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743U -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 Google Patents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743U
KR20000003743U KR2019980014043U KR19980014043U KR20000003743U KR 20000003743 U KR20000003743 U KR 20000003743U KR 2019980014043 U KR2019980014043 U KR 2019980014043U KR 19980014043 U KR19980014043 U KR 19980014043U KR 20000003743 U KR20000003743 U KR 200000037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eforming
barrel
couple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조용근
이득형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14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743U/ko
Publication of KR200000037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43U/ko

Link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폼밍 통의 양측면에 대향토록 작동레버를 각각 설치하여 맨드럴에 선재코일의 외관이 양호토록 집적함으로써 코일이 이송시 결속이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후공정에 용이하게 투입토록 하는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코일 콘베이어(3)에 접촉토록 편심캠(11)을 하우징(13)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일측에 레버핀(15)으로 베이스에 지지되어 일단에 마그네트(10)가 결합되는 작동레버(16)의 타단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마그네트(10)에 연결토록 되는 작동레버(16-1)를 리폼밍 통(6)의 상부 일측에 설치하고, 상기 리폼밍 통(6)의 타측면에 작동레버(16-2)가 돌출되는 고정축(18)에 의해 리폼밍 통(6)에 베어링(14-1) 결합되며, 상기 작동레버(16-2)를 리폼밍 통(6)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되며 그 타단에 중량추(19)가 결합토록 설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
본 고안은 선재압연 공장에서, 리폼밍 통(reforming tub)을 통하여 그 저부에 설치되는 맨드럴(mandrel)에 선재코일(wire rod)을 집적토록 리폼밍 콘(refor ming cone)이 내측에 설치되는 리폼밍 통(reforming tub)의 양측면에 코일배분 작동레버를 각각 설치하여 맨드럴에 선재코일의 외관이 양호하게 집적(集積)함으로써 코일이 이송시 결속이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후공정에 용이하게 투입토록 하는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제선공장에서 빌렛을 압연하여 선재코일을 생산하는 공정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속주조기에서 생산된 반제품인 빌렛(billet 120각~160각 단중 2톤)(650)을 열간압연기(조압연, 중간조압연, 중강 사상압연, 사상압연 등)에 통과시켜 최고길이 11㎞의 선재코일(ø5.5~ø20)(700)을 생산하고, 상기 선제코일의 제품(포장)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코일형으로 감아 맨드렐(600)을 통하여 집적시킨후 결속기에서 결속시켜 제품화 하며, 상기 선재코일의 단중은 보통 2톤이고, 코일길이는 1600㎜이하로 규제하여 후 공정인 산세공정(pickling :스케일 제거공정)의 산세 탱크내 장입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빌렛은 가열로(reheating furnace)(100)에서 가열되어 조압연(roughing mill)(150), 중간조압연(intermediate roughing mill)(200), 중간사상압연(intermediate finishing mill) (250), 사상압연(finishing mill)(300)공정을 순차로 통과하여 생산규격(ø5.5 ~ 20)인 선재코일(wire-rod coil)이 생산된다.
