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081A - 정전장 처리방법, 정전장 처리장치 및 이들에 사용되는 전극 - Google Patents

정전장 처리방법, 정전장 처리장치 및 이들에 사용되는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081A
KR20000011081A KR1019980709238A KR19980709238A KR20000011081A KR 20000011081 A KR20000011081 A KR 20000011081A KR 1019980709238 A KR1019980709238 A KR 1019980709238A KR 19980709238 A KR19980709238 A KR 19980709238A KR 20000011081 A KR20000011081 A KR 20000011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voltage
refrigerato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0012B1 (ko
Inventor
아키노리 이토
Original Assignee
아키노리 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키노리 이토 filed Critical 아키노리 이토
Priority to KR101998070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01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1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냉장고내에 그 내벽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전극판(37)을 배치하고, 이 전극판(37) 위에 피처리물을 내벽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얹어 놓아, 각 식품에 따른 전압을 인가하고, 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장치는 소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안전장치(1027,1078)를 가지고 있으며, 플라이어에서는 그 유조(油槽)내에 전극(260)을 삽입하여, 이 전극(260)에 500V∼700V의 전압을 인가하고, 플라이어의 케이스는 어스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정전장 처리방법, 정전장 처리장치 및 이들에 사용되는 전극
종래, 정전장 분위기를 냉장고내에 만들고, 이 냉장고내에서 육류, 어류의 해동을 마이너스 온도에서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또, 육류, 어류에 더하여 과일류의 선도를 유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공평 5(1993)-77387호에 개시된 것이 있으며, 이 방법은 냉장고 전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완전히 절연하고, 냉장고의 선반에 냉장고의 내벽을 통해 음전자(陰電子) 발생장치로부터 5000V∼200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3℃∼3℃의 저온으로 신속하게 해동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음전자 발생장치는 트랜스의 2차측의 한 극을 완전히 봉쇄 절연하고, 또한 다른 한 극에 고출력 저항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해동방법 및 장치에서는, 음전자 발생장치의 한 극을 절연하고 있으므로, 전극을 이루는 선반에 원하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2차측에 큰 출력을 요한다.
또, 냉장고 전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절연되고, 냉장고의 케이싱은 어스되어 있지 않으므로 냉장고의 케이싱이 대전(帶電)하여, 조작자가 감전하는 일이 있어 2차 재해의 위험이 있었다.
또, 종래 플라이어에서, 유조(油槽)내의 기름에 전장(電場)을 걸어 기름의 산화 방지를 도모하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플라이어로서는 일본국 특공평 7(1995)-78298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즉, 고압정전트랜스를 사용하여 전극을 유조내에 설치하거나, 유조 자체에 직접 전압을 인가하고 있었다. 이 경우, 플라이어 전체를 바닥면으로부터 절연상태로 유지하고, 고압정전트랜스는 2차 고압측의 한 극을 절연하고, 다른 한 극을 전극 또는 유조에 접속하고 있었다.
그런데, 한 극을 봉쇄 절연한 트랜스는 2차측에 큰 출력을 내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필요전압이 기름 자체에 인가되지 않고, 더욱이 플라이어 전체가 바닥면으로부터 절연되어 있으므로, 플라이어의 케이싱이 대전하여 조작자가 감전되는 일이 있어 위험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전하고, 나아가 트랜스의 2차측 출력전압이 비교적 작아도 효과가 있는 정전장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품의 동결, 해동(解凍), 선도(鮮度) 유지, 식용유의 산화 방지에 사용되는 정전장(靜電場) 처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보냉고(保冷庫)의 개략구성도.
도 2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야채류의 선도유지방법의 전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육류의 해동방법의 전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어개류의 해동방법의 전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어개류의 선도유지방법의 전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과일, 야채, 어류, 육류의 인가전압과 동결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전극판의 사시도.
도 9는 전극판의 횡단면도.
도 10은 냉장고의 선반에 고전압 발생장치를 접속한 경우의 접속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의 개략구성도.
도 12는 전극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전극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전극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절연전극의 사시도.
도 16은 절연전극의 단부(端部) 횡단면도.
도 17은 냉장고에 내장되는 전극유닛의 사시도.
도 18은 전극유닛에서의 전극판과 슬릿부와의 결합상태 설명도.
도 19는 전극유닛에서의 전극을 받아들이는 슬릿부의 사시도.
도 20은 전극에 전압을 간접인가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XXI-XXI선 단면도.
도 22는 인가전압을 가변으로 한 상태의 설명도.
도 23은 간접인가상태의 설명도.
도 24는 냉장고의 개략구성도.
도 25는 냉장고의 개략구성도.
도 26은 냉장고의 개략구성도.
도 27은 냉장고의 벽에 전극선반을 설치하기 위한 상태의설명도.
도 28은 냉장고의 벽에 부착되는 단자판(端子板)의 사시도.
도 29는 냉장고의 선반받침부의 사시도.
도 30은 가정용 냉장고의 야채실의 측면도.
도 31은 냉장고의 냉각기 설치부분의 구조도.
도 32는 도 31의 냉각기 설치부분의 선형(線形) 전극의 정면도.
도 33은 기름환원장치의 구조도.
도 34는 전기플라이어에 전극을 설치한 상태의 설명도.
도 35는 전극을 삽입한 가스플라이어의 구조도.
도 36은 바구니형 전극의 사시도.
도 37은 가스플라이어에 전극을 설치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8은 가스플라이어에 전극을 설치하는 다른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9는 도 38에 나타낸 전극의 사시도.
도 40은 가스플라이어에 전극을 설치하는 다른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1은 플라이어에 전극을 설치하는 다른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42는 도 41에 나타낸 전극을 가스플라이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구조도.
도 43은 플라이어의 전극의 사시도.
도 44는 플라이어의 다른 전극의 단면도.
도 45는 플라이어의 다른 전극의 구조도.
도 46은 유리전극의 사시도.
도 47은 선형 전극의 사시도.
도 48은 유리전극의 사시도.
도 49는 유리전극의 다른 사시도.
도 50은 플라이어의 유조에 전극을 배치하는 구조도.
도 51은 플라이어의 유조 자체에 전극을 배치했을 때의 단면도.
도 52는 플라이어의 유조벽을 바깥상자로부터 절연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53은 플라이어의 유조벽을 바깥상자로부터 절연하는 다른 상태의 설명도.
도 54는 플라이어의 유조벽을 바깥상자로부터 절연하는 다른 상태의 설명도.
도 55는 플라이어에 전극판을 설치했을 때의 상태설명도.
도 56은 음식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한 상태의 설명도.
도 57은 음식케이스에 배치되는 전극의 측면도.
도 58은 음식케이스의 도어쪽에 센서를 배치했을 때의 상태설명도.
도 59는 음식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한 다른 상태의 설명도.
도 60은 음식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한 다른 상태의 설명도.
도 61은 쇼케이스에 전극을 배치한 측면도.
도 62는 쇼케이스내의 전극 배치상태 설명도.
도 63은 쇼케이스에 유리전극을 배치한 측면도.
도 64는 유리전극의 사시도.
도 65는 다른 전극의 측면도.
도 66은 다른 전극의 사시도.
도 67은 다른 전극의 사시도.
도 68은 다른 전극의 사시도.
도 69는 다른 전극의 사시도.
도 70은 쇼케이스에 유리전극을 배치하는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71은 쇼케이스에 사용되는 단자판의 횡단면도.
도 72는 세선을 포함하는 유리전극의 단면(端面)에 그립(grip)판을 접속할 때의 단면도.
도 73은 래미네이트전극판에 단자판을 얹어 놓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4는 다른 유리전극의 단면에 단자를 접속하는 상태의 설명도.
도 75는 통상의 유리판에 단자판을 접촉시킬 때의 상태설명도.
도 76은 쇼케이스 등의 단자판 배치설명도.
도 77은 쇼케이스 등의 단자판 배치설명도.
도 78은 회전초밥에 전극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9는 도 78에 나타낸 회전초밥의 측면도.
도 80은 회전초밥의 초밥 반송로(搬送路)의 일부에 전극을 배치한 배치설명도.
도 81은 회전초밥의 초밥 반송로의 일부에 건조방지장치를 배치했을 때의 사시도.
도 82는 회전초밥의 건조방지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83은 냉장고내의 전극위치 상태의 설명도.
도 84는 대전전위를 가변으로 하는 시스템 설명도.
도 85는 고전압 발생장치로서 직류전원을 사용한 경우의 냉장고의 구조도.
도 86은 가정용 전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극을 접속했을 때의 상태설명도.
도 87은 오픈케이스에 전극판과 분무관을 배치했을 때의 시스템.
도 88은 쇼케이스의 제어시스템 설명도.
도 89는 대형 냉장고를 전장 분위기로 하기 위한 구성의 설명도.
도 90은 감자, 감귤 등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의 설명도.
도 91은 큰 피처리물을 전장처리하는 방식의 설명도.
도 92는 도 91에 나타낸 전장처리에 사용되는 핀의 설명도.
도 93은 프리패브(prefab)냉장고의 구조도.
도 94는 프리패브냉장고내에 설치되는 랙(rack)의 사시도.
도 95는 전극을 내장하도록 형성된 물고기상자의 사시도.
도 96은 전지식 전극의 사시도.
도 97은 골판지에 전지식 전극을 내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98은 냉장컨테이너내에 전장을 내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99는 냉장컨테이너내에 전장을 내장한 다른 상태의 설명도.
도 100은 전장을 내장한 대형 냉장고내의 사시도.
도 101은 팔레트에 전장을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2는 팔레트 위에 골판지를 적재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3은 골판지에 전극을 내장하는 설명도.
도 104는 골판지에 전극을 내장하는 설명도.
도 105는 달걀 수납판의 사시도.
도 106은 전장을 내장한 상태의 발아(發芽)장치의 설명도.
도 107은 식물재배에 전장을 내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8은 식물재배에 전장을 내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09는 전극을 내장한 재배통의 사시도.
도 110은 전극을 내장한 재배통의 사시도.
도 111은 수중에서 식물을 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2는 해동 개시점을 나타낸 설명그래프.
도 113은 수중에서 식물을 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4는 전장목용통의 구조도.
도 115는 혈액 보존용 냉장고의 구조도.
도 116은 전장가옥의 구조도.
도 117은 전장을 내장한 생화 보존장치의 구조도.
도 118은 전장을 내장한 용해로의 단면도.
도 119는 전장을 내장한 엔진의 구조도.
도 120은 전장을 내장한 전자레인지의 구조도.
도 121은 전장을 내장한 머플러의 구조도.
도 122는 전장을 내장한 송충이 제거장치의 시스템도.
도 123은 전장을 내장한 전자차지수(電子charge水) 공급장치의 구조도.
도 124는 전장을 내장한 양어장의 구조도.
도 125는 전장을 내장한 저수조의 구조도.
도 126은 전장을 내장한 숙성장치의 구조도.
도 127은 김치의 숙성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8은 정전장 워터베드의 단면도.
도 129는 전장을 내장한 쌀 저장장치의 구조도.
도 130은 전장을 내장한 대형 취사용 솥의 단면도.
도 131은 전장을 내장한 가정용의 취사용 솥의 단면도.
도 132는 전장치료대의 측면도.
도 133은 전장남비의 단면도.
도 134는 전장남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5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136은 전지식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137은 도 136의 회로에서 얻어지는 교체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138은 고전압 발생장치의 마이너스전압을 나타낸 도면.
도 139는 안전장치를 내장한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도 140은 가정용 전원을 어스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
본 발명은 절연분위기내에 도전성(導電性) 전극을 설치하고, 이 도전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도전성 전극의 주위에 정전장을 발생시키고, 이 정전장내에 피처리물을 절연상태로 설치시켜, 식품의 동결, 해동 및 선도 유지를 행하도록 했다. 상기 절연분위기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거나, 기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절연체내에 외부환경과 절연상태로 설치된 도전성 전극과, 이 도전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절연체는 공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환경은 냉장고 등의 케이싱이고, 상기 도전성 전극은 절연체를 통해 케이싱내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은 접지(接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내벽의 최소한 일부가 절연재료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내에 피처리물을 얹어 놓는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 자체를 전극으로 하여, 케이싱의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압 인가의 전환을 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케이싱내에 피처리물을 얹어 놓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 위에 도전성 전극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방법 및 장치에 사용되는 전극은 도전성의 전극 본체와, 이 전극 본체에 부착되고, 전극 본체와 이 전극 본체가 설치되는 피설치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재와, 상기 전극 본체에 사람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절연성의 접촉보호부재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재는 유리이고, 전극 본체는 유리내에 배치된 세선(細線)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이어의 기름탱크내에 전극을 삽입하고, 이 전극에 100V∼10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전압 발생장치의 2차측의 한 극을 어스하고, 상기 플라이어의 케이싱은 어스를 취하지 않고 자연상태에서 바닥면에 세트되어 있다.
다음에,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동 및 선도유지장치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보냉고(1)는 단열재(2), 외벽(5)에 의해 구성되고, 고(庫)내 온도조절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고내에 설치된 금속선반(7)은 2단 구조이고, 각 단에 야채류, 육류, 어개류의 해동 또는 선도 유지ㆍ숙성 대상물이 탑재된다. 금속선반(7)은 절연체(9)에 의해 고의 바닥면으로부터 절연되어 있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장치(3)는 직류 및 교류전압을 0∼5000V까지 발생시킬 수 있어, 단열재(2)의 내측은 염화 비닐 등의 절연판(2a)으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3)의 전압을 출력하는 고압 케이블(4)은 외벽(5), 단열재(2)를 관통하여 금속선반(7)에 접속되어 있다.
보냉고(1)의 앞면에 설치된 도어(6)를 열면, 도시하지 않은 안전스위치(13)(도 2 참조)가 오프되어, 고전압 발생장치(3)의 출력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고전압 발생장치(3)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전압조정트랜스(15)의 1차측에는 AC 100V가 공급된다. 부호 (11)은 전원램프, 부호 (19)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램프이다.
전술한 도어(6)가 닫혀 있고 안전스위치(13)가 온상태에서는 릴레이(14)가 작동하고 있으며, 이 상태가 릴레이동작램프(12)에 의해 표시되고 있다, 릴레이의 동작에 의해 릴레이 접점(14a,14b,14c)이 닫히고, AC 100V 전원이 전압조정트랜스(15)의 1차측에 인가된다.
인가전압은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의 조정노브(15a)에 의해 조정되고, 조정된 전압치는 전압계에 표시된다. 조정노브(15a)는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 승압트랜스(17)의 1차측에 접속되고, 이 승압트랜스(17)에서는, 예를 들면 1 : 50의 비율로 승압되어, 예를 들면 60V의 전압이 가해지면 3000V로 승압된다.
승압트랜스(17)의 2차측 출력의 일단(一端) O1는 고압 케이블(4)을 통해 보냉고로부터 절연되어 있는 금속선반(7)에 접속되고, 출력의 타단 O2는 어스된다.
또, 외벽(5)은 어스되므로, 보냉고(1)의 사용자가 보냉고의 외벽에 접촉해도 감전되는 것이 아니다. 또, 금속선반(7)은 도 1에서는 고내에서 노출되어 있으면,금속선반(7)은 고내에서 절연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고내 벽으로부터 이간(離間)시킬 필요가 있다(공기가 절연작용을 함). 또, 금속선반(7)으로부터 대상물(8)이 돌출하여 고내 벽에 접하면 전류가 고벽을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므로, 상기 절연판(2a)을 내벽에 붙이면 인가되는 전압의 드롭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반(7)을 고내에서 노출시키지 않고 염화 비닐재 등으로 피복해도 고내 전체가 전장 분위기로 된다.
또, 고내 벽 및 금속선반(7)은 염화 비닐, PBS 외에 공지의 절연도료를 칠해도 되고 분무해도 된다.
