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434U - 냉장고의 제빙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434U
KR20000001434U KR2019980011158U KR19980011158U KR20000001434U KR 20000001434 U KR20000001434 U KR 20000001434U KR 2019980011158 U KR2019980011158 U KR 2019980011158U KR 19980011158 U KR19980011158 U KR 19980011158U KR 20000001434 U KR20000001434 U KR 200000014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ice making
cold air
chamb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장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434U/ko
Publication of KR20000001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434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제빙홈을 갖는 제빙용기와, 그 제빙용기가 넣어지도록 냉동실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빙실과, 순환되는 냉기를 제빙실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동실 일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빙용기의 제빙홈이 냉기공에서 멀어질수록 물을 담을 수 있는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여 제빙용기의 물이 냉기공과의 거리에 상관없이 동시에 제빙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용기에 담겨진 물의 전체 제빙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기(ice-maker for 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의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빙용기의 물이 전, 후방으로부터 거의 동시에 제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빙용기에 담겨진 물의 제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축냉기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제빙용기에 담겨진 물의 제빙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순환 냉기를 통해 물을 제빙시켜 소정 크기의 얼음을 만드는 제빙기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냉장고의 제빙기를 살펴보면,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빙기(1)는 내부에 물이 담겨지는 제빙용기(10)와, 냉동실(2)의 후측벽(3)에 설치되어 제빙용기(10)가 넣어지는 제빙실(20)과, 냉각 유니트의 증발기(5)에 의해 냉각되어 냉기 순환팬(4)에 의해 순환되는 냉기를 제빙실(20)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동실(2) 후측벽(3)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용기(10)는 내부가 좌우 2내지 4열로, 전후 8내지 12열로 분리된 제빙홈(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요입되는 칸막이(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냉기 순환팬(4)의 구동에 의해 증발기(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기는 냉기공(30)을 통해 제빙실(20)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담은 제빙용기(10)를 제빙실(20)에 넣게 될 경우 제빙실(20)로 유입된 냉기는 제빙용기(10)를 접촉하면서 냉동실(2)로 순환되며, 이때 제빙용기(10)내의 물은 냉기에 의해 열을 빼앗기면서 동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냉장고의 제빙기(1)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공(30)이 제빙실(20)의 후방인 제빙용기(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칸막이(11)에 의해 분리된 제빙홈(13)의 크기 즉 물을 담겨지는 용적이 전후, 좌우열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빙용기(10)의 물이 전, 후방에서 동시에 제빙되지 못하고 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빙되어 제빙용기(10)에 담겨진 물의 신속한 제빙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제빙기(1)는 단순히 냉기의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이용하여 제빙용기(10)의 제빙홈(13)에 담겨진 물을 제빙시키게 되므로 역시 신속한 제빙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빙용기에 담겨진 물의 제빙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동실에 구비된 제빙기를 보인 냉장고의 개략 부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빙기를 발췌한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빙기의 제빙용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보인 냉장고의 개략 부분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냉장고의 제빙기를 발췌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빙기의 제빙용기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빙용기의 측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도 7a는 제빙용기의 제빙홈에 공간부를 형성한 상태도
도 7b는 제빙용기의 제빙홈의 높이를 축소시킨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를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빙기에서 축냉기와 제빙용기의 결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 9a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9b는 제빙용기와 축냉기가 평면 접촉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제빙기 110, 210 : 제빙용기
111, 211 : 칸막이 113, 213 : 제빙홈
120, 220 : 제빙실 120a, 120b, 220a, 220b : 냉기통로
130, 230 : 냉기공 240 : 축냉기
241 : 안착홈 243 : 냉각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제빙홈을 갖는 제빙용기와, 냉동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용기가 넣어지는 제빙실과, 순환되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 일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의 제빙홈은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물을 담는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물을 담는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는 냉장고의 제빙기 및;
물이 담겨지는 제빙용기와, 냉동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용기가 넣어지는 제빙실과, 순환되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 일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가지며 상기 제빙실 내부에 설치되는 축냉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기를 각각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100)를 보인 것으로서, 이 제빙기(100)는 물이 담겨지는 제빙용기(110)와, 냉동실(102)의 후측벽(103)에 설치되어 제빙용기(110)가 넣어지는 제빙실(120)과, 냉각 유니트의 증발기(105)에 의해 냉각되어 냉기 순환팬(104)에 의해 순환되는 냉기를 제빙실(120)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동실(102) 후측벽(103)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130)으로 구성된다.
