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113U -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113U
KR20000007113U KR2019980018457U KR19980018457U KR20000007113U KR 20000007113 U KR20000007113 U KR 20000007113U KR 2019980018457 U KR2019980018457 U KR 2019980018457U KR 19980018457 U KR19980018457 U KR 19980018457U KR 20000007113 U KR20000007113 U KR 20000007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rush
brush body
vacuum cleaner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용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8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113U/ko
Publication of KR20000007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113U/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넥크(Neck)를 통하여 연결되는 브러쉬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브러쉬몸체를 구성하는 브러쉬홀더의 흡입구 전방에 또다른 흡입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2개의 흡입구를 통하여 동시에 작용토록 하므로서 별도의 빗자루나 흡입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과 벽 사이의 모서리나 좁은 틈새 까지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에 넥크(Neck)를 통하여 연결되는 브러쉬몸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몸체의 흡입구를 앞쪽에도 설치하여 벽과 벽 사이 또는 벽과 바닥 사이의 구석이나 좁은 틈새 까지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도록 한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에 구동원인 흡입모터와 먼지주머니 및 필터 등이 내장되어 있고, 본체의 흡입구에는 흡입되는 이물질을 안내하기 위한 흡입관이 플렉시블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흡입관의 단부에는 흡입되는 이물질을 안내하기 위한 연장관이 연결되어 있고, 연장관의 단부에는 이물질의 흡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브러쉬몸체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과 연장관 사이에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파우어 조절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파우어 조절단에는 흡입모터의 전원을 온/오프 시킴과 동시 그 흡입력을 조절하기 위한 파우어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파우어 조절단의 파우어 스위치를 통하여 본체 내의 흡입모터를 구동시키면, 흡입모터의 구동과 동시 본체 내에는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 흡입력은 흡입관과 파우어 조절단 및 연장관을 통하여 브러쉬몸체에 작용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브러쉬몸체의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질은 다시 연장관과 파우어 조절단 및 흡입관을 거쳐 본체 내로 흡입된 다음 필터를 통하여 먼지주머니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어 먼지주머니에 적당량의 이물질이 쌓이면, 상기 먼지주머니를 본체로 부터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재 장착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중, 종래의 브러쉬몸체(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싱 역할을 하는 브러쉬커버(20)의 저면부에 브러쉬홀더(30)를 장착하고, 상기 브러쉬커버와 브러쉬홀더에는 연장관(50)과 연결된 넥크(40)의 선단을 구면접촉이 가능하도록 끼워서 연결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브러쉬홀더(30)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넥크(40)와 관통되는 하나의 흡입구(31)와, 이 흡입구의 전후면에 브러쉬가 끼워지는 요홈(32)을 일체로 형성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는 브러쉬홀더(30)의 중앙에 하나의 흡입구(31) 만이 형성되어 있어 바닥면을 청소하기는 용이하나, 상기 흡입구가 닿지 않는 벽과 벽 사이의 구석이나 틈새 등은 흡입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벽과 벽 사이의 구석이나 틈새 등을 청소할 경우에는 별도의 빗자루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쓸어내거나, 브러쉬몸체를 별도의 흡입브러쉬로 교체한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브러쉬몸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벽과 벽 사이의 구석이나 틈새 까지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는 브러쉬몸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브러쉬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러쉬몸체 20 : 브러쉬커버
30 : 브러쉬홀더 31,33 : 흡입구
32 : 요홈 40 : 낵크
50 : 연장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러쉬몸체를 구성하는 브러쉬홀더의 흡입구 전방에 또다른 흡입구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2개의 흡입구를 통하여 동시에 작용하므로 별도의 빗자루나 흡입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도 벽과 벽 사이의 모서리나 좁은 틈새 까지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브러쉬커버(20)의 저면부에 브러쉬홀더(30)가 장착되고, 상기 브러쉬커버와 브러쉬홀더에는 연장관(50)과 연결된 넥크(40)의 선단이 끼워져 구면 접촉하며, 상기 브러쉬홀더의 저면 중앙에 넥크(40)와 관통되는 하나의 흡입구(31)와 이 흡입구의 전후면에 브러쉬가 끼워지는 요홈(32)이 일체로 형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홀더(30)의 흡입구(31) 전방에 또다른 흡입구(3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흡입구(33)는 브러쉬홀더(30)의 선단부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31)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31)에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2개의 흡입구(31,33)는 외부에 설치된 별도의 버튼이나 조작을 통해 개폐를 제어할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청소기의 파우어 조절단에 구비된 파우어 스위치를 통하여 본체 내의 흡입모터를 작동시키면, 본체의 내부압력이 급격히 낮아져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 흡입력은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관과 파우어 조절단 및 연장관(50)을 거쳐 브러쉬몸체(10)의 흡입구(31,33)에 작용한다.
