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725A -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 Google Patents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725A
KR20000009725A KR1019980030331A KR19980030331A KR20000009725A KR 20000009725 A KR20000009725 A KR 20000009725A KR 1019980030331 A KR1019980030331 A KR 1019980030331A KR 19980030331 A KR19980030331 A KR 19980030331A KR 20000009725 A KR20000009725 A KR 20000009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folder
main body
telephone termi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8239B1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239B1/ko
Priority to AU16382/99A priority patent/AU709832B1/en
Priority to US09/298,414 priority patent/US6359984B1/en
Priority to CN99106797A priority patent/CN1118175C/zh
Priority to AU30173/99A priority patent/AU760290B2/en
Priority to DE69925421T priority patent/DE69925421T2/de
Priority to EP99113072A priority patent/EP0977414B1/en
Publication of KR2000000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또는 폴더 타입(folder type)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서도 통화 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플립 또는 폴더가 닫혔을 때 사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장치와, 플립 또는 폴더가 열렸을 때 사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스피커장치 중에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상태에 대응되는 하나의 스피커장치에 음성 출력 경로를 연결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이용한다.

Description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장치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또는 폴더 타입(folder type)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전화단말기는 점차 고감도, 소형화, 경량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그 형태에 따라 바 타입(bar type)과 플립 타입(flip type) 및 폴더 타입(folder type)이 공존하고 있다. 이들 중에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이 일반화되는 이유는 본체에 덮혀지는 플립이나 폴더가 버튼들을 보호하여 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시 음의 반사판 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에서는 플립이나 폴더에 마이크장치 또는 스피커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에 유리하다.
통상적인 플립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는 본체(body)와, 플립(flip)과, 본체에 플립을 개폐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힌지(hinge)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힌지장치는 플립의 회전축이 된다. 이러한 플립 타입은 다시 플립 다운 타입(flip-down type)과 플립 업 타입(flip-up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플립 다운 타입은 플립의 회전축이 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타입이다. 플립 업 타입은 플립의 회전축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타입이다. 또한 통상적인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는 본체와, 폴더(floder)와, 본체에 폴더를 개폐 가능하게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타입들 중에 플립 업 타입과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는 플립이나 폴더를 가지지 않는 바 타입은 물론이고 플립 다운 타입과도 달리 스피커장치가 플립이나 폴더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에따라 플립이나 폴더가 본체에 닫혀 덮여져 있는 경우에는 스피커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통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플립이나 폴더를 열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전화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처 대비하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기 곤란한 상황에 있을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바로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하기 곤란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립 업 타입과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의 경우에는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는 통화를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서도 통화 가능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 업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를 플립이 닫힌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플립이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를 폴더가 닫힌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폴더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립 또는 폴더가 닫혔을 때 사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장치와, 플립 또는 폴더가 열렸을 때 사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피커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2개의 스피커장치 중에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상태에 대응되는 하나의 스피커장치에 음성 출력 경로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구조나 형상, 회로 등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들 중에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 업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를 플립이 닫힌 상태로 보인 사시도이고, 이러한 도 1의 전화단말기의 플립이 열린 상태를 도 2의 사시도로서 보였다. 도 1과 도 2에 보인 전화단말기는 본체(100)와, 플립(102)과, 본체(100)와 플립(102)을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112)로 구성된다. 힌지장치(112)는 본체(100)에 구비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유니트(104)의 양측에 설치되고, 이러한 힌지장치(112)의 샤프트는 플립(102)의 힌지 너클(knuckle)(110)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여기서 LCD 유니트(104)는 본체(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표시창만을 도시하였으며, 힌지장치(112)도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플립(102)은 양측으로 네크(108)가 힌지장치(112)쪽으로 각각 연장되고, 네크(108)의 단부에 힌지 너클(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상태에서 플립(102)은 1점 쇄선으로 도시한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100)상에 개폐된다.