계속하여, 상기 압연공정이 완료되면 수냉대(water cooling)(350)에서 고압수로 강재냉각시켜 1차열처리를 완료하고, 1차열처리가 완료후 레잉헤드(laying head)(400)에 의해 나선형상으로 선재를 말아 코일 콘베이어(450)에서 뉘운상태로 운반하며, 상기 레잉헤드(4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냉대(air cooling)(500)에서 고압공기로 2차 열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열처리의 완료후 공냉대(500) 일측의 리폼밍 통(reforming tub)(550)에 의해 맨드렐(mandrel)(600)의 내측에 집적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선재코일 집적용 배분장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파이프와 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맨드렐(600)과 보조맨드렐(600-1)이 동일 회전축(102)에 일체로 결합되어 그 내측에 플레이트 실린더(104)와 연결되는 코일 플레이트(106)가 설치되고, 상기 맨드렐(600)의 외측에 다수의 파이프가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게이트(108)가 설치되며, 상기 맨드렐(600)의 상측에 리폼 콘(110)이 내측에 결합되는 리폼밍 통(550)이 설치되어 그 저면에 조리개 판(112)이 결합되고, 상기 리퐁밍 통(550)의 외부 일측에 통실린더(114)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코일 콘베이어(450)의 단부가 리폼밍 통(550)의 일측이 삽입가능토록 형성됨과 이울러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코일 콘베이어(450)와 리퐁밍 통(550)과의 거리를 조정토록 함으로써 선재코일(700)(700-1)의 규격에 따라 이동하여 그 낙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코일 콘베이어(450)의 일측에 리포밍 통(550)의 일측이 삽입토록 가이드롤러(미도시)가 일체로 연결 설치되어 선재코일(700)의 규격에 따라 코일 콘베이어(450)가 리포밍 통(550)으로 접근 가능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선재코일 집적용 배분장치는, 도3의 (a)에서와 같이, 코일 콘베이어(450)를 통하여 소직경(일반적으로 ø5.5)으로 압연되는 선제코일(700)이 이송되면 상기 선재코일(700)은 가볍고(1링의 무게 0.186㎏) 속도가 빨라(압연속도 초당 110M) 낙하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맨드렐(600)의 후방에 쏠리면서 흐트러짐 폭이 증가하게 적재되므로써 코일의 집적이 불량하게 된다.
도3의 (b)에서와 같이, 대직경(ø20)으로 압연되는 선제코일(700-1)은 무겁고(2.456㎏) 속도가 느려(압연속도 초당 8.22M) 낙하거리가 짧게 되므로써 맨드렐(600)의 전방에 경사지게 집적되어 이어서 경사로 밀려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역시 코일의 집작이 불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재코일 집적용 배분장치는, 선재코일의 집적시 규격별로 낙하 거리차가 발생하여 제품의 집적불량이 발생함으로써 선재코일의 외관형성이 불량하게 되어 결속이 빈번하게 풀리게 되고, 이에 의하여 선재코일을 재 포장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며, 선재코일이 경사지게 집적되어 그 높이가 증가함으로써 코일의 이송시 결속이 풀림은 물론 후공정인 산세공정에 투입이 힘들게 되고, 외관이 불량하여 언 로딩시 구름이 원할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많은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재코일의 집적시 규격별 낙하 거리차에 의한 제품의 집적불량을 방지하여 선재코일의 외관형상을 양호하게 집적함으로써 재 포장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선재코일의 집적 높이를 낮게 하여 코일의 이송시 결속이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후공정에 용이하게 투입하며, 선재코일을 규격에 상관없이 맨드렐에 용이하게 집적할수 있고, 양호한 외관에 의해 언 로딩시 구름이 원할하게 되는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선재코일의 생산공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2는 종래의 선재코일 배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3 (a)(b)는 종래의 배분장치에 의한 선재코일의 집적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코일 배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코일 배분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 작동용 캠을 도시한 요부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코일배분 전방부 2...코일배분 후방부
4...선재코일 5...리폼콘
8...맨드렐 9...코일게이트
10...마그네트 11...편심캠
12...스프링 16...작동레버
18...고정축 19...중량추
26...조리개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선재코일을 이송시키는 코일 콘베이어의 일측 저면에 접촉토록 편심캠을 설치하여 저면이 스프링지지되는 하우징의 내측에 베어링 결합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레버핀으로 지지되는 작동레버의 일단이 연결되어 캠의 회전시 리포밍 통의 내부 일측에서 동작하는 코일분배 전방부와, 리포밍 통의 내부 타측에 힌지 결합되어 타단에 중량추가 결합되는 코일분배 후방부로 구성되는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코일 배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선재코일 배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레버 작동용 캠을 도시한 요부 단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은 코일배분 전방부(1)와 코일배분 후방부(2)로 구성된다.
코일 콘베이어(3)를 통하여 이송되는 선재코일(4)이 적재토록 내측에 리폼 콘(5)이 결합되어 저면에 조리개 판(26)이 설치되는 리폼밍 통(6)이 설치되며, 상기 리폼밍 통(6)의 주연 일측에 통실린더(7)가 결합되고, 상기 리포밍 통(6)의 저면에 맨드렐(8)이 설치되어 그 외측에 복수의 코일 게이트(9)가 설치된다.
