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116A - 모세관 이용을 위한 미용 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세관 이용을 위한 미용 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116A
KR20000005116A KR1019980707758A KR19980707758A KR20000005116A KR 20000005116 A KR20000005116 A KR 20000005116A KR 1019980707758 A KR1019980707758 A KR 1019980707758A KR 19980707758 A KR19980707758 A KR 19980707758A KR 20000005116 A KR20000005116 A KR 2000000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composition according
hair
surfact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168B1 (ko
Inventor
상드린 데꼬스떼
베르나르 보께
Original Assignee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4918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000051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안느 플로, 로레알 filed Critical 조지안느 플로
Publication of KR2000000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서,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10∼C14알킬 베타인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척 기재 및 (B) 하나 이상의 알칼리성 구아 검 및 조성물 속에 에멀션화되지 않은 형태로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불용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컨디셔닝계를 함유하는 신규 컨디셔닝 및 세정 모발 보호 조성물을 기재한다. 본 발명은 모발 세탁 및 케어용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모세관 이용을 위한 미용 세정 조성물
본 발명은 동시에 모발의 클렌징(cleansing) 및 컨디셔닝(conditioning)을 위해 개선된 특성을 갖고,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서, 세정력을 지닌 특정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세척 기재(base)를 함유하는 신규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기재에 컨디셔닝제(conditioning agent)로서, 특정 불용성 실리콘과 공동으로 특정 양이온성 중합체가 또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용 응용에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클렌징 및 세척을 위해, 특히 음이온성, 비이온성 및/또는 양쪽성형, 및 더욱 구체적으로 음이온성형의 종래 계면활성제에 본래 기재한 세정 헤어 케어(hair-care) 조성물 (또는 샴푸) 의 이용은 일반적이다. 이들 조성물을 습윤성 모발에 사용하고, 손으로 맛사지 또는 마찰에 의해 발생된 기포는 물로 린스한후 모발에 초기에 존재하는 각종 오물을 제거시킬 수 있다.
이들 기재 조성물은 틀림없이 양호한 세척력을 갖고 있지만, 특히 이런 클렌징 처리의 상대적인 적극성이 결국 모발 섬유상에서, 특히 섬유의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된 지방 또는 단백질의 점진적 제거에 연결된, 다소 명백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이에 관한 미용 고유 특성이 남아있지만, 다소 적다.
그래서, 상기 세정 조성물, 및 더욱 구체적으로 민감성 모발(즉, 특히 환경제(environment agent) 및/또는 모발 처리 예컨대 웨이브 파마, 염색 또는 표백의 화학적 작용을 통해 손상되거나 약화된 모발)에 사용하는데 필요한 것들의 미용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모발 섬유를 다소 반복해서 행하는 다양한 처리 또는 공격 형태에 의해 도입된 해롭거나 원하지 않는 효과를 수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을 주로 목적으로 하는, 컨디셔닝제로 칭하는 보조 미용제를 이들 조성물 속에 도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물론 이들 컨디셔닝제가 자연 모발의 미용 작용을 또한 개선시킬 수 있다.
샴푸에서 지금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컨디셔닝제는 이들을 함유하지 않은 대응 클렌징 조성물로 수득될 수 있는 것과 비교하여 현격히 증가된 엉킴풀기의 용이성,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을 세척, 건조 또는 습윤성 모발에 실제로 부여하는 양이온성 중합체, 실리콘 및/또는 실리콘 유도체이다.
민감성 모발에서, 모발 섬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리콘의 미용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실리콘과 양이온성 중합체의 결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양이온성 중합체와 실리콘에 기재한 샴푸 분야에서 최근 진보에도 불구하고, 이들 양이온성 중합체와 실리콘은 실제로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여, 현재에도 상기 하나 이상의 미용 특성의 관점에서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는 신규 제품을 임의로 가질 수 있는 강력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게 한다.