다음에 실제의 해동방법 및 선도 유지ㆍ숙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야채류(과일도 포함)의 선도 유지방법
야채류는 기본적으로는 4℃ 전후로 보관해 두면, 문제 없다고 하지만, 실제는 건조하거나, 시들거나 하는 일이 있다. 컷야채의 경우에는 컷부분의 변화, 건조가 빨라진다. 또, 여름 야채, 겨울 야채에 따라 온도대가 변한다.
금속선반(7)에는 고전압 발생장치(3)에 의해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이 교류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금속선반(7)의 전위(電位)가 표 1로 되도록 설정했다. 금속선반(7)의 전위는 공지의 정전전위 측정기로 측정했다.
그리고, 다음에 하는 테스트의 야채류, 육류, 어개류는 모두 스테인레스트레이(전도성이 양호한 것)에 사란랩(saran lap)을 한 것이다.
야채ㆍ과일류 선도 유지 테스트
야채류 본 발명에 의한 선도유지장치 일반 냉장고
오이+1℃500V 컷하지 않은 것이라면 약 2주 간, 컷한 것이라도 1주간 갈 색변조, 건조되지 않고 선도 유지. 물건에도 따르지만, 컷하지 않은 것으로 약 5일간, 컷한 것이면 1∼2일에 갈색 변조, 건조됨.
오이±0℃1000V 컷한 것으로 약 10일간, 컷하 지 않은 것으로 5일간 갈색 변조, 건조되지 않고 선도 유 지
오이-1℃2000V 상동
차조기(대엽 (大葉))+1℃500V 약 1주간 시들지 않고 선도 유지 1∼2일에 시들어 버려 식재 (食材)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됨
차조기(대 엽)±0℃1000V 약 5일간 시들지도 않고 선도 유지
차조기(대 엽)-1℃2000V 상동
피망±0℃2000V 컷하지 않으면 약 2주간, 컷 한 것이라도 약 1주간 갈색 변조, 건조되지 않아 고민이 사라짐. 컷하지 않은 것으로 약 5일 간, 컷한 것이라면 약 2일에 갈색 변조됨.
부추±2℃700V 1주간 싱싱함을 유지함 1∼2일에 건조해 버림
야채ㆍ과일류 선도 유지 테스트
야채류 본 발명에 의한 선도유지장치 일반 냉장고
브로콜리±0℃2000V 1주간 갈색 변조되지 않고, 감미(甘味)가 남. 2일 정도에 줄기가 황색으 로 변하여 식재로서 사용 할 수 없음.
아스파라가스±0℃2000V 1주간 줄기가 부분변색되지 않아 선도 유지. 1∼2일에 줄기가 부분변색 됨.
청경채(靑梗菜)±0℃2000V 컷을 하지 않은 것으로 10일 간 선도 유지, 컷한 것이라 도 약 1주간 선도 유지 컷하지 않은 것이면, 약 3 일에 건조됨. 컷한 것이 면, 오전중 컷한 것이 오 후에 시드는 것도 있음.
청경채+1℃1000V 컷하지 않은 것으로 10일간 선도 유지, 컷한 것으로 5일 간 선도 유지.
청경채-1℃3000V 상동
물냉이+1℃2000V 1주간 싱싱함을 유지. 2일 정도에 시듬.
물냉이±0℃2000V 1주간 싱싱함을 유지.
물냉이-1℃3000V 5일간 싱싱함을 유지.
야채ㆍ과일류 선도 유지 테스트
야채류 본 발명에 의한 선도유지장치 일반 냉장고
당근±0℃2000V 컷하지 않은 것으로 약 2주 간, 컷한 것이라도 1주간 갈 색 변조, 건조되지 않음 컷하지 않은 것으로 1주간, 컷한 것이면 1∼2일에 갈색 변조.
파슬리±0℃2000V 1주간 변색ㆍ건조되지 않고 선도 유지. 2일에 변색ㆍ건조됨.
셀러리±0℃2000V 1주간 변색 없이 선도 유지. 2일에 변색ㆍ건조됨.
딸기-1℃500V 20일간 문제 없음. 매입해서 바로 상하는 것도 있고, 3일이 한도.
거봉(포도)±0℃1000V 20일간 송이로부터 열매가 떨어지지 않고, 줄기도 갈색 변조되지 않음. 2, 3일에송이에서 열매가 떨 어지는 것도 있고, 1주간에 줄기가 갈색 변조.
그리고, 평균 습도의 편차상태는 ±1℃
전위 오차는 ±200V
도 3은 표 1-1∼표 1-3을 전위-평균온도의 그래프에 플럿(plot)한 것이다.
야채는 -2∼+1℃까지의 평균온도 범위에서, 3000V∼500V의 전위 범위에서 일반 냉장고와 비교하여 장기에 걸쳐 선도가 유지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는 5000V 이하면 양호하다.
또, 동일 종류의 야채에서는 적절한 평균온도 및 전위가 결정되면, 상기 전위 및 평균온도 범위내에서, 전위를 올리면 평균온도치를 내리고, 전위를 내리면 평균온도치를 올리는 관계에 있는 위치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오이로 예를 들면, (+1℃, 500V) (0℃, 1000V) (-1℃, 2000V) (-2℃, 3000V)의 라인 부근에 있으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피망, 브로콜리, 아스파라가스, 청경채, 당근, 파슬리, 셀러리는 (+1℃, 1000V) (0℃, 2000V) (-1℃, 500V) (-2℃, 1500V)의 라인 부근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오이, 차조기에 대하여는 다음의 표 2의 관계에 있으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습도 전위
-2℃-1℃±0℃+1℃ 3000V2000V1000V500V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선반(7)에 야채류를 탑재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보존을 하면, 마이너스 또는 마이너스에 가까운 온도대라도 얼지 않고 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B) 육류의 해동방법 및 선도 유지ㆍ숙성방법
해동에 관해서는 높은 에너지가 필요하고 전압레벨이 해동시간을 좌우한다. 전압이 너무 높으면 해동 종료 후, 얼룩변색이 나온다.
장치는 야채와 마찬가지로,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그 교류전압을 측정했다.
육류의 동결보존온도는 -55℃∼-30℃도 있고, 최소한 -5℃ 이하의 것은 먼저 평균 설정온도를 ±0℃∼+10℃로 설정하고, 교류전위 3000V(3000V에서 5000V의 범위)를 인가하여 동결육류의 심온(芯溫)(중심부의 온도)이 약 -5℃ 이상이 될 때까지 해동을 한다(심온과 주위온도의 온도 구배(句配)가 없이 -5℃ 이상이 됨). 그 후, 다음의 조건으로 해동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해동테스트의 본 발명에 의한 해동장치란에 기입되어 있는 시간은, -5℃ 이상이 될 때까지의 해동시간도 더한 것이다. 후술하는 어개류의 해동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육류의 해동 테스트
육류 본 발명에 의한 해동장치 일반 냉장고
소어깨로스(10kg 해동)±0℃2000V -15℃의 블록을 20시간에 균 일 해동, 드립(drip) 나옴. 해동에는 2일 걸리고, 변색 됨. 중심이 얼어있는 경우가 있음.
소어깨로스(10kg 해동)-1℃3000V -15℃의 블록을 20시간에 균 일 해동, 드립 미량 나옴.
소어깨로스(10kg 해동)-2℃4500V -15℃의 블록을 20시간에 균 일 해동, 슬라이서대로 양 호.
소등심(5kg 해동)±0℃2000V -20℃의 블록 24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미량 나옴. 해동에는 2일 걸리고, 지방이 황색으로 됨.
소등심(5kg 해동)-1℃3000V 상동
소등심(5kg 해동)-2℃4500V -20℃의 블록을 24시간에 균 일 해동.
닭고기(2kg 해동)+2℃2000V 1일에 해동할 수 있고, 드립 거의 없음(1%) 1일에 해동할 수 있지만, 드 립이 5% 이상 나옴.
닭고기(2kg 해동)±0℃3000V 30시간에 균일 해동할 수 있 고, 드립 거의 없음(1%).
닭고기(2kg 해동)-1℃4000V 상동
육류의 선도 유지ㆍ숙성 테스트
육류 본 발명에 의한 선도유지장치 일반 냉장고
소어깨로스(선도 유지)+1℃300V 3일간 변색, 드립은 없음.4일째에 변색. 2일에 변색. 드립이 나오고, 3일 이상 경과하면 썩어문드 러진 냄새가 남.
소어깨로스(선도 유지)±0℃500V 5일간 변색, 드립은 없음.6일째에 변색.
소어깨로스(선도 유지)-2℃700V 1주간 변색, 드립은 없음.
소등심(숙성)+1℃300V 3일에 숙성, 그 후 3일간 변 색 없음. 4일째에 변색. 1주간 이상 숙성기간 걸림.
소등심(숙성)±0℃500V 3일에 숙성, 그 후 5일간 없 음
소등심(숙성)-2℃700V 3일에 숙성, 그 후 5일간 변 색 없음.
닭고기(선도 유지)+1℃300V 3일간 선도 유지.4일째에 변색. 2일에 부패함.
닭고기(선도 유지)±0℃500V 5일간 선도 유지.
닭고기(선도유지)-2℃700V 5일간 선도 유지 양호.
도 4는 표3, 표4를 전위-평균온도 특성의 그래프에 플럿한 것이다.
육류의 해동은 -2∼+1℃까지의 평균온도 범위에서, 5000V∼1000V의 전위범위에서 일반 냉장고에 비교하여, 얼룩, 변색 없고, 드립(drip)도 거의 나오지 않고 해동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동일 종류의 육류에서는 적절한 평균온도 및 인가전위가 결정되면, 상기 전위 및 평균온도 범위내에서, 전위치를 올리면 평균온도치를 내리고, 전위치를 내리면 평균온도치를 올리는 관계에 있는 위치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어깨로스, 소등심을 예로 들면, (±0℃, 2000V) (-1℃, 3000V) (-2℃, 4500V)의 라인 부근에 있으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고찰에 의해, 소어깨로스, 소등심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5의 관계로 되어 있으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온도 전위
-2℃-1℃±0℃+1℃ 4500V3000V2000V1000V
최대전위 5000V
이상의 결과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선반(7)에 동결육류를 탑재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동결을 하면, 거의 드립도 없이 고품질의 상태에서 해동ㆍ해빙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육류의 선도 유지ㆍ숙성은 -2∼+1℃까지의 평균온도 범위에서, 1000V∼300V의 전위 범위에서 일반 냉장고와 비교하여, 3일 정도에서 숙성하고, 선도 유지도 장기간 양호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동일 종류의 육류에서는, 적절한 평균온도 및 인가전위가 결정되면, 상기 전위 및 평균온도 범위내에서 전위치를 올리면 평균온도치를 내리고, 전위치를 내리면 평균온도치를 올리는 관계에 있는 위치에 대해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어깨로스, 소등심(숙성), 닭고기를 예로 들면,(+1℃, 300V) (±0℃, 500V) (-1℃, 800V)라인 부근에 있으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측정데이터를 기재하지 않지만, 2000V 정도까지 전위를 올려도 손색없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고찰에 의해, 소어깨로스, 소등심, 닭고기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6의 관계로 되어 있으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온도 전위
-2℃±0℃+1℃ 800V500V300V
이상의 결과에 의해,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선반(7)에 해동ㆍ해빙육류를 탑재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선도 유지ㆍ숙성을 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장기간 변색도 없이 양호한 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C) 어개류의 해동 방법 및 선도 유지 방법
해동ㆍ선도 유지 모두 일정한 전위가 필요하고, 해동시간을 서두를 경우 온도를 올리면 된다.
장치는 야채와 마찬가지로,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그 교류전압을 측정했다.
어개류의 동결 보존 온도는 예를 들면 전갱이 토막은 -30℃∼-40℃, 가리비는 -20℃∼-30℃, 다랑어류는 -55℃이다.
따라서, 당초 냉동 보존 온도가 최소한 -5℃ 이하의 것은 먼저, 평균 설정 온도를 ±0℃∼+10℃로 설정하고, 교류전압을 3000V(2000V에서 5000V의 범위) 인가하여, 동결어개류의 심온(중심부의 온도)이 -5℃ 이상이 될 때까지 해동을 한다. 그 후 다음의 조건으로 해동을 하는 것이다.
어개류의 해동 테스트
어개류 본 발명에 의한 해동장치 일반 냉장고
냉동가리비(해동)+1℃2000V 12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미량 나옴. 20시간에 해동할 수 있지만, 드립이 나와 살이 늘어짐 (형이 무너져 있음). 자연 해동되는 경우도 있음.
냉동가리비(해동)±0℃2000V 15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없음.
냉동가리비(해동)-1℃2000V 24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없음.
무두중하(無 頭中蝦)(해동) +1℃2000V 12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미량 나옴. 20시간에 해동, 살이 연화 (軟化)(자연해동, 유수(流水)해 동이 많음).
무두중하(해동)±0℃2000V 15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없고 살이 단단함.
무두중하(해동)-1℃2000V 24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미량 나옴.
혀가자미(해동)±0℃2000V 15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없음. 24시간에 해동, 드립 있음.
눈다랭이(해동)±0℃5000V 24시간에 균일 해동, 드립 없음. 24시간에는 중심을 해동할 수 없음. 표면이 늘어짐.
게(해동)±0℃2000V 15시간에 해동. 24시간에 해동, 해동 종료 시에 독특한 해동냄새가 남 (자연해동, 유수해동되는 경 우가 많음).
어개류의 선도 유지 테스트
어개류 본 발명에 의한 선도유지장치 일반 냉장고
가리비(선도 유지)±1℃2000V 2일간 변색, 변취(變臭), 드립 없 음. 1일에 살이 굳어지고, 드립도 나 옴.
가리비(선도 유지)±0℃2000V 3일간 드립, 변취 없음
가리비(선도 유지)-1℃2000V 3일간 변색, 변취, 드립 없음.
생굴(선도 유지)±0℃2000V 5일간 변색, 변취 없음.살이 오그라들지 않음. 1∼2일에 고약한 냄새가 나오 고, 열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먹을 수 없음.
무두중하(선도 유지)+1℃2000V 5일간 변색, 변취 없음.4일째에 변색되거나,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경우가 있음. 2일에 변색, 변취가 남.
무두중하(선도 유지)±0℃2000V 5일간 변색, 변취 없음.
무두중하(선도 유지)-1℃2000V 5일간 변색, 변취 없음
눈다랭이(선도 유지)+1℃2000V 3일간 드립 거의 없이 선도 유지. 4일째에 변색되는 경우도 있음 1∼2일밖에 지속되지 않고, 곧 변색되어 버림.
눈다랭이(선도 유지)±0℃2000V 4일간 드립 거의 없이 선도 유지.
눈다랭이(선도 유지)-1℃2000V 4일간 드립 거의 없이 선도 유지
도 5, 6은 표 7, 표 8을 전위 평균온도 특성의 그래프에 플럿한 것이다.
어개류 중, 가리비, 새우 등 동결온도가 비교적 높은 것은 -2∼+1℃의 평균온도 범위에서 대략 2000V의 전위로 일반 냉장고와 비교하여, 얼룩, 변색 없이, 드립도 거의 나오지 않고 해동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오징어도 이 부류에 속한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가리비, 새우 등의 해동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9의 관계로 되어 있으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온도 전위
-2℃-1℃±0℃+1℃ 2000V2000V2000V2000V
그리고, 여기에는 해동 테스트 결과로서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가하는 전위는 대략 2000V를 중심으로 4000V에서 1000V의 범위이면, 거의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이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선도 유지의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어개류에서는, 해동시간은 전압을 크게 하면 짧아 지고, 전압을 작게 하면 시간이 걸리는 것이 판명되어 있으며, 다랑어에 대해서는 3000∼5000V 정도의 전압이 적절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선반(7)에 동결어개류를 탑재하고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해동을 하면, 드립량도 적어 품질을 해치지 않고 해동ㆍ해빙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다음에 어개류의 선도 유지는, -2∼+1℃까지의 평균온도 범위에서, 대략 2000V의 전압 범위에서 일반 냉장고와 비교하여, 선도 유지가 장기간 양호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고찰에 의해, 어개류의 선도 유지에 대해서는, 다음의 표 10의 관계로 되어 있으면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온도 전위
-2℃-1℃±0℃+1℃ 2000V2000V2000V2000V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사용하여, 금속선반(7)에 해동ㆍ해빙 어개류를 탑재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선도 유지를 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장기간 변색도 없이 양호한 품질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상의 계측테스트에서는, 인가하는 전압을 교류전압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정전전위를 상기 값으로 해도 대략 동일한 결과가 얻어진다.