상기 리폼밍 통(6)의 내부 일측면에 힌지(17) 결합되어 선재코일(4)의 전방낙하위치를 조정하는 코일배분 전방부(1)는, 일측 코일 콘베이어(3)의 저면에 접촉토록 편심캠(11)을 하우징(13)의 내측에 베어링(14)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저면이 베이스에 스프링(12) 지지되며, 상기 하우징(13)의 일측에 레버핀(15)으로 베이스에 지지되어 일단에 마그네트(10)가 결합되는 작동레버(16)의 타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마그네트(10)에 연결되는 작동레버(16-1)가 리폼밍 통(6)의 이측에 설치된다.
상기 리폼밍 통(6)의 타측면에 코일배분 전방부(1)와 대향 설치되는 코일배분 후방부(2)는, 작동레버(16-2)의 일측면 양측에 일체로 돌출되는 고정축(18)에 의해 리폼밍 통(6)에 지지되는 베어링(14-1) 결합되며, 상기 리폼밍 통(6)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토록 설치되어 그 타단에 중량추(19)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일 콘베이어(3)를 통해 늬어져 이송되는 대구경의 선재코일(4)이 코일 콘베이어(3)의 속력에 의하여 리폼밍 통(6)의 일측면에 리폼 콘(5)에 의해 낙하되면 코일콘베이어(3)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편심캠(11)의 동작에 의해 코일배분 전방부(1)의 연결되는 작동레버(16)(16-1)가 운동하여 낙하되는 선재코일(4)을 리폼밍 통(6)의 내측에서 앞뒤로 배분시켜 집적상태를 최적화 시킨다.
또한, 상기 코일 콘베이어(3)의 저면에 접촉되는 편심캠(11)은, 스프링(12)에 의해 베이스에 지지되는 하우징(13)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코일 콘베이어(3)를 축으로 상하이동토록 작동하며, 이때 상기 작용에 의해 레버핀(15)에 지지되는 작동레버(16)의 일단이 결합되어 시이소의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의하여 작동레버(16)의 타단에 마그네트(10)를 통하여 결합되는 리폼밍 통(6)의 작동레버(16-1)를 힌지(17)를 축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낙하되는 선제코일(4)을 가지런 하게 정리토록 한다.
한편, 상기 코일 콘베이어(3)를 통하여 이송되는 소구경의 선재코일(4)은, 낙하거리가 길게되어 리폼밍 통(6)의 후방으로 향하게 되고, 이때 상기 선재코일(4)은 리폼밍 통(6)의 후방에 베어링(14-1) 결합되어 중량추(19)에 의해 내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작동레버(16-2)에 부딪쳐 리폼 콘(5)의 외주연에 가지런하게 집적되어 맨드렐(8)로 하향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선재코일(4)은 코일배분 전,후방부(1)(2)의 작동레버(16-1) 16-2)용에 의해 가지런하게 정렬되어 최적의 상태로 집적토록 되고, 상기 작동레버(16-1)(16-2)에 의해 맨드렐(8)에 집적이 완료되면 조리개판(26)을 막아 코일게이트(9)가 지지되는 선재코일(4)을 일측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맨드렐(8)이 회전이 용이토록 리폼밍 통(6)을 통실린더(7)에 의해 상측으로 들게 한다.
