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772A - 조절장치를 갖는 마찰클러치 - Google Patents

조절장치를 갖는 마찰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772A
KR20000010772A KR1019980708895A KR19980708895A KR20000010772A KR 20000010772 A KR20000010772 A KR 20000010772A KR 1019980708895 A KR1019980708895 A KR 1019980708895A KR 19980708895 A KR19980708895 A KR 19980708895A KR 20000010772 A KR20000010772 A KR 20000010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pin
plate
pressure plat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라스테어 존 영
Original Assignee
알 모랄
오토모티브 프로덕츠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모랄, 오토모티브 프로덕츠 퍼블릭 리미티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알 모랄
Publication of KR2000001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찰클러치는 구동판(15)을 강제로 플라이휠에 마찰결합토록 압력판(13)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2)을 갖는 플라이휠에 취부된 클러치 커어버(21)를 갖는다. 또한 클러치는 클러치가 분리될 때 압력판(13)을 구동판(15)으로부터 이동되게 작용하는 다수의 리프트 스트랩(14)을 포함하고 또한 압력판이 클러치의 각 완전한 분리작동중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50)를 포함한다. 정인상기구는 플라이휠(11)과의 접촉으로 구동판(15)의 마모를 감지토록 작용하는 감지장치(55), 압력판(13)에 대하여 고정된 핀(51), 압력판의 인상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정지장치(56)와, 구동판이 마모될 때에 정지장치의 일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핀에 작용하는 일방향 고정장치(60)를 포함한다. 핀(51)은 또한 압력판에 리프트 스트랩(14)의 하나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장치를 갖는 마찰클러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커어버 조립체의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플라이휠을 함께 보인 도 1의 화살표 W방향에서 본 부분 평면도.
도 4는 구동판과 플라이휠이 결합된 도 1의 클러치 커어버 조립체를 보인 XX선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 도 7 및 도 8은 제 2 정인상기구를 보인 도 2, 도 5 및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9와 도 10은 각각 정인상기구의 제 3 및 제 4 실시형태를 보인 도 5와 유사한 부분 확대도.
도 11과 도 12는 각각 정인상기구의 제 5 및 제 6 실시형태를 보인 도 3과 유사한 평면도.
본 발명은 정인상기구(定引上機構)를 포함하는 마찰클러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조절 클러치 및 트윈 플레이트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마찰클러치(이후 "언급된 형태의 클러치"라 함)는 구동판이 플라이휠에 강제로 마찰결합토록 압력판에 직접, 또는 압력판과 마찰면을 통하여 중간압력판(트윈 플레이트 클러치의 경우)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갖는 플라이휠에 취부된 클러치 커어버로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언급된 형태의 클러치의 압력판의 분리중에 일정한 거리까지 인상을 제한하는 정인상기구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의 정인상기구보다 더 콤팩트한 개선된 형태의 정인상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정인상기구는 클러치내에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청구범위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8 항의 어느 하나에 한정된 바와 같은 언급된 형태의 클러치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이 상세한 설명과 다른 청구범위에서 명백하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도 5에서 플라이휠(11), 클러치 커어버 조립체(20)와 구동판(15)을 포함하는 언급된 형태의 클러치(10)를 보이고 있다. 플라이휠(11)은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도시하지 않았음)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클러치는 자동조절 클러치이다.
클러치 커어버 조립체(20)는 클러치 커어버(21), 다이아프램 스프링(12), 압력판(13), 리프트 스트랩(14), 하나의 조절기 수단(44)과 3개의 정인상기구(50)로 구성된다. 클러치 커어버(21)는 볼트(도시하지 않았음)로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플라이휠(11)에 고정되고 공지된 방법으로 다이아프램 스프링(12)의 각 축방향 측부의 하나에 배치된 두 지지링(22)을 통하여 다이아프램 스프링(12)을 지지한다. 다이아프램 스프링은 플라이휠(11)을 향하여 압력판(13)을 탄지한다. 클러치 구동판(15)은 압력판(13)과 플라이휠(11) 사이에 배치되고 변속기(도시하지 않았음)의 입력축에 연결된다. 클러치가 결합될 때, 즉 다이아프램 스프링(12)이 플라이휠을 향하여 압력판(13)을 탄지하여 구동판(15)을 고정시킬 때,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플라이휠(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다이아프램 스프링(12)의 연장편(12A)에 축방향의 힘을 가하므로서 잘 알려진 방법으로 클러치가 분리될 수 있다.
