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797U -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797U
KR20000003797U KR2019980014102U KR19980014102U KR20000003797U KR 20000003797 U KR20000003797 U KR 20000003797U KR 2019980014102 U KR2019980014102 U KR 2019980014102U KR 19980014102 U KR19980014102 U KR 19980014102U KR 20000003797 U KR20000003797 U KR 200000037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alogen lamp
light emitting
light
coi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4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797U/ko
Publication of KR200000037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97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균일하게 또는 집중적으로 광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코일화된 코일부(22a)와, 직선형의 비코일부(22b)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제1발광램프(22)와; 평면상태에서 상기 코일부와 비코일부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코일부(24a)와 비코일부(24b)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제2발광램프(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발광램프의 코일부는 중심부분에 형성되고, 제2발광램프의 코일부는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라멘트의 구조를 가지는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로써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소정 형상의 용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조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최근 개발된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 대상물에 침투하면서, 대상물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고, 이에 의하여 가열되는 방식의 조리장치이다.
마이크로웨이브만을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의 단일성과, 그 출력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양질의 조리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재의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다른 열원을 같이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레인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그 하나의 예로서, 방사에너지의 적어도 90%가 1㎛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발광램프, 구체적인 예를 들면 할로겐램프를 가열원으로 사용하되, 이러한 램프에서 방사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피자와 같은 특정 요리를 대량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할로겐램프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과 가시광선의 파장의 차이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상이한 파장에 의한 가열방식의 차이점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차이점에 의하여 대상물의 외부와 내부는 다른 형태로 가열되고 있다. 이러한 광파 가열장치에 의하면, 피자의 경우를 예로 들면, 외부는 바삭바삭한 가열정도를 가지면서도, 내부는 충분하게 가열되고 소정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부드럽게 가열되어 있는 조리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할로겐램프를 또 하나의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2)의 상면(10)에는, 할로겐램프(12)가 설치된다. 상기 할로겐램프(12)에서 발하는 광파를 가열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것과, 할로겐램프에서 발생하는 광파의 성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할로겐램프(12)의 상측에는 반사판(14)이 설치되어, 할로겐램프(12)에서 상부로 발생되는 광파를 하방의 캐비티(2) 내부로 반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할로겐랜프(12)가 설치되어 있는 캐비티(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투과공(16)이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2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할로겐램프의 자세한 구성을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할로겐램프(12)의 내부에는, 전류의 인가에 의하여 소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텅스텐 재질로 만들어지는 필라멘트(12a)가 연속되는 코일형상을 가지고, 램프관(12b)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관(12b)의 양단부는 실링부(12c)를 통하여 외부 리이드와이어와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할로겐램프(12)의 구조에 의하면 소정 파장의 광을 발생하는 필라멘트(12a)는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따라서 거의 전체 부분에서 동일한 광량을 발생하게 된다.
통상 할로겐램프에는 한쌍과 같은 복수개의 램프가 장착되는 점을 고려하면, 양자가 동일한 형상의 필라멘트를 가지고, 동일한 광량을 발생하는 것은 다소 불합리한 면이 있다. 즉, 상기 할로겐램프(12)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된 부분에서 항상 동일한 광량을 캐비티 내부의 동일한 위치에 조사하는 것은,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필요 이상의 광에너지를 발생하는 것에 의하여 에너지의 손실을 가져오기도 하고, 때로는 균일한 가열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의 대상에 따라, 균일한 광에너지를 조사하거나,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너지의 사용효율이 우수한 할로겐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할로겐램프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할로겐램프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 24 ..... 할로겐램프 22a, 24a ..... 코일부
22b, 24b ..... 비코일부 30 ..... 턴테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코일화된 코일부와, 직선형의 비코일부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제1발광램프와; 평면상태에서 상기 코일부와 비코일부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코일부와 비코일부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제2발광램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발광램프의 코일부는 중심부분에 형성되고, 제2발광램프의 코일부는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평면상에서 각각 중복되지 않도록 형성된 코일부분에 의하여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음식물에 해당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광에너지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효과적인 광조사와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할로겐램프(22,24)는 각각 중복되지 않는 부분에 코일부(22a,24a)를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1할로겐램프(22)의 필라멘트는 중심부분에만 코일되어 있는 코일부(22a)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22a)의 양측 부분에는 코일화되지 않은 직선상의 비코일부(2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할로겐램프(24)의 필라멘트에는 상기 제1할로겐램프(22)의 코일부(22a)에 대응하는 중심부분에는 코일화되지 않은 비코일부(24b)가 성형되고, 상기 비코일부(24b)의 양측에는 코일부(24a)가 성형된다.
