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872U -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72U
KR20000005872U KR2019980016784U KR19980016784U KR20000005872U KR 20000005872 U KR20000005872 U KR 20000005872U KR 2019980016784 U KR2019980016784 U KR 2019980016784U KR 19980016784 U KR19980016784 U KR 19980016784U KR 20000005872 U KR20000005872 U KR 200000058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ixing member
paper
holes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채
Original Assignee
김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채 filed Critical 김병채
Priority to KR2019980016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5872U/ko
Publication of KR20000005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72U/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의한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가 갖는 문제점, 즉 용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가 복잡하여 용지를 고정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제작비용이 증가하였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겉표지(10)의 접힘부(16)에 관통공(20A,20B)이 천공되고, 각 관통공(20A,20B)의 가장자리에 연질의 튜브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30)의 좌.우측 고정단(32A,32B)을 밀착시킨 후에 나사(2)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질의 튜브나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부재(30)로 형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재(30)를 금속재로 형성한 후에 이를 겉표지(10)에 나사(2)로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3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본 고안은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겉표지의 접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굽힘이 자유로운 연질의 튜브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여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용지를 바인더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용지를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인더는 서류 또는 잡지 등을 철하는데 쓰는 표지로서, 사무실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무용품이다.
종래의 바인더(10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판(110)과 우측판(120)이 접힘부(130)에 의해 탄지되어 절첩되고, 제 2삽입공(160)이 대향되게 천공된 패스터너 지지부(150)의 좌측단이 상기 우측판(120)의 좌측단에 고착되며, 수패스터너(210)의 양단에 탄성을 구비하여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부(220)가 상기 제 2삽입공(160)에 삽입되어 암패스터너(230)에 형성된 제 1삽입공(240)에 삽입되어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바인더(100)에 용지(30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암패스터너(230)를 고정하는 수패스터너(210)의 고정부(220)를 수직으로 세우고, 암패스터너(23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패스터너(210)의 고정부(220)에서 암패스터너(230)의 제 1삽입공(240)이 이탈되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패스터너(210)에서 암패스터너(230)가 분리되면, 용지(300)에 천공된 제 3삽입공(300)을 상기 고정부(220)에 삽입시킨 후에 암패스터너(230)의 제 1삽입공(240)을 상기 고정부(240)에 삽입 시킨다. 그리고, 수패스터너(210)에서 암패스터너(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220)를 절곡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바인더(100)는 용지(300)를 패스터너(200)로 고정했기 때문에 패스터너(200)와 패스터너 지지부(150)를 따로 제작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고, 용지(300) 고정구조가 복잡하여 용지(300)를 바인더(100)에 고정하는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지의 고정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겉표지의 좌측판과 우측판 사이에 형성된 접힘부에 용지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양측에 관통공이 천공되고, 이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굽힘이 자유롭도록 연질의 튜브로 형성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부재의 좌.우측 고정단이 밀착되며, 상기 각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밀착된 좌.우측 고정단의 각 체결공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겉표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접힘부의 배면으로부터 관통공으로 삽입된 나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를 굽힘이 자유롭고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는 그 중간부가 굴곡되어 형성된 좌.우측 고정부의 외경이 상기 각 관통공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고정부의 끝단면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의 배면에서 각 관통공으로 삽입된 나사에 의해 접힘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원형으로 형성된 일단에 체결공을 구비한 고정단이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접힘부의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의 끝단면은 상기 접힘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종래기술에 의한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1b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 고정구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의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5b는 본 고안의 의한 고정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지 2 : 나사
10 : 겉표지 12 : 좌측판
14 : 우측판 16 : 접힘부
16-1 : 내측면 20A,20B : 관통공
30 : 고정부재 32A,32B : 좌.우측 고정단
34A,34B : 체결공 42A,42B : 좌.우측 고정부
46A,46B : 나사공 52 : 고정단
53 : 체결공 55 : 끝단면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 고정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용지 고정구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용지 고정구조는 겉표지(10)의 좌측판(12)과 우측판(14) 사이에 형성된 접힘부(16)에 다수개의 관통공(20A,20B)이 천공된다. 이 관통공(20A,20B)은 각각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관통공(20A,20B)이 접힘부(16)의 세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겉표지(10)는 얇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관통공(20A,20B)의 크기는 후술할 고정부재(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고정부재(30)의 좌.우측 고정단(32A,32B)이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관통공(20A,20B)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나사(2) 고정되는 고정부재(30)는 연질의 튜브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를 튜브로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튜브를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좌.우측 고정단(32A,32B)에 체결공(34A,34B)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튜브 자체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이 자유롭게 연질의 튜브로 형성된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끼워 고정하고, 그 고정부재(30)를 겉표지(1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고정부재(30)의 우측고정단(32A) 끝단면을 접힘부(16)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공(20A) 가장자리에 밀착시키되, 상기 우측고정단(32A)에 형성된 체결공(34A)과 접힘부(16)에 형성된 관통공(20A)이 일치되도록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우측고정단(32A)의 끝단면이 관통공(20A)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면, 나사(2)를 접힘부(16)의 배면으로부터 관통공(20A)으로 삽입하여 우측고정단(32A)에 형성된 체결공(34A)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공(34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부재(30) 자체가 연질의 튜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나사(2)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나사(2)는 체결공(34A)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파고 들어가 체결되어 우측고정단(32A)이 접힘부(16)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공(20A) 가장자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의 우측고정단(32A)이 접힘부(16)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공(20A)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끼운 후에, 상기 고정부재(30)의 좌측고정단(32B) 끝단면을 접힘부(16)의 좌측에 형성된 관통공(20B) 가장자리에 밀착시킨다.