압력판(13)은 피봇트 링(40)의 형태인 제 2 부분과 동축상인 제 1 부분(30)으로 구성된다. 제 1 부분(30)은 일반적으로 환상의 형태이고 충분한 열질량을 가지므로서 클러치(10)의 결합 및 분리중 구동판(15)의 인접한 마찰면(16)과 마찰접촉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제 1 부분(30)의 방사상 외주연에는 주연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의 돌기(31)가 구비되어 있다. 각 돌기는 조절핀(51)에 의하여 접선방향으로 향하는 리프트 스트랩(14)의 일측단부(14A)에 고정된다. 조절핀(51)은 리프트 스트랩(14)을 돌기(31)에 고정하는 볼트(81)와 너트(82)로 구성된다. 너트(82)는 그 측면의 두곳에 평면부(83)을 갖는다. 이는 스패너로 너트와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 스트랩(14)의 타측단부(14B)는 리벳트(19) 또는 너트(19A)와 볼트(19B)에 의하여 클러치 커어버(21)에 고정된다. 스트랩(14)은 제 1 부분(30)이 클러치 커어버(21)에 동심원 상으로 놓이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클러치 커어버(21)에 대하여 제 1 부분(30)의 축방향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클러치가 결합될 때 스트랩이 압축되고 제 1 부분(30)이 플라이휠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중되게 한다. 이러한 편중작용은 클러치가 분리될 때 구동판(15)으로부터 제 1 부분(30)이 분리되는 것을 돕는다.
조절기 수단(44)의 작동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본원 출원인의 국제출원 PCT/GB96/02280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이러한 작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클러치 구동판 마찰면(16)의 상당히 마모되었을 때 스프링(43)을 통하여 클러치 커어버(21)에 재가된 폴톱니(41)의 하나가 나선톱니(4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이에 놓이며(톱니 42는 압력판 13의 제 2 부분 40 상에 재가되어 있다) 인접한 나선톱니 사이의 홈측으로 탄지될 것이다. 이어지는 클러치의 분리시에 압력판의 제 2 부분(40), 그리고 나선톱니(42)는 축선(43')을 중심으로 한 스프링(43)의 만곡부(43C)의 변형에 의하여 폴톱니(41)가 플라이휠로부터 원호방향으로 멀리 이동되게 한다. 스프링(43)은 또한 너트(19A)와 볼트(19B)에 의하여 커어버(21)에 고정된 평면부(43A)(도 2와 도 3 참조)와 폴톱니(41)가 착설된 지지부(43D)가 연장된 평행평면부(43B)를 갖는다.
클러치 고정부하가 현저히 낮을 때 스프링(43)은 충분히 긴장되어 나선톱니(42)에 작용하는 폴톱니가 축선(43')을 중심으로 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압력판(13)의 제 2 부분(40)이 축선(A)을 중심으로 하여 제 1 부분(30)에 대해 회전되게 한다. 압력판의 제 1 및 제 2 부분은 경사면(45)을 가지고 상대회전이 이루어질 때 압력판(13)의 유효두께가 증가하여 구동판 마찰면(16)의 두께감소를 보상한다.
각 정인상기구(50)는 압력판(13)의 제 1 부분(30)의 돌기(31)에 취부된다. 이들은 모두 동일하여 하나만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전인상기구(도 5 참조)는 조절핀(51), 고정판(60), 스프링(53)과 감지장치(54)로 구성된다.
감지장치(54)는 감지판(56)에 고정된 감지핀(55)으로 구성된다. 감지판(56)은 플라이휠과 평행하게 놓이고 조절핀(51)이 삽입되는 중앙통공(57)을 갖는다. 감지판(56)은 플라이휠(11)로부터 원격한 돌기(31)의 측부에 놓인다. 감지핀(55)은 클러치의 축선(A)에 평행하게 놓이고 감지판(56)의 제 2 통공(57A)에 삽입되어 그 인접한 일측단부(55A)가 감지판(56)에 고정된다. 더욱이 단부(55A)는 슬로트(59)를 갖는다.
