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9398A -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 - Google Patents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9398A
KR20000009398A KR1019980029779A KR19980029779A KR20000009398A KR 20000009398 A KR20000009398 A KR 20000009398A KR 1019980029779 A KR1019980029779 A KR 1019980029779A KR 19980029779 A KR19980029779 A KR 19980029779A KR 20000009398 A KR20000009398 A KR 20000009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etwork
portable terminal
mode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616B1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2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61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9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5Telephon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the purpose or context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1091Fixed mobile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유선경로로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통신망간에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위한 키 패드(10); 상기 키 패드(10)와 접속하여 키 입력 데이타를 수신하는 키 패드 접속부(11); 음성신호 입출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키 패드(10)에 의해 설정된 모드의 경로로 전송하기 적합하도록 신호처리하거나, 또는 안테나 및 상기 무선 송신부(50)로부터 수신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입출력부(12)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DSP)(20);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망(300) 접속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의 신호처리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33); 상기 신호처리된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21);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무선 교환망(200)과 인터넷망(300)에 각각 연결이 가능한 외부의 유선 교환망(100)내의 유선 교환기(Exx)로 유선접속하고, 상기 유선접속된 음성신호를 A/D 변환기(22)를 거쳐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에 전송하는 라인 접속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가의 공중파 사용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
본 발명은 유선망을 이용하여 통화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유선경로로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통신망간에 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이를 통해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하고 통화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단말기의 통화료가 시중의 유선 단말기와 별 차이 없도록 구현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유용한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또는 PDA(Pocket Digital Assistant) 등으로 널리 상용화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휴대용 단말기라 함)는, 통신거리 또는 단말기 종류 등에 관계없이 구역별로 임의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에 의해 무선으로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접속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심지어 이동중에도 통신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여 다량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 이용자들은 통신환경에 관계없이 통화시간에 따라 동일한 비율로 무선통화료를 지불하여야 함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이유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을 꺼리게 되었으며, 특히 잦은 국제전화 이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무선통화료는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부 사용자들은 부수적으로 PC(개인용 컴퓨터) 통신을 이용하여 유선전화망과 연결된 인터넷망에 접속하는 '인터넷 폰(Internet phone)' 서비스를 제공받기도 하였으며, 이는 인터넷망으로부터 접속라인을 할당받은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망(천리안, 하이텔 등)을 경유함과 동시에 이를 지원하는 PC 모뎀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폰 프로그램을 자신의 PC에서 실행시킴으로써 가능하였으며, 이와 별도로 전용라인을 통해 상기 인터넷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통화료를 절약하는 효과를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용되는 '인터넷 폰' 서비스 방식은, PC나 랜(LAN)과 같은 고가의 장비나 시스템을 필요로 함에 따라 극히 제한적인 환경에서만 이용이 가능하여, 휴대용 단말기 사용에 따른 고가의 통화료를 경감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으로 작용하기에는 상당히 불충분하였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무선통신망 또는 유선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사용가능케 하기 위한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방법의 흐름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Exx: 유선 교환기 Exy: 무선 교환기
Px: 기지국 10 : 키 패드
11 : 키 패드 접속부 12 : 음성신호 입출력부
20 : 디지털 신호처리부(DSP) 21 : D/A 변환기
22 : A/D 변환기 30 : 중앙처리장치(CPU)
31 : 라인 접속부(Wire i/F) 32 : 랜 접속부(LAN i/F)
33 : 롬(ROM) 40 : 무선 수신부
50 : 무선 송신부 100 : 유선 교환망