그래서, 이 주제에 관해 상당한 양의 연구후에, 출원인에 의해 완전히 예상밖으로 놀랍게, 특정 세척 기재, 즉 하나 이상의 음이온형 계면활성제 및 C10∼C14알킬베타인형의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결합하고, 동시에 부가적으로 특히 대략 선택된 하기 규정된 것과 같은 실리콘, 및 특정 양이온성 중합체, 즉 구아 검(guar gum)을 컨디셔닝제로서 함유하는 세척 기재의 사용에 의해, 특히 모발의 스타일링의 용이, 유지, 활성, 매끄러움 및 유연성, 뿐만 아니라 매우 양호한 고유 세척력의 관점에서 우수한 미용 특성을 나타내는 세정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을 임의 종류의 이론으로 제한하기를 원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중합체, 실리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모발간에 상기 모발의 표면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상기 양이온성 중합체의 평평하고, 실질적이며 지속적인 부착을 제공하는 특정 친화력 및/또는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고, 이러한 질적 및 양적 부착은 아마도 최종 미용 특성, 구체적으로 습윤성 또는 건성 모발의 엉킴풀기의 용이성, 스타일링의 용이성 및 처리된 모발의 뿌리부터 끝까지 매끄러움에 대해 관찰된 개선의 원인중의 하나이다. 아무튼,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베타인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컨디셔닝제[양이온성 구아 검/특정 실리콘]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련된 미용 특성은 이들 모든 필수 화합물의 동시 존재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는 것들보다 훨씬 우수하다.
이들 모든 발견이 본 발명을 강조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서, (A)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10∼C14알킬베타인형의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척 기재, 및 (B)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구아 검 및 (i) 폴리디알킬실록산, (ii) 폴리디아릴실록산 및 (iii) 폴리알킬아릴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속에 에멀션화되지 않은 형태로 도입되는 점도 350 Pa·s (350,000 cSt) 이하의 하나 이상의 불용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컨디셔닝계를 함유하는 신규 세정 및 컨디셔닝 헤어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모발의 클렌징 및 컨디셔닝용 상기 조성물의 미용품의 용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외관 및 이점이 후기 명세서를 읽으면서 더욱 명백히 분명해질 것이고, 뿐만 아니라 구체적이지만 결코 제한하지 않는 예가 이것을 증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케어 제품의 조성물에 참여하는 필수 성분은 (A)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세정 계면활성제 및 (ii) C10∼C14알킬베타인형의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척 기재 및 (B) (i) 양이온성 구아 검 또는 검들 및 (ii) 불용성 실리콘 또는 실리콘들을 함유하는 컨디셔닝계이다.
A - 세척 기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 수성인 세척 기재를 반드시 함유한다.
세척 기재를 형성하는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은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나 이상의 양쪽성 C10∼C14알킬베타인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세척 기재의 최소량은 최종 조성물에 만족스런 기포 발생 및/또는 세정력을 제공하는데 충분한 것이고, 세척 기재의 지나치게 많은 양은 임의 부가 이점을 실제로 제공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 세척 기재가 최종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4 중량%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10 중량% 내지 35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12 중량% 내지 25 중량% 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케어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에 있어서, 세척 기재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10∼C14알킬베타인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다른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의 특성은 실제로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 특히 (비제한), 하기 화합물의 염(구체적으로 알칼리 금속염, 특히 나트륨염, 암모늄염, 아민염, 아미노알콜의 염 또는 마그네슘염): 알킬 술페이트,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미도 에테르 술페이트, 알킬아릴 폴리에테르 술페이트, 모노글리세리드 술페이트; 알킬술포네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알킬아미드술포네이트, 알킬아릴술포네이트, α-올레핀 술포네이트, 파라핀 술포네이트; 알킬술포숙시네이트, 알킬 에테르 술포숙시네이트, 알킬아미드술포숙시네이트; 알킬술포숙시나메이트; 알킬술포아세테이트;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아실사르코시네이트; 아실이세티오네이트 및 N-아실타우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고; 이들 모든 각각의 화합물의 알킬 또는 아실 라디칼은 바람직하게 탄소수 12 내지 20 을 함유하며, 아릴 라디칼은 바람직하게 페닐 또는 벤질기를 나타낸다.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중, 지방산염 예컨대 올레산, 리시놀레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염, 및 코코넛 오일 또는 수소화 코코넛 오일산; 및 아실 라디칼이 탄소수 8 내지 20 을 함유하는 아실락틸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약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알킬 D-갈락토시두론산 및 이의 염, 뿐만 아니라 폴리옥시알킬렌화 에테르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 구체적으로 에틸렌 옥시드기 2 내지 50 을 함유하는 것, 및 이의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화 에테르 카르복실산 또는 염을 함유하는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히 하기 화학식 (I) 에 상응하는 것이다:
[식중,
R1은 알킬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n 은 2 내지 24 및 바람직하게 3 내지 10 에서 다양할 수 있는 정수 또는 소수(평균값)이며, 알킬 라디칼은 대략 탄소수 6 내지 20 을 갖고, 아릴은 바람직하게 페닐을 나타내며, A 는 H, 암모늄, Na, K, Li, Mg 또는 모노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에탄올아민 잔류물을 나타낸다].
