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2096U -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 Google Patents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2096U
KR20000002096U KR2019980011905U KR19980011905U KR20000002096U KR 20000002096 U KR20000002096 U KR 20000002096U KR 2019980011905 U KR2019980011905 U KR 2019980011905U KR 19980011905 U KR19980011905 U KR 19980011905U KR 20000002096 U KR20000002096 U KR 200000020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uster
drilling
ship
underwater uni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호
송창규
한창수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2019980011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2096U/ko
Publication of KR20000002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096U/ko

Links

Landscapes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추선(드릴쉽: drillship)의 스러스터(thruster) 장착에 필요한 표식을 가지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며, 스러스터(10)가 장착된 시추선(1)에 있어서, 상기 시추선(10)의 외판(110)에는 상기 스러스터(10)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러스터(10)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100)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이 제공되고, 이로써 시행 착오 없이 시추선을 이동하여 정반과 스러스터 룸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기술분야)
본 고안은 시추선(드릴쉽: drillship)의 스러스터(thruster) 장착에 필요한 표식을 가지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해저 유전의 개발에 사용되는 시추선의 추진 장치인 스러스터(thruster)를 시추선에 장착하고 분리함에 있어서 그 위치 기준이 되는 표식을 가지는 시추선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홈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하게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런 드릴쉽은, 군소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에 따라,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또한 기존의 계류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험한 해상 조건에서 선박의 위치를 일정 시추 지점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위치제어 시스템(dynamic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드릴쉽의 메인 추진과 자기위치제어에 사용되는 핵심적인 장비가 추진 장치의 하나인 아지무쓰 스러스터(azimuth thruster)이다. 일반적으로 아지무쓰 스러스터는 시추선의 선수 부분에 3기 그리고 선미 부분에 3기 총 6기가 설치되며, 각각이 360도 회전 가능한 프로펠러를 구비하고 있어서, 시추선을 추진, 역추진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추진 및 위치제어 겸용의 추진기이다.
도1은 아지무쓰 스러스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시추선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지무쓰 스러스터(10)는 시추선(1)의 선수부 중앙에 1대와 그 바로 뒤의 양측에 2대, 선미부 중앙에 1대, 그 바로 앞의 양측에 2대가 장착되어 있다.
시추선에 형성된 스러스터 룸에 장착되는 아지무쓰 스러스터는 프로펠러를 포함한 언더워터유닛(under water unit), 언더워터유닛이 장착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언더워터유닛은 시추선을 진수한 후에 수중에서 리셉터클과 모터에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추선의 진수 후에 스러스터의 언더워터유닛을 조립하는 종래의 방법은, 시추선의 스러스터 룸 상부에 설치된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의 로프에 스러스터 룸을 관통하여 설치된 인양로프를 매달고 이 인양로프에 언더워터유닛을 매달은 상태에서, 이 언더워터유닛을 해상의 바지선 등에 설치된 크레인의 로프로 매달아 언더워터유닛을 물속으로 잠수시키고, 상기 무어링 윈치로 언더워터유닛을 끌어올리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언더워터유닛을 크레인의 로프에 매달아 수중으로 잠수시키기 위해서는, 언더워터유닛의 이동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한 수심(예, 50m 이상)에서 작업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를 위해서는 먼바다에서 언더워터유닛의 장착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위험이 따르고 비용이 상승되는 점, 언더워터유닛의 위치에 따라 그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러스터 룸의 안내 파이프를 두개 이상 사용하여 여기를 관통하는 인양로프를 각각 상하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야 하나, 기존의 무어링 윈치의 로프에는 한 개의 인양로프 밖에 연결할 수 없으므로 언더워터유닛의 무게 중심을 잡기가 어렵다는 점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스러스터 장착 방법을 개발한 바 있으며, 이 방법은 정반에 언더워터유닛을 고정하여 이 정반을 시추선의 언더워터유닛 장착 위치에 대응하는 해저면에 안치시킨 후에, 시추선의 스러스터 룸이 정반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시추선을 이동시키고, 스러스터 룸을 관통하여 언더워터유닛에 연결된 인양로프를 권취수단으로 견인하여 언더워터유닛을 스러스터 룸에 장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가까운 바다의 낮은 수심(예, 15m)에서 안전하게 언더워터유닛의 탈착작업을 할 수 있고, 언더워터유닛의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새로운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해저면에 안치된 정반의 바로 위에 시추선의 스러스터 룸이 위치하도록 시추선을 이동시켜야 하는 바, 기존의 시추선에는 스러스터 룸이 설치된 위치에 관한 어떠한 표시도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목측과 경험에 의해 시추선을 이동하였으므로, 작업상에 시행 착오가 많았으며, 따라서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해저면에 안치된 정반 위치로 시추선의 스러스터 룸이 위치하도록 시추선을 이동함에 있어서, 시행 착오 없이 바로 정반과 스러스터 룸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아지무쓰 스러스터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시추선의 저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추선 10: 아지무쓰 스러스터
100: 표식 110: 외판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러스터가 장착된 시추선에 있어서, 상기 시추선의 외판에는 상기 스러스터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러스터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스러스터(10)가 장착된 시추선(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시추선(1)에는 상기 스러스터(10)의 장착 위치를 표시하는 표식(100)이 작업자의 시야에 잘 띠도록 외판(110)에 표시되어 있다.
즉, 전술한 6대의 스러스터(10)가 장착된 시추선(1)에 있어서는, 외판(110)의 둘레에 수직 방향으로 예를 들어 해수에 강한 유색 페인트로 3개의 직선 표식(100)이 되어 있다.
작업자는 해저면에 정반을 안치한 후에 상기 표식(100)을 보고 시추선(1)의 스러스터 룸(11)이 정확하게 정반 위에 위치하도록 시추선(1)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반과 스러스터 룸(11)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위해 시추선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재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러스터(10)의 장착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비를 위해 언더워터유닛을 스러스터 룸(11)으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정반을 해저면에 안치시킨 후에 상기 표식(100)을 보고 정반 위에 스러스터 룸(11)이 위치하도록 시추선(1)을 이동하고, 언더워터유닛을 정반위에 고정시키면 되므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에 의하면, 시추선의 외판에 스러스터가 장착된 위치를 표시하는 간단한 개량에 의해, 시행 착오 없이 바로 정반과 스러스터 룸의 위치를 일치시킬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러스터가 장착된 시추선에 있어서, 상기 시추선의 외판에는 상기 스러스터가 장착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러스터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KR2019980011905U 1998-06-30 1998-06-30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KR200000020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05U KR20000002096U (ko) 1998-06-30 1998-06-30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905U KR20000002096U (ko) 1998-06-30 1998-06-30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096U true KR20000002096U (ko) 2000-01-25