감지핀(55)은 돌기(31)의 통공(32)에 관통 삽입되며 클러치의 결합시 핀(55)의 단부(55B)가 플라이휠(11)에 접촉한다. 따라서 감지장치(54)는 돌기(31)와 핀(51)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53)은 핀(51)이 삽입되는 중앙통공을 가지고 또한 "U"자 형태가 되게 180°로 만곡된 탭(66)을 갖는다. 이는 물질의 탄성으로 스프링(53)의 "U"자형 부분이 스프링으로서 작용하여 고정판(60)이 감지판(56)으로부터 편중되게 한다. 고정판(60)은 중앙 사각통공(63)을 통하여 핀(51)에 착설되고 이는 스프링(53)에 의하여 감지판(56)으로부터 편중되는 탭(61)을 갖는 사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고정판(60)은 탭(61)으로부터 원격한 제 2 탭(62)이 감지핀(55)의 슬로트(59) 내에 놓이기 때문에 감지판으로부터 이동되는 것이 제한된다.
정인상기구의 하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다른 정인상기구의 작동은 동일하다).
1. 클러치가 새 것이고 구동판이 마모되지 않은 것일 때 클러치가 결합되는 경우, 감지장치(54)의 감지핀(55)의 단부(55B)는 플라이휠(11)과 접촉한다.
2. 클러치가 분리될 때 리프트 스트랩(14)은 플라이휠로부터 압력판(13)과 정인상기구(50)를 이동시키고 플라이휠로부터 핀단부(55B)를 분리한다.
3. 압력판이 사전에 결정된 인상거리 L만큼 축방향으로 이동된 후(도3 참조) 감지판(56)의 측면(58)이 이에 대응하는 클러치 커어버 정지접속부(23)에 접촉하고 감지장치의 추가 축방향 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4. 리프트 스트랩(14)은 계속하여 플라이휠로부터 압력판과 조절핀(51)을 편중시키나 이러한 편중작용은 고정판의 경사운동을 촉진시켜 변부(64)가 핀(51)의 평면부측으로 가압되게 하므로서 압력판의 추가 축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압력판은 또한 인상거리 L로 제한된다.
5. 클러치의 재결합으로 구성요소들은 이들의 선행 분리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마찰면(16)의 계속된 마모시 클러치의 재결합중에 정인상기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1. 다이아프램 스프링(11)이 플라이휠을 향하여 압력판을 이동시킨다.
2. 감지핀(55)이 플라이휠에 접촉한다.
3.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감지핀(55)의 운동에 의한 고정판(60)의 우측 경사운동으로 고정판(60)의 변부(64)가 강제로 핀(51)에 결합되지 않도록 하고 핀(51)이 감지판(56), 스프링(53)과, 고정판(60)에 대하여 플라이휠을 향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압력판과 조절핀(51)이 플라이휠을 향하여 계속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4. 플라이휠을 향한 압력판의 운동은 마찰면이 완전히 고정될 때에 정지한다.
5. 이어지는 클러치의 분리시에 고정판(60)의 변부(64)(그 새로운 위치에서)가 핀(51)을 고정하므로 플라이휠로부터 압력판의 운동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다시 거리 L로 제한된다. 이와 같이 마찰면(16)이 마모될 때 핀(51)이 플라이휠을 향하여 이동하나 압력판의 분리운동은 여전히 거리 L에서 이루어진다.
도 6-도 8은 정인상기구(50)와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 도면부호를 100을 더하여 표시한 다른 실시형태의 정인상기구(150)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조절핀(151)은 돌기(131)에 고정되고 리프트 스트랩(114)의 단부(114A)를 돌기에 고정하는 리벳트의 형태로 되어 있다. 감지판(156)은 "U"자 형태가 되게 180°로 만곡되고 슬로트(159)를 형성하는 탭(180)을 갖는다. 핀(155)은 감지판(156)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머리를 두드려 감지판에 고정된다. 구동판이 마모됨에 따라서 감지판(156), 스프링(153)과 고정판(160)은 점진적으로 핀(151)을 따라 이동한다.
