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019A -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019A
KR20000007019A KR1019990051642A KR19990051642A KR20000007019A KR 20000007019 A KR20000007019 A KR 20000007019A KR 1019990051642 A KR1019990051642 A KR 1019990051642A KR 19990051642 A KR19990051642 A KR 19990051642A KR 20000007019 A KR20000007019 A KR 2000000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nt
powder
concrete
weight
cement ad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008B1 (ko
Inventor
한선재
Original Assignee
손병철
주식회사 대동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철, 주식회사 대동기업 filed Critical 손병철
Priority to KR101999005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00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cement)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슬래그(slag)미분말, 플라이애쉬(Fly-ash), 폐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포졸란(pozzolan)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혼화재의 단가 상승을 억제하면서, 포졸란 조기 활성을 가능하게 하여 공기의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미콘 전용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있어서, 7000∼100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폐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포졸란 물질 10∼30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플라이애쉬 40∼55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40∼5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A CEMENT ADMIXTURE COMPOSITE FOR REMICON MAINLY COMPOSED OF POZZOLAN MATERIAL}
본 발명은 시멘트(cement)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히는 슬래그(slag)미분말, 플라이애쉬(Fly-ash), 폐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포졸란(pozzolan)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고강도화가 요구되면서 실리카흄(silica fume), 메타카올린(metacaoline), CSA계 클링커(clinker) 등을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혼화재들은 그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혼화재의 사용에 따른 시공단가를 줄이기 위하여 산업폐기물인 플라이애쉬, 슬래그미분말, 폐제올라이트 등의 포졸란 재료를 콘크리트 혼화재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포졸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저가인 산업폐기물을 사용함으로써 시공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및 내구성 측면에서도 기존의 천연 포졸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뒤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화학저항성 증대, 동결융해 저항성 증대 등 내구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수화열을 저감을 통해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 방지 효과가 있어 저발열 콘크리트의 제조에도 유용하다. 한편,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은 환경보호 측면에서 볼 때 시공단가의 저감 못지 않은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산업폐기물계 포졸란 재료로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등이 있으며, 이들의 분말도는 3000∼4500㎠/g이다.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등으로 시멘트량의 10% 가량을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혼화재는 포졸란 반응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초기강도가 낮게 나타나고, 이에 따라 상기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건설현장에서 공기(工期)단축에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포졸란계 시멘트 혼화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7500∼8000㎠/g의 분말도를 가지도록 포졸란 재료를 분쇄하여 포졸란 반응의 조기 활성을 이루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현재 시중에 제품으로 출시되어 사용 중에 있다.
그러나, 7500∼8000㎠/g의 분말도를 가지도록 하는데 적지 않은 분쇄 비용이 발생하여 혼화재의 단가 상승 요인이 되고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혼화재를 기준으로 할 때, 분말도 3000∼4500㎠/g의 일반 혼화재의 경우 톤당 2∼3만원에 판매되고 있는 반면, 분말도 7500∼8000㎠/g의 혼화재는 12만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어 5배 정도의 단가 상승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큰 단가 차이 때문에 건설현장에서 분말도 7500∼8000㎠/g의 혼화재를 사용하는 것을 기피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제조시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은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혼화재의 단가 상승을 억제하면서, 포졸란 조기 활성을 가능하게 하여 공기의 증가를 유발하지 않고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미콘 전용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있어서, 7000∼100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폐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포졸란 물질 10∼30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플라이애쉬 40∼55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40∼5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은 시멘트 슬러지, 석고, 폐도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1∼10중량% 만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시멘트 중량의 10∼50중량%만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7000∼100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폐제올라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포졸란 물질 10∼30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플라이애쉬 40∼55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40∼55중량%로 시멘트 혼화재를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대부분의 혼화재로 저가인 분말도 3000∼4500㎠/g의 플라이애쉬 및 슬래그미분말을 사용하면서, 포졸란 조기 활성을 위해 분말도 7000∼10000㎠/g으로 미분쇄한 포졸란 재료를 소량 첨가하였다.
