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161A - 거푸집용 몰딩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몰딩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161A
KR20000010161A KR1019980030917A KR19980030917A KR20000010161A KR 20000010161 A KR20000010161 A KR 20000010161A KR 1019980030917 A KR1019980030917 A KR 1019980030917A KR 19980030917 A KR19980030917 A KR 19980030917A KR 20000010161 A KR20000010161 A KR 20000010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molding
bar
molding ba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486B1 (ko
Inventor
이승복
Original Assignee
이승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복 filed Critical 이승복
Priority to KR101998003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486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 또는 보 거푸집의 모서리 부분에 L자형의 몰딩바를 설치하고, 몰딩바의 외부로 거푸집널을 설치하여 기둥 또는 보 거푸집을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용 몰딩바는 단면이 L자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쪽(10a)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수나사(12)로 구성된다. 몸체(10)는 단면이 L자형이며, 외부쪽(10a)은 평탄한 두 면이 직각으로 교차하나, 내부쪽(10b)은 몰딩이 형성되어 있으며, 거푸집널이 외부쪽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하면 기둥 또는 보의 모서리 부분에 몰딩이 형성된다. 몸체(10)의 외부쪽(10a)으로는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나사(12)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거푸집널에 구멍을 뚫고 상기 수나사(12)에 끼우고 너트(14)로 조이면 거푸집널이 몰딩바에 고정된다. 너트는 일반적인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윙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거푸집널(50)은 L자형 몸체의 외부쪽(10a)으로 설치되며, 몸체(10)에 형성된 수나사(12)와 동일한 모듈로 구멍을 뚫고, 상기 수나사(12)에 거푸집널(50)을 끼우고 너트(14)로 조이면 거푸집널이 몰딩바(1)에 고정된다.

Description

거푸집용 몰딩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본 발명은 거푸집용 몰딩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둥 거푸집이나 보 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 모서리 부분에 L자형의 몰딩바를 설치하고, 몰딩바의 외부쪽으로 거푸집널을 설치하고 너트로 결속하여 기둥 거푸집이나 보 거푸집을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거푸집용 몰딩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합판으로 틀을 짜거나, 유로폼과 같은 기성제 거푸집을 사용하였다.
합판으로 틀을 짜는 공법은 기둥의 치수와 동일하게 기둥 주위 네 면의 거푸집을 합판과 각재로 틀을 짜서 설치하고, 장선과 멍에를 설치한 다음, 합판을 관통하여 폼 타이를 설치하고, 폼타이를 멍에에 고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합판을 이용한 공법은 합판과 각재의 전용 회수가 크지 아니하여 동일 치수의 기둥을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거푸집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거푸집의 강성이 그다지 크지 않아 몇회 사용하면 거푸집의 변형이 커지므로 콘크리트 기둥의 치수 정밀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각재는 타 공사 현장으로 전용이 불가능하여 전량 폐기 처리되는 바, 귀중한 자원의 낭비와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유로폼을 이용하는 공법은 규격품을 사용하여 조립해 가는 공법인 바, 시공이 간편한 장점은 있으나, 기둥의 치수가 규격품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되므로 기둥 거푸집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거푸집간 조인트가 벌어지고 수직, 수평도가 양호하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거푸집널을 단순히 너트로만 몰딩바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거푸집의 강성이 커서 변형이 거의 없으며, 전용횟수를 극대화 할 수 있고, 각재 사용을 최소화함으로써 목재 폐자재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인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설치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만으로 거푸집널을 고정하여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재의 사용량이 적어 목재 폐기물의 발생이 적고 환경 친화적인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못을 사용하지 않아 거푸집널의 파손이 적어 전용횟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에 몰딩이 형성되어 있어 기둥이나 보 거푸집의 코너 부위에 별도로 면목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푸집의 강성이 크고, 코너 부위의 직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어 치수 정밀도가 높은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를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못을 사용하지 않아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인 거푸집용 몰딩바 및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의 사시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의 평면도 및 입면도이다.
제4도는 길이 조절바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보강바의 사시도이다.
제6도는 결속판의 입면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의 변형예이다.
