39)는 입구측 접속 부재(34)의 통로(34a)와 연통하는 메인 통로(40a)를 갖고 있으며 좌우로 긴 장방형의 블록형 본체(40)와, 본체(40) 상면에 부착된 제1 액츄에이터(41) 및 제2 액츄에이터(42)로 구성되고, 본체(40)의 좌단부는 V자형 통로(43a)가 있는 하단 블록 커플링(43)의 우측 절반부에 접속되며, 본체(40)의 중간부는 L자형 통로(44a)가 있는 하단 블록 커플링(44)에 접속된다.
출구측 접속 부재는 제2 블록 밸브(45)의 장방형의 블록형 본체(37)에 의해서 제공된다. 제2 블록 밸브(45)는 출구측 접속 부재를 형성하는 블록형 본체(37)와, 이 블록형 본체(37)의 상면에 부착된 제3 액츄에이터(46) 및 제4 액츄에이터(47)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록형 본체(37)의 우단부는 역 L자형 통로(48a)가 있는 상단 블록 커플링(48)에 접속되며, 블록형 본체(37) 중간부는 L자형 통로(49a)가 있는 블록 커플링(49)에 접속된다. 블록형 본체(37)의 우단부에 접속된 상단 블록 커플링(48)은 L자형 통로(50a)가 있는 하단 블록 커플링(50)에 접속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하단 블록 커플링(43, 44, 35, 38, 49, 50)의 소정 지점에는 관통 구멍 및 나사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관통 구멍을 통과한 볼트가 기판(P)의 나사 구멍에 죄어짐으로써, 각 하단 블록 커플링(43, 44, 35, 38, 49, 50)은 기판(P)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들 하단 블록 커플링(43, 44, 35, 38, 49, 50)에는 복수 종류의 유체 제어기〔제1 블록 밸브(39), 질량 유량 제어기(32) 및 제2 블록 밸브(45)〕가 부착되어 있다. 질량 유량 제어기(32)에 고정된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3) 및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36)은 각각 대응하는 하단 블록 커플링(35, 38)에 상측으로부터의 나사(51)에 의해 부착되며, 이에 의하여 질량 유량 제어기(32)는 커플링(35, 3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유체 제어 장치가 클린 룸에 수직하게 클린 룸의 벽에 부착되는 경우에, 유체 제어 장치의 높이가 높을 수록, 그 만큼 클린 룸의 공간이 감소되어, 공간 절약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유체 제어 장치에 따라서 클린 룸을 크게 하는 것은, 공간 절약이라는 관점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에도 좋지 않기 때문에, 유체 제어 장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일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종래의 유체 제어 장치에서는, 질량 유량 제어기의 상단 위치가 가장 높으므로, 유체 제어 장치 전체의 높이는 상단 위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줄이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유체 제어 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체 제어 장치
2 : 질량 유량 제어기
2a : 입구 통로
2b : 출구 통로
3 :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
3a, 4a, 6a, 7a : L자형 통로
4 : 입구측 접속 부재
5 :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
5a, 8a : 역 V자형 통로
6 :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
7 : 출구측 접속 부재
8 :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
본 발명에 의한 유체 제어 장치는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 통로 및 이것과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질량 유량 제어기와, 질량 유량 제어기의 입구 통로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과,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접속 부재와,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의 통로와 입구측 접속 부재의 통로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과, 질량 유량 제어기의 출구 통로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과,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접속 부재와,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의 통로와 출구측 접속 부재의 통로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을 구비한다.