또한 화학식 (I) 의 화합물의 혼합물, 구체적으로 R1기가 상이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모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중, 더욱 구체적으로, 알킬 술페이트 및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의 염, 뿐만 아니라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i) 양쪽성 계면활성제(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하기 화학식의 (C10∼C14)알킬베타인으로부터 선택해야 한다:
[식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0∼C14, 및 바람직하게 C12∼C14알킬 라디칼을 나타낸다].
특히, DEHYTON AB 30 명으로 헨켈(HENKEL)사에 의해 시판되는 코코일베타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 컨디셔닝계
(i) 양이온성 구아 검(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양이온성 구아 검을 반드시 함유한다.
통상, 본 발명의 목적으로, "양이온성 구아 검" 용어는 양이온성기 및/또는 양이온성기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함유하는 임의 구아 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양이온성기를 1차, 2차, 3차 및/또는 4차 아민기를 함유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통상 사용되는 양이온성 구아 검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500 내지 5×106, 및 바람직하게 약 103내지 3×106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양이온성 구아 검은 예를 들어 트리알킬암모늄 양이온성기를 함유하는 구아 검이다. 바람직하게, 수적인 면에서, 이들 구아 검의 히드록실 작용의 2 내지 30 % 가 트리알킬암모늄 양이온성기를 함유한다.
이들 트리알킬암모늄기중, 트리메틸암모늄 및 트리에틸암모늄기를 가장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이들 기가 개질된 구아 검의 전체 중량의 5 내지 20 중량% 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기로 개질된 구아 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성기로 개질된 이들 구아 검은 그 자체로 이미 공지되고, 예를 들어 특허 US 3,589,578 및 US 4,031,307 에 기재된 제품이다. 더욱이, 이런 제품은 특히 메이홀(MEYHALL)사에 의해 JAGUAR C13 S, JAGUAR C 15, JAGUAR C 17 및 JAGUAR C162 명으로 시판된다.
본 발명의 헤어 케어 조성물의 바람직한 특성에 있어서, 이들 조성물은 양이온성 구아 검 이외의 다른 양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다.
(ii) 실리콘(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헤어 케어 조성물의 필수 특징에 있어서, 이들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정 불용성 실리콘을 함유한다. 더욱이, 이 실리콘을 에멀션 형태로 조성물 속에 도입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불용성 용어는 최종 조성물에서 불용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불용성 실리콘의 점도는 바람직하게 1,000 내지 350,000 cSt 및 더욱 구체적으로 10,000 내지 200,000 cSt (20 내지 200 Pa·s),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 30,000 내지 100,000 cSt 이다.
이들 실리콘의 점도를 ASTM Standard 445 Appendix C 에 따라 25 ℃ 에서 측정한다.
이 실리콘을 (i) 폴리디알킬실록산, (ii) 폴리디아릴실록산 및 (iii) 폴리알킬아릴실록산으로부터 선택한다.
알킬 라디칼은 특히 탄소수 1 내지 10 을 함유하고, 구체적으로 메틸을 나타낸다. 아릴 라디칼은 더욱 구체적으로 페닐을 나타낸다.
폴리디알킬실록산중, 주로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말단 트리메틸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예컨대 암시된 제한없이, 롱쁠랑(RHONE POULENC)에 의해 시판되는 70047 시리즈의 SILBIONE 오일, 또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으로부터 일부 VISCASIL 제품(Viscosil 60,000), 다우 코닝(DOW CORNING)사로부터 FLUID DC 200 제품 또는 왁커(WACKER)사로부터 실리콘오일 AK 300,000;
- 말단 히드록시디메틸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예컨대 롱쁠랑으로부터 48 V 시리즈의 오일 또는 다우 코닝사에 의해 시판되는 Q2-1401 제품.