또, 계측 테스트에서는 금속선반의 전위 측정에 정전전위측정기를 사용했지만, 실제의 해동, 선도 유지ㆍ숙성에서는 도어를 열면, 전압을 금속선반에 공급하는 스위치가 끊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고전압 발생장치의 출력전압이 몇 볼트인 때 정전전위측정기의 전위가 몇 볼트로 되는 것인가의 대응을 구해 놓고, 고전압 발생장치인 출력전압의 전압계에 의해 금속선반에 소정의 전위를 가하도록 한다.
또한, 온도 범위 -2℃∼+1℃로 하고 있지만, -3℃까지 온도를 내려도, 본 발명에 의한 측정 결과에 가까운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식물(食物)의 동결온도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일, 야채류에서는 어류, 육류보다도 높고, 이들 식물의 동결온도는 정전장내에서는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상이하여, 전압이 높아지면, 동결온도는 내려 온다. 또, 식물의 유분(油分) 상태, 예를 들면 유분이 적은 새우, 게, 오징어 등의 냉동온도는, 다랑어, 꽁치 등 유분이 높은 것보다도 높다. 따라서, 피처리물의 종류와 인가하는 전압과의 관계로부터 피처리물의 동결온도가 정해지는 것으로, 그 관계로부터 동결온도를 구하고, 그 동결온도와 0℃ 사이의 온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동결온도에 가까운 온도로 피처리물을 보존하면, 보다 장기간 식물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정전장내에서는 식물의 동결온도는 저하하여, 통상의 냉장고에서는 동결온도라도, 정전장내에서는 얼지 않으므로, 냉장고의 온도 설정이 용이해 진다.
그리고, 선도 유지를 위해 인가하는 전압은 일반적으로 야채류, 특히 엽물(葉物)에서는, 500V∼1000V가 적절하고, 케익, 과자류도 마찬가지로 500V∼1000V가 적절하고, 육류 중 소, 돼지고기는 1.5K∼2KV가 바람직하다. 또, 과일류도 500V∼1500V가 적절하다.
도 1에서는, 보냉고(1)내에 금속선반(7)을 절연상태로 설치했지만, 통상의 냉장고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연전극(20)을 고내의 선반 위에 놓아도 된다.
도 8, 9에서, 본 발명에 관한 절연전극(20)은 평판형을 이루고, 그 1개의 코너부에 리드선(21)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22)가 설치되고, 이 접속부(22)는 리드선(21)을 금속판(28)에 실(seal) 상태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금속판(23)은 도전체이면 그 종류는 불문하고, 예를 들면 동판, 스테인레스판 또는 티탄판이라도 된다. 상기 금속판(23)은 완전히 절연피복(24)에 의해 절연되고, 이 절연피복(24)은 예를 들면, 염화 비닐욕(浴) 안에 금속판(23)을 딥브레이징(dip brazing)하여 형성되지만, ABS수지 등의 절연판으로 금속판(23)의 표리(表裏)를 피복하고, 그 주위를 금속판(23)의 주변으로부터 돌출시켜 그 돌출부분을 용착(溶着)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금속판(23)의 주위는 다른 것에 충돌하여 그 피복이 손상되는 일이 있으므로, 테두리 부착(25)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금속판(도전체)을 절연막으로 피복해도 고전압이 인가되면 인가전자가 주위로 튀어 나와 주위의 공기가 대전된다. 이 위에 식품을 놓으면 이 식품도 절연막을 통해 대전되어 전극판의 일부로 되고 그것과 비슷한 작용을 한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냉장고내에는 쇠막대기를 격자형으로 한 것에 딥처리를 실시한 선반(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선반(26)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절연처리된 손잡이(27)로 선반막대기를 맞물려 넣도록 하여 부착해도 된다. 이 경우, 손잡이(27)는 세탁가위와 같이 구성되고, 이 맞물림부에는 선반막대기의 외피(外被)를 관통하여 안의 쇠막대기에 직접 접촉하는 톱니(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맞물림부의 반대측에는 압축스프링(29)이 설치되고, 이 압축스프링(29)에 의해 맞물림부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냉장고(3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 경우에서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선반(36) 위에 금속제의 나(裸)전극(37)이 절연상태로 얹혀 있다. 이 전극(37) 위에 피처리물(35)이 얹혀 있다. 이 경우, 전극(37)은 절연상태이면, 어떠한 방법으로 유지해도 되고, 전극을 절연상태로 보냉고(30)내에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선반(38)의 뒤쪽에 전극(39)을 설치하여 그 뒤쪽을 공기에 노출시켜도 된다. 또, 절연판(40)에서 전극(39)을 절연재로 에워싸도록 해도 된다. 공기, 플라스틱판, 테플론판 등의 절연재도 전기적으로는 절연체이고, 수납공간내를 전장 분위기로 하는 데 장해는 아니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체인 선반(41) 위에 절연애자, 세라믹, 테플론, 플라스틱 등의 절연끼움목(43)을 통해 도전체의 전극(42)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 전극 본체(44)를 상하로부터 절연부재로 끼워도 된다. 즉, 공기 중에 정전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극 본체(44)는 그 아래쪽에 보냉고의 선반 S 등의 피설치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부재(45)를 구비하는 동시에, 그 위쪽에 사람이 전극 본체(44)에 접촉하여 감전되지 않도록 절연성의 접촉보호부재(46)를 구비하고 있다. 양 절연재(44,45)는 예를 들면, 딥(딥브레이징) 조작에 의해 염화 비닐 등을 일체 또한 균일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테플론 또는 세라믹을 용사(溶射) 또는 열처리 도장(塗裝)에 의해 부착시켜도 된다.
도 15, 16은 딥브레이징에 의해 형성된 전극(50)을 나타낸 것이고, 이 전극(50)은 적절한 슬릿(31,31…3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극(50)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이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54)와, 이 본체(54)의 주위에 부착된 염화 비닐 등의 절연재(55)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전극(50)의 주위는 보호테(53)로 프로텍트해도 된다. 상기 슬릿(51)의 형성에 의해, 딥브레이징 시 균일한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50)의 코너부에는 접속부(52)가 설치되고, 이 접속부(52)에 고압케이블(56)이 접속된다.
도 17은 기존의 냉장고를 간단히 정전장 냉장고로 바꾸기 위한 전극유닛(60)을 나타내고, 이 유닛(60)은 절연성의 플라스틱판으로 프레임체(61)를 형성하고, 이 프레임체(61)를 기존의 냉장고 실내에 그대로 삽입한다. 그리고, 프레임체(61)의 좌우측판(62)은 중앙판(63)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지지봉(64,64…64)이 부착되고, 이 지지봉(64)의 적절한 위치에 선반판(65)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지지봉(64)의 하나는 고전압 발생장치(66)에 접속되고, 이 지지봉(64)을 통해 선반판(65)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고내의 공기의 유통을 방해하지 않도록, 중앙판(63) 및 측판(62)에는 적절한 개구(67,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저판(底板)(68)을 설치하고, 이 절연된 저판(68)에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지지봉(64) 및 선반판(65)은 딥 등에 의해 절연막으로 피복되어도 되고, 이와 같이 절연막을 통해서도 상기 선반판(65)에는 전압이 야기(惹起)된다.
그리고, 도 18,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의 측판(62)에 선반판(65)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릿부(63)를 형성하고, 이 슬릿부(63)의 상하벽(63a,63b)에 금속단자판(67)을 메워넣는 동시에, 상기 절연막으로 피복된 선반판(65)내에 금속전극판(65a)을 끼워 넣고, 상기 금속단자판(67)을 선반판(65)의 단부에 대향시키면, 선반판(65)에 고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기(66)에 접속된 단자판(67)을 절연막을 통해 선반판(65)의 금속전극판(65a)에 대향시키면 간접적으로 금속전극판(65a)에 전압이 야기된다.
더욱 상세하게 전압의 간접야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서, 전극판(70) 위에는 단자판(71)이 놓이고, 이 단자판(71)은 전압 발생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극(70)은 금속판을 절연체(75)로 피복한 것이고, 한편, 상기 단자판(71)도 금속판(77)을 절연체(76)로 피복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판(70)에 도전체인 전극 본체의 금속판(72)과 상기 단자판(71)의 도전체(금속판(77))와는 직접 접촉하지 않아도(절연체를 개재해서도), 전극(70)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70) 또는 단자판(71) 중 어느 한 쪽을 절연체로 피복하지 않고 도전체를 노출시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전극(70)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유리, 실리콘, 목재, 종이 등의 절연체(75)내에 도전성 필름, 알루미늄박(箔), 기타 도전체(세선, 인쇄패턴)로 형성된 전극 본체(72)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70)에 인가되는 전압은, 전극(70)과 단자판(71)과의 접촉면적에 비례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으므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73)에 삼각형의 전압조정판(74)을 설치하고, 단자판(71)을 좌우로 이동시켜 조절판(74)과 단자판(2)과의 접촉면적을 변화시키면 전극(73)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전극(73) 및 전압조정판(74)은 예를 들면, 도전성 필름을 염화 비닐 등의 절연판으로 상하로부터 끼워 래미네이트한 것이다.
또, 전극(73)과 직접 단자판(71)과의 접촉면적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70)의 단부에 프레임(78)을 설치하고, 이 프레임(78)으로 피복되지 않은 도전체(79)를 전극(70) 위에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절연전극은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업무용 또는 가정용의 냉장고(80)에도 응용할 수 있고, 임의의 냉장실(81,82)의 바닥면에는 전극판(85,85)이 얹혀 있다. 또, 정전장내에서 식물을 해동하면 -2∼-3℃로 해동할 수 있고, 드립이 없는 해동이 가능하므로, 냉장고(80)내에 해동실(83)을 설치해도 된다. 이 해동실(83)은 전술한 바와 같은 평판의 전극판(85)을 그 바닥면에 얹어 놓아도 되지만,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판을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입구를 개방한 상자형 전극(86)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전극판(85) 및 상자형 전극(86)은 냉장고 하부에 설치한 고전압 발생장치(8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해동고(83)는 냉동고로서도 기능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이 안에서 얼음을 만들면, 결정(結晶)이 작아져 사용 시에 녹기 어려운 얼음이 생긴다. 즉, 냉동, 해동 전문의 장치로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냉장고를 다음과 같이 형성해도 된다. 도 25에서, 냉장고(90)는 케이싱(91)을 가지고, 이 케이싱(91)에는 도어(9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91)의 내벽은 절연판(94)으로 피복되고, 케이싱(91)내의 수납공간의 대략 중앙에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제(도전성)의 선반(95)이 설치되고, 이 선반(95)의 고전압 발생장치(96)에 케이블(91)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91)내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을 겸하는 선반(95)은 상기 케이싱 내벽의 절연판(94)과 케이싱내의 절연기체인 공기에서 절연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상기 도어(93)와 케이싱 사이에는, 안전스위치(13)(도 2)가 설치되고, 도어(93)가 닫혀 있을 때에는, 선반(95)에 고전압(500∼5000V)이 인가되고, 이와 같이 하여 선반(95) 위의 고기, 야채, 한창인 때 등의 피처리물이 전장내에 놓여 전장처리된다. 상기 전극을 이루는 선반(95)은 공기라고 하는 절연기체내에서 케이싱이라고 하는 외부환경으로부터 절연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케이싱내의 수납공간이 전장 분위기로 되지만, 상기 선반(95) 위의 피처리물(98)도 전체로서 절연상태로 지지되지 않으면, 예를 들면, 피처리물이 절연처리되지 않고 있는 케이싱 내벽에 접하면 어스되어 있는 케이싱내에의 전자의 이동이 일어나 피처리물이 대전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피처리물이 케이싱 내벽에 접할 우려가 있는 부분에는 절연판(94)을 붙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케이싱 내벽 그것이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 필요가 없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야채, 고기의 종류에 따라 고내 온도에 대한 선도 유지 또는 해동전압은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보냉고(1)내에 온도센서(99)를 설치하여, 온도센서(99)의 검지신호를 구동회로(100)에 입력하고, 이 구동회로(100)가 도 2에 나타낸 전압조정트랜스(15)의 2차측 조정노브(15a)를 움직이게 하여 인가전압을 변화시킨다.
또, 고기, 어류를 해동하는 경우에는,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는 해동 시에 높은 인가전압이 필요하지만, 해동 후의 선도 유지에서는, 해동 시의 인가전압 그대로는 숙성이 너무 빨리 진행되어 오히려 선도 유지의 장애가 된다.
따라서, 해동의 완료를 고기, 어류의 경도(硬度)를 측정하고 검지하여 적절한 선도유지전압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2℃ 정도에서는 쇠고기는 해동 시에는 5000V 정도의 인가전압이 바람직하지만, 해동 후의 선도 유지, 숙성에 1500∼2000V 정도가 적절한 것이 판명되어 있다. 그래서, 블루브를 고기의 표면에 접촉시켜, 그 때의 반력(反力)을 계측하는 경도계(101)를 설치하고, 그 경도신호에 따라 인가전압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6은 가정용 또는 업무용의 냉장고(110)이고, 이 냉장고는 고내 내벽이 플라스틱 등의 절연체(111)로 형성되고, 이 절연체(111)내 또는 그 뒤쪽에 도전성, 예를 들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체(112)가 절연상태로 붙여지거나 메워져 형성되고, 이 전극체(112)에 고전압 발생장치(11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각 방에는 도어를 열었을 때 전압인가를 차단하는 센서(1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정용 냉장고내를 대전시키기 위해서는 플라스틱판으로 이루어지는 고내 벽의 뒤쪽에 도전성의 박막을 붙이고, 이 박막에 전압을 인가하면, 고 내부에는 일체 고전압이 인가된 부분이 노출되는 일이 없으므로, 안전하다. 또, 야채실의 인가전압은 낮고 해동실은 인가전압이 높으므로, 냉장고의 각 방은 사용 목적에 따라 인가전압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지만, 1개의 고전압 발생장치라도 상기 붙여지거나, 메워지는 박막의 면적을 변화시키게 되어 인가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각 방에는 전장 분위기를 전기력선의 양을 검지함으로써 검지하는 전기력선센서(115)가 설치되고, 이 센서(115)가 전기력선양이 소정 이하로 되었을 때 냉동시스템(116)을 컨트롤러(117)에서 동작시켜 고내를 플러스 온도로 유지하도록 동작한다. 즉, 정전장 분위기에서는 식물을 마이너스 온도로 얼리지 않고 보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정전장 분위기가 깨지면 식물이 얼기 때문에 냉동시스템을 동작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컨트롤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냉장고의 벽(120)에는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실의 뒤쪽에 돌출되어 있는 선반받침부(121)가 설치되고, 이 선반받침부(121)의 슬릿(122)내에는 선반판(123)의 단부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상기 선반판(123)은 전극판(124)을 가지고, 이 전극판(124)이 절연체(123)로 피복되어 있어, 만일 상기 센서(114)가 동작하지 않아도 감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벽(120)은 절연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반받침부(121)의 돌출부에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ㄷ자형의 단자판(130)이 밖에서 끼워지고, 이 단자판(130)에 고전압 발생장치가 접속된다. 그리고, 단자판(130)과 전극판(124)과는 간접접촉으로 전압을 야기시키고 있지만, 전극판(124)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받침부(121)내에 선반판(140)의 단부를 얇게 형성하여 단자판(130)으로부터 충분한 전압을 전극판(142)에 야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받침부(121)의 슬릿내의,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장소에 단자판(130)의 내면에 돌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선반판의 슬릿삽입부의 위치로부터 절연체를 제거하여 전극판(142)과 단자판(130)을 직접 접촉시키면, 충분한 전압이 인가된다.
