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534U -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534U
KR20000010534U KR2019980022864U KR19980022864U KR20000010534U KR 20000010534 U KR20000010534 U KR 20000010534U KR 2019980022864 U KR2019980022864 U KR 2019980022864U KR 19980022864 U KR19980022864 U KR 19980022864U KR 20000010534 U KR20000010534 U KR 20000010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refrigerator
fixing member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원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2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534U/ko
Publication of KR20000010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534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고내에 설치되는 전기/전자부품의 고정을 위한 부품고정구는 판체의 양단을 후측으로 수직절곡하여 중앙부가 돌출되게 형성한 고정부재를 마련한 다음 그 중앙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의 홈을 내상면에 형성하여 이 고정부재가 내상의 홈에 조립되도록 하였으나 고정부재가 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냉장고의 내상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공과, 판상체의 양단이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그 중앙부가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볼트공을 갖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의 양단은 재차 수직절곡되어 내상의 삽입공 양측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결합부와 소정의 단차를 두고 평행하게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에 있어, 삽입공의 상단 및 하단테두리에 고정부재의 결합부 내면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함으로써, 부품을 견실하게 지지하는 고정부재가 내상의 삽입공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 고안임.

Description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냉동실이나 냉장실에 다수의 냉장고용 부품을 고정할때에 이들 부품들이 회전되거나 혹은 발포우레탄 충진시에 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선반, 육명 등의 고정이나 증발기, 기타 전장물(전기/전자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 등과 같이 고내에 고정되는 다수의 부품들은 나사로 고정된다.
즉, 냉장고의 내상과 외부캐비넷 사이에 발포우레탄층이 형성되면서 상기 부품들의 지지부 및 상기 내상면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내상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내상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내상과 외부캐비넷 사이의 공간으로 충진되는 우레탄액에 의해 상기 돌출부위가 매립되면서 상기 나사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내상의 두께가 얇고 발포우레탄은 밀도가 낮아 지지력이 약하므로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내상면상에 직접 고정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고내에 부착되는 부품들을 견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은 부품고정구가 제공되었다.
도시와 같이, 이러한 부품고정구(10)는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지부(10)와, 상기 파지부(10)의 선단에 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된 밀착부(20)와, 상기 밀착부(20)의 중앙에 볼트공(26a)을 갖고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22)와, 상기 체결부(22)의 외주연을 따라 대향되는 한쌍씩 서로 단차를 두고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24a,24b)로 구성된다.
한편, 부품이 고정되는 내상(30)에는 상기 체결부(22)의 돌설높이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요입되어 요입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부(32)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부(22)와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36)을 갖는 끼움공(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고정구(10)는 그 체결부(22)가 상기 끼움공(34)에 삽입되면서 끼움홈(36)을 관통한 고정돌기(24a)가 90 °회전되도록 상기 파지부(10)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24a)와 교차되도록 형성된 별도의 고정돌기(24b) 사이에 상기 내상(30)이 맞물리면서 고정된다. 그런 후에, 고내에 설치되는 장치들이 걸려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품(40)에 형성된 볼트공(26b)을 상기 체결부(22)에 형성된 볼트공(26a)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전동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28) 고정함으로써 설치부품을 조립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부품고정구(10)는 이를 고정하여 주는 발포우레탄의 결합력이 그리 강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동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고정할 때에 볼트가 어느정도 진입한 후에는 꽉 조여지지 않고 이 부품고정구와 함께 회전해버려 부품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와, 우레탄액을 발포 충진시킬 경우에 상기 끼움홈(36)을 통해 우레탄액이 누출되는 불량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직사각형상의 판상체 양단을 후측으로 수직절곡하여 중앙부가 돌출되게 형성한 고정부재를 마련한 다음 그 중앙부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의 홈을 내상면에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내상의 홈에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였다.
그러나, 상기 홈은 단순한 사각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유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부품고정구가 내상에 삽입되고 우레탄이 발포충진되어 부품고정구가 고정된 상태에서 냉장고의 부품들을 이 부품고정구에 고정할 때에 헛돌지 않고 상호간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면서 그러한 조립과정에서 부품고정구가 고정되는 내상의 삽입공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 부품고정구를 제공코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냉장고의 내상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공과, 판상체의 양단이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그 중앙부가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볼트공을 갖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은 재차 수직절곡되어 상기 내상의 삽입공 양측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와 소정의 단차를 두고 평행하게 걸림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의 상단 및 하단테두리에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 내면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됨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부품고정장치의 일예인 부품고정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품고정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고정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8 : 볼트, 30 : 내상,
32 : 요입부, 40 : 고정부품,
50 : 발포우레탄층, 70 : 고정부재,
72 : 걸림부, 74 : 결합부,
76a,76b : 볼트공, 82 : 삽입공,
90a,90b : 걸림돌기.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품고정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냉장고 내상(30)의 고내측에 노출된 면의 부품(40)이 고정되는 부위에는 기존과 같이 요입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32)는 고정부품(40)이 내상(30)에 견실히 고정되도록 지지하여 주는 후술할 고정부재(70)의 돌출높이와 대응되게 요입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70)는 상기 내상(30)의 면보다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요입부(32)의 중앙부분에는 사각형상의 삽입공(8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82)의 하단테두리에는 걸림돌기(90a)가 소정높이 상향돌출되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공(82)의 상단테두리에도 상기 걸림돌기(90a)와 대응되는 걸림돌기(90b)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90a,90b)는 서로 대향되게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삽입공(82)으로 인출입되는 고정부재(7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둘중 어느 하나는 다소 높게 돌출시키고 다른 하나는 그에 비해 높지않게 돌출형성시킴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재(70)는 판상체의 철편을 다수회 절곡시켜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70)는 그 양단이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그 중앙부가 상기 삽입공(82)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결합부(74)를 이룬다.
상기 결합부(74)에는 볼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갖는 볼트공(76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4)의 양단은 재차 그 양측방향으로 수직절곡되어 걸림부(72)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72)는 상기 결합부(74)와 소정의 단차를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상(30)에 고정되는 고정부품(40)의 고정부위에는 상기 볼트공(76a)과 대응되는 볼트공(76b)이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부품(40)을 고정할 수 있는 볼트(28)도 별도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70)는 그 결합부(74)가 상기 내상(30)의 삽입공(82)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되고 그 돌출된 결합부(74)의 볼트공(76a)에 상기 고정부품(40)의 볼트공(76b)이 일치된 상태에서 볼트(28)로 고정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품고정장치의 고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품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70)를 내상(30)에 형성된 삽입공(82)에 끼워 넣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70)의 양단에 그 결합부(74)와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부(72)가 상기 내상(30)에 형성된 삽입공(82)의 배면 양단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70)는 그 결합부(74)를 약간 전방 혹은 후방측으로 기울여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어느 일단을 먼저 삽입하여 상기 걸림돌기(90a,90b)중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나머지 타단을 약간 상측 또는 하측으로 들어올리거나 눌러내림과 동시에 전방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70) 자체 하중이 하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걸림돌기(90a,90b)에 걸려진 고정부재(70)의 결합부(74) 내측면이 더 이상 유동되지 못하고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후 고정부품(40)을 고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품(40)이 볼트고정되기 전에 상기 내상(30)의 내측, 다시 말하면 상기 걸림부(72)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단열재인 우레탄액이 발포 충진되어 발포우레탄층(5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70)는 상기 발포우레탄층(50)에 의해 상기 내상(30) 배면에 밀착됨으로써 유동없이 고정되게 된다.
이때, 발포 우레탄의 액샘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70)의 결합부(74)에 형성된 볼트공(76a)만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으로 막아주면 된다.
이 상태에서, 고내에 설치되는 고정부품(40)을 볼트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70)의 결합부(74) 전면이 상기 고정부품(40)의 내상(30)과 접촉되는 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냉장고의 고내에 부착되는 다수의 부품들, 이를테면 증발기, 육명, 기타 전장물들이 내상에 견실하기 고정될 수 있도록 내상 배면에서 내상면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되는 부품고정용 고정부재를 그 중앙에 볼트공을 갖고 양단이 후측으로 다수회 절곡시켜 상기 내상면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되 내상면에 형성되는 삽입공의 일부에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가 걸려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내상과 부품과의 밀착도를 향상시키고 고정부재가 제자리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아 부품과의 고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냉장고의 내상(30)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삽입공(82)과, 판상체의 양단이 후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그 중앙부가 상기 삽입공(82)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볼트공(76a)을 갖는 결합부(7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74)의 양단은 재차 수직절곡되어 상기 내상(30)의 삽입공(82) 양측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74)와 소정의 단차를 두고 평행하게 걸림부(72)가 형성된 고정부재(70)로 이루어진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82)의 상단 및 하단테두리에 상기 고정부재(70)의 결합부(74) 내면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90a,90b)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KR2019980022864U 1998-11-19 1998-11-19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KR20000010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864U KR20000010534U (ko) 1998-11-19 1998-11-19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864U KR20000010534U (ko) 1998-11-19 1998-11-19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534U true KR20000010534U (ko) 2000-06-15

