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806U - 깁스용 패드 - Google Patents

깁스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806U
KR20000008806U KR2019980020660U KR19980020660U KR20000008806U KR 20000008806 U KR20000008806 U KR 20000008806U KR 2019980020660 U KR2019980020660 U KR 2019980020660U KR 19980020660 U KR19980020660 U KR 19980020660U KR 20000008806 U KR20000008806 U KR 20000008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core material
pad
edges
ureth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조
전우상
Original Assignee
채희조
전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조, 전우상 filed Critical 채희조
Priority to KR2019980020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806U/ko
Publication of KR20000008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806U/ko

Links

Landscapes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신성의 향상과 굳은 후의 뒤틀림을 억제시켜 안정된 정형효과를 거둘 수 있는 깁스용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곳곳에 통공(4)을 천공한 다공형 심재(1)로 하고, 이 심재(1)의 길이방향에 연한 양쪽 가장자리에는 톱니부(5)를 형성하며, 상기 심재(1)를 우레탄 수지에 함침시킨 후 이면에는 부직포제 이면지(2)를 그리고 앞면에는 스폰지(3)를 덧붙인 것이다.

Description

깁스용 패드
본 고안은 석고붕대를 대신하도록 개발된 깁스용 패드의 굴신성의 향상과 굳은 후의 뒤틀림을 억제시켜 안정된 정형효과를 거둘 수 있게 한 깁스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에 관련된 깁스용 패드는 두께 3mm 정도의 비교적 얇은 띠 모양의 부직포를 우레탄수지에 함침시켜 불투수성 포장대에 진공포장한 것으로서, 정형에 필요한 길이 만큼 절단하여 포장을 풀고 환부를 깁스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석고처럼 굳어서 골절상을 입은 뼈가 바르게 접합되게 된다.
깁스용 패드는 용이한 취급성, 깁스 작업 및 깁스 해체작업의 신속성, 경량성, 분진이 날리지 않아 위생적으로 안전하다는 장점을 가진 반면에 굳은 후에 외력에 쉬 뒤틀리는 경향이 있어 정형효과가 불안하다. 또한 굴신성, 특히 팔꿈치나 손목, 무릎, 발목과 같은 엘보부에서 두드러지게 부드럽지 못한 굴신성을 보여정형효과가 낮았다.
굳은 후에 외력에 의해 쉬이 뒤틀리는 현상은 부직포제 심재가 너무 얇은 데 기인하고, 낮은 굴신성은 엘보부위에 둘러질 때 주름이 잡혀 이것이 굴신성을 저해하고 환부에 대한 밀착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깁스용 패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머금게 되는 부직포제 심재의 두께를 늘려 굳은 후에 휨응력을 높이고, 상기 심재를 다공형으로 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에 연한 양쪽 가장자리에 톱니부를 형성하여 굴신성능을 개선한 깁스용 패드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깁스용 패드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우레탄 수지함침 심재의 굴신특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심재 2 : 이면지
3 : 스폰지 4 : 통공
5 : 톱니부
도 1에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깁스용 패드는 두께 6-8mm의 부직포제 심재(1)로 하고, 이 심재(1)는 우레탄 수지에 침지하여 적당량이 남도록 적당한 압력으로 짠 다음에 이면에다 얇고 질긴 부직포제 이면지(2)를 대고 심재(1)의 앞면에는 스폰지(3)를 씌운 다음 그 가장자리(7)를 상기 이면지(2)의 가장자리(6)에 점착제로 접합하여 일체화한다.
도 2와 더불어, 심재(1)는 곳곳에 통공(4)을 천공하고 길이방향에 놓인 가장자리에는 톱니부(5)를 형성한다. 통공(4)은 깁스한 후의 통기성을 강화하여 깁스한 부위의 피부염증을 예방하는 효과는 물론 굴신성을 높여 깁스할 때 패드가 환부측 피부에 밀착되기 쉽게 하는 기능도 갖는다.
심재(1)의 두께가 늘어남에 따라 우레탄 수지의 함침량이 많아진다. 이로 인하여 심재(1)의 가장자리는 투박하고 뻣뻣한 감이 더해져서 굴신력의 저하가 불가피하다. 가장자리에 주어진 톱니부(5)는 팔꿈치, 손목, 무릎, 발목 같은 데를 깁스할 때 심재(1)의 가장자리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므로서 부족한 바탕부위의 굴신력을 보완한다. 이에 따라 패드를 정형환부의 피부에 밀착시켜 바르게 정형되도록 깁스할 수 있는 것이다.
이면지(2)는 심재(1)의 이면을 덮어서 통공(4)으로 세균, 먼지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게 방지하고 스폰지(3)는 피부에 대한 깁스감을 부드럽게 하여 이물감을 덜고 완충재로서의 소임을 다하게 된다.
심재(1)에 묻힌 우레탄 수지는 햇빛과 공기중에 노출시키면 이내 굳어 버리므로 불투과성 합성수지 포장대에 넣어 진공포장한 후 반출하는 것이 관행이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할 시에는 포장대까지 한꺼번에 절단하여 사용하고 잔여분은 실링 등의 방법으로 곧 밀봉하여 보관해야 다 쓸 때까지 굳지 않고 두고두고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의 깁스용 패드는 다공형 심재의 가장자리에 휘어지는 부분의 가장자리가 주름이 잡히지 않도록 톱니부를 형성하여 우레탄 수지에 함침시킨 다음 이면에 얇은 부직포제 이면지를 대고 앞면에는 스폰지를 덮어 접합한 것으로서, 다스의 통공과 톱니부가 존재함으로써 팔꿈치, 손목, 무릎, 발목에 깁스할 때 두터운 심재의 가장자리 부분이 주름잡히는 것을 막아 정형할 환부의 피부에 밀착시키기 용이한데다 두터운 심재는 깁스한 후 우레탄 수지가 경화된 이래 외력에도 뒤틀림이 극미하거나 아예 뒤틀리지 않으므로 정형 환부에 대한 올바른 정형 완치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곳곳에 통공(4)을 천공한 다공형 심재(1)로 하고, 이 심재(1)의 길이방향에 연한 양쪽 가장자리에는 톱니부(5)를 형성하며, 상기 심재(1)를 우레탄 수지에 함침시킨 후 이면에는 부직포제 이면지(2)를 그리고 앞면에는 스폰지(3)를 덧붙인 깁스용 패드.
KR2019980020660U 1998-10-28 1998-10-28 깁스용 패드 KR200000088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60U KR20000008806U (ko) 1998-10-28 1998-10-28 깁스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660U KR20000008806U (ko) 1998-10-28 1998-10-28 깁스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806U true KR20000008806U (ko) 2000-05-25

