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781U -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781U
KR20000001781U KR2019980011584U KR19980011584U KR20000001781U KR 20000001781 U KR20000001781 U KR 20000001781U KR 2019980011584 U KR2019980011584 U KR 2019980011584U KR 19980011584 U KR19980011584 U KR 19980011584U KR 20000001781 U KR20000001781 U KR 200000017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anel
cabinet
washing machine
hing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781U/ko
Publication of KR20000001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781U/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세탁조 내에 깊숙히 있는 세탁물을 꺼낼 때 허리를 많이 굽혀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톱 패널이 다수의 나사들에 의해서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기의 내부를 수리하기 위해 톱 패널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다수의 나사들을 일일이 풀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캐비닛의 상부에 톱 패널의 일단부가 힌지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캐비닛의 힌지축에는 토션스프링이 끼워져 일단은 캐비닛에 지지되며, 타단은 톱 패널에 지지되어 톱 패널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탄지하고 있다. 캐비닛의 내측면에는 각도조절판이 고착되고, 이 각도조절판에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규제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톱 패널의 내측면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에는 스토퍼가 장착되며, 스토퍼와 설치공간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스토퍼를 탄지하고 있다. 스토퍼의 선단부에는 각도조절판의 규제구멍에 끼워지는 반구형상의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규제구멍의 위치에 따라 톱 패널의 개방각도가 정해지게 된다. 그리고, 톱 패널이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록킹·해제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톱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톱 패널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세탁조에 있는 세탁물을 꺼내거나 세탁기의 내부를 수리할 때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에 세탁물과 물, 그리고 적당한 양의 세제(洗劑)를 넣고 기계적인 물살(flow of water)에 의한 충격을 세탁물에 주어 일련의 세탁 및 헹굼, 탈수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의 하나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캐비닛(1)의 상부에는 다수의 나사(3)들에 의해 톱 패널(2)이 고정적으로 조립된다. 이 톱 패널(2)의 중앙에는 입구(2a)가 형성되며, 이 입구(2a)는 도어(4)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또한, 톱 패널(2)의 상면 전방에는 컨트롤 패널(5)이 장착되며, 톱 패널(2)의 상면 후방에는 급수 밸브(6)가 장착된다.
캐비닛(1)의 내부에는 다수의 구멍(7a)이 형성된 세탁조(7)가 설치되고, 세탁조(7)의 바닥에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펄세이터(8)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셰탁기는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5)의 조작에 의해 소망하는 세탁 기능을 설정하게 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펄세이터(8)가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탁기는 도어(4)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입구(2a)를 통해서만이 세탁물을 집어 넣거나 꺼내는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세탁기의 상면이 사용자의 가슴부에 위치하므로 세탁조 내에 깊숙히 있는 세탁물을 꺼낼 때 허리를 많이 굽혀 꺼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허리를 많이 굽히는 과정에서 잘못하여 허리를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탁기는 톱 패널(2)이 다수의 나사(3)들에 의해서 캐비닛(1)에 고정적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세탁기의 내부를 수리하기 위해 톱 패널(2)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다수의 나사(3)들을 일일이 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나사(3)가 마모되거나 분실되는 경우에는 작업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비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세탁조 내에 깊숙히 있는 세탁물을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톱 패널이 캐비닛으로 부터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세탁기 내부를 수리할 때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톱 패널 개폐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톱 패널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톱 패널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채용된 록킹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비닛 12: 힌지축
14: 록킹홈 20: 톱 패널
22: 힌지구멍 24: 설치공간
30: 토션스프링 40: 버튼
42: 로커 44: 스프링
50: 각도조절판 52: 규제구멍들
54: 가이드 홈 60: 스토퍼
62: 걸림돌기 64: 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캐비닛의 상부에 톱 패널이 조립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캐비닛의 양측 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힌지축과, 이 힌지축과 대응되도록 톱 패널에 형성된 힌지공으로 이루어진 힌지와; 캐비닛의 힌지축에 끼워져, 일단은 캐비닛에 지지되고, 타단은 톱 패널에 지지되어 톱 패널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탄지하는 토션스프링과; 캐비닛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규제구멍이 형성된 각도조절판과; 톱 패널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후면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며, 선단부에는 규제구멍에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스토퍼와; 톱 패널을 캐비닛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록킹·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톱 패널 개폐장치가 적용된 세탁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톱 패널 개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톱 패널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채용된 록킹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와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캐비닛(10)의 상부에 톱 패널(20)이 장착된다. 