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275U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275U
KR20000003275U KR2019980013378U KR19980013378U KR20000003275U KR 20000003275 U KR20000003275 U KR 20000003275U KR 2019980013378 U KR2019980013378 U KR 2019980013378U KR 19980013378 U KR19980013378 U KR 19980013378U KR 20000003275 U KR20000003275 U KR 200000032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hamber
side end
cold air
plate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3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275U/ko
Publication of KR20000003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275U/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내에 형성된 냉각실과, 상기 냉각실의 일벽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를 갖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의 사이에 소정의 냉기 유동공간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덕트판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판의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과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측단플랜지와, 상기 측단플랜지로부터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턱과,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측단플랜지의 자유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걸림돌기영역과 상기 측단면 사이에 소정의 탄성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냉각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냉기덕트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고안은, 본체내에 형성된 냉각실과, 상기 냉각실의 일벽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를 갖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의 사이에 소정의 냉기 유동공간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덕트판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냉기덕트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비교적 저온의 냉동실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장실을 가지며, 이들 냉동실과 냉장실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시스템을 구비한다. 냉동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및 응축기로부터의 냉매를 증발시켜 냉동실 및 냉장실로 각각 공급되는 냉기를 발생하는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냉각실의 후벽에 설치된 냉기덕트는 증발기의 외부공간을 차단하여 증발기에서 생성된 냉기가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송풍팬으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종래의 냉장고 냉기덕트의 분해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덕트(133)는 크게 전면판(129)과 덕트판(131)으로 나누어진다.
사각의 판면으로 형성된 전면판(129)은 냉동실(112)의 후벽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판면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냉동실(1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냉기토출구(1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129)의 외주연부에는 전면판(129)으로부터 절곡되어 덕트판(131)을 향해 소정 연장된 측단플랜지(1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측단플랜지(138)의 단부에는 냉동실(112)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129)과 조립되어 증발기의 외면을 덮는 덕트판(131)은, 전면판(129)으로부터 소정의 냉기유동공간을 두고 전면판(129)과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덕트판(131)의 판면에는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냉기를 냉동실(112)로 보내는 송풍팬(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의 삽입공(136)과 냉장실(미도시)로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안내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종래 냉장고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12)의 내벽면에는 전면판(129)에 형성된 걸림돌기(140)를 수용하는 함몰된 걸림턱(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플랜지(138)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40)에는 걸림턱(142)으로부터 이탈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129)이 걸림돌기(140)에 의하여 냉동실(112)의 걸림턱(142)에 수용 및 이탈될 때, 측단플랜지(138)가 소정의 탄성을 받아 상하로 유동되도록 덕트판(131)의 연부는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 전면판의 걸림돌기가 냉동실의 내벽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수용되었을 때, 측단플랜지가 덕트판의 연부로 수축됨이 발생되어 냉동실의 후벽에 설치된 전면판이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돌기의 높이를 크게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전면판을 냉동실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냉기덕트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냉기덕트의 분해확대 사시도,
도 3은 냉각실과 냉기덕트의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 대응하는 종래의 냉장고 냉기덕트의 분해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응하는 종래 냉장고의 부분확대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냉동실
13 : 냉장실 15 : 중간격벽
21 : 압축기 23 : 증발기
29 : 전면판 31 : 덕트판
33 : 냉기덕트 34 : 냉기토출구
38 : 측단플랜지 44 : 지지돌출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내에 형성된 냉각실과, 상기 냉각실의 일벽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를 갖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의 사이에 소정의 냉기 유동공간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덕트판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과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측단플랜지와, 상기 측단플랜지로부터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턱과,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측단플랜지의 자유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걸림돌기영역과 상기 측단면 사이에 소정의 탄성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은 상기 지지돌출부에 의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에 함몰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내에는 중간격벽(15)에 의해 구획되어 상하로 냉동실(12)과 냉장실(13)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0)의 후면 하단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1)가 설치되어 있고, 냉동실(12)의 후벽 내에는 압축기(21)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수령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23)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23)의 상부에는 증발기(23)로부터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12)과 냉장실(13)에 송풍하는 송풍팬(27)이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23)의 하부에는 제상히터(24)가 설치되어 압축기(21)의 작동이 정지되고 있는 동안 증발기(23)를 가열함으로써, 증발기(23)의 냉각작동시 증발기(23)표면에 생성되는 성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증발기(23)의 하부에는 드레인판(25)이 설치되어 제상히터(24)의 가열에 의한 증발기(23) 제상시 생성되는 제상수를 수령한다. 수령된 제상수는 냉장고내의 타부분으로 이송되거나 냉장고 외부로 배출된다.
중간격벽(15)내에는 냉장실덕트(17)와 냉동실덕트(19)가 형성되어 있다. 각 덕트(17,19)는 냉장실(13) 및 냉동실(12)내의 중간격벽(15) 전면으로부터 증발기(23)에 인접한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냉장실(13) 및 냉동실(12) 내부를 냉각시킨 공기를 증발기(23)를 향해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증발기(23)에서 생성되어 냉장실(13) 및 냉동실(12)을 냉각시킨 냉기는 다시 증발기(23)로 공급되어 냉각되는 순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증발기(23)의 전면에는 증발기(23)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동실(12) 및 냉장실(13)에 공급하는 냉기덕트(3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냉기덕트의 분해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덕트(33)는 크게 전면판(29)과 덕트판(31)으로 나누어진다.
사각의 판면으로 형성된 전면판(29)은 냉동실(12)의 후벽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판면에는 증발기(23)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냉동실(12)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냉기토출구(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29)의 외주연부에는 전면판(29)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덕트판(31)의 지지돌출부(44)에 접촉하는 측단플랜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측단플랜지(38)에는 단부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냉동실(12)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40)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판(29)과 조립되어 증발기(23)의 외면을 덮는 덕트판(31)은, 전면판(29)으로부터 소정의 냉기유동공간을 두고 전면판(29)과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덕트판(31)의 판면에는 증발기(23)로부터 발생된 냉기를 냉동실(12)로 보내는 송풍팬(27)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의 삽입공(36)과, 냉장실(13)로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안내부(3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덕트판(31)의 측단면은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12)의 내벽면에는 전면판(29)에 형성된 걸림돌기(40)를 수용하는 함몰된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단플랜지(38)의 단부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냉동실(12)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기(40)에는 걸림턱(42)으로부터 이탈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판(29)에 형성된 걸림돌기(40)가 냉동실(12)의 수용홈(41)에 수용 및 이탈될 때, 전면판(29)의 연부로부터 연장형성된 측단플랜지(38)의 자유단부가 덕트판(31)의 측단면에 형성된 계단형상의 지지돌출부(44)에 접촉되며, 이 측단플랜지(38)가 소정의 탄성을 받아 상하로 유동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40)의 하부영역에는 탄성유동공간(45)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면판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냉동실의 내벽면에 함몰형성된 걸림홈에 수용 및 이탈될 때, 덕트판의 연부에 형성된 탄성유동공간으로 측단플랜지가 소정의 탄성유동을 하므로, 전면판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냉각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냉기덕트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3)