도 30은 냉장고의 야채실(150)을 나타내고, 이 야채실(150)은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고, 야채실(150)의 주위벽에는 전극판(151)이 메워져 있는 동시에 저면에는 전극판(150)을 절연막(153)으로 피복한 전극(156)이 설치되고, 이 전극판(154)에 고전압 발생장치(15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156)에 충분한 전압이 인가되면, 야채실의 주위벽내의 전극판(151)은 불필요하고 실내의 야채실(152)이 대전된다.
그리고, 가정용 냉장고에서 보존온도를 낮게 하는 것은 필요전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되지만, 정전장을 만들면, 고내 온도가 통상의 냉장고보다도 4∼5℃ 높아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고내에 정전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흐르는 전류는 2mA 이하이므로 1000V를 인가해도 소비전력은 2W이다. 그리고, 야채, 과일 등에서는, 약간의 전압(10V∼100V)이라도 선도 유지의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해동 시 이외는 고내 온도를 마이너스로 할 필요가 없고, 고가의 식물이 들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장을 걸면서 고내 온도를 플러스 5∼6℃로 올리는 모드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26에 있어서, 냉동시스템(116)에 전환스위치(117a)를 설치하여 냉각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선도유지모드와, 높게 유지하는 절약모드의 전환조작을 하면, 에너지의 절약이 된다.
또, 전장 분위기 중에서는 온도가 높아도 결로(結露)하지 않으므로 도 31,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내의 냉각기(183)에 고전압(1500V∼2000V)을 직접 인가하거나, 냉각기(183)가 수납되어 있는 공간을 전장 분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장고의 후부 상방내에는 냉각기(183)가 설치되고, 이 냉각기(183)의 상방에 팬(181)이 설치되어 냉각공기를 고내에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냉각기(183)의 전방에는 간막이판(18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의 내벽은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이 내벽면에 알루미늄박 등의 도전성 박막(182)이 붙여지는 동시에 상기 간막이판(185)의 냉각기 측면에도 도전성 박막(184)이 붙여져 있다. 그리고, 간막이판(185)과 냉각기(183) 사이에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전성 선형(線形) 전극(187)이 설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판형 전극이라도 된다. 이들 박막, 전극(187)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치되고, 이들 박막, 전극 및 냉각기(183)에는 고전압 발생장치(188)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된다.
정전장은 기름의 환원작용을 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튀김을 튀긴 후에 산화된 기름을 탱크(160)내에 저류(貯溜)하고, 그 기름내에 기름환원장치로서의 절연전극(161)을 삽입해 두면, 2∼3일에 환원되어 양호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절연전극(161)은 막대형의 심(芯)(161a)에 적절한 상하 간격으로 원반형의 절연전극판(161b…161b)을 고착한 것이지만, 기름의 양이 적으면 단지 막대형의 심(161a)만이라도 된다. 그리고, 심(161a)에 고전압 발생장치(16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전극으로서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되고, 기름 전체에 전장이 미치는 형상이면 된다. 또, 절연전극(161) 대신 고전압 발생장치에 접속된 금속판(164)을 메운 전극상자(162)내에 기름탱크(160)를 얹어 기름을 전장내에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전장은 기름의 산화도 방지하므로, 기름을 전장내에 두면 참화를 방지하면서 장기간의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튀김 또는 프라이를 튀기는 프라이어에 전장을 인가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전기프라이어(170)를 나타내고, 이 전기프라이어(170)에서 핸들(171)의 회동에 의해 기름탱크내에 히터(172)를 삽입하거나, 그곳으로부터 꺼내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히터(172)의 근방에는 복수의 전극봉(173)이 설치되고, 이 전극봉(173)은 전압 발생장치(17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름탱크내의 기름을 전장 분위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기름탱크의 케이싱은 어스되어 있어, 전극봉(173)에 1500V∼2000V의 전압을 인가한 경우, 케이스에 사람이 접촉해도 감전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전극봉(173)에 인가하는 전압이 100V∼1000V의 경우는, 케이싱의 어스는 불필요하다. 그리고, 500V∼600V의 전압으로 기름의 사용기간을 2배로 할 수 있다. 케이싱으로부터 어스를 떼지 않으면, 고전압 발생장치(174)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어스를 뗀 것보다 작아도 동일 크기의 전압이 기름에 인가된다. 이는 케이싱이 어스를 떼지 않으면 기름을 전달하고 퇴피하는 전류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다음에, 가스프라이어에 있어서, 튀김기름의 열화를 적게 하도록 피처리물로서의 기름내에 고전위 정전장을 인도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 35, 3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지된 기름탱크(182)내에는 기름(184)이 수납되고, 이 기름탱크(182)내에는 바구니형의 전극(180)이 절연애자(181)를 통해 담겨지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186)에 의해 전극(180)에 고전압을 부가하면, 기름(181)내에 고전압 정전장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버너(183)로 기름탱크(182)를 가열하면, 단시간에 기름이 소정 온도로 가열되는 동시에, 이 전장내에서 튀김을 튀기면, 바싹 튀겨지고 기름의 열화도 적어져, 기름을 장시간 교환하지도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막대형 전극(187)을 고전압 발생장치에 접속시켜, 전극(180)을 단순한 바구니로 한 경우에 전극(187)을 통해 바구니(180)에 전압이 야기되고, 이 경우에 바구니(180)는 보조전극으로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메시(mesh)형의 바구니는 기름내에 담글 때 편리하고, 그 메시가 촘촘하면, 바구니를 탱크로부터 올림으로써 튀김을 튀겼을 때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일한 전장을 형성하는 것은, 바구니형 전극체내에 다시 격자를 넣어 정글짐형으로 형성하면 된다.
기름은 절연체이므로, 이 기름내에 금속전극을 기름탱크(182)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담그면, 전극 주위의 기름 안은 전장 분위기로 되어, 그 속에 튀김, 어육튀김을 넣으면, 전장처리되게 되지만, 튀김, 어육튀김이 기름탱크(182)의 내벽에 접하면, 튀김, 어육튀김의 대전상태가 깨진다. 그러나, 상기 바구니형 전극(180)의 수직의 주위벽(180a)은 간막이부재를 이루어 이들이 기름탱크벽면에 접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이와 함께, 바구니형 전극(180)의 저벽(底壁)(180b)만에서는 기름의 상방부분의 전장은 약해지므로 상기 수직벽(180b)이 기름면 근처의 전장의 약화를 유효하게 방지한다. 그리고, 유리프라이어의 어스에 대해서는, 도 34의 전기프라이어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도 35에서는 기름탱크(182)가 어스되어 있지만, 2차측의 한 극이 어스되어 있는 고전압 발생장치(186)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이 100V∼1000V로 낮은 경우에는 기름탱크(182)는 어스할 필요가 없다. 그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일반적으로 가스프라이어는 기름탱크내에 열관이 통하고 있으며, 이 열관에 의해 기름을 가열하고 있지만, 이 타입의 것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7은 프라이어의 전극에 관한 것이고, 프라이어의 좌우의 측벽(190) 사이에 브래킷판(191)이 교가(橋架)되고, 이 브래킷판(191)의 측단(191a)이 프라이어의 측벽(190)의 상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판(191)의 기름면 대향부분에는, 열관(195,195…195)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봉(193,193…193)이 아래로 늘어뜨려지고, 이 지지봉(193)에 전극판(194)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래킷판(191)의 단부 근방에는 내열성의 전극봉(192)이 부착되고, 이 전극봉(192), 브래킷판(191) 및 지지봉(193)을 통해 전극판(194)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전극판(194)이 열관(195)의 사이로서 열관의 상면보다 하방에 있으면, 조작자가 전극판(194)에 접촉되지 않아 안전하다.
또, 도 38,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관(200)의 하방의 유조의 전후방향에 나(裸)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전극판(201)을 절연끼움목(202,202)을 통해 유조벽에 세로로 부착하면, 보다 한층 안전하다. 이와 같이 전극판(201)을 수직방향(세로방향)으로 부착하면, 기름의 순환을 방해하지 않고 기름을 기름탱크로부터 빼낼 때 튀김 등의 찌꺼기가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복수의 전극판(201)의 하나에는 전극봉(205)을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각 전극판(201) 사이를 접속봉(204)으로 연결한다.
또한, 전극판(210)은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관(215)의 단부에 부착된 브래킷판(215)의 열관끼리의 중간부분에 지지봉(211)을 절연끼움목(214)을 통해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유조내에 담겨지는 전극으로서는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절연전극판(260)이라도 된다. 즉, 절연체로 양(良)전도체가 피복된 절연전극판(260)의 4코너로부터는 부착판(261,261…261)이 세워져 설치되고, 그 상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고, 이 절곡부분이 유조의 상벽 T에 걸리고, 이로써 상기 절연전극판(260)이 유조내의 열파이프(204)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판(260)에는 테플론, 세라믹 등 또는 이들의 복합코팅이 실시되고, 기름이 상하로 유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구(260a,260a…260a)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판(261)의 하나에는 리드선 L이 접속되고, 이 리드선 L은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연속해 있다.
도 41의 부착판(261)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조(272)에 복수의 돌기(273)를 설치하고, 이 돌기(273)에 상기 절연전극판(260)을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접속봉(276)을 세워 설치하고, 이것에 리드선(275)을 접속하도록 한다.
도 43에서는, 내열성의 테플론판(280,280(260℃ 정도까지 견딤)을 스페이서(281,281…281)에 의해 간격을 배치하여 접합시키고, 그 사이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본체(28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한 전극(286)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전극 본체(286)의 코너부에는 접속핀(284)이 세워져 설치되고, 이 접속핀(284)에 테플론봉(283)의 하측에 잭부가 형성된 접속단자가 걸어 맞추어지고, 그 상단으로부터 리드선(285)이 인출되고, 상기 테플론판(280)의 코너부는 절결(切缺)되어 절결부(287)가 형성되고, 전극 본체(282)가 완전히 2장의 테프론판 사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 본체(282)와 테플론판(280)에 서로 꼭 맞도록 개구(0,0…0)가 형성되어 기름탱크내의 가열된 기름의 유통을 유지하고 있다.
도 44는 다른 타입의 프라이어의 전극(240)을 나타내고, 이 전극(240)은 기름의 순환공(241)을 구비한 금속판전극(242)을 가지고, 이 금속판전극(242)은 다리부(245a)를 가지는 절연성의 예를 들면, 도기, 자기, 애자, 세라믹 등의 커버플레이트(245)내에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45)는 상기 구멍(241)과 꼭 맞춘 구멍(244)을 가지고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다리부(245a)는 커버플레이트의 대향 2편(片)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3변에 설치되고, 나머지 1변으로부터 금속전극(242)을 출입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45)는 열관(247) 위에 얹혀 놓인 철망(246) 위에 지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극(242)의 상면은 절연체로 프로텍트되어 있으므로 조작자가 사용하는 도구가 직접 고전압이 인가된 전극(242)에 접촉되지 않고, 더욱이 상기 전극(242)의 하면은 개방되어 있으므로 기름에 충분한 전장이 인가되게 된다. 상기 전극(242)은 접속봉(248)을 통해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접속된다. 또,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에 2개의 다리부재(250)를 준비하고, 이 다리부재(250)의 다리부(251)에 전극판(252)을 끼우도록 하여 절연성의 커버플레이트(253)를 삽입하고 적절히 나사고정하여 전극(255)을 형성하도록 하면, 그 제조가 용이해 진다.
도 46에서는, 내열(강화)유리관(315)을 임의의 형상으로 열가공하고, 그 안에 선형의 도전성의 전극 본체를 이루는 금속선(316)을 통하게 한 전극(317)을 나타내고 있다. 전극(317)의 양단은 기름면으로부터 상승하도록 일어나고, 그 입구측에는 리드선(318)이 접속되고, 그 출구측은 마개(319)에 의해 봉쇄되어 있다. 이러한 유리제 전극은 튀김 또는 어육튀김의 찌꺼기가 부착되기 어렵게 본 눈도 아름답다.
기름탱크내에서 정전장을 발생시키는 전극으로서는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의 선형 또는 막대형의 전극 본체(325)를 예를 들면 테플론파이프 등의 내열절연막(326)으로 피복되고,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전극(320)이라도 된다. 그리고, 이 형상의 전극을 냉장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절연막(326)은 염화 비닐 등의 플라스틱으로 되지만, 프라이어에 사용하는 경우는 내열성이 있는 테플론 또는 세라믹막이 양호하다. 그리고, 기존의 염화 비닐 또는 테플론튜브내에 전극 본체(325)를 삽입하여 벤더에 의해 구부리면 염가에 전극(3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어의 전극용으로서는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열유리관(290)내에 접속선(292)과 함께 철분(鐵粉), 동분(銅粉) 등의 전도체를 봉입(封入)하면, 전압의 드롭이 적어지는 동시에 중량이 증가하므로 기름내에서 전극이 흔들거리지 않는다. 또,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가전압의 드롭이 큰 때는 유리관에 다수의 작은 구멍(301)을 뚫어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도 접속선(302)이 유리관의 내측에 은도금 등을 실시해도 전극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리전극은 물 속을 전장 분위기로 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은 기름탱크내에 전극을 삽입하여 기름을 대전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50에서는 유조 자체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즉, 프라이어(200)는 바깥상자(221)을 가지고, 이 바깥상자(221)내에는 유조(222)가 수납되고, 이 유조(222)의 하부내에 열파이프(224,224…2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조(222)의 외벽에는 절연전극판(223…223)이 붙여져, 유조내에 전장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도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조(230) 전체를 절연전극으로 하도록, 금속판(231)을 절연피복(232)으로 덮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유조내의 기름은 고온(160∼200℃)이 되므로, 절연피복(232)은 내열성의 것이 아니면 안되어, 예를 들면 세라믹 등 또는 양자의 복합코팅이 사용된다.
이들의 경우에서, 유조(222,230)는 바깥상자(221)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조벽(222a)의 상부에 유조벽의 주위에 따라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접속부재(225)를 설치하고, 이 접속부재(225)로 상부벽(222b)과 접속하고, 이 상부벽(222b)을 바깥상자(221)에 지지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장치(226)는 직접 유조벽(222a)에 접속해도 된다. 또, 접속부재는 도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갈고리형으로 형성하고, 그 하부에 유조벽(222a)의 갈고리형 상부를 걸도록 하면, 유조벽의 접속부분으로부터의 기름의 누출이 없다. 그리고,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조(222)의 상부 절곡부(222)를 절연체(228)를 통해 바깥상자(221)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부 절곡부(222)에도 전압이 인가되므로, 유조내에는 약 500V∼700V의 전압을 인가하도록 한다. 이 정도의 전압에서는, 사용자는 전장을 느끼지 않아 안심이다. 따라서, 이 때에는 유조의 어스는 불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조벽과 열관은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열관에도 고전압이 인가되어 유조내의 기름은 평균적으로 전장 분위기로 된다.
또,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저전압(300V∼700V)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금속의 전극판(260)에 조작자가 쇠젓가락 등으로 접촉해도 감전되는 일이 없으므로, 예를 들면 전압 발생장치(261)의 2차측의 한 극을 어스하지만, 기름탱크의 케이싱(262)은 어스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공사가 용이해 진다.
이와 같이, 비교적 낮은 전압이라도 기름의 산화는 방지되어, 최소한 기름의 수명은 2배로 연장되는 반면, 조작자가 감전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전극판(260)은 스테인레스판에 다수의 개공(開孔)(263)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전극판(260)이 기름탱크의 주위벽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세라믹 또는 테플론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끼움목(264…264)이 부착되어 있고, 이 끼움목(264)은 유조내의 열관 등으로부터 전극판(260)을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필요에 따라 전극판(260)의 뒤쪽 중앙에도 끼움목(264)이 설치된다.