이 경우, 전체 혼화재의 80∼90%만큼을 저가인 분말도 3000∼4500㎠/g의 플라이애쉬 및 슬래그미분말로 충당하고, 고가인 미분쇄 포졸란 재료(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폐제올라이트)의 사용은 10∼30% 정도에 그치므로 혼화재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점은 소량의 미분쇄 포졸란 재료를 사용하면서 과연 어느 정도의 콘크리트 조기 강도 발현을 구현할 수 있는가에 있을 것이다. 이에, 수많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고가의 미분쇄 포졸란 재료의 첨가를 최소화하면서 일정치 이상의 조기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각 인자에 대한 범위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압축 상기한 미분쇄 포졸란 재료의 종류, 분말도 및 중량%는 수많은 실험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하, 실험 결과 중의 일부를 하기의 표 1 내지 표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1은 레미콘 규격인 압축강도 240㎏f/㎠ 콘크리트 표준양생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OPC(㎏/㎥) 분말도3000 FA(㎏/㎥) 혼화재 조성물(㎏/㎥) W S G AD 압축강도(㎏f/㎠)
분말도7500 FA 분말도7500 SL 분말도3000 FA 분말도3000 SL 7일 28일
NO.1 298 33 - - - - 180 865 914 1.99 200 278
NO.2 265 - 6.6 6.6 26.4 26.4 180 865 914 1.99 208 295
상기 표 1에서 OPC는 포틀랜드 시멘트, FA는 플라이애쉬, SL은 슬래그미분말을 각각 나타낸 것이며, W는 물, S는 모래, G는 자갈, AD는 혼화제(감수제)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부피 단위로 나타내고 있다. NO.1은 포틀랜드 시멘트 298㎏/㎥와 분말도 3000㎠/g의 플라이애쉬 33㎏/㎥을 사용한 표준양생의 경우(종래기술)를 나타낸 것이며, NO.2는 포틀랜드 시멘트를 265㎏/㎥로 줄이고, 분말도 7500㎠/g의 플라이애쉬 및 슬래그미분말을 각각 6.6㎏/㎥, 분말도 3000㎠/g의 플라이애쉬 및 슬래그미분말을 각각 26.4㎏/㎥ 사용하여 양생한 경우(본 발명)를 나타낸 것이다. 즉, NO.2에서는 미분쇄 혼화재를 소량 첨가하면서 분말도 3000㎠/g의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을 증가시켰다. 물, 모래, 자갈, 혼화제 등은 NO.1과, NO.2에 대하여 같은 양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시멘트의 양이 33㎏/㎥만큼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7일 강도와 28
일강도에서 NO.2가 NO.1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28일 강도에 있어서는 기존에 비해 5% 이상의 압축강도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구분 OPC(㎏/㎥) 분말도3000 FA(㎏/㎥) 혼화재조성물(㎏/㎥) W S G AD 압축강도(㎏f/㎠)
분말도7500 SL 분말도3000 SL 분말도3000 FA 7일 28일
NO.3 450 50 - - - 175 801 9.30 5.0 385 490
NO.4 400 - 20 40 40 175 801 9.30 5.0 385 540
상기 표 2는 레미콘 규격인 압축강도 400㎏f/㎠ 콘크리트 표준양생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표 1에 나타낸 실험과 같은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다만 미분쇄 포졸란 재료로 슬래그미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이 경우에도, 7일 강도는 동일한 값이 나왔으며, 28일 강도의 경우 NO.4가 NO.3(종래기술)에 비해 오히려 10% 이상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OPC(㎏/㎥) FA(㎏/㎥) 혼화재조성물(㎏/㎥) W S G AD 압축강도(㎏f/㎠)
분말도7500 SL 분말도3000 FA 분말도3000 SL 7일 28일
NO.5 360 40 - - - 180 840 900 2.4 308 100
NO.6 320 - 16 32 32 180 840 900 2.4 315 139
상기 표 3은 레미콘 규격인 압축강도 350㎏f/㎠ 콘크리트 표준양생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표 2에 나타낸 실험과 같은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 경우에도, 7일 강도 및 28일 강도에서 NO.6이 NO.5(종래기술)에 비해 오히려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혼화재 조성물의 시멘트 치환량을 시멘트 중량의 50중량% 이상까지 치환이 가능하다(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혼화재의 단가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시멘트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단가는 오히려 크게 절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혼화재 가격을 크게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산업폐기물계 포졸란 재료의 조기 활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혼화재의 시멘트 치환량 증가는 곧 값비싼 시멘트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로써 콘크리트의 단가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산업폐기물의 사용량 증가로 인한 환경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 전용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에 있어서,