접속 부재는 개폐 밸브의 본체, 복수의 단기능 부재를 구비한 블록 밸브의 밸브 본체 또는 블록 커플링 등이 된다. 블록 커플링은 필요한 유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 블록으로,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는 통상 타단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개방된 L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유체 제어 장치에 따르면, 질량 유량 제어기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각각 설치된 하단 블록 커플링과 각 접속 부재는 이들의 상면에서 장착된 상단 블록 커플링과 접속됨으로써, 질량 유량 제어기의 하단면보다 밑에 커플링을 배치하지 않아도 되며, 그 결과 기판을 기준으로 한 질량 유량 제어기의 높이는 종래의 질량 유량 제어기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 제어 장치의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제어 장치(1)는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 통로(2a) 및 우측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 통로(2b)가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방형 질량 유량 제어기(2)와, 질량 유량 제어기(2)의 입구 통로(2a)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L자형 통로(3a)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3)과,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3)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L자형 통로(4a)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접속 부재(4)와,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3)의 통로(3a)와 입구측 접속 부재(4)의 통로(4a)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5a)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5)과, 질량 유량 제어기(2)의 출구 통로(2b)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L자형 통로(6a)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6)과,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6)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L자형 통로(7a)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접속 부재(7)와,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6)의 통로(6a)와 출구측 접속 부재(7)의 통로(7a)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8a)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8)을 구비한다.
출구측 접속 부재(7)는 블록 커플링이며, 이 부재(7)의 우측에 인접하여 블록 밸브(9)가 배치되어 있다. 블록 밸브(9)는 출구측 접속 부재(7)의 통로(7a)와 연통하는 입구 통로(1Oa)가 설치된 블록형 밸브 본체(10)와, 이것에 장착된 개폐 밸브(11) 및 체크 밸브(12)로 이루어진다. 블록 밸브(9)의 우측에 인접하여 개폐 밸브(13)가 배치되고, 이 개폐 밸브(13)의 본체의 우측에는 상단 블록 커플링(16)에 의해 접속되는 좌우의 하단 블록 커플링(14, 15)이 배치된다. 각 접합 부재의 접합부에는 밀봉 부재(17)가 개재되어 있다.
입구측 및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3, 6)은 횡방향의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질량 유량 제어기(2)에 부착되고, 출구측 접속 부재(7)는 횡방향의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블록 밸브 본체(1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 접속 부재(4)와 블록 밸브 본체(10)는 상측으로부터 조여진 나사(18)에 의해 기판에 부착되고,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5)은 상측으로부터 조여진 좌우 2개 씩의 나사(19b, 19a)에 의해 대응하는 하단 블록 커플링(3) 및 입구측 접속 부재(4)에 부착되며, 또한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8)은 상측으로부터 조여진 좌우 2개 씩의 나사(19a, 19b)에 의해 대응하는 하단 블록 커플링(6) 및 출구측 접속 부재(7)에 부착된다. 따라서,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5)을 입구측 접속 부재(4)에 부착하는 좌측의 2개의 나사(19b) 및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8)을 출구측 접속 부재(7)에 부착하는 우측의 2개의 나사(19b)를 각각 제거함으로써, 질량 유량 제어기(2)를 하단 블록 커플링(3, 6) 및 상단 블록 커플링(5, 8)과 함께 상측으로 빼낼 수 있다. 또한, 상단 블록 커플링(5, 8)을 고정하는 모든 나사(19a, 19b)를 제거함으로써, 질량 유량 제어기(2)를 하단 블록 커플링(3, 6)과 함께 상측으로 빼낼 수 있고, 이 경우에 상단 블록 커플링(5, 8)을 해체할 수 있다.
전술한 유체 제어 장치(1)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량 유량 제어기(2)의 하면과 기판(P) 사이의 간극이 거의 제로가 되고, 기판(P)을 기준으로 한 각 유체 제어기〔질량 유량 제어기(2), 블록 밸브(9) 및 개폐 밸브(l3)〕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종래의 유체 제어 장치(31)에서는, 질량 유량 제어기(32)의 하면과 기판(P) 사이에 하단 블록 커플링(35, 38)의 높이에 거의 상당하는 간극이 존재하며, 이 결과 질량 유량 제어기(32)가 다른 유체 제어기〔제1 블록 밸브(39) 및 제2 블록 밸브(45)〕보다 돌출되어 있고, 이 질량 유량 제어기(32)의 상단 위치에 따라 유체 제어 장치(31) 전체의 높이가 결정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유체 제어 장치(l)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유체 제어 장치(31)에 비하여, 대략 하단 블록 커플링(35, 38)의 높이에 상당하는 정도의 설치 공간이 감소된다.