제8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를 이용하여 기둥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를 이용해서 기둥 거푸집을 조립한 상태의 입면도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를 이용해서 보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를 이용해서 시공된 기둥 및 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몰딩바 10: 몸체
10a: 외부쪽 10b: 내부쪽
12: 수나사 14: 너트
16: 못구멍 20: 길이 조절바
22: 몸체 24: 수나사
26: 못구멍 30: 보강바
32: 앵글 34: 못구멍
36: 홈 40: 결속판
42: 철판 44: 구멍
50: 거푸집널 52: 장선
54: 멍에 56: 폼타이
60: 몰딩바 62: 몸체
64: 플랜지 66: 볼트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1)의 사시도이며, 제2도 및 제3도는 평면도 및 입면도이다. 거푸집용 몰딩바는 단면이 L자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외부쪽(10a)에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된 수나사(12)로 구성된다.
몸체(10)는 단면이 L자형으로 기둥의 코너부분에서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거푸집널(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거푸집널(50)은 상기 몸체의 외부쪽(10a)으로 부착된다. 몸체(10)의 외부쪽(10a)은 평탄한 두 면이 직각으로 교차하나, 내부쪽(10b)은 몰딩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하면 기둥 또는 보의 모서리 부분에 몰딩이 형성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몰딩바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의 단면도로써 모서리 부분에 몰딩이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 부분의 콘크리트는 잘 깨지므로 보통 삼각 면목을 거푸집에 설치하여 기둥 또는 보의 모서리를 삼각으로 형성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 자체가 면목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면목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매우 편리하다. 상기 몰딩은 원형은 물론 삼각이나 기타 다른 여하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이는 본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몸체(10)의 외부쪽(10a)으로는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수나사(12)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거푸집널에 구멍을 뚫고 거푸집널을 상기 수나사(12)에 끼우고 너트(14)로 조이면 거푸집널이 몰딩바에 고정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나사(12)는 몸체(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몸체(10)에 암나사 구멍을 형성하고 수나사(12)를 체결하여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나사(12)는 P콘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몸체(10)에 P콘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을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통해 몰딩바와 거푸집널을 관통하여 P콘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우고 너트로 조이면 거푸집널이 몰딩바에 고정된다.
너트는 일반적인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날개가 달린 윙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거푸집널(50)은 L자형 몸체의 외부쪽(10a)으로 설치되며, 거푸집널로는 합판 등 종래에 사용하던 거푸집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거푸집널(50)에는 몸체(10)에 형성된 수나사(12)와 동일한 모듈로 구멍을 뚫고, 상기 수나사(12)에 거푸집널(50)을 끼우고 너트(14)로 조이면 거푸집널이 몰딩바(1)에 고정된다.
몰딩바(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못구멍(1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 거푸집과의 접합부위 등 필요시 못을 이용해서 거푸집널을 고정할 수도 있다.
거푸집용 몰딩바는 일정한 길이의 규격으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2,100mm 내지 3,900mm의 범위에서 300mm 간격으로 제조된다. 기둥의 높이가 매우 큰 경우에는 두 개의 몰딩바(1)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몰딩바의 연결은 두 개의 몰딩바를 단부가 일치하도록 배열하고 후술하는 제5도의 보강바를 외부쪽에 설치하여 연결한다. 또한, 한 장의 거푸집널간의 조인트가 몰딩바(1)간의 조인트와 일치하지 않도록 거푸집널을 설치하면 몰딩바와 거푸집널이 서로 결속하므로 몰딩바간의 연결이 더 견고해진다.
몰딩바의 재질로는 구조용 강재, 구조용 알미늄 합금 또는 구조용 합성 플래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4도는 길이 조절바(20)의 사시도이다. 몰딩바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2,100mm 내지 3,900mm의 범위에서 300mm 간격으로 생산되며, 기둥의 높이가 상기 모듈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규격품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지만 대부부의 경우에는 모듈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거푸집용 몰딩바의 단부에 길이 조절바(20)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길이 조절바(20)는 거푸집용 몰딩바(1)와 동일한 형상이다. L자형의 몸체(22)에 상기 몸체(22)의 외부쪽 면에 수나사(24)가 수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24) 사이로 못구멍(26)이 다수개 형성된다.