이 톱 패널(20)의 중앙에는 입구(4)가 형성되며, 이 입구(4)는 도어(2a)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또한, 톱 패널(20)의 상면 전방에는 컨트롤 패널(5)이 장착되며, 톱 패널(20)의 상면 후방에는 급수 밸브(6)가 장착된다. 또한, 톱 패널(20)의 후단부는 캐비닛(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캐비닛(10)의 양측 상면 후단부에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힌지축(12)이 돌출 형성되며, 톱 패널(20)의 양측 후단부에는 힌지축(12)과 대응되는 한 쌍의 힌지구멍(22)이 형성된다. 이런 힌지축(12)과 힌지구멍(22)의 결합에 의해 톱 패널(20)은 캐비닛(10)에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캐비닛(10)에 힌지공을 형성하고, 톱 패널(20)에 힌지축을 형성하여 결합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톱 패널(20)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힘을 갖도록 한 쌍의 힌지축(12)에는 각각 토션스프링(30)이 장착된다. 토션스프링(30)은 힌지축(12)에 끼워져 결합되며, 일단은 캐비닛(10)에 고정되고, 타단은 톱 패널(20)에 고정되어 톱 패널(20)을 탄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톱 패널(20)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힘을 갖도록 힌지축(12)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30)이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토션스프링(30)이 아니더라도 톱 패널(20)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고자 하는 힘을 갖는 다면 다른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톱 패널(20)과 캐비닛(10)의 사이에 판 스프링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전방에는 록킹·해제수단이 설치된다. 록킹·해제수단에 대해 설명하면, 톱 패널(20)의 전면에 버튼(40)이 장착되고, 이 버튼(40)의 후방에는 버튼(40)과 일체로 로커(42)가 형성된다. 이 로커(42)는 톱 패널(20)의 전방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버튼(40)의 동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40)의 후면에는 버튼(40)을 탄지하는 스프링(44)이 설치된다. 이 스프링(44)은 버튼(40)을 누른 후, 버튼(40)이 원래의 위치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단에는 로커(42)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록킹홈(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40)을 누르게 되면, 로커(42)는 버튼(4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캐비닛(10)의 록킹홈(14)에서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록킹이 해제되면, 톱 패널(20)은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된다. 이 때 별도의 규제수단이 없으면 톱 패널(20)은 힌지점을 중심으로 필요이상으로 개방되어 벽면 등에 충돌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파손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는 각도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각도조절수단에 대해 설명하면, 캐비닛(10)의 상단 내측면에는 각도조절판(50)이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 각도조절판(50)은 캐비닛(10)의 상면보다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간부분에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의 규제구멍(52)들이 형성되며, 각각의 규제구멍(52)들의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가이드 홈(54)이 형성된다. 톱 패널(20)의 내측면에는 각도조절판(50)의 규제구멍(52)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공간(24)이 형성된다. 이 설치공간(24)에는 스토퍼(60)가 설치되며, 스토퍼(60)와 설치공간(24)의 사이에는 스프링(64)이 내설되어 스토퍼(60)를 탄지하게 된다. 스토퍼(60)의 선단부에는 각도조절판(50)의 규제구멍(52)에 끼워지는 반구형상의 걸림돌기(6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62)가 끼워지는 규제구멍(52)의 위치에 따라 톱 패널(20)의 개방각도가 정해지게 된다. 즉, 걸림돌기(62)가 가장 하부에 있는 규제구멍(52)에 걸려 있으면, 톱 패널(20)은 캐비닛(10)의 상부에 닫혀 있는 것이고, 걸림돌기(62)가 다음 규제구멍(52)을 갈수록 톱 패널(20)의 개방각도는 커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에 따라 원하는 만큼 톱 패널(20)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제,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 4와 도 5를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된 세탁기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도어(2a)를 열고 입구(4)를 통해 세탁물을 꺼내기가 어려운 경우에 세탁기의 톱 패널(20)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가 톱 패널(20)을 개방시키고자 하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 패널(20)의 전방에 돌출된 버튼(40)을 누른다. 그러면, 버튼(40)과 일체로 형성되어 버튼(40)을 따라 이동하는 로커(42)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캐비닛(10)에 형성된 록킹홈(14)으로부터 이탈된다. 이렇게 록킹상태가 해제되면, 사용자는 톱 패널(20)을 잡고 원하는 위치만큼 톱 패널(20)을 들어 올린다. 약간의 힘을 가해 톱 패널(20)을 들어 올리면, 각도조절판(50)의 규제구멍(52)들 중에 가장 하부에 있는 규제구멍(52)에 걸려있는 걸림돌기(62)는 반구형상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스토퍼(60)를 통해 스프링(64)을 압축시키며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톱 패널(20)의 회동은 자유롭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톱 패널(20)을 들어 올리면 걸림돌기(62)는 가이드 홈(54)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음 규제구멍(52)에 도달하면 스프링(64)의 복원력에 의해 그 규제구멍(52)에 끼워져 걸리게 되며, 톱 패널(2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톱 패널(20)을 원하는 각도만큼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힌지축(12)에는 톱 패널(20)을 개방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톱 패널(20)을 탄지하고 있는 토션스프링(30)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톱 패널(20)을 들어 올릴 수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톱 패널(20)을 누르기 전에는 톱 패널(20)이 개방된 위치에서 자중에 의해 스스로 하강하는 문제는 없는 것이다.