또한 본체(100)의 최상부 일측 모서리에는 안테나장치(106)가 위치하고, 안테나장치(106)의 아래에는 LCD 유니트(104)가 위치하며, LCD 유니트(104)의 아래에는 버튼들(114)과 키패드(116)가 위치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전면에서 플립(102)이 닫혔을 때 덮여지는 부분에 리드 스위치(reed switch)(120)가 내장되고, 플립(102)의 저면에서 플립(102)이 닫혔을 때 리드 스위치(120)와 대향되는 위치에 자석(122)이 내장된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120)와 자석(122)은 플립(102)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플립 개폐 감지장치이다.
그리고 스피커장치는 통상적인 플립 업 타입의 전화단말기와 달리 2개를 구비한다. 2개의 스피커장치(118,124) 중에 제1스피커장치(118)는 통상적인 스피커장치와 마찬가지로 플립(102) 하부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라 추가한 제2스피커장치(124)는 본체(100)의 전면 상부에서 플립(102)이 닫혔을 때 플립(102)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스피커장치(124)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플립(102)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제2스피커장치(124)를 통해 음성 출력이 가능하므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인 플립 업 타입에 있어서 마이크장치가 본체(1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었었다. 그러나 플립(102)이 닫힌 상태에서 제2스피커장치(124)를 사용할 경우 플립(102)이 열린 상태에서 제1스피커장치(118)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마이크장치에 대한 거리가 짧아진다. 이에따라 제2스피커장치(118)와 마이크장치 사이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서는 마이크장치(126)가 본체(100)의 하단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자 귀와 입 사이의 거리 확보를 위해 마이크장치를 포함한 송화부와 스피커장치를 포함한 수화부사이의 거리가 14cm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마이크장치(126)를 본체(100)의 하단 일측 모서리에 설치함으로써 제2스피커장치(118)와 마이크장치(126)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해도 통화에 지장이 초래하지 않게 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를 보인 것으로,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플립 개폐 감지장치(128)는 리드 스위치(120)가 저항(R1)을 통한 전원전압 Vcc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고, 리드 스위치(120)와 저항(R1)의 접속점은 MPU(Micro-processor Unit)(130)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리드 스위치(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석(122)과 대향된다. 그러므로 플립(102)이 열리면 리드 스위치(120)가 "오프"되고, 그에따라 전원전압 Vcc에 따른 논리 "하이"가 MPU(130)에 인가된다. 이와 달리 플립(102)이 닫히면 리드 스위치(120)가 "온"되고, 그에따라 접지에 따른 논리 "로우"가 MPU(130)에 인가된다. 이에따라 MPU(130)는 플립 개폐 감지장치(128)를 통해 플립(102)의 개폐상태를 학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MPU(130)에는 플립(102)의 개폐상태에 따라 스위치(134)를 절환시키도록 프로그램한다. 즉, 스위치(134)를 플립(102)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제2스피커장치(124)에 연결되도록 하고 플립(102)이 열려있는 경우에는 제1스피커장치(118)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134)는 보코더(vocoder)(132)의 음성 출력단과 제1,제2스피커장치(118,124) 사이에 접속되어 MPU(130)의 제어에 따라 음성 출력 경로를 제1,제2스피커장치(118,124) 중에 하나의 스피커장치에 연결한다. 보코더(132)는 통상적인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이크장치(126)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데이터를 MPU(130)로 출력하고 MPU(13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복호화(decoding)하여 음성신호를 음성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플립(102)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가 제2스피커장치(124)에 연결되므로 마이크장치(126)와 제2스피커장치(124)를 사용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화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립(102)을 열지 않고서도 버튼들(114) 중에 하나를 누름으로써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플립(102)이 열려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가 제1스피커장치(118)에 연결되므로 통상적인 정상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립 업 타입에 적용되는 본 발명은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를 폴더가 닫힌 상태로 보인 사시도이고, 이러한 도 4의 전화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를 도 5의 사시도로서 보였다. 도 4와 도 5에 보인 전화단말기는 본체(200)와, 폴더(202)와, 본체(200)와 폴더(202)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208)로 구성된다. 힌지장치(208)는 본체(200)의 상단에 설치된다. 힌지장치(208)에 의해 본체(200)에 연결되는 폴더(202)는 저면에 제1스피커장치(220)가 위치하고, 일단을 따라 힌지 너클(214)이 형성된다. 