몰딩바의 단부에 길이 조절바(20)를 정렬시키고 외부쪽에 후술하는 제5도의 보강바(30)를 설치하여 서로 연결한다. 또한, 거푸집널(50)은 1장의 부재가 몰딩바와 길이 조절바 양쪽에 동시에 설치되므로 거푸집널에 의해서 몰딩바와 길이 조절바 간의 결속력이 증가한다. 상기 길이 조절바(30)의 길이는 100mm 간격으로 규격품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보강바(30)의 사시도이다. 보강바(30)는 몰딩바(1)와 몰딩바(1) 또는 몰딩바(1)와 길이 조절바(20)간의 연결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거나 멍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보강바(30)는 L자형 앵글(32)에 상기 앵글의 한쪽 플랜지에는 다수개의 구멍(34)이, 다른쪽 플랜지에는 다수개의 홈(36)이 형성된 구조이며, 양쪽 모두 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멍(34) 또는 홈(36)은 몰딩바에 형성된 수나사(12)의 모듈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몰딩바의 연결부위 외부쪽에서 보강바를 몰딩바의 수나사에 끼우고 너트로 조이면 몰딩바간의 연결부위가 보강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의 변형예이다. 몰딩바(60)는 몸체(62)와 플랜지(64)로 구성되며, 몸체의 내부쪽(60a)은 몰딩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외부쪽(60b) 코너부분에서 L자형의 플랜지(64)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L자형의 플랜지(64)와 몸체의 외부쪽(60b)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으로 거푸집널을 삽입한다. 플랜지(64)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볼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구멍에 볼트(66)를 체결하여 거푸집널을 몸체의 외부쪽(60b)에 고정한다. 볼트(66)의 단부는 원뿔 형상으로 돌출되어 거푸집널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몰딩바(60)를 이용할 경우 거푸집널에 별도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어 공정이 간소화되고, 거푸집널의 전용회수를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8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1)를 이용해서 기둥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제11도는 입면도이다.
제8도는 기둥의 치수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로써, 기둥 거푸집의 외부로 수평방향 멍에(54)만을 설치한 경우이다. 강관 파이프 또는 파워스틸을 이용하여 거푸집의 외부 네 면을 감싸고 폼타이로 거푸집 외부에서 결속한다. 이는 기둥의 치수가 그리 크지 않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기둥의 내부로 폼타이가 관통하지 않아 폼타이 자재비의 절감은 물론 추후 폼타이 구멍의 메꿈 작업 등이 필요 없어 그만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9도는 기둥의 치수가 조금 큰 경우로써, 중간에 장선(52)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멍에(54)를 수평으로 설치하였다. 이때 거푸집널의 단부에는 제5도의 보강바(30)를 한쪽 플랜지가 돌출하도록 몰딩바의 수나사에 끼워 설치하여 장선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보강바(30)의 두께는 원형 강관 파이프의 두께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제10도는 기둥의 치수가 큰 경우로써, 단면의 내부로 폼타이(56)를 설치한 경우이다. 폼타이의 설치는 통상의 거푸집 공법과 동일하며, 멍에용 원형 강관 파이프를 두줄씩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멍에에 폼타이를 고정한다.
제11도는 기둥의 치수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경우에 폼타이 없이 지지할 수 있는 경우로서, 제6도의 결속판(40)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결속하는 방법이다. 결속판(40)은 길이가 긴 철판(42)에 다수개의 구멍(44)이 뚫려 있는 구조이다. 거푸집널의 양단부 외부쪽으로 돌출된 몰딩바의 수나사(12)에 상기 결속판(40)을 네면에서 끼우면, 상기 결속판이 기둥 내부를 관통하는 폼타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결속판(40)을 설치한 다음 원형 강관 파이프를 수평으로 두줄씩 설치하고 폼타이의 중간 봉을 제거하고 바깥쪽 나사부를 몰딩바의 수나사에 끼워 멍에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제8도의 경우와 같이 폼타이가 콘크리트 내부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폼타이의 사용을 줄일수 있어 경제적이다.
제12도는 멍에로서 제5도의 보강바(30)를 이용한 경우이다. 보강바(30)를 몰딩바의 수나사(12)에 끼워 수평으로 설치하고 상기 수나사(12)에 너트를 체결하면 멍에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너트로는 일반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강바 외부로 돌출한 수나사(12)가 완전히 삽입되는 원통 형태의 너트(7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콘크리트가 수나사에 부착되지 않아 너트의 체결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면에는 거푸집널을 관통하는 폼타이가 하나 도시되어 있으나, 폼타이는 구조 계산에 따라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그 수를 늘릴 수 있다.