도 9는 정인상기구(50)와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 도면부호를 200을 더하여 표시한 또 다른 실시형태의 정인상기구(250)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탭(262)은 감지핀(255)의 헤드(284)와 감지판(156) 사이에 배치된다. 탭(262)은 감지핀(255)이 지날 수 있는 반원형의 절결부를 갖는다. 또한 스프링(253)은 감지판(256)의 돌출부(285)에 착설되는 코일스프링이며 조절핀(251)은 너트(282)와 볼트(281)의 형태이다. 너트(282)에는 이를 조일 수 있는 스크류 드라이버 홈(28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의 헤드(284)는 접속부(223)와의 접촉으로 정인상기구의 축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구동판이 마모됨에 따라서 감지판(256), 스프링(253)과 고정판(260)은 점진적으로 핀(251)을 따라 이동한다.
도 10은 정인상기구(50)와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 도면부호를 300을 더하여 표시한 또 다른 실시형태의 정인상기구(350)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코일스프링(353)이 감지핀(355)의 연장부 상에 배치되고 감지판(356)의 탭(380)은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조절핀(351)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조절핀(351)은 너트(382)와 볼트(381)의 형태이다. 구동판이 마모됨에 따라서 감지판(356), 스프링(353)과 고정판(360)은 핀(351)을 따라 이동한다.
도 11과 도 12는 정인상기구(50)와 기능이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 도면부호를 각각 400과 500을 더하여 표시한 또 다른 실시형태의 정인상기구(450)(550)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인상기구는 각 리프트 스트랩(414)(514)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정인상기구(450)에 있어서 조절핀(451)은 플라이휠과의 접촉으로 마모를 감지하도록 리프트 스트랩(414)을 통하여 관통하고 핀(451)의 단부(451a)와 커어버(421)의 내부 사이에 확보된 일정한 인상거리 L만큼 구동판이 마모되었을 때 돌기(431)에 착설된 판(487)을 통하여 플라이휠(411)로부터 이동한다. 고정판(460)은 플라이휠(411)을 향하는 방향으로 판(487)을 통한 핀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451)을 고정한다.
정인상기구(550)에 있어서 핀(551)은 커어버(521)에 착설되고 판(587)과의 접촉으로 마모를 감지하도록 작용하는 헤드(555)를 가지며, 판(587)은 압력판(531)이 플라이휠(511)을 향하여 이동될 때 커어버(521)를 통하여 핀(551)을 당기는 리프트 스트랩(514)를 갖는 돌기(531)에 리벳트로 체결되어 있다. 플라이휠(511)을 향하는 방향으로 커어버(521)를 통한 핀(551)의 이러한 운동은 고정판(560)과 스프링(553)에 의하여 허용된다. 클러치가 분리될 때 고정판(560)은 커어버(521)에 대하여 핀(551)을 고정토록 핀(551)을 고정하며 일정한 인상거리 L가 판(587)의 정지접속부(587A)와 핀(551)의 턱(588)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결정된다.
정인상기구 또는 정인상기구의 부품들은 리프트 스트랩의 단부 사이 또는 리프트 스트랩을 압력판 돌기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방사상 내측에 배치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각 리프트 스트랩과 정인상기구 조합의 주연방향 크기가 콤팩트하게 되도록 한다.
정인상기구(50)에 있어서 감지핀(55)은 조절핀(51)과는 편중된 위치에 배열되어야 하며 감지핀(55)과 조절핀(51)은 다시 정지접속부(즉, 측면 58)로부터 편중된 위치에 배열되어야 한다.