힌지 너클(214)은 대칭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이러한 힌지 너클(214)은 슬롯(216)에 위치되어 힌지장치(208)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폴더(202)는 1점 쇄선으로 도시한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200)상에 개폐된다. 그리고 본체(200)의 최상단에는 안테나장치(206)가 위치하고, 본체(200)의 최상단을 따라 하나의 센터 아암(210)(center arm)과, 센터 아암(210)의 양측으로 사이드 아암(212)(side arm)이 형성된다. 센터 아암 (210)과 사이드 아암(212) 사이에 슬롯(216)이 마련된다. 센터 아암(210) 하측으로 LCD 유니트(204)가 위치하고, LCD 유니트(204) 하측으로 키패드(218)가 위치한다. 그리고 본체(200)의 전면에서 폴더(202)가 닫혔을 때 덮여지는 부분에 리드 스위치(226)가 내장되고, 폴더(202)의 저면에서 폴더(202)가 닫혔을 때 리드 스위치(226)와 대향되는 위치에 자석(228)이 내장된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226)와 자석(228)은 폴더(202)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통상적인 폴더 개폐 감지장치이다. 여기서 LCD 유니트(204)는 본체(200)의 전면에 노출되는 표시창만을 도시하였으며, 힌지장치(208)도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상기한 도 4와 도 5에 보인 전화단말기도 전술한 도 1과 도 2에 보인 전화단말기와 마찬가지로 2개의 스피커장치(220,224)를 구비한다. 2개의 스피커장치(220,224) 중에 제1스피커장치(220)는 통상적인 스피커장치와 마찬가지로 폴더(202) 하부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라 추가한 제2스피커장치(224)는 폴더(202)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2스피커장치(224)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폴더(202)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제2스피커장치(224)를 통해 음성 출력이 가능하므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장치(222) 역시 전술한 도 1과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체(200)의 하단 일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기한 도 4와 도 5에 보인 폴더 타입의 전화단말기의 동작은 전술한 도 1과 도 2에 보인 플립 업 타입의 전화단말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1,제2스피커장치(220,224)를 폴더(202)의 개폐상태에 대응되게 사용하기 위해 적용되는 회로도 전술한 도 3과 같다.
따라서 폴더(202)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가 제2스피커장치(224)에 연결되므로 마이크장치(222)와 제2스피커장치(224)를 사용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화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폴더(202)를 열지 않고서도 본체(200)의 측면에 있는 버튼(230)을 누름으로써 착신에 응답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폴더(202)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가 제1스피커장치(220)에 연결되므로 통상적인 정상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스피커를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에 따라 각각 사용 가능하게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상태에 대응되는 스피커에 음성 출력 경로를 연결함으로써 플립 또는 폴더를 열지 않고도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를 전화단말기의 본체의 하단부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하는 예를 보였으나, 본체 하단부의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고 마이크와 스피커간의 거리가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의 전면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스피커를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에 따라 각각 사용 가능하게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플립 또는 폴더의 개폐상태에 대응되는 스피커에 음성 출력 경로를 연결함으로써 플립 또는 폴더를 열지 않고도 통화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플립 업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단말기의 플립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스피커장치와,
    상기 전화단말기의 본체의 전면 상부에서 플립이 닫혔을 때 상기 플립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스피커장치와,
    상기 플립의 개폐를 감지하는 플립 걔폐 감지장치와,
    상기 플립 걔폐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플립의 걔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플립이 닫혀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를 상기 제2스피커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플립이 열려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를 상기 제1스피커장치에 연결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을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단말기의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마이크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을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장치.