실질적으로 필라멘트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코일부(24a)에서 집중적으로 광이 출사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할로겐램프(22,24)의 코일부(22a,24a)가 평행한 상태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도면부호 30은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에서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턴테이블이다.
이러한 코일부(22a,24a)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턴테이블(30)에 대하여 제1할로겐램프(22)는 중심부분에 집중적으로 광을 출사하게 되고, 제2할로겐램프(24)는 양측의 가장 자리 부분에 집중적으로 광을 출사하게 된다. 따라서 제1할로겐램프(22)와 제2할로겐램프(24)가 동시에 발광하게 되면, 턴테이블(30)의 중심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균일하게 광이 입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할로겐램프(22) 만이 발광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턴테이블(30)의 중심부에 중점적으로 광을 입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자와 같이 턴테이블(30) 상에서 점유하는 면적이 넓은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제1할로겐램프(22)와 제2할로겐램프(24)를 동시에 발광시켜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턴테이블(30) 상의 일부분, 예를 들면 중심부분만을 점유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에는 제1할로겐램프(22)에만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하여 그 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와 반대로 제2할로겐램프(24)에만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할로겐램프(22,24)를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것은,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할로겐램프(22)에는 하나의 코일부(22a)와, 제2할로겐램프(24)에는 한쌍의 코일부(24a)를 형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코일부(22a,24a)는 평행상태에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쌍의 할로겐램프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는 할로겐램프에도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을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열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더욱 효과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피자와 같이 표면적이 넓은 음식물에 대해서는 더욱 균일한 광을 조사하고, 표면적이 작은 음식물에 대해서는 그 부분에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가장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각각의 할로겐램프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것에 의하여,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보다 높은 에너지효율을 제공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음식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코일화된 코일부와, 직선형의 비코일부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제1발광램프와; 평면상태에서 상기 코일부와 비코일부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각각 코일부와 비코일부를 포함하는 필라멘트를 구비하는 제2발광램프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램프는 다수개 배열되는 전자레인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램프의 코일부는 중심부분에 형성되고, 제2발광램프의 코일부는 상기 중심부분의 양측에 형성되는 전자레인지.
KR2019980014102U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KR200000037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02U KR20000003797U (ko)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102U KR20000003797U (ko)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97U true KR20000003797U (ko) 2000-02-25

Family

ID=6951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102U KR20000003797U (ko)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79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6611A (es) Un metodo y sistema para irradiacion termica especifica de longitud de onda y tratamiento.
KR100386245B1 (ko) 적외선 방사를 하는 히터를 이용한 급속 조리장치
KR100329543B1 (ko) 전자레인지의할로겐램프냉각구조
JPH0315100B2 (ko)
KR100307354B1 (ko) 할로겐램프를구비한전자레인지
KR20000003797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
KR20100124957A (ko) 조리기기
KR100293352B1 (ko) 전자레인지용할로겐램프의반사구조
KR100593358B1 (ko) 전자레인지용 가열접시
KR100293351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히터의 반사구조
KR20000009949A (ko) 상이한 파장의 가열원을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200206430Y1 (ko) 적외선 발생 소자를 가진 전자렌지
KR200221575Y1 (ko) 전자레인용 할로겐히터 커버
KR20000003791U (ko) 할로겐램프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19990038883A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필라멘트구조
KR100288924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히터 단열구조
KR20000003790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20000003787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100272363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히터 단열구조
KR20000004241U (ko) 할로겐램프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제어회로
KR20000003795U (ko) 원형 캐비티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0533271B1 (ko) 마이크로웨이브 차단장치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20000008403U (ko) 전자레인지의 할로겐램프 실링부 냉각구조
KR100275886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냉각장치
KR100293350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램프 및 그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