200 : 무선 교환망 300 : 인터넷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신호 전송선로를 유선모드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수단;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른 신호방식과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신호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선로에 접속하는 라인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방법은, 음성데이터 송수신모드를 유선으로 절환하는 제1단계; 상기 절환된 모드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망에 호 요구하는 제2단계;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호 성립된 경로로 압축 음성데이타로 송신하고 수신되는 압축 음성데이타를 복원출력하는 제3단계; 및 호 종료시,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무선으로 복원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이루어지는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에서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모드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송수신모드를 유선으로 절환하면, 상기 절환된 모드의 유선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망에 호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호 접속된 유선경로로 전송되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압축처리되면, 라인 접속수단은 상기 압축된 음성데이타를 외부선로에 접속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외부선로로부터 수신입력되는 압축 음성데이타를 상기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원래의 음성신호로 복원출력하게 되며, 상기 호 종료시에는 기 설정되었던 데이터 송수신 모드를 무선으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을 위한 키 패드(10); 상기 키 패드(10)와 접속하여 키 입력 데이타를 수신하는 키 패드 접속부(11); 음성신호 입출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키 패드(10)에 의해 설정된 모드의 경로로 전송하기 적합하도록 신호처리하거나, 또는 안테나 및 상기 무선 송신부(50)로부터 수신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신호 입출력부(12)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신호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부(DSP)(20);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인터넷망(300) 접속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의 신호처리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33); 상기 신호처리된 음성데이타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21);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무선 교환망(200)과 인터넷망(300)에 각각 연결이 가능한 외부의 유선 교환망(100)내의 유선 교환기(Exx)로 유선접속하고, 상기 유선접속된 음성신호를 A/D 변환기(22)를 거쳐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에 전송하는 라인 접속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방법인 도2의 흐름도와 병행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A)가 무선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초기상태에서, 먼저 사용자가 상기 키 패드(10)에 설치된 특정키, 즉 "유선"버튼을 누르게 되면(S01), 상기 중앙처리장치(30)는 이를 상기 키 패드 접속부(11)를 통해 확인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중앙처리장치(30)는, 상기 키 패드(10) 및 키 패드 접속부(11)를 통해 입력확인된(S02) 접근번호(전화번호)의 해당 착신지가 국내인 경우, 상기 입력된 접근번호를 유선 전화망(100)에 접속하기 위한 해당 프로그램을 롬(33)으로부터 독출하게 된다. 이어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20)는, 상기 독출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입력된 접근번호를 호 접속 요청데이타로 변환하게 되고(S03) 이 후, 상기 변환된 호 접속 요청데이타는 D/A 변환기(21) 및 라인 접속부(31)를 차례로 거쳐 상기 유선 전화망(100)에 송신된다(S04). 이 후, 상기 유선 전화망(100)내의 유선 전화교환기(Exx)가, 상기 송신된 호 접속 요청데이타를 해당 전화교환기(Exx)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해당 교환기(Exx)는 전송되는 호 접속 요청데이타의 해당 착신지에 호(call)를 요구함으로써 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30)는 상기 음성신호 입출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롬(33)으로부터 독출된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신호처리부(20)에서 신호처리하게 되는데, 상기 부호화된 음성데이타는 D/A 변환기(21)를 거쳐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S06) 상기 라인 접속부(31)로 전송되게 된다. 이 후, 상기 변환전송된 음성신호는 상기 라인 접속부(31)와 연결된 유선 전화망(100)을 통해 상기 호 접속된 착신지로 전송된다(S07).
또한, 상기 착신지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전술한 바의 역과정에 의해 유선 전화망(100), 라인 접속부(31), A/D 변환기(22) 및 디지털 신호처리부(30)를 차례로 거쳐서 음성신호 입출력부(12)를 통해 출력되어 발신자가 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키 패드(10) 및 키 패드 접속부(11)를 통해 입력확인된(S02) 접근번호의 해당 착신지가 국외인 경우, 상기 접근번호가 유선 전화망(100)내의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망(천리안, 하이텔 등)및 인터넷망(300)을 경유하여 국외의 전화망(도면 미도시)에 전송되기 위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중앙처리장치(30)는, 롬(33)으로부터 독출하게 된다.
이어, 상기 독출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20) 및 D/A 변환기(21)에 의해 상기 접근번호는 호 접속 요청데이타로 변환되어, 라인 접속부(31), 통신 서비스 제공업자망 및 인터넷망(300)을 통해 해당 국외 전화망에 연결송신되며 이 후 해당 국외 전화 교환기에 전송됨으로써, 착신지와의 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후 음성신호 입출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 롬(33)으로부터 독출된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신호처리부(20), D/A 변환기(21) 및 라인 접속부(31)를 차례로 거쳐 변환된 후(S05,S06), 상기와 같이 호 접속된 경로를 통해 착신지의 수신자에게 전송된다(S07).