  3.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단말기의 폴더의 저면에 설치되는 제1스피커장치와,
    상기 폴더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제2스피커장치와,
    상기 폴더의 개폐를 감지하는 폴더 걔폐 감지장치와,
    상기 폴더 걔폐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폴더의 걔폐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폴더가 닫혀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를 상기 제2스피커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폴더가 열려있는 경우에는 음성 출력 경로를 상기 제1스피커장치에 연결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단말기의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마이크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 장치.
KR1019980030331A 1998-07-28 1998-07-28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KR100268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331A KR100268239B1 (ko) 1998-07-28 1998-07-28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AU16382/99A AU709832B1 (en) 1998-07-28 1999-02-10 Flip-up type or folder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which enables user to answer call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US09/298,414 US6359984B1 (en) 1998-07-28 1999-04-23 Flip-up type or folder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which enables user to answer call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CN99106797A CN1118175C (zh) 1998-07-28 1999-05-20 应答时不翻盖或打开折叠器的翻盖型或折叠型移动电话
AU30173/99A AU760290B2 (en) 1998-07-28 1999-05-20 Flip-up type or folder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which enables user to answer call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DE69925421T DE69925421T2 (de) 1998-07-28 1999-07-06 Klappbares Mobiltelefonendgerät
EP99113072A EP0977414B1 (en) 1998-07-28 1999-07-06 Foldable mobile telephon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331A KR100268239B1 (ko) 1998-07-28 1998-07-28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725A true KR20000009725A (ko) 2000-02-15
KR100268239B1 KR100268239B1 (ko) 2000-10-16

Family

ID=19545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331A KR100268239B1 (ko) 1998-07-28 1998-07-28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68239B1 (ko)
AU (1) AU7098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429A (ko) * 1999-12-15 2001-07-04 서평원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07875A (ko) * 2000-07-19 2002-01-29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리드프레임
KR100694025B1 (ko) * 1999-10-0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37684B1 (ko) * 2007-08-06 2014-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5784A (ja) * 1996-04-17 1998-03-06 Lucent Technol Inc 可動キーパッドを有する携帯電話器
US5838789A (en) * 1996-12-30 1998-11-17 Ericsson Inc. S-shaped flip cellular telephone
KR19990000037A (ko) * 1997-06-02 1999-01-15 윤종용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025B1 (ko) * 1999-10-01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형 휴대폰의 통화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10056429A (ko) * 1999-12-15 2001-07-04 서평원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07875A (ko) * 2000-07-19 2002-01-29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리드프레임
KR101437684B1 (ko) * 2007-08-06 2014-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09832B1 (en) 1999-09-09
KR100268239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9984B1 (en) Flip-up type or folder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which enables user to answer call without opening flip or folder
KR100557078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30057661A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JP3764922B2 (ja)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JPH1127357A (ja) フリップカバーを有する携帯用端末機
JPH0637697A (ja) 携帯電話機
KR20030041372A (ko) 듀얼 윙 폴더 단말기
KR100663486B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GB2390259A (en) Multi-display mobile terminal.
KR100268239B1 (ko)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 플립이나 폴더를 열지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KR20000013790A (ko) 플립 업 타입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단말기에서플립이나 폴더를 열지 않고 통화 가능한장치
KR100416749B1 (ko) 듀얼 액정 표시화면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3735234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81927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5716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30090B1 (ko)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
KR200221349Y1 (ko)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KR200172531Y1 (ko) 이중 플립형 화상통신 단말기
KR100678211B1 (ko) 플립 타입 휴대폰
KR200187548Y1 (ko) 폴더의 댐핑장치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200214955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단일 너클을 갖는 플립커버
JP2001309000A (ja) 折り畳み式移動体通信端末装置
KR100350495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및 통화 패스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183196Y1 (ko) 휴대용 전화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202

Effective date: 200410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