Family

ID=6951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905U KR20000002096U (ko) 1998-06-30 1998-06-30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209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966B1 (ko) * 2011-12-14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버너 붐 유압 실린더 구조
KR101390367B1 (ko) * 2011-06-08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작업용 선박 및 그 선박의 자세제어 방법
KR20170025325A (ko) * 2015-08-28 201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67B1 (ko) * 2011-06-08 2014-04-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작업용 선박 및 그 선박의 자세제어 방법
KR101310966B1 (ko) * 2011-12-14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버너 붐 유압 실린더 구조
KR20170025325A (ko) * 2015-08-28 201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224B2 (en) Shallow/intermediate water multipurpose floating platform for arctic environments
US7806065B1 (en) Modular system for fast and easy conversion of anchor moored semi-submersibles to dynamically positioned semis without the need for dry docking, using a diesel electric thruster system
US9254894B2 (en) Flotable subsea platform (FSP)
WO2012043974A1 (ko) 문풀용 댐핑 디바이스의 잠금장치
RU2601086C2 (ru)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20120119335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090032618A (ko) 선박용 스러스터 모터의 수리를 위한 선박 구조
US6503022B1 (en) Bouyant moon pool plug
US3763580A (en) Apparatus for dredging in deep ocean
KR101250829B1 (ko) 선박의 스러스터 워터 타이트 구조물 및 이 구조물을 설치 방법
JP2854080B2 (ja) 海底ケーブル布設船
KR20000002096U (ko) 스러스터 장착 위치가 표시된 시추선
KR100978065B1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방법
KR101201354B1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설치장치와 그 방법
KR100568613B1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장치 및 방법
EP3243734B1 (en) Assembly of a vessel and a floating module
WO2015137535A1 (ko) 부유식 해상 복합 발전을 통한 산소 및 수소 공급 시스템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101901817B1 (ko) 해양구조물의 와류유발운동 감소를 위한 장치
KR20180006110A (ko) 문풀 댐핑장치 및 그 문풀 댐핑장치의 댐핑과 플립의 보관방법
WO2014173456A1 (en) Turret mooring
KR100558884B1 (ko) 스러스터의 축정렬 장치
KR20130104323A (ko) 시추선의 스러스터 장착 및 유지보수방법
JPH0860645A (ja) 水中構造物の建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