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340U -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340U
KR20000010340U KR2019980022571U KR19980022571U KR20000010340U KR 20000010340 U KR20000010340 U KR 20000010340U KR 2019980022571 U KR2019980022571 U KR 2019980022571U KR 19980022571 U KR19980022571 U KR 19980022571U KR 20000010340 U KR20000010340 U KR 200000103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motor
side wind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2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340U/ko
Publication of KR200000103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40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시 보드(4)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터리(5)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14); 상기 스위치(14)의 온동작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공기를 발생 시키는 에어 컴퓨레셔(11); 일단이 상기 에어 컴퓨레셔(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분지되어 사이드 미러(2) 및 사이드 윈도우(3) 영역까지 연장된 공기 전달관(12); 및 상기 공기 전달관(12)의 타단에 각각 설치된 제 1노즐(13) 및 제 2노즐(13a)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1)의 엔진 후드측에 모터(10)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 컴퓨레셔(11)를 설치하여 사이드 미러(2)와 사이드 윈도우(3) 측에 설치된 제 1,2노즐(13,13a)을 통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사이드 미러(2)와 사이드 윈도우(3)의 미러 표면에 묻은 물방울과 먼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와 사이드 윈도우 측에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에어 컴프레셔에 의해 발생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미러의 표면에 묻은 물방울이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가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차실 내부에 룸미러가 설치되고, 외부에 사이드 미러가 설치된다. 그리고, 차량의 측방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의 상단에는 사이드 윈도우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나 눈이 내려 차량의 사이드 미러(b)와 사이드 윈도우(e)에 물기가 묻은 경우, 운전자가 측방과 후방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즉, 운전자가 측방과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보기 위해 사이드 미러(b)와 사이드 윈도우(e)를 보는 경우, 사물로부터 반사된 빛이 사이드 미러(b)와 사이드 윈도우(e)에 반사될 때, 미러(c)의 표면에 묻은 물방울에 의해 빛이 투과하지 못하고 굴절되어 시계를 확보할 수 없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이드 미러(b)와 사이드 윈도우(e)의 미러(c) 표면에 물방울이 묻어 빛이 굴절되는 현상을 방지 하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c)의 표면에 표면 에너지가 낮고 투명한 화학물질을 스프레이 등으로 코팅하여 코팅면(d)을 형성하였다.
그러면, 물기가 미러(c)의 표면에 직접 묻지 않고 코팅면(d)에 묻게 되기 때문에, 물방울이 코팅면(d)에 퍼지지 않고 진원의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빛의 투과성이 높아져서 운전자가 후방과 측방 시계를 확보 하는데 조금은 용이해 졌으나, 전면반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확실한 시계확보를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비나 눈이 온 후에 차량의 사이드 미러(b)와 사이드 윈도우(e)에 물기가 묻은 경우, 운전자가 측방과 후방 시계를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에 설치된 에어 컴퓨레셔에 노즐을 연결하여 사이드 미러와 사이드 윈도우에 맺힌 물기를 압축공기로 제거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미러와 사이드 윈도우에 물방울이 묻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미러에 코팅액이 적층된 경우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물기 제거장치가 차량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노즐에 확장슬릿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2 : 사이드 미러
3 : 사이드 윈도 4 : 대시 보드
5 : 배터리 10 : 모터
11 : 에어 컴퓨레셔 12 : 공기 전달관
13,13a : 제 1,2노즐 14 : 스위치
15 : 확장슬릿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대시 보드(4)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터리(5)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14); 상기 스위치(14)의 온동작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공기를 발생 시키는 에어 컴퓨레셔(11); 일단이 상기 에어 컴퓨레셔(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분지되어 사이드 미러(2) 및 사이드 윈도우(3) 영역까지 연장된 공기 전달관(12); 및 상기 공기 전달관(12)의 타단에 각각 설치된 제 1노즐(13) 및 제 2노즐(13a)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작 스위치(14)와, 모터(10)와, 에어 컴퓨레셔(11)와 공기 전달관(12)과 제 1노즐(13) 및 제 2노즐(13a)로 이루어 진 것이다.
그리고, 조작 스위치(14)는 대시 보드(4)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터리(5)의 전원을 모터(10)에 인가 시켜주거나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온/오프 스위치(14)로 된 것이다.
또한, 모터(10)는 배터리(5)의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 시키는 동력부재이다. 그리고, 에어 컴퓨레셔(11)는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공기 전달관(12)은 금속재질의 얇은 관으로, 에어 컴퓨레셔(11)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제 1노즐(13)은 공기 전달관(12)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이드 미러(2)의 하우징에 끼워져 설치되고, 제 2노즐(13a)은 사이드 윈도우(3) 측을 향해 설치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물기 제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비나 눈이 와서 차량(1)의 사이드 미러(2)나 사이드 윈도우(3)에 물방울이 맺힌 경우, 차량(1) 운전자는 측방과 후방 시계를 확보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차량(1) 운전자는 대시보드(6)에 설치된 스위치(14)를 눌러 온동작 되게 한다.
