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223U -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 Google Patents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223U
KR20000008223U KR2019980019850U KR19980019850U KR20000008223U KR 20000008223 U KR20000008223 U KR 20000008223U KR 2019980019850 U KR2019980019850 U KR 2019980019850U KR 19980019850 U KR19980019850 U KR 19980019850U KR 20000008223 U KR20000008223 U KR 20000008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rane
fixing bolt
heavy object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도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9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223U/ko
Publication of KR20000008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23U/ko

Links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거운 물체를 인양하는 크레인, 호이스트와 같은 기중기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무거운 물체를 연결하기 기중기의 로프에 연결하기 위한 고정 볼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설명하는 고정 볼트는 기중기에 연결된 체인블럭의 체인, 슬링(sling), 와이어와 같은 로프의 끝단부에 부착된 갈고리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런 갈고리를 상기 무거운 물체에 자유롭게 연결하기 위해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어댑터부로 쵸크베어링의 분해 및 조립시 체결되는 로프를 꼬이지 않게하므로써, 작업능률 및 안전향상을 높일 수 있는 고정 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중기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무거운 물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볼트(1, 2, 10, 20) 및 상기 기중기의 갈고리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어댑터(4, 30)를 포함하는 고정 볼트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는 상기 볼트(10, 20)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볼트(10, 20)의 헤드부(20)에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볼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 볼트
본 고안은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 볼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철소의 압연 롤에 장착된 쵸크베어링(chock bearing)과 같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무거운 물체와 크레인의 로프를 연결시키는데 사용하는 고정 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압연을 통하여 철강재료를 생산하는데 압연기를 사용한다. 압연기는 중량의 쵸크베어링을 블럭형식으로 장착한 쵸크(chock)와, 이런 쵸크에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다수개의 롤들을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압연기는 제철소의 계획정비기간동안에 분해 및 조립되어 정비를 받게 된다. 여기에서, 쵸크베어링은 인력으로 분해 및 조립하기에는 너무 무겁기 때문에, 이런 쵸크베어링을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 호이스트와 같은 기중기를 사용한다.
기중기에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릴 때, 체인블럭의 체인, 슬링(sling), 와이어와 같은 로프가 달려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는 끝단부에 후크(hook)와 같은 갈고리를 갖는다. 그리고, 이런 갈고리를 상기 쵸크베어링에 연결하는 고정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쵸크베어링에는 고정 볼트가 볼트결합할 수 있는 연결볼트용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볼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쵸크베어링에 형성된 연결볼트용 볼트구멍에 대응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와, 헤드부(2)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2)에는 일반적인 아이볼트(eyebolt)와 같이 걸고리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2)의 걸고리구멍(3)에는 상기 로프의 갈고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섀클(shackle)과 같은 어댑터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어댑터(4)는 로프의 갈고리를 걸 수 있는 링형상으로서, 링형상의 한쪽이 단절되어 바깥쪽으로 각각 꺾여진 양 끝단부(5)를 결합용볼트(6)로 체결하는 일반적인 연결용 쇠고리이다.
따라서, 상기 쵸크베어링과 같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물체에 형성된 연결볼트용 볼트구멍에 종래의 고정 볼트를 체결하고, 이런 고정 볼트의 걸고리구멍(3)에 어댑터(4)를 체결한다. 이렇게 체결된 어댑터(4)에는 상기 기중기의 로프가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쵸크베어링은 분해 및 조립을 위해서 기중기로 들어 올려진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 볼트는 쵸크베어링을 들어올리기 위한 기중기의 사용시, 섀클과 같은 어댑터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쵸크베어링의 분해 및 조립작업을 지연시키고, 매 작업마다 섀클과 같은 어댑터 결합시켜 사용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정 볼트는 상기와 같은 어려움을 없애기 위해서 상기 어댑터와 로프를 제거하지 않고 고정 볼트를 분해할 경우에, 상기 기중기의 로프가 상기 고정 볼트의 나사회전에 따라 꼬이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어댑터부로 쵸크베어링의 분해 및 조립시 체결되는 로프를 꼬이지 않게 하므로써, 작업능률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 볼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 볼트에 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섀클(shackle)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나사부 20 : 헤드부
21 : 홈 22, 23 : 지지턱
24 : 핸들부 30 : 어댑터부
31 : 제1결합부 32 : 제2결합부
33 : 걸쇠부 34 : 어댑터체결볼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기중기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무거운 물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볼트 및 상기 기중기의 갈고리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어댑터를 포함하는 고정 볼트가 제공된다. 그러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볼트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볼트의 헤드부에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볼트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볼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 볼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볼트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이다.
도 3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고정 볼트는 일반적인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0)와 헤드부(20)를 갖고 있고, 이런 헤드부(20)에 회전할 수 있게 체결된 어댑터부(30)를 갖는다.
도 4에 보이듯이, 헤드부(20)에는 원주방향으로 어댑터부 조립용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런 홈(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지지턱(22, 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헤드부(20)의 상면에는 소정공구를 사용하도록 돌출된 반원형상의 핸들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 볼트의 홈(21)에 체결될 수 있는 어댑터부(30)는 상기 헤드부(20)의 홈(21)의 외경을 감싸게 지름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경을 따라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제1결합부(31)와 제2결합부(32)를 갖는다. 그러한 제1결합부(31)와 제2결합부(32)의 내경이 형성된 부위는 상기 헤드부(20)의 지지턱(22, 23)들과 소정크기의 여유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결합부(31)에는 일반적인 기중기용 로프가 용이하게 삽입되어 걸릴 수 있게 수직한 상방향으로 반환 형상 또는 반타원환 형상을 이루는 걸쇠부(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31)에는 어댑터체결볼트(34)가 결합될 수 있는 두개의 제1볼트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결합부(32)는 상기 제1볼트구멍(35)에 대응한 두개의 제2볼트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어댑터부(30)의 제1결합부(31)는 헤드부(20)의 홈(21)에 지름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2결합부(32)는 상기 헤드부(20)의 홈(21)을 감싸도록 제1결합부(31)에 어댑터체결볼트(34)로 결합한다. 이렇게 결합한 어댑터부(30)는 원주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헤드부(20)의 홈(21)에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고정 볼트는 상기 로프가 어댑터부(30)의 걸쇠부(33)에 체결되어 있을 경우, 로프를 꼬이지 않게 하면서, 쵸크베어링의 연결볼트용 볼트구멍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 볼트는 쵸크베어링에서 분해 및 조립될 경우에, 로프를 제거하지 않고 어댑터부의 걸쇠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 시킨 후, 쵸크베어링과 같은 무거운 물체의 볼트구멍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고정 볼트는 로프가 삽입되는 걸쇠부가 회전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섀클과 같은 연결용 쇠고리을 부가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없고, 로프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연속적으로 다른 쵸크베어링의 분해 및 조립작업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고정 볼트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기중기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무거운 물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결합될 수 있는 볼트(1, 2, 10, 20) 및 상기 기중기의 갈고리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어댑터(4, 30)를 포함하는 고정 볼트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는 상기 볼트(10, 20)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볼트(10, 20)의 헤드부(20)에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볼트.
KR2019980019850U 1998-10-16 1998-10-16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KR2000000822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50U KR20000008223U (ko) 1998-10-16 1998-10-16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50U KR20000008223U (ko) 1998-10-16 1998-10-16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23U true KR20000008223U (ko) 2000-05-15

