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793U -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793U
KR20000003793U KR2019980014098U KR19980014098U KR20000003793U KR 20000003793 U KR20000003793 U KR 20000003793U KR 2019980014098 U KR2019980014098 U KR 2019980014098U KR 19980014098 U KR19980014098 U KR 19980014098U KR 20000003793 U KR20000003793 U KR 200000037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ogen lamp
reflecting
light
reflected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4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793U/ko
Publication of KR20000003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93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전자레인지에서 할로겐램프의 표면으로 재반사되는 광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할로겐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반사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캐비티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소정파장의 광을 발하는 할로겐램프(12)와, 할로겐램프에서 발생되는 광을 캐비티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판(20); 그리고 반사판에 의한 반사되는 광이 발광램프로 재반사되는 반사판의 부분에 성형되고, 반사광을 반사판의 측면으로 반사시키는 분산반사면(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발광램프 반사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분산반사면(24)은, 발광램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상부 저면에 형성되고, 그 단면이 삼각형상을 가지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사용되는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판에서 반사되는 광이 다시 할로겐램프를 향하여 반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반사구조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로서 현재까지 여러 종류의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가장 원초적인 가열기구로써는, 열원과 직접 접촉하는 소정 형상의 용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내에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넣고, 열을 가함으로써 원하고자 하는 조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많은 종류의 조리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일례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 대상물에 침투하면서, 대상물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고, 이에 의하여 가열되는 방식의 조리장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간단하게 가열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 일례를 들면 언 상태의 식품을 녹이는 해동과정이나, 우유와 같은 식품을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는 장치로써는 간단한 구성 및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레인지는 가열방식에 기인하는 사용상의 단점과 자체의 출력의 제한성 등에 의하여, 여러가지 대상물의 가열에 전부 적합하다고 할 수는 없다. 즉, 마이크로웨이브만을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의 단일성과, 그 출력에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양질의 조리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시, 대상물은 내외부가 같이 가열되는 잇점이 있지만, 이러한 잇점은 조리 대상물에 따라서 상당한 단점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은 피자 조리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은 대상물의 성질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의한 가열시에는, 대상물의 수분을 너무 많이 빼았아 버리는 단점도 지적된다.
이러한 현재의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다른 열원을 같이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레인지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와는 별도로, 또 하나의 열원이라고 할 수 있는 컨벡션 히터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조리 대상물에 대하여 적합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히터가 내장된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히터는 단순한 다른 하나의 열원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못한 것이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마이크로웨이브에만 의한 가열시에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단일방식의 가열이라는 가열방식의 제한성과, 출력상의 단점, 그리고 수분 증발에 의한 여러가지 단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별도의 발열히터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충분히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상술한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파를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가 제안되었다. 즉, 방사에너지의 적어도 90%가 1㎛이하의 파장을 가지는 램프를 가열원으로 사용하되, 이러한 램프에서 방사되는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열대상물의 표면과 내부를 각각의 특성을 충분히 살리면서 가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원으로서 할로겐램프를 들 수 있다.
적외선과 가시광선의 파장의 차이는, 대상물에 가해지는 상이한 파장에 의한 가열방식의 차이점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차이점에 의하여 대상물의 외부와 내부는 다른 형태로 가열된다. 이러한 할로겐램프를 이용하면, 피자의 경우를 예로 들면, 외부는 바삭바삭한 가열정도를 가지면서도, 내부는 충분하게 가열되고 소정의 습기를 함유한 상태로 부드럽게 가열되어 있는 조리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할로겐램프를 또 하나의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전자레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2)의 상면(10)에는, 할로겐램프(12)가 설치된다. 상기 할로겐램프(12)에서 발하는 광파를 가열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으로 이용하는 것과, 할로겐램프에서 발생하는 광파의 성질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할로겐램프(12)의 상측에는 반사판(14)이 설치되어, 할로겐램프(12)에서 상부로 발생되는 광파를 하방의 캐비티(2) 내부로 반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할로겐랜프(12)가 설치되어 있는 캐비티(2)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투과공(16)이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는 도 2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반사판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14)은, 할로겐램프(12)에서 발생하는 광을 캐비티(2) 내부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할로겐램프(12)에서 상방으로 입사되는 광을 다시 하방의 캐비티를 향하여 반사할 수 있도록, 그 상면(14a)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양측면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상면(14a)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평면 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종래의 구성예에 의하면 곡면을 가지는 것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반사판(14)은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할로겐램프(12)에서 수직상방으로 입사되는 빛은 반사판(14)의 정중앙면에 의하여 반사되어 다시 할로겐램프(12)의 표면으로 입사된다. 할로겐램프(12)의 내부에 위치하는 필라멘트에서 발광하는 빛은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 파장을 가지는 광에너지로서, 할로겐램프의 표면으로 다시 반사되면 할로겐램프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할로겐램프의 표면으로 재입사되는 광은 할로겐표면을 손상시키게 되어 할로겐램프 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결국은 할로겐램프가 장착된 전자레인지의 신뢰성에도 문제가 된다. 따라서 가능하면 할로겐램프(14)의 표면으로 재입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이 다시 할로겐램프의 표면으로 입사되지 않도록 하여, 할로겐램프의 수명 및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할로겐램프를 장착하는 전자레인지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반사판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반사판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할로겐램프 20 ..... 반사판
22 ..... 상면 24 ..... 분산반사면
26 ..... 측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캐비티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소정파장의 광을 발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서 발생되는 광을 캐비티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판; 그리고 상기 반사판에 의한 반사되는 광이 발광램프로 재반사되는 반사판의 부분에 성형되고, 반사광을 반사판의 측면으로 반사시키는 분산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발광램프의 반사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분산반사면은, 발광램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상부 저면에 형성되고,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단면이 삼각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발광램프에서 출사되는 광이 반사판에 의하여 반사되는 경우, 발광램프의 표면으로 재반사되는 광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반사광에 의한 발광램프의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3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사판(20)의 상면(22) 중심부분에는 할로겐램프(12)에서 발생한 빛이 다시 할로겐램프(12)를 향하여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반사면(24)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분산반사면(24)이 성형되는 위치는, 실질적으로 할로겐램프(12)의 중앙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이고, 종래의 반사판에서는 이러한 중앙 상부의 위치에서 반사되는 광은 할로겐램프(12)를 향하여 재입사되는 위치이다. 즉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분산반사면(24)이 성형되는 위치는, 할로겐램프(12)에서 출사된 광이 90도의 반사각을 가지고 다시 할로겐램프(12)를 향하여 반사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그 부분에 분산반사면(2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광의 반사각을 변경시켜 할로겐램프(12)를 향하여 반사되는 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반사면(24)은 그 단면이 삼각형의 것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원형으로 분산반사면(24)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상기 분산반사면(24)은, 그것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이 할로겐램프를 향하는 반사각을 가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임에 비추어, 그 형상에 대해서는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반사판(20)의 양측면(26)은, 종래와 유사하게 할로겐램프(12)에서 출사된 광이 반사되어 캐비티 내부로 입사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사다리꼴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광의 반사에 대하여 살펴본다.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할로겐램프(12)를 향하여 반사되는 광량이 가장 많은 부분은 할로겐램프(12)의 중앙 상면에 해당하는 반사판의 부분(본 고안에 의한 분산반사면(24)이 성형된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은, 실질적으로 입사광이 반사되어 거의 동일한 광경로를 따라 할로겐램프(12)의 표면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반사판에 있어서 할로겐램프의 보호의 측면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부분이었다.
본 고안에 의한 분산반사면(24)은, 할로겐램프(12)의 중앙상면에 해당하는 반사판의 부분에 성형되어, 할로겐램프(12)에서의 광을 양측면(26)으로 주로 반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산반사면(24)을 통하여 반사되는 광은, 대부분이 양측면(26)으로 반사되고, 양측면(26)에서는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부로 다시 광을 반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반사면(24)은 할로겐램프(12)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반사판(20)의 상면(22)에 성형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할로겐램프(12)에서의 출사되어 반사판(20)에 의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이 할로겐램프(12)를 향하는 어떠한 부분에 상술한바와 같은 분산반사면(24)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반사판의 내측면에 할로겐램프(12)를 향하여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산반사면(24)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할로겐램프를 향하여 반사되는 광량을 최소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여, 할로겐램프의 표면을 향하여 반사되는 광량이 최소화되어, 할로겐램프의 표면을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어 할로겐램프이 수명의 확보 및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기대된다.