그러면, 배터리(5)의 전원이 모터(10) 측으로 인가되어 모터(10)가 회전하게 되고, 모터(10)의 회전에 의해 에어 컴퓨레셔(11)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전달관(12)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 전달관(12)을 통해 압축 공기가 전달되는 경우, 공기 전달관(12)이 금속재질로 바디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가 공기 전달관(12)을 통과시, 공기 전달관(12)이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공기 전달관(12)을 통해 전달된 압축공기는 제 1,2노즐(13,13a)을 통해 분사되는 데, 사이드 미러(2) 측에 설치된 노즐(13)에 의해 압축공기가 사이드 미러(2)의 표면에 분사되어 미러 표면에 묻은 물방울을 제거하게 되고, 사이드 미러(2)를 감싸는 하우징의 측면에서 사이드 윈도우(3) 측으로 설치된 노즐(13a)을 통해 사이드 윈도우(3)의 표면에 묻은 물방울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2노즐(13,13a)을 통해 고속으로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사이드 미러(2)나 사이드 윈도우(3)의 미러 표면에 묻은 물방울들이 날리게 되고, 또한 먼지 등의 이물질 들도 제거되어 미러 표면이 깨끗하게 된다.
그러면, 운전자가 깨끗해진 사이드 미러(2)와 사이드 윈도우(3)를 통해 측방과 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노즐(13,13a)의 단부에 확장슬릿(15)을 설치하게 되면 압축공기가 가늘고 긴 슬릿을 통해 넓게 퍼지면서 분사되기 때문에, 미러 표면에 묻은 물방울을 넓은 범위에 걸쳐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물방울을 제거하고 난 후, 운전자는 다시 대시 보드(4)에 설치된 스위치(14)를 눌러 오프동작 되게 한다. 그러면, 배터리(5)로부터 모터(10)에 전달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모터(10)가 정지하게 됨으로서, 에어 컴퓨레셔(11)가 정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1)의 엔진 후드 내부에 모터(10)에 의해 작동하는 에어 컴퓨레셔(11)를 설치하여, 사이드 미러(2)와 사이드 윈도우(3) 측에 설치된 제 1,2노즐(13,13a)을 통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서, 사이드 미러(2)와 사이드 윈도우(3)의 미러 표면에 묻은 물방울과 먼지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대시 보드(4)의 전방에 설치되어 배터리(5)의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14);
    상기 스위치(14)의 온동작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공기를 발생 시키는 에어 컴퓨레셔(11);
    일단이 상기 에어 컴퓨레셔(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분지되어 사이드 미러(2) 및 사이드 윈도우(3) 영역까지 연장된 공기 전달관(12); 및
    상기 공기 전달관(12)의 타단에 각각 설치된 제 1노즐(13) 및 제 2노즐(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노즐(13) 및 제 2노즐(13a)은 단부에 가늘고 긴 개구부를 갖는 확장슬릿(15)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KR2019980022571U 1998-11-19 1998-11-19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KR200000103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71U KR20000010340U (ko) 1998-11-19 1998-11-19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571U KR20000010340U (ko) 1998-11-19 1998-11-19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40U true KR20000010340U (ko) 2000-06-15

Family

ID=6950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571U KR20000010340U (ko) 1998-11-19 1998-11-19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34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855B2 (en) Device for protecting an optical sensor, and associated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cleaning method
US20010054655A1 (en) Cleaning device
KR102509812B1 (ko) 대상물 표면으로부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858755B1 (en) Integrated automotive system, nozzle assembly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sensor's lens
US20030066907A1 (en) Windshield washer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US20070273971A1 (en) Cleaning Assembly for Motor Vehicle
CN112061083A (zh) 车载摄像机清洁系统、清洁方法及车辆
JPS6080960A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オツシヤ装置
KR20000010340U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및 사이드 윈도우의 물기 제거장치
JP3492726B2 (ja) エアーワイパー及び撥水剤液コーティング装置
KR20020029155A (ko) 자동차 유리의 물방울 제거장치
WO2003013919A1 (en) Air spray unit in a side mirror of a vehicle
JP2558997Y2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の水滴除去装置
KR100194193B1 (ko) 자동차 백미러용 물방울 제거장치
KR200144782Y1 (ko) 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된 승용차용 후사경
KR920005147B1 (ko) 후사경 및 측면 유리창의 물방울 제거장치
JPH0826076A (ja) 車両用雨滴除去装置
KR0131516Y1 (ko) 자동차의 실내 청소 및 윈도우글라스 청소장치
KR100434743B1 (ko)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KR200161760Y1 (ko) 와셔 노즐 설치구조
JPH07170898A (ja) スピードスプレーヤ
KR100230647B1 (ko) 차량 윈도우의 에어분사장치
KR20010000206U (ko) 와이퍼 장착용 와셔노즐
KR19980049865A (ko) 자동차의 프론트 도어 글라스 빗물 제거장치
JPH0699791A (ja) 風力式除水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