또, 전술한 유체 제어 장치(1)에서는, 블록형 본체(10)에 복수 종류의 밸브(개폐 밸브와 체크 밸브)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블록 밸브(9)가 사용되며, 이에 따라 밸브 본체, 밀봉 부재와 같은 부품수도 감소된다.

Claims (2)

  1. 가로 방향으로 개방된 입구 통로 및 이것과 반대 방향으로 개방된 출구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질량 유량 제어기와, 질량 유량 제어기의 입구 통로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과,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접속 부재와, 입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의 통로와 입구측 접속 부재의 통로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과, 질량 유량 제어기의 출구 통로와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과,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에 인접하고 상방으로 개방된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접속 부재와,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의 통로와 출구측 접속 부재의 통로를 연결하는 역 V자형 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입구측 및 출구측 하단 블록 커플링은 횡방향의 나사에 의해 질량 유량 제어기에 부착되고, 출구측 접속 부재는 횡방향의 나사에 의해 블록 밸브 본체에 부착되며, 입구측 접속 부재와 블록 밸브 본체는 상측으로부터 조여진 나사에 의해 기판에 부착되고, 입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은 상측으로부터 조여진 나사에 의해 대응하는 하단 블록 커플링 및 입구측 접속 부재에 부착되며, 출구측 상단 블록 커플링은 상측으로부터 조여진 나사에 의해 대응하는 하단 블록 커플링 및 출구측 접속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제어 장치.
KR1019990027642A 1998-07-10 1999-07-09 유체 제어 장치 KR100570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567298A JP3921565B2 (ja) 1998-07-10 1998-07-10 流体制御装置
JP98-195672 199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92A true KR20000011592A (ko) 2000-02-25
KR100570492B1 KR100570492B1 (ko) 2006-04-13

Family

ID=1634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642A KR100570492B1 (ko) 1998-07-10 1999-07-09 유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16283A (ko)
EP (1) EP0971277B1 (ko)
JP (1) JP3921565B2 (ko)
KR (1) KR100570492B1 (ko)
CA (1) CA2277337C (ko)
DE (1) DE69921398T2 (ko)
IL (1) IL130870A (ko)
SG (1) SG74149A1 (ko)
TW (1) TW4322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4254B2 (ja) * 1999-04-30 2009-03-25 株式会社キッツエスシーティー 集積化ガス制御装置
EP1132669B1 (en) * 2000-03-10 2004-10-13 Tokyo Electron Limited Fluid control apparatus
JP4487135B2 (ja) * 2001-03-05 2010-06-23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流体制御装置
KR20060017577A (ko) * 2002-08-27 2006-02-24 셀레리티 인크. 공통 평면 내에 매니폴드 연결부를 갖는 모듈형 기판 가스패널
JP2004183771A (ja) * 2002-12-03 2004-07-02 Fujikin Inc 流体制御装置
JP2004340199A (ja) * 2003-05-14 2004-12-02 Fujikin Inc 加熱装置付き流体制御装置
US7178556B2 (en) * 2003-08-07 2007-02-20 Parker-Hannifin Corporation Modular component connector substrate assembly system
JP4677805B2 (ja) * 2005-03-22 2011-04-27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制御装置
US7320339B2 (en) * 2005-06-02 2008-01-22 Ultra Clean Holdings, Inc. Gas-panel assembly
JP5096696B2 (ja) * 2006-03-02 2012-12-12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ユニット構造
JP2007327542A (ja) * 2006-06-07 2007-12-20 Surpass Kogyo Kk 流体機器ユニット構造
US20080029170A1 (en) * 2006-08-02 2008-02-07 O'reilly Edward Three-in-one valve and control system
US8434522B2 (en) * 2007-05-31 2013-05-07 Tokyo Electron Limited Fluid control apparatus
JP5127304B2 (ja) * 2007-05-31 2013-01-23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制御装置