폴리디알킬실록산의 이 종류에서, 골드쉬미트(GOLDSCHMIDT)사에 의해 ABILWAX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폴리디알킬실록산을 언급할 수 있고, 이것은 폴리디메틸디(C10∼C20)알킬실록산이다.
지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하기 조성을 갖는다:
(i)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들): 세정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50 중량%, 및 바람직하게 5 내지 20 중량%;
(ii) 알킬베타인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들):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50 중량%, 및 바람직하게 1 내지 20 중량%. 더욱이,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세정 배합물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의 전체 중량에 대해, 통상 5 내지 70 중량%, 및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중량% 이다;
(iii) 양이온성 구아 검(들):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005 중량% 내지 5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게 0.01 중량% 내지 3 중량%;
(iv) 미리 에멀션화되지 않은 불용성 실리콘(들):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5 % 내지 10 %, 바람직하게 0.1 % 내지 5 % 및 더욱 바람직하게 0.2 % 내지 3 %.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의 매개물 또는 담체는 바람직하게 물 또는 저급 알콜 예컨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의 알콜 수용액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은 최종 pH 가 통상 3 내지 9 이다. 바람직하게, 이 pH 는 5 내지 7 이다. 원하는 값으로 pH 의 조정은 조성물에 (유기 또는 무기) 염기, 예를 들어 수성 암모니아 또는 1차, 2차 또는 3차 (폴리)아민 예컨대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프로판올아민 또는 1,3-프로판디아민의 첨가, 또는 대신 산, 바람직하게 카르복실산 예컨대 시트르산의 첨가에 의해 전통적 방법으로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 조성물은 부가적으로 샴푸 분야에서 직면하는 모든 표준 보조제, 예컨대 향료, 보존제, 격리제, 증점제, 완화제, 기포 개질제, 착색제, 진주광택제, 수화제, 비듬방지제 또는 안티세보르호익제(antiseborrhoeic agents), 비타민, 햇볕차단체, 현탁제 등을 본래 포함시킬 수 있다.
본래, 당업자가 신중히 이/이들 가능한 보조 화합물(들)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4차 결합물(음이온성 계면활성제 + 알킬베타인형 양쪽성 계면활성제 + 양이온성 구아 검 + 특정 실리콘)은 제시된 첨가 또는 첨가들에 의해 손상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는다.
이들 조성물이 크림 또는 겔의 다소 증점된 액체의 형태를 택할 수 있고, 이들은 주로 헤어 케어 및/또는 헤어 스타일링용 모발의 세척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종래 샴푸로서 사용하는 경우, 이들을 단순히 습윤성 모발에 사용하고, 그 다음 선택적 노출 기간후, 물로 린스하여 손으로 맛사지 또는 마찰에 의해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며, 이 작업은 1 회 또는 수회 반복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린싱후, 특히 엉킴풀기 및 스타일링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확실히 개선된 매끄러움 및 부드러움을 그대로 나타내는 두드러진 처리 효과를 모발에 부여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젖은 상태의 케라틴 섬유에 상기와 같은 조성물의 유효량을 사용하고, 그리고 그 다음 선택적 노출 기간후 물로 린싱으로 이루어진, 케라틴 섬유 예컨대 모발의 세척 및 컨디셔닝 방법이다.
본 발명을 증명하는 특정 그러나 비제한 예를 곧 제공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조한다:
- 에틸렌 옥시드 2.2 몰을 함유하는 나트륨 라우릴 에테르
술페이트(C12/C14비 70:30)(AS = 활성 물질) 14 g AS
- 활성 물질 32 % 를 함유하는 수용액내 코코일베타인
(헨켈사제의 DEHYTON AB 30) 2.56 g AS
- 양이온성 구아 검(*) 0.05 g
- 불용성 실리콘(**) 2.7 g
- 1-헥사데실옥시-2-옥타데칸올 및 세틸 알콜의 혼합물
(47:53 중량부) 2.5 g
- 코코넛산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미드 1.6 g
- 시트르산 qs pH 5
- 탈이온수 qs 100 g
(*): 롱쁠랑사에 의해 JAGUAR C13 S 명으로 시판되는, 2,3-에폭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로 개질된 구아 검,
(**): 제조되는 조성물 속에 추가 처리 없이 제너럴 일렉트릭사에 의해 VISCOSIL 60,000 Cst 명으로 시판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샴푸감기는 미리 습윤성 모발에 조성물 약 12 g 을 사용하여 실행한다. 샴푸가 작용하여 기포를 발생시킨후 모발을 물로 충분히 린스한다.