사용자가 개방되어 있는 톱 패널(2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톱 패널(20)을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누르면 된다. 그러면 톱 패널(20)이 개방되는 순서와 반대로 걸림돌기(62)는 가장 하부에 위치한 규제구멍(52)에 끼워져 걸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로커(42)는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캐비닛(10)의 록킹홈(14)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이 때,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구되어 있는 로커(42)는 톱 패널(20)이 닫힐 때,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었다가 록킹홈(14)에 도달하면 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록킹홈(14)에 끼워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톱 패널(20)은 닫힌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는 버튼을 누르면 톱 패널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탁조의 내부 깊숙히 있는 세탁물을 꺼낼 때 톱 패널을 들어올려 개방시킨 상태에서 세탁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탁물을 꺼내기 위해 허리를 많이 굽히는 과정에서 허리부상을 입게 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세탁기 수리공이 세탁기의 내부의 수리를 위해 톱 패널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톱 패널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수리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캐비닛의 상부에 톱 패널이 조립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0)의 양측 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힌지축(12)과, 이 힌지축(12)과 대응되도록 상기 톱 패널(20)에 형성된 힌지공(22)으로 이루어진 힌지와;
    상기 캐비닛(10)의 힌지축(12)에 끼워져, 일단은 상기 캐비닛(1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톱 패널(20)에 지지되어 상기 톱 패널(20)이 힌지점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힘을 갖도록 탄지하는 토션스프링(30)과;
    상기 캐비닛(10)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의 규제구멍(52)이 형성된 각도조절판(50)과;
    상기 톱 패널(20)의 내측면에 장착되고, 후면이 스프링(64)에 의해 탄지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규제구멍(5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62)가 형성된 스토퍼(60)와;
    상기 톱 패널(20)을 상기 캐비닛(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는 록킹·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톱 패널(20)의 전면에 장착된 버튼(40)과, 이 버튼(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톱 패널(20)의 전방 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버튼(40)의 동작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로커(42)와, 상기 버튼(4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40)을 탄지하는 스프링(44)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로커(42)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록킹홈(14)으로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판(50)의 규제구멍(52)들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62)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규제구멍(52)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 홈(5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KR2019980011584U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KR200000017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584U KR20000001781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584U KR20000001781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781U true KR20000001781U (ko) 2000-01-25

Family

ID=6951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584U KR20000001781U (ko) 1998-06-30 1998-06-30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78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957A (ko) * 1999-01-16 2000-08-05 구자홍 세탁기의 아웃케이스와 톱커버 결합장치
KR101147739B1 (ko) * 2004-12-30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KR102642746B1 (ko) * 2023-06-27 2024-03-05 윤석중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957A (ko) * 1999-01-16 2000-08-05 구자홍 세탁기의 아웃케이스와 톱커버 결합장치
KR101147739B1 (ko) * 2004-12-30 201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의 탑플레이트 개폐구조
KR102642746B1 (ko) * 2023-06-27 2024-03-05 윤석중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62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81570B1 (ko) 제품의 도어 래치내의 메모리 금속 액추에이터
EP1972715B1 (en) Locking device for the closing lid of washing and drying machines
RU2329341C2 (ru) Стиральная/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KR100444954B1 (ko) 도어 잠금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000001781U (ko) 세탁기의 톱 패널 개폐장치
WO2002012613A1 (en) Washing machine with a loading door that can be opened by a sliding and translatory motion
US20020056997A1 (en) Device for closing the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a dishwahser
KR0128899Y1 (ko) 세탁기 도어 자동개폐용 스위치
KR20030006253A (ko) 드럼세탁기용 도어 록 스위치 어셈블리의 도어 록킹위치에서의 슬라이드 고정장치
KR20030060555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JPH10334772A (ja) 安全スイッチ
KR0127279Y1 (ko) 세탁기의 도어힌지장치
KR0142780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스위치
EP3854928B1 (en) Door-lock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and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aid device
KR0113439Y1 (ko) 식기건조기의 도아개폐 및 수납장치
KR0128897Y1 (ko) 세탁기의 뚜껑
KR100248235B1 (ko) 캠코더의 렌즈 커버 개폐장치
KR100892161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록 장치
KR19990030944U (ko) 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173750Y1 (ko) 도어용 완충장치
KR19990013963U (ko) 세탁기의 도어힌지장치
KR100201855B1 (ko) 드럼 세탁기의 전자식 자동 개방형 도어 록커
KR100339519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잠금 스위치
KR100686002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