Family

ID=6970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850U KR20000008223U (ko) 1998-10-16 1998-10-16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22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00B1 (ko) * 2007-08-22 2009-08-11 대한주택공사 계단식 옹벽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소일 네일링 인장재와의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식 옹벽의 축조방법
KR100985817B1 (ko) * 2010-03-05 2010-10-08 (주)미주건설엔지니어링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KR101480526B1 (ko) * 2013-05-28 2015-01-09 성동조선해양(주) 선박용 러더의 스윙 테스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00B1 (ko) * 2007-08-22 2009-08-11 대한주택공사 계단식 옹벽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소일 네일링 인장재와의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계단식 옹벽의 축조방법
KR100985817B1 (ko) * 2010-03-05 2010-10-08 (주)미주건설엔지니어링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KR101480526B1 (ko) * 2013-05-28 2015-01-09 성동조선해양(주) 선박용 러더의 스윙 테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4590B1 (en) Tower erection lift kit tools
US6349985B1 (en) Hoist ring assembly
CN112340590A (zh) 钢管柱转体起吊的装置和钢管柱转体起吊的方法
KR20060035704A (ko) 길이 가변형 와이어슬링
CN201999622U (zh) 一种用于工作辊或中间辊的起吊装置
KR20000008223U (ko) 물체의 인양을 위해 이용되는 고정볼트
US10227216B2 (en) Tool lifting devices, oilfield flange lifting safety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12723150A (zh) 一种料头夹具
US5332272A (en) Hoisting sling
CN210550902U (zh) 一种船舶尾轴螺母拆装工具
CN108358037B (zh) 吊具
CN212450249U (zh) 一种可拆卸式吊装吊耳工装
CN210214538U (zh) 一种吊运装置
CN207774617U (zh) 一种重型箱体柱翻面夹具
CN211846845U (zh) 一种稳定型工字钢吊具
CN219620668U (zh) 一种钢丝绳折双防溜自锁装置
CN205590168U (zh) 一种翻转吊具
CN212198119U (zh) 一种建筑施工用安全性能高的钢筋吊装装置
CN214269937U (zh) 一种料头夹具
CN218560825U (zh) 一种半圆法兰吊具
CN216155317U (zh) 一种便于拆卸螺栓的起重万向吊环
CN216403549U (zh) 一种预制构件吊装单元及吊装装置
CN216859605U (zh) 一种用于安装竖直上方重型螺栓的工具
CN217264250U (zh) 一种机泵维修时的吊装工具
CN219341451U (zh) 夹持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