그리고, 비교적 저전압을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전극판(260)의 상면만 절연재로 피복하거나, 코팅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절연재는 조작자의 젓가락 등이 전극판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유효하고, 이면은 기름에 노출시키고 있는 쪽이 전극판 하방의 기름의 산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56은 식품보존장치로서의 음식케이스(230)이고, 이 음식케이스(230)는 절연전극(231)을 가지고, 이 절연전극(231)에는 격벽(隔璧)이 설치되고, 이 격벽(232)의 전방에는 삼(杉)나무잎, 대잎 등의 장식물(233)이 놓이도록 되어 있다. 이 격벽(232)은 피처리물(234)과 어스된 음식케이스의 프레임과의 접촉을 피해, 피처리물이 어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여닫이문(235)의 하측에 설치된 손이 닿을 우려가 있는 어스된 어스상태대로의 부분, 예를 들면 레일은 절연처리되어(절연체 자체로 만들거나, 절연체로 피복되어도 됨), 작업자가 손으로 피처리물을 잡는 동시에 레일에 손이 닿았을 때, 전극(231) 위의 피처리물을 어스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절연전극(231)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라도 되고, 도전성 필름을 플라스틱판으로 상하로부터 끼워 래미네이트한 타입의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래미네이트타입의 것에서는, 도 20∼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극접속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전극(231)은 고전압 발생장치(237)에 접속되는 동시에 음식케이스 하부의 냉각장치가 수납된 공간의 주위벽에 도전성 박막(236)을 붙여 상기 공간을 전장 분위기로 하면, 냉각기의 결로방지효과도 발휘한다.
그리고,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231)의 전부(前部)를 절곡하도록 해도 된다.
도 58은 음식케이스의 배면을 나타내고, 이 음식케이스에는 미닫이(240,241)가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245)의 좌우에는 근접센서(244,244)가 설치되어, 도어(240,241)의 어느 한 쪽이 열렸을 때 전극(242)에의 전압 발생장치(243)로부터의 전압 인가가 정지된다. 그리고, 근접센서(244) 대신 리밋스위치를 설치해도 된다.
도 59는 초밥집 등에 설치되는 음식케이스이지만, 이 음식케이스의 저면에는 절연판(250)이 설치되고, 이 절연판(280) 위에 어육 등이 놓여 있다. 또, 음식케이스의 공간부분에는 전극봉(281)이 배설되고, 이 전극봉(251)에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극봉으로서는 중공(中空)유리관내에 은도금 등을 한 것이라도 되고, 중공유리관에 동선을 배설한 것이라도 된다. 이러한 전극봉(251)은 냉장고내에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해도 음식케이스내 전체가 전장 분위기로 된다.
그리고,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케이스내의 접시 d의 위에 얹힌 피처리물이 주위벽과 접하는 경우가 많고, 이 접한 부분이 전도체라고 그곳으로부터 전압이 드롭해 버리므로, 최소한 상부 프레임(281)은 전기절연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상부 프레임(281)의 중앙 뒤쪽에는 전극판(282)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상부 프레임(281)에는 유리판(283) 및 유리문(284)이 부착되고(상부 프레임(281)의 후부는 레일을 겸함), 상부 프레임(281)을 지지하고 있는 하부 프레임(285)내에는 냉각장치(286)가 내장되고, 이 하부프레임(285)의 공간은 전장 분위기로 되어 있으므로, 냉각장치(286)의 안개부착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다음에, 쇼케이스에 정전장을 탑재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1은 슈퍼에 놓여 있는 쇼케이스(오픈케이스)(400)를 나타냈고, 이 쇼케이스(400)내의 상하 선반(402,402) 위에 절연전극판(401,401)이 얹히고, 이들의 전극판(401) 위에 식품(403,403…403)이 얹혀 있다. 식품으로서는 물고기, 고기, 야채, 과자 등 어떠한 식품에 대해서도 선도 유지의 효과가 있다. 상기 쇼케이스의 상판 위에는 고전압 발생장치(405)가 얹히고, 이 고전압 발생장치(405)에 리드선(404,404)을 통해 전극판(401,401)이 접속되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405)는 어스선(406)을 통해 어스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발생장치(405)에 의해 전극판(401)에는 2000∼50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쇼케이스의 경우 반드시 전면(全面)을 절연피복으로 덮은 전극판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도 6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반(412) 자체를 절연체로 구성하고, 그 뒤쪽에 금속판(410)을 부착시키고, 금속판(410)의 하면을 공기 중에 노출시켜도 된다. 또한 선반 자체를 절연체로 형성하고, 금속판(410)을 절연체인 선반안으로 밀어 넣도록 해도 된다. 또, 야채 등은 인가되는 전압이 10V∼700V의 것이 많지만, 이와 같은 경우는 금속판을 선반 위에 노출시켜도 된다. 이 때, 조작자는 감전되는 일이 전혀 없어, 쇼케이스 자체의 어스도 불필요하다.
도 63은 쇼케이스(420)를 나타낸 것이고, 고기, 어류의 경우엔는 금속판을 절연체로 피복한 타입의 것이 적합하지만, 케익, 일본식 과자(422) 등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유리선반(423) 또는 투명재로 이루어지는 선반이 사용되고 있다. 케익 등의 선도 유지에는 300∼600V의 전장 분위기가 최적이지만, 이 경우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불투명)의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 안에 금속의 세선(430)을 배치하고, 그 세선(430)에 접속부(43)를 통해 리드선(432)을 접속하여 세선(430)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전극(433)을 선반 자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리판의 주위에 금속세선이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주위프레임(434)이 부착되어 있지만, 500∼700V의 경우에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다.
또,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440) 또는 수지판의 일면에 은, 알루미늄, 주석 등의 금속박을 부착시키고, 이 금속박에 전압을 인가해도 된다. 또는, 절연판에 금속을 증착(蒸着)시켜도 된다.
또한,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판 또는 수지판(453) 위에 그 안쪽에 도전성 패턴(452)을 증착 또는 인쇄한 수지필름(450)을 부착시켜 전극(451)으로 해도 된다. 또, 유리판(453) 위에 인쇄를 하거나, 유리판(453) 또는 필름(450) 위에 도전성 잉크 또는 도료를 칠해도 되고, 증착으로 금속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유리판 대신에 도기재(陶器材), 석재 등 여러 가지의 절연체재 위에 여러 가지의 수단에 의해 도전성 막 또는 패턴 등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절연성 잉크도료에 도전성의 입자를 섞어 절연재 위에 인쇄,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필름(450) 대신에 기존의 도전성 필름(테이프)을 부착시켜도 되고, 유리판(453) 위에 금속박을 부착하고, 다시 그 위에 절연박막을 붙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슈퍼 등의 오픈케이스 또는 평(平)케이스 등에 사용되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전극으로서는,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화 비닐 등의 수지의 절연성 필름(460) 위에 도전성 패턴(461)을 인쇄 또는 증착으로 형성하고, 절연성 패턴(461)에 리드선을 접속하는 전극이 가볍고, 어느 정도의 강도가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존의 대전 방지용의 도전성 박막(464)을 적절히 다른 부재로 보호하면서 전극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도 6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2장의 플라스틱필름(470,470)으로 도전성 필름(471)을 끼워 주위를 접착한 래미네이트타입의 전극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유리전극을 쇼케이스에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0, 7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단자판(481)을 유리전극판(480)의 하면에 절연상태로 배치하면 된다. 이 단자판(481)은 스테인레스판(482)을 가지고, 이 스테인레스판(482)의 측면 및 하면이 절연막(489)으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판(482)의 상면은 직접 유리판의 하면에 접촉하면, 전압의 다운이 적어지고, 한편, 상기 스테인레스판(482)의 상면을 절연판으로 피복하면, 유리전극판(480)에의 인가전압은 내려간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단자판(481)을 유리전극판의 길이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하면, 적당한 길이의 유리전극의 단부를 단자판(481) 위에 얹으면 되므로 유리전극판(480)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여 쇼케이스내에 수납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유리전극판(480)은 쇼케이스의 양측의 지지프레임(484) 위에 염화 비닐 등의 절연판(485)을 놓고, 그리고, 그 위에 단자판(481)을 놓고, 다시 그 위에 놓도록 한다. 그리고, 유리전극(480)의 주위는 연마되어 그 안의 세선은 위험이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3은 유리전극판(480) 대신에 사용되는 래미네이트전극판(500)이고, 이 전극판(500)은 전도성 시트(501)의 상하를 절연성의 플라스틱으로 래미네이트한 것이다. 이 래미네이트전극판(500)에 전압을 인가할 때에는, 단자판(502)을 얹으면 되지만, 간접 접촉의 인가로 충분한 전압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전도성 시트(501)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래미네이트플라스틱필름에 구멍(503)을 형성하고, 이 구멍(503) 안에 도전도료 등의 도전체를 메워 넣고, 이 도전체를 단자판(502)의 하면에 접촉시켜도 된다. 상기 단자판(502)은 금속판을 절연막으로 피복한 것이지만, 이 단자판(502)의 절연막의 일부를 제거하여 금속판을 노출시키고, 이 금속판과 상기 래미네이트전극판(500)의 도전시트(501)를 도전도료와 같은 중간 도전체를 통해 직접 접촉시키면, 인가전압의 드롭이 작아 진다. 그리고, 쇼케이스의 가장자리 하단은 바닥면을 이루고, 유리는 사용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래미네이트전극(501)이 유리전극 대신에 사용된다.
그리고, 단자(502) 대신에 저면에 톱니(504a)를 돌출 형성시킨 접속구(接續具)(504)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톱니(504a)는 래미네이트전극에 꽂히고, 뒤쪽에서 구부려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고, 이 방식은 톱니(504a)가 도전시트(501)에 직접 접촉시키고 있다. 이 방식은 인가전압이 확실히 전달된다.
그리고, 유리전극판(49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전극판(490)의 측단면에 도전성 도료를 칠하거나, 뿜어 칠하거나 하여 도전층(492)을 형성하고, 이 도전층(492)에 상기 측면 단면에 노출되어 있는 세선의 선단을 접촉시키고, 이 도전층(492)에 도전성 고무(943)를 통해 클립판(494)을 접속시킨다. 이 클립판(494)에는 케이블지지부(496)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지지부(496)에 케이블(497)이 접속되고, 이 케이블(497)이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접속된다.
도 74는 쇼케이스의 유리전극(530)을 나타내고, 유리판에는 도전성 테이프(532,532,532)가 부착되고, 이 단부에 각 테이프(532)를 접속하는 접속테이프(533)이 설치되고, 이 테이프(533) 위에 단면 ㄷ자형의 접속단자(534)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단자(534)가 고전압 발생장치에 접속된다.
그리고,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쇼케이스의 프레임(530)에 절연처리를 위해 금속단자(531)를 부착하고, 이 단자판(531) 위에 기존의 유리판(532)(도전처리가 없는 것)을 얹어 놓은 채, 유리판(532)에 대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유리판(532)의 반대측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도 동일한 단자판(531)을 놓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는 단자판(531)의 근방은 대전강도가 강하지만 그곳에서 떨어짐에 따라 대전강도가 작아진다.
또한, 전극판의 쇼케이스의 탑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6 및 도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케이스, 오픈케이스 또는 평케이스의 저면에 전압 발생장치(542)에 접속된 단자판(541)을 설치하고, 이 단자판(541)에 절연전극을 놓도록 해도 된다. 또,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의 바닥면에 전압 발생장치(545)에 접속된 단자판(542,542)을 설치하고, 이 단자판(542) 위에 전극판을 접촉시켜 놓는 것도 가능하다. 도 69로 나타낸 래미네이트전극 등은 이 방식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회전초밥에 정전장을 탑재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8, 도 79에서, 부호 (550)은 회전초밥의 카운터를 나타내고, 이 카운터(550)에 인접하여 비늘형의 컨베이어(551)가 설치되고, 이 반송로인 컨베이어(551) 위에 접시(552)가 얹히고, 이 접시(552) 위에 초밥(553)이 실려 있다. 상기 카운터(550)는 어스되는 동시에, 상기 컨베이어반송로 위에는 파이프형의 전극(554)이 배치되고, 이 전극(554)이 지지체(555)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전극(554)으로서는, 예를 들면 강화유리 내면에 양전도체인 금속을 증착시킨 것이 미감(美感)이 좋고, 이 전극(554)에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고전압(1KV∼3KV)이 인가되고, 이 전극(554)의 주위에 전장이 형성된다. 또, 전극(554)은 유리라고 하는 절연체내에 형성되므로, 특히 필요하지는 않지만, 손님의 손이 닿지 않도록 가드(556)를 설치하면 보다 안전하다. 상기 관형(管形)의 전극(554) 대신에 통상의 도선이라도 되고, 판형의 것이라도 되며, 도전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단지 도전체를 절연피막으로 덮어도 되고, 공기 중에 노출시켜도 된다. 절연피막으로 피복한 경우에는 가드(556)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리고, 상기 전극(554)은 초밥반송로의 전체에 걸쳐 설치하지 않아도, 도 8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로(551)의 일부에 설치하여 전장처리부(561)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전극(554)은 반드시 반송로 상방에 설치하지 않아도 반송로의 하방이라도 측방이라도 요컨데 전장이 발생하면, 어떠한 장소라도 된다.
또, 상기 정전장 처리장치는 식물의 건조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지만, 또한 건조 방지를 위해 도 81, 도 8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초밥의 컨베이어(551)의 일부를 피복하는 건조방지장치로서의 생선묵돔(572)내를 정전장 분위기로 하는 동시에 미세한 물방울을 초밥(553) 위에 부착시키면 초밥의 건조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선묵돔(572)내에는 그 상부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전극(554)이 배설되고, 이 전극(554)에 고전압 발생장치(57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극(554)은 중공관내에 금속막을 부착한 것 또는 속이 찬 전도성의 막대기라도 된다. 또, 상기 돔(572)내에는 아치형의 분무관(570)이 설치되고, 이 분무관(57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세공(細孔)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무관(570)에는 배관(573)을 통해 초음파분무기(574)가 접속되고, 이 분무기(574)는 수조(575)를 가지고, 이 수조(575)는 고전압 발생장치(576)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전자차지수가 만들어진다. 이 전자차지수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수조(575)의 전체를 절연상태로 하여 물 속에 전극을 직접 삽입하여 만들어도 되고, 수조 외벽에 전극을 부착시켜 만들어도 된다. 이 전자차지수는 초음파진동에 의해 미세한 물방울로 되어, 배관(573)을 통해 분무관(570)으로부터 전장 분위기내로 공급되고, 이 물방울은 대전하여 그것과는 역전위로 대전하고 있는 초밥(553) 위에 부착한다. 그리고, 물방울이 돔(554)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인관(572)을 적절한 위치에 배설해도 된다.