  1. 본체내에 형성된 냉각실과, 상기 냉각실의 일벽면을 형성하며 다수의 냉기토출구를 갖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의 사이에 소정의 냉기 유동공간을 두고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는 덕트판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연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과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 사이에 개재되는 측단플랜지와;
    상기 측단플랜지로부터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을 향해 돌출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걸림턱과;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측단플랜지의 자유단부에 접촉하며, 상기 걸림돌기영역과 상기 측단면 사이에 소정의 탄성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판의 측단면은 상기 지지돌출부에 의해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냉각실의 내벽면에 함몰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9980013378U 1998-07-21 1998-07-21 냉장고 KR200000032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378U KR20000003275U (ko) 1998-07-21 1998-07-2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378U KR20000003275U (ko) 1998-07-21 1998-07-2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275U true KR20000003275U (ko) 2000-02-15

Family

ID=6951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378U KR20000003275U (ko) 1998-07-21 1998-07-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2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130B2 (en) Refrigerator
EP3715751B1 (en) Refrigerator
JPH09178326A (ja) 冷蔵庫の蒸発器カバーの結合構造
KR20000003275U (ko) 냉장고
JP3507670B2 (ja) 冷蔵庫
KR20070030045A (ko) 냉장고와 냉장고의 조립방법
JPH11211339A (ja) 冷蔵庫
JP2003172575A (ja) 冷蔵庫
EP4249834A1 (en) Refrigerator
KR100426697B1 (ko) 냉장고
KR100407304B1 (ko) 냉장고의 측면덕트 장착장치
JP5328623B2 (ja) 冷蔵庫
KR200222136Y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착탈식 결합구조
KR200308187Y1 (ko) 냉장고
KR0182124B1 (ko) 냉장고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200308188Y1 (ko) 냉장고
KR20000003274U (ko) 냉장고
KR100412409B1 (ko) 공간활용을 개선한 김치저장고
KR200217744Y1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KR0127435Y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KR200171919Y1 (ko) 냉장고
KR100229470B1 (ko) 제상히터를 갖는 냉장고
KR200220617Y1 (ko) 냉장고의 리턴덕트
KR200184620Y1 (ko) 냉장고용 증발접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