상기 좌측고정단(32B)의 끝단면이 좌측의 관통공(20B) 가장자리에 밀착되면, 나사(2)를 상기 접힘부(16)의 배면으로부터 좌측의 관통공(20B)으로 삽입하여 좌측고정단(32B)에 형성된 체결공(34B)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우측고정단(32A)이 우측에 형성된 관통공(20A)의 가장자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2)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좌측고정단(32B)이 좌측에 형성된 관통공(20B)의 가장자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나사(2)로 체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는 겉표지(10)의 접힘부(16)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1)를 고정부재(30)로부터 빼내거나 고정부재(30)를 겉표지(1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기 각 체결공(34A,34B)에 체결된 나사(2)를 풀어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30)는 나사(2)에 의해 겉표지(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나사(2)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겉표지(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고정부재(3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용지(1)를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된 고정부재(30)의 일단을 접힘부(16)의 우측에 형성된 관통공(20A)의 가장자리에 밀착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2)를 접힘부(16)의 배면으로부터 관통공(20A)으로 삽입시켜 코일스프링으로 된 고정부재(30)의 우측단에 체결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되어 있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코일은 상기 나사(2)가 체결될 때 나사산 역할을 하게 됨으로, 나사(2)의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된 고정부재(30)의 우측단이 나사(2)에 의해 고정되면, 이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끼운 후에, 그 좌측단을 내측으로 굽혀 좌측단의 끝단면이 좌측에 형성된 관통공(20B)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우측단이 고정된 고정부재(30)의 좌측단 끝단면이 좌측에 형성된 관통공(20B)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나사(2)를 접힘부(16)의 배면으로부터 관통공(20B)으로 삽입하여 우측단의 내경에 체결한다.
이로써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고정부재(30)에 용지(1)는 끼워져 고정되고, 그 고정부재(30)도 겉표지(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된 고정부재(30)에서 용지(1)를 빼내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양단에 체결된 나사(2)를 풀어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고정부재(30)의 또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a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는 그 중간부가 굴곡되어 좌.우측 고정부(42A,42B)가 형성되고, 이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외경은 겉표지(10)의 접힘부(16)에 형성된 각 관통공(20A,20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끝단면에는 나사공(46A,46B)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는 금속재로 되어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끼워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끼운 후에, 상기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끝단면을 각 관통공(20A,20B)의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상기 나사공(46A,46B)과 관통공(20A,20B)이 일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끝단면이 각 관통공(20A,20B)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되어 나사공(46A,46B)과 관통공(20A,20B)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2)를 접힘부(16)의 배면에서 각 관통공(20A,20B)으로 삽입한 후, 상기 나사공(46A,46B)에 체결한다.
상기 나사(2)를 접힘부(16)의 배면으로부터 각 관통공(20A,20B)으로 삽입한 후,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나사공(46A,46B)에 체결함으로써,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는 겉표지(10)의 접힘부(16)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1)를 고정부재(3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기 나사공(46A,46B)에 체결된 각각의 나사(2)를 풀어냄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는 겉표지(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고정부재(30)의 또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b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20C)는 관통공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데, 그 일단에는 접힘부(16)의 내측면(16-1)에 밀착되는 고정단(52)이 형성되고, 이 고정(52)에는 나사(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힘부(16)의 중간부에 관통공(20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52)의 일측면과 타다의 끝단면(55)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에 용지(1)를 끼워 고정하고, 이 고정부재(30)를 겉표지(10)의 접힘부(16)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단(52)의 일면을 접힘부(16)의 내측면(16-1)에 밀착시키되, 상기 관통공(20C)과 체결공(53)이 일치하도록 밀착시킨 후에 상기 겉표지(10)의 배면으로부터 나사(2)를 관통공(20C)으로 삽입시키고 체결공(53)에 체결한다. 이로써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30)는 접힘부(16)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고정단(52)이 나사(2)에 의해 접힘부(16)의 내측면(16-1)에 밀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고정부재(30)의 타단 끝단면(55)이 상기 내측면(16-1) 일측에 밀착되어 용지(1)가 고정부재(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1)를 고정부재(3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나사(2)를 고정단(52)의 체결공(53)으로부터 풀어낸다.