또한, 상기 리폼밍 통(6)의 저면에 설치되는 조리개 판(26)은, 리폼 콘(5)과 코일배분 전,후방부(1)(2)에 의해 맨드렐(8)에 선재코일(4)이 용이하게 낙하토록 개방되는 상태로 되고, 맨드렐(8)에 집적이 완료되면 폐쇄되어 리폼밍 통(6)의 내측에서 계속하여 집적작업이 수행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에 있어서는, 선재코일의 맨드렐 집적시 규격별 낙하 거리차에 의한 제품의 집적불량을 방지하여 선재코일의 외관형상을 양호하게 집적함으로써 재 포장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하고, 선재코일의 높이를 낮게 하여 코일의 이송시 결속이 풀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후공정에 용이하게 투입하며, 선재코일의 규격에 상관없이 선재코일을 용이하게 집적할수 있고, 양호한 외관에 의해 언 로딩시 구름이 원할하게 되어 샌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코일 콘베이어(3)를 통하여 이송되는 선재코일(4)이 적재토록 내측에 리폼 콘(5)이 결합되어 저면에 조리개 판(26)이 설치되는 리폼밍 통(6)이 설치되며, 상기 리폼밍 통(6)의 주연 일측에 통실린더(7)가 결합되고, 상기 리포밍 통(6)의 저면에 맨드렐(8)이 설치되어 그 외측에 복수의 코일 게이트(9)가 설치되는 선재코일 적재장치에 있어서,
    코일 콘베이어(3)에 접촉토록 설치되는 편심캠(11)이 베이스에 스프링(12) 지지되는 하우징(13)의 내측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일측에 레버핀(15)으로 베이스에 지지되어 일단에 마그네트(10)가 결합되고 타단이 하우징(13)에 연결토록 작동레버(16)가 설치되며, 상기 리폼밍 통(6)의 일측면에 힌지(17)결합되는 작동레버(16-1)의 일단이 마그네트(10)에 연결되는 코일배분 전방부(1);와,
    상기 리폼밍 통(6)의 타측면에 작동레버(16-2)가 고정축(18)에 의해 베어링(14-1)결합되며, 상기 작동레버(16-2)의 일단이 리폼밍 통(6)의 내측에 일단이 삽입되어 그 타단에 중량추(19)가 결합되는 코일배분 후방부(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낙하코일 배분장치
KR2019980014043U 1998-07-29 1998-07-29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KR200000037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43U KR20000003743U (ko) 1998-07-29 1998-07-29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043U KR20000003743U (ko) 1998-07-29 1998-07-29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43U true KR20000003743U (ko) 2000-02-25

Family

ID=6951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043U KR20000003743U (ko) 1998-07-29 1998-07-29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7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15A (ko) * 2000-12-23 2002-07-02 이구택 코일분배 권취장치
KR100797880B1 (ko) * 2001-12-22 2008-01-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일 집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015A (ko) * 2000-12-23 2002-07-02 이구택 코일분배 권취장치
KR100797880B1 (ko) * 2001-12-22 2008-01-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코일 집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5830A (en) Mandrelless downcoiler for coil box
US4019359A (en) Method of hot rolling metal strip
RU229425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матывания и разматывания горячекатаных полосовых заготовок из горячего металла
CN202316643U (zh) 双工位无芯移送式热卷箱
CA2117008C (en) Coiler furnace for a hot strip
KR20000003743U (ko) 선재낙하 코일 배분장치
US427557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ubes by continuous hot rolling
US4306438A (en) Metal strip downcoilers-II
US2683570A (en) Mill for the hot rolling of strip metal
KR101008136B1 (ko) 선재 권취 가이드장치
CA1126543A (en) Metal strip downcoilers - i
US3123236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coils of metallic strip
GB2106432A (en) Coiler for hot rolled strip
JPS598442B2 (ja) ホツトストリツプ圧延設備列
US3328989A (en) Method of coiling strip
KR100544581B1 (ko) 열간압연선재의 냉각온도 조정장치
KR20090065653A (ko) Sts 냉연코일의 선단 안내장치
KR20020001435A (ko) 벤딩수단에 의한 판재 권취장치
CA1227673A (en) Single pivoting bending roll, coilbox
CN210333778U (zh) 一种热轧钢板生产用进料装置
CN216297550U (zh) 卷取辅助设备及卷取系统
CN210632680U (zh) 一种钢卷小车有卷检测限位高度调整装置
RU2223159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тгибки и задачи переднего конца рулонов толстой полосы с разматывателя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агрегат
JPS6349324A (ja) 板材の巻取装置
JPS6261725A (ja) 鋼板の巻取り巻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