일군의 전문가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린스후 모발에, 특히, 엉킴풀기 및 스타일링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모발의 두드러진 매끄러움 및 부드러움을 그대로 나타내는 두드러진 처리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Claims (19)

  1.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에서, (A) 하나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10∼C14알킬베타인형의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세척 기재(base) 및 (B) 하나 이상의 양이온성 구아 검 및 (i) 폴리디알킬실록산, (ii) 폴리디아릴실록산 및 (iii) 폴리알킬아릴실록산으로부터 선택된, 에멀션화되지 않은 형태로 조성물 속에 도입되는 점도 350 Pa·s (350,000 cSt) 이하의 하나 이상의 불용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컨디셔닝계(conditioning system)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및 컨디셔닝 헤어 케어(hair-care)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50 중량%, 및 바람직하게 5 내지 20 중량% 의 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50 중량%, 및 바람직하게 1 내지 20 중량% 의 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계면활성제들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70 중량%, 및 바람직하게 10 내지 30 중량% 의 분율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코코일베타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구아 검(guar gum)이 히드록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기로 개질된 구아 검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디알킬실록산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말단 트리메틸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 말단 히드록시디메틸실릴기를 함유하는 폴리디메틸실록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구아 검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 범위의 중량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함량이 0.005 % 내지 5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함량이 0.01 % 내지 3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불용성 실리콘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5 중량% 내지 10 중량% 의 중량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함량이 0.1 % 내지 5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함량이 0.2 % 내지 3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가 3 내지 9 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또는 수성알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척 기재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C10∼C14알킬베타인형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다른 계면활성제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디셔닝계에는 양이온성 구아 검 이외의 다른 양이온성 중합체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케라틴 섬유 예컨대 모발의 세척 및 컨디셔닝 방법에 있어서, 젖은 상태의 상기 섬유에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조성물의 유효량을 사용하고, 그리고 그 다음 선택적 노출 기간후 물로 린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모발의 클렌징 및/또는 컨디셔닝용 조성물의 용도.
KR1019980707758A 1996-05-06 1997-04-16 모세관이용을위한미용세정조성물 KR100296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5643 1996-05-06
FR9605643A FR2748202B1 (fr) 1996-05-06 1996-05-06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a usage capillaire et utilisation
PCT/FR1997/000686 WO1997041827A1 (fr) 1996-05-06 1997-04-16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a usage capillaire et utilis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116A true KR20000005116A (ko) 2000-01-25
KR100296168B1 KR100296168B1 (ko) 2001-08-07

Family

ID=949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758A KR100296168B1 (ko) 1996-05-06 1997-04-16 모세관이용을위한미용세정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904045B1 (ko)
JP (1) JPH11508922A (ko)
KR (1) KR100296168B1 (ko)
CN (1) CN1121203C (ko)
AR (1) AR006995A1 (ko)
AT (1) ATE234069T1 (ko)
AU (1) AU707729B2 (ko)
BR (1) BR9708847A (ko)
CA (1) CA2253893A1 (ko)
CZ (1) CZ317798A3 (ko)
DE (1) DE69719750T2 (ko)
FR (1) FR2748202B1 (ko)
NZ (1) NZ331515A (ko)
PL (1) PL330353A1 (ko)
RU (1) RU2157179C2 (ko)
WO (1) WO1997041827A1 (ko)
ZA (1) ZA9734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8850B1 (fr) * 1999-09-29 2003-05-30 Oreal Composition de lavage des matieres keratiniques, a base d'un agent tensio-actif detergent, d'une gomme de galactomannane cationique et d'un terpolymere acrylique