이때, 흡입력은 2개의 흡입구(31,33)에 골고루 작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2개의 흡입구를 통하여 동시에 흡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브러쉬홀더(30)의 저면에 형성된 2개의 흡입구(31,33)를 통하여 바닥면은 물론이고 벽과 벽 사이의 모서리나 구석진 부분 및 틈새 등을 손쉽게 청소할수 있다.
즉, 본 고안은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2개의 흡입구(31,33)를 통하여 동시에 작용하므로 저면의 흡입구(31)를 통해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면 등을 청소하고, 브러쉬몸체(10)가 잘 들어가지 않는 벽과 벽 사이의 모서리나 구석진 부분 및 틈새 등에는 전면부의 흡입구(3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빗자루나 흡입브러쉬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석진 부분이나 좁은 틈새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에 설치된 버튼이나 조작 등을 통하여 2개의 흡입구를 개폐할수 있으므로 청소위치에 따라 청소하기 쉬운 쪽의 흡입구 만을 개방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2개의 흡입구를 동시에 사용할 때에 비해 흡입력이 분산되지 않으므로 휠씬 큰 흡입력을 얻을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브러쉬몸체를 구성하는 브러쉬홀더의 흡입구 전방에 또다른 흡입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상기 2개의 흡입구에 동시 또는 부분적으로 작용하게 하므로 벽과 벽 사이의 모서리나 좁은 틈새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브러쉬커버(20)의 저면부에 브러쉬홀더(30)가 장착되고, 상기 브러쉬커버와 브러쉬홀더에는 연장관(50)과 연결된 넥크(40)의 선단이 끼워져 구면 접촉하며, 상기 브러쉬홀더의 저면 중앙에 넥크(40)와 관통되는 하나의 흡입구(31)와 이 흡입구의 전후면에 브러쉬가 끼워지는 요홈(32)이 일체로 형성된 진공청소기의 브러쉬몸체(10)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홀더(30)의 흡입구(31) 전방에 또다른 흡입구(33)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KR2019980018457U 1998-09-26 1998-09-26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KR200000071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457U KR20000007113U (ko) 1998-09-26 1998-09-26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457U KR20000007113U (ko) 1998-09-26 1998-09-26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113U true KR20000007113U (ko) 2000-04-25

Family

ID=6952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457U KR20000007113U (ko) 1998-09-26 1998-09-26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11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58B1 (ko) * 2008-10-09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US8713753B2 (en) 2008-06-18 2014-05-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3753B2 (en) 2008-06-18 2014-05-06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KR101052158B1 (ko) * 2008-10-09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7565B2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KR20000007113U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몸체의 흡입구 구조
KR10057951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공기흐름 전환장치 및 이를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K1062900T3 (da) Stövsugeranordning
KR10044580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 호스 조립체
KR102368256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20050069221A (ko) 진공청소기
KR100433411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배기덕트
KR200144826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헤드유로전환장치
KR950000114A (ko) 로보트 청소기
KR960004679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역류 방지장치
KR20030066992A (ko) 청소로봇
KR100456170B1 (ko) 습건식 진공청소기의 실링구조
KR20060115110A (ko) 회전형 브러시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
KR200148061Y1 (ko) 청소기
KR200299351Y1 (ko) 다용도 진공 청소기
KR200328541Y1 (ko) 청소기의 흡입노즐
KR20240018100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100589772B1 (ko) 진공청소기용 핸들구조
KR200161654Y1 (ko) 진공청소기용 악세서리조립체
KR950001563Y1 (ko) 진공청소기의 송풍장치
KR200148058Y1 (ko) 진공청소기
KR100873910B1 (ko) 진공청소기
KR920001663B1 (ko) 진공청소기의 구석청소가 용이한 흡입구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