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645U - 절첩식 용기 - Google Patents

절첩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645U
KR20000006645U KR2019980017838U KR19980017838U KR20000006645U KR 20000006645 U KR20000006645 U KR 20000006645U KR 2019980017838 U KR2019980017838 U KR 2019980017838U KR 19980017838 U KR19980017838 U KR 19980017838U KR 20000006645 U KR20000006645 U KR 200000066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olded
flat plate
presen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기
Original Assignee
송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기 filed Critical 송영기
Priority to KR2019980017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645U/ko
Publication of KR20000006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4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된 평판부와,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게 주름잡힌 절첩부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를 눌러 상기 절첩부를 펴면 용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를 접으면 전체적으로 평판형태로 되므로 보관하기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소정의 강성을 가지게 되어 취급이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용기
본 고안은 음료수나 물등을 담아 마시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게 된 절첩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절첩식 용기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된 평판부(10)와,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부(10)의 가장자리에서 평판부의 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게 주름잡힌 절첩부(12)로 이루어져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부(12)가 접히면 높이가 줄어져 소정의 높이(H)로 되어 크기가 줄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의 재질은 강성을 가지고 있으면 내경과 외경으로 된 원에 의한 원주면이 용기의 펴짐을 구속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재질은 비닐재등의 유연한 재질로 되어 있다.
용기의 재질이 유연하므로, 용기가 펴지면 도1의 용기의 내경(D1)은 약간 크져 도3의 D1'으로 되고, 도1의 용기의 외경(D2)은 작아져 도3의 D2'로 되어 용기의 높이가 크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절첩식 용기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절첩되어 있으므로, 접더라도 높이가 크게 되어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가 펴지게 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재질을 유연한 재질로 하여야 하므로, 절첩부를 접은 상태로 묶지 않으면 자중에 의해 펴지게 되므로 취급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 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를 보관하기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취급이 편리한 절첩식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절첩식 용기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2는 종래 절첩식 용기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가 접어진 상태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가 펴지는 상태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6의 A부의 상세도,
도8은 도6의 B부의 상세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가 접어진 상태를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10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가 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평판부 22 : 절첩부
24 : 절곡부 26, 28 : 홈띠
30 : 곡면부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용기는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된 평판부와,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게 주름잡힌 절첩부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를 눌러 상기 절첩부를 펴면 용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부가 펴진 상태에서 용기가 용이하게 산과 골로 절첩되도록 접히는 반대방향면에는 소정각도로 파인 홈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4 내지 도8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는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된 평판부(20)와,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부(2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게 주름잡힌 절첩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평판부(20)는 원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용기의 측면이 시작되는 절곡부(24)가 용기의 측면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24)에는 상기 절첩부(22)가 상기 절곡부와 동일한 평면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평판부(20)을 눌려 절첩부(22)를 펴면 도5에 도시한 컵형의 용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평판부(20)와 절철부(22)은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에서 그 평판형상 및 용기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가진 폴리 에틸렌 등의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평판부(20)를 눌러 용기를 형성하는 중의 상태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6의 A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7과 같이, 상기 절첩부(22)가 펴진 상태에서 용기가 용이하게 산과 골로 절첩되도록 접히는 반대방향면에는 소정각도로 파인 홈띠(26)(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띠(26)(28)는 음료를 담은 후 비웠을 경우 표면장력에 의해 남아 있지 않도록 90도이상의 각도로 따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펴진 상태의 용기의 내면에 형성된 홈띠(26)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의 산부에 더욱 벌어져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지고, 펴진 상태의 용기의 외면에 형성된 홈띠(28)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의 골부에 더욱 벌어져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지게 되어 있다.
한편, 절첩부(22)의 가장 바깥측에는 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나 물등을 마실 때 입술에 부드러운 감을 주기 위해 외측으로 말린 곡면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절첩식 용기는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평판부(20)와 거의 동일한 평면상으로 절첩부(22)가 절첩되어 있으므로, 높이가 줄어 진다.
상기 평판부(20)를 하측으로 밀면 절첩부가 간단히 펴져 용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의 재질은 소정의 강성을 가진 폴리 에틸렌 등의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그 평판형상 및 용기형상을 유지한 채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도9 및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절첩식 용기는 모서리가 둥글게 된 사각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된 평판부(30)와,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부(30)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게 주름잡힌 절첩부(32)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뿔대나 모서리가 둥글게 된 폐곡선형뿔대등 다양한 형상의 용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절첩식 용기에 의하면, 용기가 판형상으로 절첩되므로, 높이이가 작아지게 되어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용기가 펴지거나 접힌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모양이 변하지 않으므로, 사용중에 용기가 접히거나 접은 상태에서 잘 펴지지 않게 되어 취급이 편리하다.

Claims (2)

  1. 용기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평평하게 된 평판부와, 용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산과 골이 형성되게 주름잡힌 절첩부로 이루어져, 상기 평판부를 눌러 상기 절첩부를 펴면 용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가 펴진 상태에서 용기가 용이하게 산과 골로 절첩되도록 접히는 반대방향면에는 소정각도로 파인 홈띠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용기.
KR2019980017838U 1998-09-18 1998-09-18 절첩식 용기 KR200000066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38U KR20000006645U (ko) 1998-09-18 1998-09-18 절첩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38U KR20000006645U (ko) 1998-09-18 1998-09-18 절첩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45U true KR20000006645U (ko) 2000-04-25

Family

ID=6951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838U KR20000006645U (ko) 1998-09-18 1998-09-18 절첩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6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2890B1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holding foodstuff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000801B2 (en) Combination adjustable diameter drinking vessel sleeve and recyclable beverage coaster
US5454484A (en) Paper cup insulation
US6412686B1 (en) Thermal insulating sleeve for a container
US6102568A (en) Collapsible, recyclable receptacle
US20230192351A1 (en) Disposable folding paper cup that folds flat and, when unfolded by pressing of folded portion, has cylindrical upper end
US4657176A (en) Collapsible box including bag and attached lid
CA1298216C (en) Container with integral fold-in closure lid
US6227439B1 (en) Flexible bag in the box container for liquids
US4666197A (en) Bottle holder
US4049187A (en) Thermoformed hot drink cup
US5174469A (en) Partially collapsible container with drinking straw or pour spout
US20050056654A1 (en) Insulating sleeve
US3337109A (en) Container holders
US3595446A (en) Quick-open container structure
WO2002039859A1 (en) Disposable, rolled rim container and dome-shaped cover
MXPA04006689A (es) Portacopas que tiene cavidades frustoconicas.
US5244125A (en) Re-collapsible container with spray head
WO2009137798A1 (en) Stackable drinking vessel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4940189A (en) Container
US20090261151A1 (en) Foldable Container Having A Four-Sided Plane Base
KR20000006645U (ko) 절첩식 용기
JPH01223907A (ja) 飲料用ストロー
US10952567B2 (en) Food serving apparatus
JPH0853115A (ja) 液体収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