거푸집을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거푸집의 조립은 기둥이 축조될 위치에서 직접 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조립장에서 조립한 후 운반하여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기둥 거푸집은 먼저 거푸집널(50)을 소요 규격으로 가공하고 몰딩바의 수나사(1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을 뚫는다. 먼저 대향하는 두면의 거푸집널의 양 단부에 각각 두 개씩의 몰딩바(1)를 설치하고 너트(14)로 조여 고정한다. 일단 너트로 고정된 거푸집널은 마치 하나의 대형거푸집처럼 취급할 수 있으며, 이후 이를 해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합판으로 패널을 짜는 공법은 기둥 거푸집의 네 면을 모두 제작해야 했으나, 본 공법은 2면만을 제작하고 나머지 면은 합판만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서로 마주보는 두면의 거푸집널을 먼저 설치한 다음 나머지 두면의 거푸집널을 기 설치된 거푸집널의 단부에 부착된 몰딩바의 수나사에 끼워 넣고 너트를 체결한다. 너트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기 제8도 내지 제12도와 같은 방법으로 장선과 멍에를 설치한다. 기둥 거푸집의 상부에 보 거푸집과 접속하는 위치에 모듈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길이조절바를 사용하거나, 재래식 공법의 경우와 같이 각목으로 보강을 하여 거푸집을 조립할 수 있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1)를 이용하여 보 거푸집을 설치한 상태의 입면도이다. 보 거푸집의 경우에는 아래쪽 두 개의 코너에 몰딩바(1)를 설치하고 외부쪽으로 거푸집널(50)을 설치한다. 보 하부쪽에는 제6도의 결속판(40)을 설치하고 멍에(54)를 설치한다. 보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바로 거푸집널에 멍에를 설치할 수 있으나, 보의 폭이 큰 경우에는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장선(52)을 설치하고 단부에는 제5도의 보강바(30)를 한쪽 플랜지가 돌출하도록 몰딩바의 수나사에 끼워 설치한 다음에 멍에를 설치한다. 멍에는 폼타이(56)를 이용하여 고정하되 폼타이의 바깥쪽 나사부만을 몰딩바의 수나사에 끼워 고정한다. 보의 측면에는 장선을 설치하고 멍에를 설치하여 폼타이로 이를 고정한다. 기둥 거푸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 거푸집이 기둥 거푸집과 접속하는 부분에서 모듈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각목으로 보강을 해서 거푸집을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용 몰딩바를 이용함으로써 기둥 또는 보 거푸집의 조립시 각재의 사용량을 상당량 줄일 수 있어 목재 폐기물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
본 공법은 조립식 시스템으로 설치 및 해체가 매우 간편하여 인건비의 절약과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한번 조립하면 이후 이를 해체하지 않고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형거푸집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거푸집널을 너트를 이용하여 몰딩바에 고정하고 못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거푸집의 손상이 적고,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도 그만큼 감소한다.
또한 거푸집용 몰딩바는 이를 구조용 강재와 같은 강성이 큰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거푸집의 변형이 적어 치수 정밀도가 양호한 우수한 품질의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다.
기둥 또는 보의 코너 부위가 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삼각 면목을 설치하여 왔으나, 본 발명의 몰딩바는 자체에 몰딩이 형성되어 있어 면목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몰딩의 종류도 다양하게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Claims (8)

  1. 단면이 L자형인 길쭉한 부재로써 내부쪽(10a)으로는 몰딩이 형성된 몸체(10); 및,
    상기 몸체의 외부쪽(10a)으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한 다수개의 수나사(1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바.
  2. 단면이 L자형인 길쭉한 부재로써 내부쪽(10a)으로는 몰딩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몸체(10); 및,
    나사부가 상기 몸체의 외부쪽(10b)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머리 없는 P콘;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바.
  3. 단면이 L자형인 길쭉한 부재로써 내부쪽(10a)으로는 몰딩이 형성된 몸체(10); 및,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부쪽(10a) 코너부에서 L자형으로 돌출하여 상기 몸체의 외부쪽(10b)과의 사이에 길이방향의 홈을 형성하고,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볼트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L자형 플랜지;
    상기 볼트 구멍에 체결되는 볼트(6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딩바.