정인상기구(250)에 있어서도 감지핀(255)은 조절핀(251)과는 편중된 위치에 배열되어야 한다. 그러나, 정지접속부(즉, 감지핀 헤드 284)는 감지핀(251)과 일렬로 정렬된다. 적어도 하나의 감지핀 또는 정지접속부 또는 조절핀이 타측의 감지핀 또는 정지접속부 또는 조절핀으로부터 편중되게 배열된 정인상기구의 잇점은 특히 정인상기구가 축방향 공간이 제한된 차량클러치의 방사상 외측부에 배치될 때 축방향으로 콤팩트한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배열은 조절핀이 부가적으로 리프트 스트랩을 압력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자동조절 클러치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지 아니하고 클러치가 해제되었을 때 압력판과 중간 압력판 사이에 배치된 구동판의 마찰면에 접촉하여 분리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한 중간 압력판이 인상되지 아니하는 예를 들어 트윈 플레이트 클러치의 중간 압력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3)

  1. 클러치가 분리될 때 압력판을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되게 작용하는 다수의 리프트 스트랩을 포함하고 압력판이 클러치의 각 완전한 분리작동중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의 일부가 각 리프트 스트랩의 일부를 압력판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 압력판의 각 방사상으로 외향 돌출된 돌기에 각각 취부된 다수의 리프트 스트랩을 포함하고 또한 압력판이 클러치의 각 완전한 분리작동중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의 적어도 하부가 돌기의 하나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3. 클러치가 분리될 때 압력판을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되게 작용하는 다수의 리프트 스트랩을 포함하고 압력판이 클러치의 각 완전한 분리작동중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의 적어도 일부가 리프트 스트랩의 일부를 압력판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동심원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4. 클러치가 분리될 때 압력판을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되게 작용하는 다수의 리프트 스트랩을 포함하고 압력판이 클러치의 각 완전한 분리작동중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 또는 그 일부분이 인접한 리프트 스트랩을 압력판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의 방사상 내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5. 클러치가 분리될 때 압력판을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되게 작용하는 다수의 리프트 스트랩을 포함하고 압력판이 클러치의 각 완전한 분리작동중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만큼 구동판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정인상기구 또는 그 일부분이 리프트 스트랩의 단부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6.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인상기구가 구동판의 마모를 감지하도록 작용하는 감지장치, 핀, 압력판의 인상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정지장치와, 구동판의 마모시 정지장치의 일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핀에 작용하는 일방향 고정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감지장치가 플라이휠과의 접촉으로 마모를 감지하도록 작용하고 핀이 압력판에 대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8. 플라이휠과의 접촉으로 구동판의 마모를 감지하도록 작용하는 감지장치, 압력판에 대하여 고정된 핀, 압력판의 인상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하는 정지장치와, 구동판의 마모시 정지장치의 일방향 운동을 허용하는 핀에 작용하는 일방향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정인상기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9. 제 6 항-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이 감지장치에 대하여 편중되게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0. 제 6 항-제 9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방향 고정장치가 핀이 연장되는 통공을 갖는 고정판과 클러치의 분리시 정지장치를 고정위치에 고정토록 클러치가 분리될 때 핀을 고정하기 위하여 핀에 대하여 고정판을 경사지게 작용하는 스프링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감지장치가 감지판에 연결된 감지핀을 포함하고, 감지판은 또한 핀이 연장되는 통공을 가지고 스프링에 반작용 하여 구동판이 마모될 때 감지핀, 감지판, 스프링 및 고정판이 함께 핀에 대하여 이동하나 클러치의 분리시에는 핀에 대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감지핀의 일측단부가 플라이휠에 접촉하고 감지핀의 타측단부는 구동판이 마모될 때 핀에 대하여 감지판을 이동시키며, 감지판이 압력판의 인상을 제한하도록 커어버에 접촉하는 정지장치로서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감지핀의 일측단부가 플라이휠에 접촉하고 감지핀의 타측단부는 압력판의 인상을 제한하도록 커어버에 접촉하는 정지장치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4. 제 6 항-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의 일측단부가 감지장치로서 작용하고 핀의 타측단부는 정지장치로서 작용하며 일방향 고정장치가 핀이 연장되는 통공을 갖는 고정판으로 구성되고 클러치의 분리시 핀을 압력판에 대하여 고정위치에 고정토록 클러치가 분리될 때 핀을 고정하기 위하여 핀에 대하여 고정판을 경사지게 하는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작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핀이 커어버에 착설되고 구동판이 마모되었을 때 고정장치를 통하여 플라이휠 측으로 핀을 당기도록 압력판에 재가된 접속부에 접촉하는 헤드의 형태인 감지장치를 포함하며, 핀은 또한 클러치의 분리시 압력판에 의하여 접촉되는 접속부의 형태인 정지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6. 제 6 항-제 1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이 리프트 스트랩의 일측단부를 압력판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리프트 스트랩의 일측단부가 핀의 리벳트 체결로 압력판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핀이 나선결합으로 연결되는 두 구성요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19.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감지핀이 고정판 또는 감지판의 통공으로부터 편중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0.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트 스트랩이 압력판에 구동토오크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1.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러치가 자동조절 클러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클러치를 조절하는 기구의 일부가 리프트 스트랩을 커어버에 취부하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클러치커어버에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23.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의 도 1-도 5 또는 도 6-도 8 또는 도 9 또는 도 10 또는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클러치.