US6808701B2 (en) 2000-03-21 2004-10-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nditioning compositions
JP3929780B2 (ja) 2002-01-21 2007-06-13 花王株式会社 毛髪洗浄剤
US7541320B2 (en) * 2004-01-23 2009-06-02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Mild, viscous cleansing composition with versatile compatibility and enhanced conditioning
JP4717434B2 (ja) * 2004-12-27 2011-07-06 モメンティブ・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リコーンエマルジョン組成物および離型剤
FR2887450B1 (fr) 2005-06-23 2007-08-24 Rhodia Chimie Sa Ingredient concentre pour le traitement et/ou la modification de surfaces,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WO2022067612A1 (en) * 2020-09-30 2022-04-07 L'oreal Composition for cleansing keratin fibers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2391D0 (en) * 1989-05-30 1989-07-12 Unilever Plc Shampoo composition
US4954335A (en) * 1989-05-31 1990-09-04 Helene Curtis, Inc. Clear conditioning composition and method to impart improved properties to the hair
GB2245279B (en) * 1990-06-20 1993-04-07 Unilever Plc Shampoo composition
GB9016100D0 (en) * 1990-07-23 1990-09-05 Unilever Plc Shampoo composition
GB9116871D0 (en) * 1991-08-05 1991-09-18 Unilever Plc Hair care composition
ATE141784T1 (de) * 1991-10-29 1996-09-15 Procter & Gamble Haarshampoo-formulierung mit silikon, kationischem polymer und flüssigen, öligen konditionierungsmitteln
GB9216758D0 (en) * 1992-08-07 1992-09-23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4045A1 (fr) 1999-03-31
ATE234069T1 (de) 2003-03-15
EP0904045B1 (fr) 2003-03-12
AU2644197A (en) 1997-11-26
AU707729B2 (en) 1999-07-15
FR2748202A1 (fr) 1997-11-07
WO1997041827A1 (fr) 1997-11-13
JPH11508922A (ja) 1999-08-03
DE69719750T2 (de) 2003-07-17
CZ317798A3 (cs) 1999-01-13
CN1217649A (zh) 1999-05-26
AR006995A1 (es) 1999-10-13
BR9708847A (pt) 1999-04-13
ZA973431B (en) 1997-11-18
PL330353A1 (en) 1999-05-10
FR2748202B1 (fr) 1999-01-22
NZ331515A (en) 2000-08-25
DE69719750D1 (de) 2003-04-17
RU2157179C2 (ru) 2000-10-10
CN1121203C (zh) 2003-09-17
KR100296168B1 (ko) 2001-08-07
CA2253893A1 (fr) 199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8409C (fr)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et utilisation
JP2983514B2 (ja) 洗浄用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
CZ20004816A3 (cs) Čisticí kosmetický přípravek obsahující zvláątní amfoterní ąkrob a pouľití takového přípravku
US6150311A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and their use
EP1194114B1 (fr) Composition contenant un agent opacifiant ou nacrant et au moins deux alcools gras
JPH08510463A (ja) 少なくとも1種のアルキルガラクトシドウロネート型アニオン界面活性剤および少なくとも1種の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化粧用組成物
AU748347B2 (en)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
KR100296168B1 (ko) 모세관이용을위한미용세정조성물
US6511671B1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 and an amphoteric polymer with fatty chains and use
KR100296170B1 (ko) 모발용미발세정조성물및그의용도_
US6551970B2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for hair-care application and use thereof
EP1502585B1 (fr) Compositions cosmétique contenant un mélange de tensioactifs, un mélange de polymères cationiques et une silicone
US6417145B1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and use thereof
EP1726295B1 (fr) Compositions cosmétiques détergentes comprenant une silicone aminée pipéridine et trois tensioactifs et utilisation de ces dernières
US20020187904A1 (en) Detergent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anionic surfactant derived from amino acids and salts thereof and a silicone and uses thereof
ES2218078T3 (es) Composiciones cosmeticas detergentes que contienen un agente tensioactivo hidroxialquileter anionico y una silicona y sus utilizaciones.
JP2004196811A (ja) 両性界面活性剤と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とその用途
JP2005513088A (ja) 洗浄用化粧品組成物、及びケラチン繊維のクレンジング、コンディショニング及びスタイリングのためのそれら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