Family

ID=6952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660U KR20000008806U (ko) 1998-10-28 1998-10-28 깁스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80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113A (ko) * 2002-08-16 2004-02-21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피부 부착용 늘어나는 부직포 밀착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113A (ko) * 2002-08-16 2004-02-21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피부 부착용 늘어나는 부직포 밀착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517723D1 (de) Klebefilm für einen Klebeverband sowie Klebeverband diesen Film verwendend
DE60336094D1 (de) Blutstillende Vorrichtung mit aufblasbarem Ballon
DE69014888T2 (de) Heftpflaster.
NO903582D0 (no) Kontinent ostomatbandasje.
DK0858301T3 (da) Individuelt tilpasset ankelstøtte
NO20032450D0 (no) Kundetilpasset puteanordning for tennisalbu
US2837088A (en) Ventilating means for surgical casts
KR20030024875A (ko) 경화성 접착 부목 및 방법
CA2342812A1 (en) Custom-fitted ankle splint product
AU673228B2 (en) Self-adhesive prefabricated bandage
GR3031344T3 (en) Method of making an elastic adhesive bandage.
KR900002693A (ko) 방충기구
KR102271801B1 (ko) 정형외과용 일체형 스프린트
ATE416738T1 (de) Schiene mit feuchtigkeitsundurchlässiger lage
KR20000008806U (ko) 깁스용 패드
ATE330548T1 (de) Wegwerfbares operationslaken
GB9509747D0 (en) Surgical dressing
PT1066064E (pt) Ligadura rigida sintetica
JP7271847B2 (ja) 医療用固定材
JP3074702U (ja) 救急絆創膏
JPS6214843Y2 (ko)
JP2600377Y2 (ja) 帯 体
KR20190072871A (ko) 의료용 밴드
JP2003212787A (ja) 樹液シート
KR20070090135A (ko) 의료용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