다음에, 냉장고 또는 케이스내에서의 절연전극판의 배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3은 식품보존장치로서의 냉장고(케이스)(580)를 나타내고, 이 냉장고(580)내에는 상하로 3장의 선반을 겸하는 전극판(581,582,583)이 배설되고(선반 자체는 전극판으로 함), 중앙의 전극판(583)은 전압 발생장치(584)에 접속되어 있다. 전극판(551)의 상하에는 전장이 발생하고, 상하의 전극판(581,583)에는 전압이 야기된다. 상기 전극판(581,583)의 야기전압은, 중앙의 전극판(582)으로부터의 이간거리 W의 2승(乘)에 반비례한다. 즉, 거리 W가 커지면 공기라고 하는 절연체로 전장의 전압이 감쇠하여 야기전압은 낮아진다. 이와 같이 전압 발생장치(584)에 접속된 전극판(582)으로부터의 거리를 조절하면, 피처리물(586)에 인가하는 전압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하의 전극판(581,583)은 단순한 선반으로 충분하지만, 인가전압이 드롭되지 않도록 절연상태에서 고내에 지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어스선(587)으로 위의 선반(581)을 어스하면, 전압은 선반(581)을 통해 드롭하여, 선반(581)의 상방은 대전하지 않는다. 즉, 고내의 일부를 대전시키고 싶지 않은 경우는, 그곳의 부분을 국부적으로 어스시키면 된다. 특히, 가정용 냉장고 등에서, 알콜류는 숙성되므로 그것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알콜을 넣는 방을 어스해 두면, 전장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장고에서 최하단의 선반에 전압 발생장치를 접속하여 500V를 인가하고 해동용으로서 사용하고, 중단, 상단은 선도 유지로서 사용할 수 있는, 즉 최하단에서 해동이 종료된 것은, 직접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있는 전압이 낮은 선반으로 옮겨 선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야채, 고기 등에 따라서는, 최적전압은 상이하므로 이 방식에 의해 여러 가지의 전압을 가지는 선반을 1개의 고내에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고내 적절한 위치에는 광센서(585)가 설치되고, 이 광센서(585)에 의해 도어가 열렸을 때 고전압 발생장치(584)가 OFF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전극판(581,583)의 어느 한 쪽에 전압 발생장치(584)를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8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배설한 전극판(601,602,603)의 절연피복의 재질을 변화시킴으로써 각각의 전극판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5는 직류의 고전압 발생장치(590)를 사용하는 경우의 전장 처리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절연전극을 이루는 선반(593) 위에 팬(594)이 얹히고, 이 팬(594)내에 피처리물(595)이 수납되어 있다. 이 팬(594)은 스위치회로(592)에 접속되고, 이 스위치회로(592)는 어스된 냉장고벽과 고전압 발생장치(590)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냉장고의 도어에 부착된 센서(59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가 열렸을 때 스위치회로(592)가 ON되고, 팬(594)이 어스된다. 직류전원을 사용한 경우에는, 동일 극의 전하가 피처리물(595)에 쌓이므로, 도어를 열었을 때 피처리물(595)의 대전을 팬(594)을 통해 해소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裸)의 전극(593)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팬(594)은 불필요하게 되어, 전극(593)에 직접 스위치회로(592)를 접속하면 된다.
그리고, 통상은 교류에서는 플러스마이너스의 전하는 교대로 나타나므로, 중화(中和)되어 바람직하지만, 피처리물에 따라서는 직류가 바람직한 것도 존재한다.
과일, 꽃 등의 식물은 약한 전장내에서도 선도가 유지되는 것이 판명되고 있으므로, 도 8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가정용 전원(100V)에 절연전극(610)을 과전류 방지용의 안전장치(611)를 통해 접속하여 정전장 처리장치로 해도 되고, 이 장치는 정전장이불로 해도 유효하다. 즉, 전극(610)을 얇은 전극판에 형성하고, 이것을 시트와 이불 사이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방석, 의자허리천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콩나물, 떡잎무우 등 수분이 많은 것은 전압이 100V 이하에서도 선도 유지의 효과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 가정용 전원 100V를 트랜스(612)를 사용하여 전압을 강하시켜 사용한다.
도 87은 슈퍼 등의 오픈케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오픈케이스(653)는 선반(650,650,650)을 가지고, 이들 선반(650) 위에 절연된 전극판(651)이 얹히고, 이들 전극판(651)에 피처리물(625)이 놓이는 동시에 고전압 발생장치(65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오픈케이스(653)의 전방 상방에는 분무기(655)가 배설되고, 이 분무기(655)에는 초음파분무기(656)로부터 물방울이 공급되고, 분무관(656)으로부터 분무된 미세한 물방울은 선반 위의 전장 분위기에 의해 대전하여, 선반 위에 진열된 식품 위에 부착한다. 이 때 전장 분위기에서는, 항균작용이 있으므로 분무된 물방울이 박테리아,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분무기(656)내에 전장을 걸어 분무수 그것을 전장수로 하면 보다 효과가 커진다.
도 88은 양과자 등을 보존하기 위한 밀폐형의 쇼케이스(660)를 나타내고, 이 쇼케이스의 선반(664,664) 위에는 절연전극(663,663)이 설치되고, 이들 전연전극(663)은 고전압 발생장치(667)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전극(663)에 의해 쇼케이스내를 전장 분위기로 하는 대신에(또는 동시에), 쇼케이스내의 공간내에 전극봉(661,661)을 배설하고, 이들 전극봉(661,662)을 고전압 발생장치(667)에 접속해도 된다. 또, 쇼케이스내에는 전장내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668,668)가 설치되고, 이 센서(668)는 전계 강도가 일정 이하로 된 경우에, 컨트롤러(665)를 통해 냉동시스템(666)을 컨트롤한다.
즉, 전장 분위기내에서는, 케익 등의 양과자는 -3℃ 정도에서 어는 것이 아니므로, 이와 같은 저온으로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너스온도로 보존한 경우에는, 전장의 전계 강도가 충분하지 않게 되면, 케익 등이 얼어 버리므로, 이를 센서(668)로 검지하여 냉동시스템(666)을 동작시켜, 쇼케이스내를 플러스온도대까지 상승시킨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에는, 냉동시스템의 콤프레서의 회전수를 저하시키거나, 팽창밸브를 조작한다. 케익 등에는 전장 인가의 잔존효과가 있으므로, 전장이 끊어져도 바로 어는 일은 없다. 그리고, 각 선반의 전극(663,663)을 고전압 발생기(667)에 직렬로 접속하면 센서(668)를 어느 하나의 선반에 설치하면 된다.
도 89는 대형의 냉장창고를 나타내고, 이 냉장창고는 외벽(620)을 가지고, 이 외벽(620)의 일부가 도어(62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냉장창고의 바닥면은 절연재로 형성되고, 이 바닥면내에는 도전성의 전극판(622)이 메워지고, 이 전극판(622)은 창고의 측벽 속에도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창고의 측벽(623)도 절연재로 형성되고, 창고내에는 야채(624), 예를 들면 감자, 양파 등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창고내에는 절연(나(裸))전선(625)이 둘러쳐져, 창고내의 공기가 전장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야채(624)내에는 피복되지 않거나 절연막으로 피복된 막대형 또는 판형의 전극(626)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전극(626), 절연(나)전선(625), 또한 전극판(622)은 고전압 발생장치(628,629)에 각각 접속되고, 이로써 각각의 전극(622,625,626)에 고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 전극은 모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라도 된다.
그리고, 도어(621)에는 안전스위치(630)가 설치되고, 도어를 열어 포크리프트(627)가 창고내로 들어갈 때에는, 각 고전압 발생장치(628,629)로부터의 전압 인가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감자, 감귤 등 큰 케이스에 수납되는 피처리물(624)에 전장을 걸기 위해서는, 도 9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 박스(643) 안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피처리물(641) 안에 피복하지 않은 또는 절연막으로 전도체를 피복한 전극(642)을 삽입하고, 이 전극(642)에 고전압 발생장치(640)를 접속하면 된다.
소, 돼지 등 큰 고기조각에 전장을 인가하는 방법으로서는, 도 9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큰 고기조각(652,…652)을 천정(651)으로부터 매달고, 그 각 고기조각(652)에 도 9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늘(654)을 고전압 발생장치(653)에 접속한다. 고기조각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안의 하나에 바늘(654)을 찌르면 고기조각은 수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기 쉬우므로 모든 고기조각을 대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늘(654)에는 착탈 가능하게 캡(655)을 설치해도 된다.
도 93은 프리패브냉장고를 나타내고, 이 냉장고는 단열벽(660)을 가지고, 그 내벽(內壁)은 필요에 따라 염화 비닐판 등의 절연판(668)으로 붙여져 있다.
이 냉장고내에는 이동 가능한 랙(662)이 설치되고 이 랙(662)은 절연족(足)(665)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랙(662)은 선반(663,…663)을 가지고, 이 선반(663) 위에는 전술한 절연전극(664,…664)이 얹히고, 이 각 절연전극(664) 위에 피처리물이 얹힌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선반형의 전극을 생략하고, 다른 선반 위의 전극의 전압을 다른 금속제의 선반에 야기시켜도 된다.
냉장고의 고내 전체를 전장 분위기로 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전극판(666)을 천정에 설치해도 된다.
각 전극(664)은 고전압 발생장치(661)에 접속되고, 이 장치(661)는 냉장고의 도어(669)에 부착된 근접스위치(리밋스위치라도 됨)의 동작 및 고내의 광센서(669a)에 의해 ON, OFF된다. 즉, 도어(669)를 열었을 때 발생장치(661)가 OFF되고, 닫았을 때 ON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 위의 전극판(664)의 최소한 1개의 상방에 그 전기력선을 측정하기 위한 공지의 센서(668)가 설치되고, 이 측정치가 일정 이하로 되었을 때(전장이 걸리지 않게 되었을 때) 냉동시스템 C를 동작시켜 고내의 온도를 0℃ 이상으로 올려 피처리물이 어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 프리패브냉장고를 포함하는 대형 냉장고내에 수납되는 랙으로서는, 도 9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있고, 이 랙(670)은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지주(671,671…671)를 가지고, 이 지주(671)에 수평으로 금속제의 선반(672)이 지지되고 있다. 상기 지주(671)의 하단에는, 절연체의 캐스터(673)가 설치되어, 고내의 바닥면으로부터 랙을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 랙(670)의 배면과 양 측면은 염화 비닐, ABS수지 등의 절연판(체)(674)으로 피복되어 있고, 선반(672) 위의 피처리물이 랙 주위의 도전성 물체에 닿아 거기에 전류가 흐르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674)는 고 내벽이 절연판으로 피복되어 있으면 불필요하고, 고 벽으로부터 랙을 충분히 떨어지게 하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그리고, 선반(672)은 지주(671)에 대하여 슬라이드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해도 되고, 선반(672)은 지주(671)에 대하여 그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95, 도 96은 식물의 유통과정에서의 정전장 선도 유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도 95는 물고기 또는 야채과일상자(690)를 나타내고 있다. 이 물고기상자(690)의 바닥에는, 도 9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터블전극(700)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이 포터블전극(700)은 전지식의 트랜스가 수납된 기계부(701)를 나타내고, 이 기계부(701)에 전극판(702)이 접속되고, 이 전극판(702)은 절연막(703)으로 피복되어 있다. 이 기계부(701)는 전지수납부(704)와 트랜스부(705)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로서는 태양전지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전극(700)은 상기 물고기상자(690)의 개구(691)를 통해 물고기상자의 측면내의 개구 안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전극(700)을 직접 물고기상자(690)의 저면에 놓고, 그 위에 직접 물고기 등을 놓아 선도 유지해도 된다. 도 97은 과일을 골판지(710)에 넣고, 그 저면에 전극(700)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식물을 수납하는 상자가 단체(單體)로 움직일 때는, 각 상자마다 상기 전극(700)이 필요하다. 즉, 도 9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722)가 팔레트(720) 위에 겹쳐 쌓이고, 냉장컨테이너 등으로 운반될 때는, 상자(722)를 도전성으로 형성하고, 이들 상자(722)를 팔레트(720) 위의 전극판(723) 위에 얹어 놓으면 된다. 상기 팔레트내에는, 충전배터리식의 고전압 발생장치(724)가 설치되고, 이 장치(724)에 의해 전극판(723)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이 고전압은 각 상자(722)의 주위벽을 통해 상자 전체가 전장 분위기로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721)의 내벽(725)은 염화 비닐 등 절연성의 절연판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컨테이너 전체를 전장 분위기로 하는 데는 컨테이너의 벽 속에 전극판(726)을 메워 넣고, 이 전극판(726)에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해도 된다.
트랙 등의 냉장컨테이너에서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9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 컨테이너 바닥면에 절연상태로 전극판(740)을 설치하고, 이 전극판(740) 위에 골판지(730)가 얹힌다. 이 때에는, 상기 전극(700)은 불필요하게 된다. 트랙 등으로 직류전원(731)밖에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교류변환기(731)를 통해 고전압 발생장치(733)가 구동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컨테이너의 내벽(734)은 절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0은 냉장창고와 같은 대형 냉장장치내의 상황을 나타낸 것이고, 일반적으로 사과 등의 과일, 어느 종류의 야채 등은 냉장창고내에서 장기간 골판지내에 수납된 상태로 보존된다. 고내에는 팔레트(683,…683)에 지지된 골판지 D가 예를 들면 지지프레임(680)의 선반(682,682…682) 위에 적층된다.
상기 지지프레임(680)은 세로지주(681,…681)를 가지고, 이 세로지주(681)에 상기 선반(682)이 지지되고, 세로지주(681)의 하단에는 절연성의 캐스터(687,…68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지지프레임(680)은 고내에 정렬하여 배치되고, 이 지지프레임(680)의 정렬위치의 바닥면 중간에는 제어박스(685)가 설치되고, 이 제어박스(685)로부터 100V 전압이 상기 팔레트(683)에 설치된 고전압 발생장치(684)에 공급된다. 이 제어박스는 바닥면 안으로 메워 넣어져, 리프트 이동의 장애로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박스는 적절한 간격으로 천정으로부터 매달려도 된다.
상기 팔레트(683)는 도 101, 1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그 팔레트(683)내에는 나전선(700)이 메워지고, 이 나전선(700)에는 팔레트내에 세트된 고전압 발생장치(684)가 접속되어 있다. 이 고전압 발생장치(684)는 충전식이고, 창고내에 피처리물을 쌓아 올려 놓을 때는, 콘센트(701)에 의해 100V의 전원에 접속되어 충전되고, 피처리물의 운반 시에는 배터리로 직류전압에 의한 전장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팔레트(683)내에는 포크리프트의 포크(692)가 삽입된다. 상기 팔레트(683)는 플라스틱제이지만, 목제 팔레트의 경우에는 철판(691) 등을 팔레트 위에 얹어 전극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팔레트(683) 위에는 수납체(1)(상자)로서의 골판지 D 안에 피처리물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골판지 D의 벽에 최소한 일부는 도전성으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골판지를 도전성으로 함으로써 모든 골판지내에 전장이 형성되게 된다. 즉, 적재된 골판지가 서로 접촉함으로써(접촉하지 않아도 서로 도전성 부분을 근접시키면 야기함) 전체의 골판지내에 전장이 발생한다. 또, 피처리물도 전극을 대신하여 피처리물을 통해서도 전장이 발생된다. 상기 골판지 D의 벽을 도전성으로 하는 수단은 여러 가지 존재하고, 예를 들면 도 10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판지의 외벽(710) 위에 도전성 시트(711)를 붙여도 되고, 골판지의 벽(710) 속에 도전성 시트(713)를 메워 넣어도 되고, 금속분말을 벽 속에 메워 넣어도 되고, 도 1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벽(710)과 내벽(714)을 연결하는 연결지(紙)(715)의 접착을 위한 풀(716) 속에 도전분을 넣어도 되고, 외벽(710)의 문자를 도전성 잉크로 기입해도 된다.
또, 도 1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판지 D 안의, 예를 들면 달걀을 고정하는 수납판(720)을 도전체에 형성해도 된다. 즉, 큰 상자 등의 수납체에 설치되는 수납판 등도 도전체로 할 수 있다.
도 106은 식물의 발아장치(730)이고, 이 발아장치(730)에서는 수경재배의 콩나물, 떡잎무우, 고추냉이 등이 재배된다. 즉 발아장치(730)는 용기(731)를 가지고, 이 용기(731)에는 수분을 포함하는 함수재료(734)가 설치되고, 이 위에 씨앗(736) 등이 얹혀 있다. 상기 재료(734)에는 배관(737)으로부터 물이 공급되고, 이 공급된 물은 용기(731)가 고전압 발생장치(738)에 접속됨으로써 전자차지되어 전자차지수로 된다. 이와 같이 전자차지수로 육성된 야채는 그것을 포함하는 물이 통상의 물과 상이해 지므로, 성장이 빨라질 뿐만 아니라, 시장에 나갈 때까지 그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수경재배의 콩나물, 떡잎무우 등은 전장 분위기의 골판지, 전장 분위기의 냉장고, 전장 분위기에서의 슈퍼 등의 오픈케이스내에 놓이면 현저하게 그 선도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6에서는 수경재배의 물을 전장수로 했지만, 이에 덧붙여 육성물의 상방에 고압 발생장치(138)에 접속된 전극(739)을 배설하여 공간을 전장 분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7은 식물재배의 상태를 나타내고, 식물재배 시 전장 분위기에서 하면 식물의 생육이 양호하게 되고, 성장 시 해충이 붙는 일이 없다. 즉, 식물(740)을 비닐(741)로 덮어 폐쇄공간을 만들고, 이 폐쇄공간내에 절연막으로 피복한 도선(742)을 배설하고, 이 도선(742)에 고전압 발생장치(743)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전장 분위기에서는, 식물의 성장이 현저하게 증대한다.