상기 나사(2)가 체결공(53)으로부터 풀리면 상기 고정부재(30)는 접힘부(16)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용지(1)를 겉표지(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질의 튜브나 코일스프링으로 형성하고, 이 고정부재(30)의 좌.우측 고정단(32A,32B)을 겉표지(10)의 관통공(20A,20B)에 밀착시킨 후에 나사(2)로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용지(1)의 고정구조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고, 용지(1)를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30)를 금속재로 형성한 후 나사에 의해 겉표지(10)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3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는 겉표지의 접힘부에 관통공이 천공되고, 각 관통공의 가장자리에 연질의 튜브나 코일스프링 등으로 형성된 고정부재의 좌.우측 고정단을 밀착시킨 후에 나사로 체결하여 겉표지에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에 용지를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질의 튜브나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부재(30)로 형성함으로써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금속재로 형성한 후에 이를 겉표지에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4)

  1. 겉표지(10)의 좌측판(12)과 우측판(14) 사이에 형성된 접힘부(16)에 용지(1)가 고정되도록 형성된 바인더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16)의 양측에 관통공(20A,20B)이 천공되고, 이 관통공(20A,20B)의 가장자리에, 굽힘이 자유롭도록 연질의 튜브로 형성되고 체결공(34A,34B)이 형성된 고정부재(30)의 좌.우측 고정단(32A,32B)이 밀착되며, 상기 각 관통공(20A,20B)의 가장자리에 밀착된 좌.우측 고정단(32A,32B)의 각 체결공(34A,34B)에는 상기 고정부재(30)가 겉표지(1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접힘부(16)의 배면으로부터 관통공(20A,20B)으로 삽입된 나사(2)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굽힘이 자유롭고 탄성을 갖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그 중간부가 굴곡되어 형성된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외경이 상기 각 관통공(20A,20B)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 고정부(42A,42B)의 끝단면에 나사공(46A,46B)이 형성되어 상기 접힘부(16)의 배면에서 각 관통공(20A,20B)으로 삽입된 나사(2)에 의해 접힘부(1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는 원형으로 형성된 일단에 체결공(53)을 구비한 고정단(52)이 형성되어 나사(2)에 의해 접힘부(16)의 중앙에 고정되고, 타단의 끝단면(55)은 상기 접힘부(16)의 내측면(16-1)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KR2019980016784U 1998-09-04 1998-09-04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KR200000058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84U KR20000005872U (ko) 1998-09-04 1998-09-04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84U KR20000005872U (ko) 1998-09-04 1998-09-04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72U true KR20000005872U (ko) 2000-04-06

Family

ID=6951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784U KR20000005872U (ko) 1998-09-04 1998-09-04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587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1382B1 (en) Retainer adapted to detachably secure two wired/grilled members together
KR20000005872U (ko) 바인더의 용지 고정구조
US5974713A (en) Picture frame assembly
US20040129198A1 (en) Semi-fixed type bookmark
US2245381A (en) Key holder
US5335399A (en) Clip
US5294226A (en) Bolt binder
JPH11250960A (ja) 端子台構造
JPH07193946A (ja) 埋込ボックスの取付枠固定構造
US5284079A (en) Tambourine
US5750935A (en) Mounting device for attaching a component through an aperture in a circuit board
KR200232895Y1 (ko) 클립
US20030199198A1 (en) Fuse holding and securing assembly
KR200393082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JP6829486B2 (ja) 綴じ具
KR200204213Y1 (ko) 족자
KR200203841Y1 (ko) 카렌다 걸이장치
JP2521048Y2 (ja) リーフホルダー
KR200319164Y1 (ko) 형광펜
KR200256562Y1 (ko) 차량용 광고장치
JP3075173U (ja) シート状部材端縁を把持固定する線状部材及びその保持構造
KR200195972Y1 (ko) 제본물 연결 고정용 커넥터
JPH079770Y2 (ja) 包装用箱
KR200369037Y1 (ko) 종이클립장치
KR200245509Y1 (ko) 사무용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