Claims (3)

  1. 캐비티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소정파장의 광을 발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에서 발생되는 광을 캐비티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판; 그리고
    상기 반사판에 의한 반사되는 광이 발광램프로 재반사되는 반사판의 부분에 성형되고, 반사광을 반사판의 측면으로 반사시키는 분산반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발광램프 반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반사면은, 발광램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사면의 상부 저면에 형성되는 전자레인지용 발광램프 반사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반사면은 단면이 삼각형상을 가지는 전자레인지용 발광램프 반사구조.
KR2019980014098U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200000037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98U KR20000003793U (ko)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98U KR20000003793U (ko)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93U true KR20000003793U (ko) 2000-02-25

Family

ID=6951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98U KR20000003793U (ko) 1998-07-29 1998-07-29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7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543B1 (ko) 전자레인지의할로겐램프냉각구조
KR20010083892A (ko) 브라우닝 장치를 갖춘 극초단파 오븐
KR100386245B1 (ko) 적외선 방사를 하는 히터를 이용한 급속 조리장치
KR100307354B1 (ko) 할로겐램프를구비한전자레인지
KR20000003799U (ko) 할로겐램프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20000003793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20000003787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100593358B1 (ko) 전자레인지용 가열접시
KR20000009949A (ko) 상이한 파장의 가열원을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20000003795U (ko) 원형 캐비티를 구비하는 전자레인지
KR100293352B1 (ko) 전자레인지용할로겐램프의반사구조
KR100293351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히터의 반사구조
KR100293345B1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 램프의 반사구조
KR20000003790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200221575Y1 (ko) 전자레인용 할로겐히터 커버
KR20000003788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집광구조
KR20000003789U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램프의 반사구조
KR20000003798U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냉각구조
KR100533271B1 (ko) 마이크로웨이브 차단장치를 구비한 전자레인지
KR20000003794U (ko) 전자레인지의 할로겐램프 냉각구조.
KR20000003792U (ko) 전자레인지의 히터 냉각구조
KR200402565Y1 (ko) 발광램프를구비한전자레인지
KR19990039975A (ko) 전자레인지용 할로겐히터 커버
EP2242331B1 (fr) Four de cuisson à micro-ondes comprenant au moins un dispositif d'éclairage
KR20020045402A (ko) 전자레인지의 할로겐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