또, 도 10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벼의 묘판 또는 다른 야채를 이식하는 상방위치에 염화 비닐로 피복된 철망(750)을 흙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배설하고, 이 철망(750)에 고전압 발생장치(751)를 접속하도록 하여 식물을 재배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전장 분위기에서는 동일 식물을 동일 장소에서 재배해도 해가 없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상기 철망(750)은 지주(752)에 의해 지지되고 있지만, 이 지주(752)의 중간에 절연체(753)가 개재되고, 이로써 철망(750)이 흙에 대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도 109, 110은 식물의 재배용 통을 나타내고, 이 통(760)은 예를 들면, 투명한 절연재인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통(761)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 통의 저부를 흙 속에 삽입하는 동시에, 이 통의 외주 또는 내부의 밴드 위에 도전체(762)를 배치하고, 이 도전체(762)에 고전압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가한다. 그리고, 도 1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배통의 상부를 철망(770)으로 하고, 이 철망(770)에 고전압을 인가해도 된다. 이와 같이 모종을 전장 분위기내에서 재배하면, 해충이 붙지 않고 성장이 촉진된다.
도 111은 해동방법을 나타내고, 절연수조(780)내의 물 속에는 냉동식품이 들어 있다. 한편, 전극(782)도 물 속에 담겨지고 이 전극(782)에 고전압 발생장치(783)가 접속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식품은 약 -5℃ 이상이 되지 않으면 전장내에서는 해동을 개시하지 않으므로, 냉동식품을 수중 또는 공기 중에서 온도를 조절하여, 신속하게 -5℃까지 온도를 상승시키고, 그 후 전장내에서 해동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어개류 등의 해동은 물에 그들을 담그고 장시간에 걸쳐 행하고 있지만, 전장내에서 해동하면, 단시간에 해동할 수 있다. 도 113은 해동조(790)를 나타내고, 이 해동조(790)는 콘크리트로 만들어져 있고, 그 안에 금속선(791)이 메워지고, 이 금속선(791)이 고전압 발생장치(792)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동조(790) 전체를 절연전극체로서 사용하면, 그 안의 물은 전장 분위기로 되므로, 그 물 속에 담겨진 어개류(793)는 단시간에 해동되게 된다. 그리고, 해동조 전체를 절연전극체로 하지 않고, 막대형의 절연전극(794)을 조 안에 붙이도록 해도 된다.
도 114는 이른바 전장 목욕통을 나타내고, 절연성의 탱크(800)내에는 물(801)이 저류되고, 이 물(801) 속에 절연성 피막으로 피복되고, 전장 발생장치(803)에 접속된 전극(802)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802)은 금속선을 노출한 채라도 되지만, 사람 또는 다른 동물의 신체에 금속선이 직접 닿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절연막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물은 양전도체이므로, 절연성의 탱크(800)에 의해 전자의 흐름을 봉쇄하지 않으면 물 자체는 대전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의료에의 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5에서, 부호 (810)은 냉장고를 나타내고, 이 냉장고(810)의 내벽(812)은 절연막으로 피복된 도시하지 않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금속판은 고전압 발생장치(813)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냉장고(810)내에는, 용기(814)에 수납된 혈액이 냉각보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혈액은 +4℃ 전후의 항온(恒溫) 분위기내에서 보존되지만, 본 장치에 의해 50V∼5KV 이내의 전압을 상기 내벽(812)에 인가하면, 냉장고(810) 안이 전장 분위기로 되어 용기(814)내의 혈액도 대전하고, 그 정전장 작용에 의해 혈액의 성분이 악화되지 않고 종래보다도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 또, 이 혈액은 상기 정전장내의 분위기 중에서는, -4℃ 내지 -5℃ 정도까지 온도를 낮추어도 동결되지 않으므로 -3℃ 정도에서 보존하면 보다 오래 간다. 또, 혈액 보존에는 급속동결법에 의해 동결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에서도 전장내에서 혈액을 동결하면 얼음의 결정이 작아져 세포 파괴 없이 동결할 수 있다. 혈액뿐만 아니라, 물고기, 고기 등의 동결 시 500V∼20,000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하면, 세포내의 얼음의 결정이 작아져 세포 파괴 없이 동결할 수 있다. 또, 해동할 때에도 마이너스온도(-3℃ 정도)에서 해동할 수 있으므로, 세포 파괴가 없는 해동이 가능하게 되고, 그대로 장기간 마이너스 온도에서 보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액뿐만 아니라, 사람의 장기 예를 들면 심장, 간장, 신장 또는 눈 각막의 이식 때, 상기 냉장고(810)를 상품 배달용 상자로 하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813)를 전지식(배터리충전식이라도 됨)으로 하면, 운반에는 장시간 요해도 고내의 온도를 마이너스 온도로 한채 얼지 않고 신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골수액도 마찬가지로 냉각 보존할 수 있고, 특히 정자, 난자는 동결하여 보존되지만, 이 정자, 난자의 동결 및 해동에 있어서도 세포 파괴가 없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혈액, 인체의 일부를 보존하는 냉장고는 온도 관리를 정확히 할 필요가 있으므로, 항온컨트롤시스템(815)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810)는 내벽(812)을 전극으로 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전극판을 냉장고의 저면에 단지 세트하고, 그 위에 혈액용기 등을 놓아도 된다. 그리고, 이 냉장고에는 가정용 약, 화장품 등을 넣어 두고 그들의 장기 보존을 도모해도 된다.
도 116은 전장주거(電場住居)를 나타내고, 가옥(820)의 바닥면 또는 벽면내에 전극(821,822,823)이 배설되고, 이들 전극이 고전압 발생장치(82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수도관(821)의 소정 위치에는 소정 거리의 전장인가부(829)가 설치되고, 이 인가부(829)의 양단은 절연부(826,82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이 인가부(829)가 고전압 발생장치(82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옥내를 전장 분위기로 하면, 진드기, 벼룩 등이 발생하지 않고, 가옥내가 환원(還元) 분위기로 되므로, 인체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또, 수도꼭지로부터 나오는 물은 전장인가부(829)를 통할 때 전자차지수로 되어, 양호한 물이 된다.
도 117은 생화(生花)보존장치 M을 나타내고, 이 장치 M은 케이싱(830)을 가지고, 이 케이싱(830)내에는 절연상태로 설치된 선반(831)이 배설되고, 이 선반(831)에 고전압 발생장치(833)에 의해 전장이 인가되고, 이 선반(831) 위에 자른 꽃가지 등의 생화(832)가 세트된다. 이 선반(831)의 상방에는 분무관(836)이 설치되고, 이 분무관(836)은 물펌프(834)를 통해 수조(835)의 물이 분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831)내의 물을 전자차지수로 하면 보다 생화의 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작용으로부터 금속의 용해에도 양호한 작용을 하고, 도 1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해로(840)의 주위에 전극(842)을 설치하고, 용해로(840)내를 전장 분위기로 하고, 그 안에서 전극(841)에 의해 전기용해(다른 용해방법이라도 됨)를 하면 반응 중의 산화가 방지되므로, 금속의 양호한 용해 및 합금 성법(成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연기관의 엔진(850)내를 고전압 발생장치(851)에 의해 전장 분위기로 하면, 연소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배기관(852)을 통해 배기되는 배기가스인 유독가스도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정전장 처리장치는 환원작용을 하므로, 도 1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배기머플러(870) 등의 배기계통에 고전압 발생장치(871)를 접속하여 정전장 분위기로 하면 NOX또는 CO2등의 유독산화 가스가 감소되어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0은 전자레인지에 본 발명의 정전장 처리장치를 내장한 도면으로서, 전자레인지(860)의 내벽(861)은 비금속, 예를 들면 흑연 등의 전도체로 구성되어 전극을 이루고, 이 전극에 고전압 발생장치(86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레인지(860)의 하부에는 턴테이블(863)이 배설되고, 이 턴테이블(863) 위에 피처리물(864)이 얹혀 있다. 이와 같이 전장 분위기내에서 마이크로파처리를 하면 피처리물(864)이 균일하게 조리된다.
도 122는 송충이 제거장치(880)을 나타내고, 이 장치(880)는 소나무(881) 위에 붙여진 전극(882)을 가지고, 이 전극(882)에 고전압 발생장치(883)로부터 50∼10KV 정도의 전압을 수분간 인가한다. 이로써 송충이가 제거된다.
도 123은 전자차지수 공급장치(890)을 나타내고, 이 장치(890)는 물탱크(891)를 가지고, 이 물탱크(891)는 절연판을 통해 받침대(893) 위에 지지되고, 수도꼭지(894)를 가지고 있다. 상기 물탱크의 배면에는 전극 지지부(897)가 설치되고, 이 전극 지지부(897)내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전극(898)이 수납되고, 이 전극(898)은 고전압 발생장치(899)에 접속되고, 상기 전극(898)을 통해 물탱크(891)의 물이 대전하여 이온화하고 전자차지수로 된다. 상기 전극(898)이 물탱크(891)의 주위벽을 통해 그 안의 물을 대전시키게 되지만, 전극(898)은 절연상태로 지지된 물탱크(891)내에 직접 삽입해도 된다. 그리고, 물탱크(891)의 전면(前面)의 수도꼭지(894)의 하방에 컵(895)이 놓이고, 이 컵(895)은 받침대(896) 위에 지지되어 있다.상기 물탱크(891)내에는 물공급관(900)이 면해지고, 이 물공급관(900)으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전자차지된 전자차지수는 이온화되어 알칼리성으로 되고, PH값이 약간이지만 상승하여 음료수로서 적합하다.
그리고, 전기 탕열기, 커피포트 등에는 절연상태로 전선을 물수용부에 감는 등으로 하여 전장을 걸 수 있다.
도 124는 물고기들의 양식장(910)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양식장(910)은 FRP 등 흙 속에 절연재(911)를 배설하여 그 안에 폰드(pond)를 만들고, 이 폰드내에 송어 등의 물고기들(912)이 양식된다. 폰드의 저면에는 비장탄(備長炭) 또는 활성탄 등(913)이 깔려 상기 폰드내에 전극(914)이 삽입되고, 이 전극(914)에 고전압 발생장치(915)가 접속되어 있다.
또, 폰드내의 물은 물순환장치에 의해 순환되도록 되어 있다. 새로운 물은 배관(921), 펌프(916) 및 흡수관(917)을 통해 공급된다. 폰드내의 물은 펌프(916), 배관(922)을 통해 일단 제1 저수조(919)에 저류되고, 이 밸브 V를 개방함으로써 제2 저수조(920)로 보내지고, 또한 그 밸브를 열도록 하여 배수된다. 즉, 배수가 연속해서 어스로 흐르면 펌프내의 물이 대전하지 않기 때문에, 배수를 전기적으로 절연할 필요가 있으므로, 2단으로 저수조를 배설할 필요가 있다.
도 125는 요정(料亭)의 저수조 또는 감상용(鑑賞用)의 저수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저수조는, 예를 들면 절연판(930)에 의해 절연되고, 이 측벽에 전극판(931)이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간접적으로 저수내의 물이 대전한다. 이와 같이, 저수조내의 물을 전자차지하면, 물고기에 균이 부착하지 않고, 성장도 빠르게 되고, 이끼의 부착도 적어진다. 그리고, 저수조의 저면에 비장탄(933)을 넣으면 원적외선 작용에 의해 전자차지의 효과가 증대한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물고기알의 부화가 가능하게 되고, 알의 부화율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도 126은 와인, 술 등의 숙성장치(940)를 나타내고, 와인, 위스키, 일본술의 숙성도는 전장 분위기내에서 현저하게 증대하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즉, 테이블(941) 위에 절연전극판(942)을 얹어 놓고, 이 전극판(942)에 고전압 발생장치(945)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숙성장치(940)는 김치를 담글 때에도 응용할 수 있고, 이 전장 분위기내에서 김치를 담그면, 도 1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김치의 숙성도가 양호한 상태로 되었을 때, 일정 시간 그 숙성도가 유지되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즉, 가지, 오이 등을 절이면 숙성되고 나서 시큼해지는 시간이 연장되고 이로써 맛있는 상태의 기간이 연장되게 된다.
그리고, 도 128은 정전장 워터베드(960) 및 정전장베개(955)를 나타낸 것이고, 정전장 워터베드(960)의, 자루(961) 안에는 물(962)이 봉입(封入)되고, 이 물(962) 속에 전극(963)(절연막으로 피복한 것, 선 그대로라도 됨)이 설치되고, 이 전극(963)에 전압 발생장치(964)가 접속되어 있다. 자루(961)가 수납되는 외피(965)는 포제(布製)이고 절연성이 있으므로, 외피(965) 위에 눕는 (공기라고 하는 절연체내에 있음) 사람에 전장이 걸리게 된다.
또, 자루(957)내에 물(956)을 수납하고, 이 물에 전압 발생장치(964)로부터 전압을 인가하고, 자루(957)를 외피(958)로 피복하면, 정전장베개가 된다.
또, 워터베드, 물베개 등 대신에 도전성의 반(反)유동체 또는 고체(세립체(細粒體))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플라스틱 등 절연성의 가요성(可撓性) 자루에 팽윤성(膨潤性) 물질(기저귀 등에 함유되어 있는 물질)을 넣어 두고, 현장에서 물을 주입하여 소정 형상으로 하여 여러 가지의 전극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29는 쌀을 수납하여 두기 위한 쌀 저장장치이고, 이 쌀 저장장치내에는, 수납통(970)이 설치되고, 이 수납통(970)내에 쌀(971)이 수납된다. 쌀 저장장치의 케이싱(972)은 어스되고, 상기 수납통(970)은 전체가 전극을 이루고, 예를 들면 절연재 안에 동선(973)을 메워 넣고 이 동선(972)에 고전압 발생장치(972)를 접속한 것으로 된다. 상기 수납통(970)을 전극으로 하는 수단은 여러 가지 존재하고, 수납통(970)의 내벽에 도전성 시트를 붙여도 되고, 절연재 안에 판형의 전동판을 메워 넣는 등을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쌀 수납통(970)을 전극으로 하고, 그 안에 쌀을 저장하면, 쌀의 맛 좋은 느낌이 증가하여, 선도 유지로도 된다.