Family

ID=6950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864U KR20000010534U (ko) 1998-11-19 1998-11-19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53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71B1 (ko) * 2007-01-26 2007-1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61350B1 (ko) * 2002-11-21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스크류 체결어셈블리
KR100861351B1 (ko) * 2002-11-21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스크류 체결 어셈블리
KR200448232Y1 (ko) * 2009-07-01 2010-03-25 에비수산업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태양 광판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350B1 (ko) * 2002-11-21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스크류 체결어셈블리
KR100861351B1 (ko) * 2002-11-21 2008-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이너케이스의 스크류 체결 어셈블리
KR100776271B1 (ko) * 2007-01-26 2007-1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448232Y1 (ko) * 2009-07-01 2010-03-25 에비수산업주식회사 태양 전지용 태양 광판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064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door handle assembly
US6374912B1 (en) Deep drawn enclosure with integrated heatsink and fastening details
US4722199A (en) Thermally insulated bin structure
JPH0611246A (ja) 冷蔵庫等のガスケット装置
CN113803926B (zh) 冰箱
KR20000010534U (ko) 냉장고의 부품고정장치
CN110940141B (zh) 具有内嵌部件的制冷器具
CN214276259U (zh) 冰箱
KR20000010535U (ko) 냉장고의 부품고정구
KR200156909Y1 (ko) 냉장고의 도어핸들 조립구조
KR100389648B1 (ko) 냉장고의 저판조립체
JPS6326704Y2 (ko)
US3345102A (en) Magnetic latch assembly
JPH06265263A (ja) 冷蔵庫の扉
KR19990003697U (ko) 냉장고의 부품고정구
CN213478077U (zh) 门框、柜门及家用电器
JP2001317865A (ja) 冷却貯蔵庫
KR100424579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 장착장치
KR200142486Y1 (ko) 냉장고의 내상과 지지구 결합장치
KR100884397B1 (ko) 냉장고용 도어 설치구조
KR200169384Y1 (ko) 냉장고용 키홀더 체결 구조
JPH0763473A (ja) 冷蔵庫
KR19980067371U (ko) 냉장고의 부품고정구
JPH0638022B2 (ja) 断熱箱体の製造方法
CN114877607A (zh) 一种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