US20080302426A1 (en) * 2007-06-06 2008-12-11 Greg Patrick Mulligan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removable components for distribution of fluids
JP5340760B2 (ja) * 2009-02-12 2013-11-13 倉敷紡績株式会社 流体制御方法及び流体制御装置
US8307854B1 (en) 2009-05-14 2012-11-13 Vistadeltek, Inc. Fluid delivery substrates for building removable standard fluid delivery sticks
SG176152A1 (en) * 2009-06-10 2011-12-29 Vistadeltek Llc Extreme flow rate and/or high temperature fluid delivery substrates
US8950433B2 (en) 2011-05-02 2015-02-10 Advantage Group International Inc. Manifold system for gas and fluid delivery
WO2013134136A1 (en) * 2012-03-07 2013-09-12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 rate of decay (rod) measurement in a mass flow controller
US9454158B2 (en) 2013-03-15 2016-09-27 Bhushan Somani Real time diagnostics for flow controller systems and methods
JP1539278S (ko) * 2015-03-31 2015-11-30
US10983538B2 (en) 2017-02-27 2021-04-20 Flow Devices And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low sensor back pressure adjustment for mass flow controller
TW202117217A (zh) * 2019-09-19 2021-05-01 美商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清潔減少滯留區的隔離閥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275B2 (ja) * 1995-06-30 2004-07-21 忠弘 大見 流体制御装置
JP3355279B2 (ja) * 1996-07-10 2002-12-0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ガス供給ユニット
KR100232112B1 (ko) * 1996-01-05 1999-12-01 아마노 시게루 가스공급유닛
JP3997337B2 (ja) * 1996-11-20 2007-10-24 忠弘 大見 流体制御装置
JP4022696B2 (ja) * 1996-11-20 2007-12-19 忠弘 大見 遮断開放器
JPH10220698A (ja) * 1996-12-03 1998-08-21 Nippon Aera Kk 流体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21398T2 (de) 2005-10-27
SG74149A1 (en) 2000-07-18
US6116283A (en) 2000-09-12
JP3921565B2 (ja) 2007-05-30
CA2277337A1 (en) 2000-01-10
CA2277337C (en) 2005-06-07
EP0971277B1 (en) 2004-10-27
EP0971277A2 (en) 2000-01-12
IL130870A0 (en) 2001-01-28
EP0971277A3 (en) 2001-01-17
IL130870A (en) 2002-11-10
KR100570492B1 (ko) 2006-04-13
DE69921398D1 (de) 2004-12-02
TW432265B (en) 2001-05-01
JP2000029535A (ja) 200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492B1 (ko) 유체 제어 장치
KR100622954B1 (ko) 유체제어장치
US6868867B2 (en) Fluid control apparatus
CA2208765C (en) Shutoff-opening devices and fluid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such devices
US6116282A (en) Fluid control device
US6257270B1 (en) Fluid control device
US4519421A (en) Solenoid valve
KR20080002914A (ko) 유체 제어 장치
US8365768B2 (en) Fluidic device unit structure
US6170520B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solenoid valve aggregate and solenoid valve assembly provided with the same
KR100929713B1 (ko) 유체 제어 장치 및 열처리 장치
CA2428639A1 (en) Bellows actuator for pressure and flow control
KR100633747B1 (ko) 유체 제어 장치용 이음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1182849A (ja) マニホールド弁構造体
KR200248972Y1 (ko) 유체 흐름 조절장치
JPH02171435A (ja) 衛生洗浄装置のバルブユニット
KR200204696Y1 (ko) 수도용 앵글타입 감압밸브
KR20030059922A (ko) 솔레노이드 밸브 어셈블리
KR200408697Y1 (ko) 오리피스 정압기용 소음제거장치
JP2001041341A (ja) 少なくとも2つの加圧流体制御部材の組み立てシステム
KR19980055055A (ko) 주름관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