KR1019980708895A 1997-03-15 1998-03-10 조절장치를 갖는 마찰클러치 KR20000010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5443.1 1997-03-15
GBGB9705443.1A GB9705443D0 (en) 1997-03-15 1997-03-15 Friction clutc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772A true KR20000010772A (ko) 2000-02-25

Family

ID=1080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8895A KR20000010772A (ko) 1997-03-15 1998-03-10 조절장치를 갖는 마찰클러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09413A (ko)
EP (1) EP0900340A1 (ko)
JP (1) JP2000510940A (ko)
KR (1) KR20000010772A (ko)
CN (1) CN1219222A (ko)
AU (1) AU6408998A (ko)
BR (1) BR9804781A (ko)
GB (1) GB9705443D0 (ko)
WO (1) WO19980417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8074D0 (en) * 1998-08-20 1998-10-14 Automotive Products Plc Friction clutch
GB9826631D0 (en) 1998-12-04 1999-01-27 Automotive Products Plc Friction clutch
DE19941210A1 (de) * 1999-08-30 2001-03-01 Mannesmann Sachs Ag Druckplattenbaugruppe
JP4888748B2 (ja) * 2000-03-22 2012-02-2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摩擦クラッチ
FR2813930B1 (fr) * 2000-09-08 2007-02-09 Mannesmann Sachs Ag Ensemble a plateau de pression pour un embrayage a friction
BRPI0815568A2 (pt) * 2007-08-23 2015-02-18 Luk Lamellen & Kupplungsbau Embreagem de fricção com reajuste de desgaste
US9133892B2 (en) * 2008-12-01 2015-09-15 Eaton Corporation Isolation of clutch departure control sleeve
DE112015002026A5 (de) * 2014-04-28 2017-02-2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eckelanordnung für eine Reibungskupplung
CN104747615A (zh) * 2015-01-28 2015-07-01 周正英 一种离合器装置
GB201915165D0 (en) * 2019-10-18 2019-12-04 Ap Automotive Products Srl Vehicle clutches
CN111828437B (zh) * 2020-06-19 2022-10-28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可调节轴向空间的离合器离心油压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7972A (en) * 1978-05-26 1980-06-17 Borg-Warner Corporation Automatic wear compensato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JPS60188628A (ja) * 1984-03-08 1985-09-26 Aisin Seiki Co Ltd 摩耗追従機構
JP3204832B2 (ja) * 1994-03-08 2001-09-04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US5509518A (en) * 1994-04-21 1996-04-23 Valeo Clutches And Transmissions, Inc. Diaphragm clutch assembly with wear compensator
GB9518991D0 (en) * 1995-09-16 1995-11-15 Automotive Products Plc Automatically adjusting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0340A1 (en) 1999-03-10
CN1219222A (zh) 1999-06-09
WO1998041777A1 (en) 1998-09-24
AU6408998A (en) 1998-10-12
BR9804781A (pt) 1999-08-17
JP2000510940A (ja) 2000-08-22
US6109413A (en) 2000-08-29
GB9705443D0 (en)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2642B2 (ja) 摩擦トルク装置
KR100522356B1 (ko) 자동차용의마모보상장치를구비한마찰클러치
JP4508641B2 (ja) テンショナ
US5029687A (en) Self adjuster for pull-type clutch
KR20000010772A (ko) 조절장치를 갖는 마찰클러치
US5695036A (en) Stopless self adjusting diaphragm clutch
US4958714A (en) Adjusting device for a twin-plate clutch
US5934429A (en) Automatically adjusting friction clutch with cam locating fingers
US6866132B2 (en) Friction clutch with intermediate plate mounting system
US6325193B1 (en) Friction clutch with an adjustment limiting device
KR100572273B1 (ko) 차량용 마찰 클러치
US6450315B1 (en) Spring ferrule for friction clutch with automatic adjustment feature
JP2004301191A (ja) 車両用摩擦クラッチ
JPH10227317A (ja)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H03181619A (ja) 自動車用クラッチ
JP2001336544A (ja) 車両用摩擦クラッチ
JPH0532662Y2 (ko)
EP1083356A2 (en) Automatically adjusting friction torque device
WO2000034675A2 (en) Friction clutch
JPS61109929A (ja) クラツチ・ブレ−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