  4. 거푸집널의 양 단부에 제1항의 상기 몰딩바의 수나사(12)가 끼워질 구멍을 뚫는 단계;
    네 면의 거푸집널 중 마주보는 두 면의 거푸집널의 양단부에 각각 상기 몰딩바(1)를 설치하고 너트(14)로 결속하는 단계;
    상기 두 면의 거푸집널을 기둥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나머지 두면의 거푸집널을 기 설치된 몰딩바의 수나사(12)에 끼우고 너트로 조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네 면의 거푸집널의 주위로 수평으로 멍에(54)를 설치하는 단계;
    서로 마주보는 멍에 사이에 폼타이(56)를 설치하여 결속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거푸집널의 중간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장선(52)을 더 설치하고, 단면이 L자형의 길쭉한 부재로써 한쪽 플랜지에는 다수개의 구멍 또는 수평홈이 형성되고, 다른쪽 플랜지에는 다수개의 수평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바(30)를 상기 보강바(30)의 한쪽 플랜지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몰딩바(1)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상기 장선(52)과 상기 보강바(30)의 주위로 수평으로 멍에(54)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방법.
  6. 제4항에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철판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판(40)을 거푸집널의 양단부에 설치된 두 개의 몰딩바의 수나사(12) 사이에 수평으로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방법.
  7. 제6항에서, 폼타이에서 콘크리트 속으로 매립되는 중간 봉을 제거한 나사부만을 상기 몰딩바의 수나사(12)에 체결하여 멍에(54)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방법.
  8. 제4항에서, 상기 멍에는 제5항의 상기 보강바(30)를 이용하며, 폼타이의 나사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바(30)를 상기 몰딩바(1)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설치 방법.
KR1019980030917A 1998-07-30 1998-07-30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KR10032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917A KR100322486B1 (ko) 1998-07-30 1998-07-30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917A KR100322486B1 (ko) 1998-07-30 1998-07-30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161A true KR20000010161A (ko) 2000-02-15
KR100322486B1 KR100322486B1 (ko) 2002-06-24

Family

ID=1954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917A KR100322486B1 (ko) 1998-07-30 1998-07-30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81B1 (ko) * 2001-03-02 2004-03-04 이승복 거푸집용 투명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거푸집 구조
CN110984693A (zh) * 2019-12-30 2020-04-10 重庆长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72B1 (ko) * 2003-06-24 2006-05-30 서보가설산업 주식회사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구조
CN102661044A (zh) * 2012-05-30 2012-09-12 曹健厂 柱形模加固装置的护角件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81B1 (ko) * 2001-03-02 2004-03-04 이승복 거푸집용 투명패널 및 이를 이용한 투명거푸집 구조
CN110984693A (zh) * 2019-12-30 2020-04-10 重庆长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CN110984693B (zh) * 2019-12-30 2021-06-08 重庆长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在浇筑时保持围墙立柱面板对齐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486B1 (ko) 200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480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US20100005744A1 (en) Forms structure, panel support member, panel support member for internal corner, panel support member for external corn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rms
CN111877752B (zh) 一种建筑模板的加固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429482B1 (ko)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CN112681727A (zh) 有限空间内异形柱的模板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0865133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KR100695491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0522B1 (ko) 탈형 거푸집 및 탈형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CN210032595U (zh) 两用式柱模箍装置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JP2010216196A (ja) 布基礎のアンカーボルト設置方法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治具セット
KR100276864B1 (ko) 거푸집용 코너 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KR100276865B1 (ko) 벽체 거푸집용 지지바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 방법
KR200254795Y1 (ko) 거푸집 긴결 장치
CN219825702U (zh) 一种建筑预制单元模块
KR200251518Y1 (ko) 거푸집의 고정장치_
CN217998929U (zh) 构造柱模壳用浇筑模具
CN219568963U (zh) 综合管廊浇筑过程中预埋螺栓辅助固定结构及工具
CN220550857U (zh) 一种模块化现浇混凝土模具
CN220645347U (zh) 一种建筑结构设计梁加固结构
CN215630802U (zh) 预制墙板及预制墙板的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