도 130은 취사용 솥(980)을 나타내고, 이 솥(980)은 가열장치(981) 위에 얹히고, 솥 자체(982)내에는 밥이 수납되어 있다. 이 솥 본체(982)는 덮개(983)에 의해 폐쇄되고, 이 덮개(983)의 중앙에는 막대형의 절연전극(984)이 부착되고, 절연전극(984)의 하단은 솥 본체(982)내의 밥 속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장내에서 밥을 지으면 부드럽게 부풀려 지어지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또, 밥뿐만 아니라, 치킨 등 육류를 조리하는 압력솥에 동일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31은 대형 솥 안을 전장 분위기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일반 가정용 전기솥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통형 케이스(솥 벽)(990)내에는, 판형의 절연전극판(992)이 원환형(圓環形)으로 설치되고, 이 케이스(990)내에 취출 가능한 볼(993)이 수용되고, 이 볼(993)내에 밥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991) 및 볼(993)내에 밥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991) 및 볼(993)은 덮개(995)에 의해 폐쇄되지만, 이 덮개(995)에 막대형의 절연전극(996)이 부착되고, 그 하단이 밥 속에 삽입된다. 그리고, 절연전극판(992)과 막대형 전극판(996)의 양자를 반드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132는 인체에 전장을 주어 전장치료를 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치료대(1000) 위에는 절연전극판(1001)이 얹히고, 그 위에 이부자리(1002)가 놓이고, 사람(1003)이 이부자리 위에 누워 있다. 상기 절연전극판(1001)은 고전압 발생장치(1004)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을 전장내에 두면, 전장치료가 가능하고, 또 전장치료와는 별도로, 사체처리상태로서 사람의 사체를 절연전극판(1001) 위에 안치하면, 사체가 부패하는 속도를 더디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경우, 반드시 사체를 얹어 놓는 받침대는 필요 없고, 전극판 위에 직접 사체를 얹어 놓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3은 이른바 전장남비(1010)를 나타낸 것이고, 전장남비(1010)는 세라믹 등의 절연체(1011)내의 전체에 걸쳐 금속선(1012)이 메워지고, 이 금속선(1012)은 인출부(1013)를 통해 고전압 발생장치(1014)에 접속되고, 전장남비(1010)의 전체가 절연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전장남비(1010)가 가스대(1015)에 얹혀 놓이고, 인출부(1013)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1016)을 보호하기 위해 방화핀(fin)(1017)이 남비의 하부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장내에서 식품을 조리하면, 즉 고기, 물고기, 야채 등을 전장내에서 끓이거나 하면 맛있게 되는 것이 판명되고 있으므로, 이 전장남비로 여러 가지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선(1012)을 니크롬선으로 형성하고, 이 니크롬선을 가열용 및 전극용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선(1012) 대신에 도 1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발형의 금속판(1018)이라도 된다.
다음에, 전술한 각종 장치에 사용되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구체적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5의 부호 (1020)은 플러그를 나타내고, 이 플러그(1020)는 가정용 전원 100V에 접속된다. 플러그(1020)는 전원스위치(1021)에 접속되고, 전원스위치(1021)가 ON되면 LED(1022)가 점등된다. 스위치(1021)는 접속단자(1023)를 통해 12V가 출력되는 트랜스(1032)에 접속되고, 이 트랜스(1032)로부터의 전원은 정류(整流)되어 직류로 되고, 이 직류는 트랜지스터(직류전원)(1024)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1021)는 릴레이(1025)의 접점 a에 접속되고, 이 접점 a는 항상 접점 b와 접해 단자(1023)를 통해 전환스위치(1026)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전환스위치(1026)는 트랜지스터(1027)의 2차측 출력전압을 선택 가능하게 전환하는 것이고, 이 2차측의 단부에 전극(1028)이 저항(1029)을 통해 배치된다. 이 저항(1029)에 의해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가 제한되고, 예를 들면 전극(1028)에는 인체에 안전하도록 2mA 이하의 전류밖에 흐르지 않도록 저항치가 선택된다.
또, 항상 상기 릴레이(1025)의 접점 d와 접점 e는 접하고, 접점 f와 접점 e는 떨어져 있으므로, 경보장치(1030)인 적(赤)의 LED(1030a)는 꺼져 있고, 상기 직류전원(1024)에 의해 청(靑)의 LED(1030b) 및 상기 전원스위치(1022)가 점등되어 있다.
또한, 도면의 중앙부분에는 2개의 오퍼앰프(1031,1031)가 설치되고, 이들 오퍼앰프(1031,1031) 사이에는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1023)가 설치되고, 이 제너다이오드(1023)는 회로 안에 이상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여 트랜지스터(1034)를 작동시켜, 릴레이(1025)를 움직이게 한다. 이로써, 접점 a와 접점 b가 떨어지는 동시에 접점 e와 접점 f가 접한다. 따라서, 이 때 트랜스(1027)에의 전류의 공급은 차단되는 동시에, 오퍼앰프(1031)의 작용에 의해 경보장치(1030)인 청의 LED(1030b)는 꺼지고 적의 LED(1030a)가 점등된다.
그리고, 트랜스(1027)의 2차측의 일단은 저항을 통해 전극판(1027)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저항을 통해 어스되어 있으므로, 소정 이상전류가 회로 안에서는 흐르지 않도록 되어 있어 안전하다. 또, 2차측의 타단은 절연되는 일 없이 어스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전압이 전극에 주어진다. 이러한 발생기를 플라이어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라이어의 전극에 관련된 전압을 500∼700V로 하면 플라이어의 케이싱 자체를 어스할 필요는 없고, 발생기의 어스만 취하면 되게 된다. 플라이어 전체의 전기적 용량이 충분한 경우는, 플라이어 자체를 발생기의 어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발생기를 가정용 냉장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장고 본체가 전기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냉장고 본체를 어스할 필요가 없고, 발생기의 어스를 냉장고 본체에 접속해도 된다. 냉장고 본체가 어스로서의 충분한 용량을 갖지 않은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금속체를 냉장고 본체에 설치해도 된다.
다음에, 포터블형 전극의 전기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7에서, 전기회로는 전지 입력의 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변환부(1040)와, 이 전압변환부(1040)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전환하여 교체전압으로 하는 스위칭회로(1041)와, 주파수에 따른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조정회로(10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압변환부(1040)는 트랜스(1043)를 가지고, 이 1차측은 스위치동작을 하는 트랜지스터(1044)를 통해 접지되어 있다. 트랜스(1043)의 2차측은 다이오드(1045,1046,1047,1048), 코일(1049,1050) 및 콘덴서(1051,1052)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 동일한 크기의 플러스전압과 마이너스전압이 스위치회로(1041)에 의해 전환되어 교체전압으로 된다. 한편, 2차측 전압은 비교기(1053)에 의해 기준전압(1054)과 비교되어, 그 차가 일정 한도를 초과하면 포토아이솔레이터(1055)가 동작하고, 이 발광을 검지하여 펄스폭 제어회로(1056)가 동작하고, 트랜지스터(604)의 동작에 의해 소정의 펄스폭으로 스위치 전환이 행해진다.
그리고, 피처리물의 상태를 센서로 검출하여 시스템제어부(1061)에 보내도록 하여 시스템 제어가 가능하고, 이 경우 컴퓨터 또는 타이머 등에 의해 시퀀스제어된다.
상기 트랜스(1043)의 접점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13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플러스의 전압보다 마이너스의 전압이 큰 교체전압이 생기고, 이 교체전압에 의해 피처리물을 처리하면, 환원작용이 강한 전장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 패턴은 교류라도 가능하다. 또, 도 13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이너스의 맥류(脈流)전압도 얻을 수 있다.
도 139는 냉장고, 플라이어 등의 고전압 발생장치(1070)의 회로도이고, 이 장치(1070)는 교류전원(1071)을 구비하고, 이 전원(1071)은 스위치(1072)에 의해 온ㆍ오프된다. 전원(1071)은 트랜스(1073)에 접속되고, 이 트랜스(1073)의 2차측의 일단이 전극(1074)에 접속되고, 2차측의 타단은 냉장고, 플라이어 등의 케이싱에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싱(1075)은 어스되어 있으므로, 상기 2차측의 타단은 케이싱(1075)을 통해 어스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싱(1015)의 측면에 대하여 전기력선을 측정하는 센서(1076)가 설치되고, 이 센서(1076)는 케이싱(1075)이 대전된 경우, 즉, 케이싱(1075)이 어스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컨트롤러(1077)를 통해 스위치(1072)를 오프한다. 이로써 조작자가 어스가 취해지고 있지 않을 때 케이싱에 닿아 감전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안전장치로서는, 트랜스(1073)의 2차측 전극(1074)에 이르는 회로 또는 어스회로 안에 전류계(1078,1078)를 세트하여, 어스가 취해지고 있지 않을 때의 전류치의 감소를 검지하여 스위치(1072)를 오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플라이어, 냉장고의 경우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은 때는, 플라이어 본체, 냉장고 본체를 어스할 필요가 없고, 플라이어, 냉장고의 전기용량이 큰 경우에는, 발생기의 어스를 그것들에서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정전장 인가시스템을 냉장고 등에 내장할 때에는, 고내 내벽에 피처리물이 접촉했을 때,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내 내벽을 절연상태로 할 필요가 있고, 전극을 절연막으로 피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페르히드로기리실라잔과 같은 상온에서 뿜어 칠하는 것이 가능한 절연재를 사용하면 된다. 폴리실라잔은 -SiH2-NH-를 기본구조로서 무기폴리머이고, 디클로로실란과 피리딘의 착체(錯體)에 암모니아를 주입함으로써 합성되는 재료이고, 최근 도넨(東燃)에 의해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에 의해 100V∼5000V의 고전압이 각각의 목적에 따라 피처리물(8)에 인가될 수 있다. 또, 상기 고전압 발생장치(6)는 통상 100V의 가정용 전원에 접속되고, 이 때의 주파수는 60Hz 또는 50Hz이지만, 또한 회로 안에 주파수가변장치를 설치하여 주파수를 가변으로 해도 된다. 주파수를 120Hz, 200Hz로 올리면, 해동시간은 단축되는 것이 판명되고 있다.
도 140은 가정용 전원을 어스로 하여 이용하는 고전압 발생장치의 회로도이고, 플러그(1100)에는 전원의 접지측을 자동적으로 판별하여 트랜스(1101)의 1차측의 일단(어스단) 및 2차측의 일단(어스단) 및 냉장고, 플라이어의 케이싱(1102)을 접속하기 위한 접지측 자동판별회로(1103)가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1103)를 설치하면, 트랜스(1101) 및 부하(負荷)의 케이싱(1102)에 특히 어스를 취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정전장 처리방법 및 정전장 처리장치는 식품의 동결, 해동, 선도 유지, 식용유의 산화 방지, 전자차지수의 제조 등에 적합하다.

Claims (11)

  1. 절연분위기내에 도전성 전극을 설치하고, 이 도전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도전성 전극의 주위에 정전장(靜電場)을 발생시키고, 이 정전장내에 피처리물을 절연상태로 설치시켜, 식품의 동결, 해동(解凍) 및 선도(鮮度) 유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분위기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분위기는 기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방법.
  4. 절연체내에 외부환경과 절연상태로 설치된 도전성 전극과, 이 도전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발생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공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환경은 냉장고 등의 케이싱이고, 상기 도전성 전극은 절연체를 통해 케이싱내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을 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벽의 최소한 일부를 절연재료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에 피처리물을 재치(載置)하는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 자체를 전극으로 하여, 케이싱의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전압 인가의 전환을 행하는 안전스위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에 피처리물을 재치하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선반을 설치하고, 이 선반 위에 도전성 전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장치.
  9. 도전성의 전극 본체와, 이 전극 본체에 부착되고, 전극 본체와 이 전극 본체가 설치되는 피설치부재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재와, 상기 전극 본체에 사람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절연성의 접촉보호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는 유리이고, 전극 본체는 유리내에 배치된 세선(細線)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11. 플라이어의 기름탱크내에 전극을 삽입하고, 이 전극에 100V∼10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극에 접속되는 전압 발생장치의 2차측의 한 극은 어스하고, 상기 플라이어의 케이싱은 어스를 취하지 않고 자연상태에서 바닥면에 세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장 처리장치.
KR1019980709238A 1997-03-17 1998-03-17 정전장처리방법,정전장처리장치및이들에사용되는전극 KR100720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238A KR100720012B1 (ko) 1997-03-17 1998-03-17 정전장처리방법,정전장처리장치및이들에사용되는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63021 1997-03-17
JP97-218652 1997-08-13
JP97-323624 1997-11-25
JP97-336163 1997-12-05
JP97-360955 1997-12-26
JP98-33194 1998-02-16
KR1019980709238A KR100720012B1 (ko) 1997-03-17 1998-03-17 정전장처리방법,정전장처리장치및이들에사용되는전극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255A Division KR20050103313A (ko) 1997-03-17 1998-03-17 정전장 처리 방법, 정전장 처리 장치 및 이들에 사용되는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081A true KR20000011081A (ko) 2000-02-25
KR100720012B1 KR100720012B1 (ko) 2008-01-18

Family

ID=4134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238A KR100720012B1 (ko) 1997-03-17 1998-03-17 정전장처리방법,정전장처리장치및이들에사용되는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01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59B1 (ko) * 2006-09-27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66040B1 (ko) * 2006-08-29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도 유지 장치
KR100836324B1 (ko) * 2006-07-01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7183B1 (ko) * 2008-03-18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동결 보관고
KR101140030B1 (ko) * 2008-03-18 201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US8616008B2 (en) 2006-02-15 2013-12-31 Lg Electronics Inc. Non-freezing refrigerator
US8959934B2 (en) 2009-01-08 2015-02-24 Lg Electronics Inc. Supercooling system
CN107167696A (zh) * 2017-06-08 2017-09-15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检测电感器开路的装置及方法
CN112556294A (zh) * 2019-09-25 2021-03-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加热装置及包括其的冰箱
CN116035163A (zh) * 2023-01-09 2023-05-02 厦门绿进食品有限公司 一种保持肉制品预制菜肴色泽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53B1 (ko) 2007-09-21 200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KR101141215B1 (ko) 2010-07-19 2012-05-04 최문화 플라즈마 방전형 저온 보관 장치
KR101983098B1 (ko) * 2018-11-23 2019-09-03 주식회사 시드일렉트릭 육류 숙성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418A (ja) * 1993-05-25 1994-11-29 Tetsuo Ishino 飲食物加工方法及びその加工装置
JPH09215609A (ja) * 1996-02-07 1997-08-19 Win Tec:Kk フライ,天ぷら等の揚げ物製造方法及び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6008B2 (en) 2006-02-15 2013-12-31 Lg Electronics Inc. Non-freezing refrigerator
KR100836324B1 (ko) * 2006-07-01 2008-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50608B1 (ko) * 2006-07-01 2008-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KR100857325B1 (ko) * 2006-07-01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KR100857324B1 (ko) * 2006-07-01 2008-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KR100862107B1 (ko) * 2006-07-01 2008-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과냉각 장치
KR100766040B1 (ko) * 2006-08-29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선도 유지 장치
KR100723359B1 (ko) * 2006-09-27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140030B1 (ko) * 2008-03-18 201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127183B1 (ko) * 2008-03-18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동결 보관고
US8959934B2 (en) 2009-01-08 2015-02-24 Lg Electronics Inc. Supercooling system
CN107167696A (zh) * 2017-06-08 2017-09-15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检测电感器开路的装置及方法
CN107167696B (zh) * 2017-06-08 2024-04-09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检测电感器开路的装置及方法
CN112556294A (zh) * 2019-09-25 2021-03-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加热装置及包括其的冰箱
CN112556294B (zh) * 2019-09-25 2023-12-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加热装置及包括其的冰箱
CN116035163A (zh) * 2023-01-09 2023-05-02 厦门绿进食品有限公司 一种保持肉制品预制菜肴色泽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012B1 (ko) 200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5594B2 (ja) 静電場処理方法、静電場処理装置及びこれらに使用される電極
CN110741519B (zh) 保鲜装置
KR100720012B1 (ko) 정전장처리방법,정전장처리장치및이들에사용되는전극
EP2007231B1 (en) Produce treatment method
WO2015122070A1 (ja) 空間電位発生装置、該空間電位発生装置を利用した鮮度保持装置及び該空間電位発生装置を備えたフライヤー
US11432558B2 (en) Integrated heating and cooling food processing system
US20220361514A1 (en) Integrated heating and cooling food processing system
CN107736438B (zh) 一种利用led灯促进苹果果实香气及着色的方法
JP6095149B2 (ja) 食品の保存方法
RU2771020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хранения свеже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арки, генератор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тенциал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ации воды,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рева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и кондиционер
KR101506241B1 (ko)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배추 절임장치 및 그 절임방법
KR102492089B1 (ko) 세미 수비드 조리방법
EP2334561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terilization and packaging for use therefor
CN115892728A (zh) 鲜切叶菜周转消毒箱及其周转方法
CN111038864A (zh) 一种鲜切叶菜运输箱及运输方法
Wiegand Home fruit and vegetable dehyd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