또한, 상기 착신지 수신자의 음성신호는 전술한 바의 역과정에 의해 국외 전화망, 인터넷망(300) 및 유선 전화망(100)를 거쳐, 상기 라인 접속부(31), A/D 변환기(22), 디지털 신호처리부(30) 및 음성신호 입출력부(12)를 통해 사용자가 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도1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1의 일 실시예는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전화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인 반면 도3의 본 실시예는 랜(LAN)을 통해 전화접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1과 동일한 구성요소외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랜(LAN)에 접속하는 랜 접속부(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롬(33)은 호 접속데이타와 음성데이타를 랜에 전송하기 위한 상기 랜 접속부(32)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해당 구동 프로그램에 의해 신호처리된 호 접속 요청데이타는, 상기 랜 접속부(32)를 통한 전용라인을 이용하여 인터넷망(300)과 연결되어 있는 국외의 전화망에 전송됨으로써 상기 호 접속 요청데이타의 해당 착신지로 호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음성신호 입출력부(12)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상기 롬(33)으로부터 독출된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신호처리부(20)와 랜 접속부(32)를 차례로 거쳐 상기 호 접속된 착신지로 전송되며, 전술한 바의 역과정에 의해 수신자의 음성신호가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착신지의 수신자와 사용자간의 국제전화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은, 항시 무선선로를 이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유선선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공중파 이용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는 매우 효율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신호 전송선로를 유선모드로 선택하는 모드 선택수단;
    상기 선택된 모드에 따른 신호방식에 상응하여 음성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신호처리된 음성신호를 외부선로에 접속하는 라인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접속수단은, 근거리 통신망(LAN)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접속수단은, 전화망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음성데이터 송수신모드를 유선으로 절환하는 제1단계;
    상기 절환된 모드의 경로를 통해 데이터 통신망에 호 요구하는 제2단계; 및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호 성립된 경로로 압축 음성데이타로 송신하고 수신되는 압축 음성데이타를 복원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 이후, 호 종료시 또는 유선접속경로 단절시에 자동으로 데이터 송수신모드를 무선으로 복원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방법.
KR1019980029779A 1998-07-21 1998-07-21 유선망을병용하는휴대용단말기및이의통화방법 KR10029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779A KR100296616B1 (ko) 1998-07-21 1998-07-21 유선망을병용하는휴대용단말기및이의통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9779A KR100296616B1 (ko) 1998-07-21 1998-07-21 유선망을병용하는휴대용단말기및이의통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398A true KR20000009398A (ko) 2000-02-15
KR100296616B1 KR100296616B1 (ko) 2001-10-26

Family

ID=1954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779A KR100296616B1 (ko) 1998-07-21 1998-07-21 유선망을병용하는휴대용단말기및이의통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11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프로컨텐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반(무선)전화기로 호환 사용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4851B1 (ko) * 1997-01-11 2000-02-15 구자홍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 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화수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411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프로컨텐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반(무선)전화기로 호환 사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616B1 (ko)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7402C1 (ru) Способ активизации и отмены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чевых сигналов или сигналов данных с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1001978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인식 및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RU2303853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аппаратная связи
KR20020046772A (ko) 통신망 정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
KR20030009000A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JPH08186624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20000009398A (ko) 유선망을 병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통화방법
KR100593608B1 (ko)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핸드셋과 전화기 본체간의연결 방법
JP2737672B2 (ja) 携帯情報通信装置
KR10026075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한 호 전환 방법 및장치
RU50738U1 (ru) Шлюз для совместной работы цифровых радиостанций стандарта tetra и аналоговых радиостанций, использующих шеститональную систему селективного вызова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KR100617539B1 (ko) 다양한 음성선택이 가능한 통신시스템의 자동응답방법
JPH10224506A (ja) 通信端末装置
KR950022664A (ko) Isdn망에 접속 가능한 디지탈 키폰시스템
KR100468580B1 (ko) 공중통신망 접속 휴대전화기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00044736A (ko)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JPH066192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18915A (ko) 무선 휴대 전화기의 디티엠에프를 이용한 사용자 정보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060070761A (ko) 키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기의 피티티 기능 수행 장치
KR20010027326A (ko) 무선 통신망에서 하나의 가입자 호를 이용한 전화 및 팩스 신호 수신방법
KR19980082886A (ko) 전화망 무선접속용 컴퓨터 통신시스템
KR20000034368A (ko) 무선 호출 시스템에서의 음성 메시지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