    7000∼100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폐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포졸란 물질 10∼30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플라이애쉬 40∼55중량%와,
    3000∼4500㎠/g의 분말도를 가지는 슬래그미분말 40∼55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시멘트 슬러지, 석고, 폐도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1∼10중량% 만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시멘트 혼화재 조성물을 시멘트 중량의 10∼50중량%만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성물.
KR1019990051642A 1999-11-19 1999-11-19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KR10030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42A KR100300008B1 (ko) 1999-11-19 1999-11-19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642A KR100300008B1 (ko) 1999-11-19 1999-11-19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019A true KR20000007019A (ko) 2000-02-07
KR100300008B1 KR100300008B1 (ko) 2001-09-13

Family

ID=1962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642A KR100300008B1 (ko) 1999-11-19 1999-11-19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50B1 (ko) * 2007-05-15 2008-11-06 현대건설주식회사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797B1 (ko) 2010-07-01 2010-11-11 (주)한일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레미콘 조성물
KR102363453B1 (ko) * 2020-01-14 2022-02-15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폐제올라이트를 이용한 복합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50B1 (ko) * 2007-05-15 2008-11-06 현대건설주식회사 비소성 결합재를 포함하는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008B1 (ko)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nwa et al. Ash from timber waste as cement replacement material
Agarwal et al. Ut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and unprocessed micro-fillers for making cost effective mortars
JP5080714B2 (ja) セメント組成物
Collins et al. Effects of ultra-fine materials on workability and strength of concrete containing alkali-activated slag as the binder
Singh et al. Cementitious binder from fly ash and other industrial wastes
Cheerarot et al. A study of disposed fly ash from landfill to replace Portland cement
Sabir et al. Metakaolin and calcined clays as pozzolans for concrete: a review
Yu et al. Investigation on pozzolanic effect of perlite powder in concrete
US6482258B2 (en) Fly ash composition for use in concrete mix
Belouadah et al.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glass powder and marble powder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behavior of composite cement
SK501052017U1 (sk) Betónová zmes
Li et al. Study on high-strength composite portland cement with a larger amount of industrial wastes
Demirbaş et al. Evaluation of lignite combustion residues as cement additives
JP4567473B2 (ja) 水硬性材料
Malhotra et al. Blended cements in North America—a review
KR100300008B1 (ko) 포졸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레미콘 전용 시멘트혼화재 조성물
US6997984B2 (en) Cement admixture
US20060180052A1 (en) Chemical admixture for cementitious compositions
KR100441640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분말혼화재
JP7178767B2 (ja) セメント組成物、及び、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の表面の黒色化防止方法
KR0125466B1 (ko) 토양고화제
Sobolev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ement industry and blended cements to meet ecological challenges
EP1382584A1 (en) Aqueous slurries of ground bottom ash from inciner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s for cement mixes
KR20000007099A (ko) 산업폐기물계 포졸란 재료와 무수석고를 사용한 저가의시멘트 혼화재 조성물
JP7132692B2 (ja) モルタル又はコンクリートの表面の黒色化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