제빙용기(11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우 2내지 4열로, 전후 8내지 12열로 분리된 제빙홈(113)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로부터 상부로 요입되는 칸막이(111)가 형성되며, 그 제빙홈(113)은 제빙용기(110)의 제빙홈(113)은 중심에서 좌우측으로 갈수록 물을 담는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물을 담는 용적이 점차로 작아진다.
예컨데, 제빙홈(113)이 좌우 4열로 형성되고 전후 8열로 형성될 경우, 좌우 4열중 중심의 2열의 폭은 10mm로 형성되고 양측 1열씩은 8mm의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후 8열중 후방으로부터 2열의 폭은 10mm로 형성되고, 그 다음 전방으로 2열의 폭은 8mm로 형성되며, 그 다음 전방으로 2열의 폭은 7mm로 형성되며, 그 다음 전방으로 2열의 폭은 6mm로 형성된다. 즉, 제빙용기(110)의 제빙홈(113)은 냉기공(130)에서 멀어질수록 물을 담을 수 있는 용적이 작아진다.
또한, 냉동실(102)은 제빙용기(1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빙 선반(123)과 그 제빙용기(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빙 가이드(121)에 의해 형성되며, 그 제빙 가이드(121)와 제빙용기(110)의 하부면의 사이 및 제빙 선반(123)과 제빙용기(110)의 상부면 사이에는 냉기공(130)으로부터의 냉기가 통과하는 냉기 통로(120a)(120b)가 형성된다. 이때의 냉기통로(120a)(120b)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형성하여 냉기의 밀도가 전방으로 갈수록 높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빙용기(110)는 도 7a에 도시되는 제빙홈(113)에 담겨지는 물의 양이 적도록 하는 동시에 냉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하부면에 상부로 요입된 공간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빙홈(113)의 높이가 기존 것의 높이에 비해 결여부(117) 만큼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의하면, 우선 냉기 순환팬(104)의 구동에 의해 냉각 유니트의 증발기(105)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기는 냉기공(130)을 통해 제빙실(120)로 유출된다. 이때, 냉기공(130)으로 유출되는 냉기의 일부는 제빙실(120)의 제빙 가이드(121)와 제빙용기(110) 하부면 사이의 냉기통로(120a)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제빙실(120)의 제빙 선반(123)과 제빙용기(110) 상부면 사이의 냉기통로(120b)로 흐르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빙용기(110)의 측면부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빙용기(110)의 각 제빙홈(113)에 담겨진 물은 냉기에 의해 열교환되면서 제빙되어 가는 바, 이때 일정 질량의 물을 열리는 데 필요한 시간은 물의 질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다.
이때, 수학식 1에서 Q는 소정량의 물을 얼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고, m는 얼리고자하는 물의 질량이며, T∞는 물의 온도이며, 80은 빙결잠열이며, h는 열전달 계수이며, A는 물이 담아지는 용기 즉 제빙홈(113)의 표면적이고, ΔT는 제빙홈(113)의 표면과 냉기의 온도차이며, Δtime는 물이 제빙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위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물이 제빙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 Δtime을 단축시키려면 제빙홈(113)의 표면적 A를 크게 하거나, 물의 질량 m을 적게 하거나, 열전달 계수 h를 크게 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는 제빙용기(110)의 제빙홈(113)이 냉기공(13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물을 담을 수 있는 용적이 작아지므로 냉기공(130)으로부터 토출되는 냉기의 열교환이 전후방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제빙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용기(110)의 제빙홈(113)이 기존 것에 비하여 물을 담을 수 있는 용적이 작고 표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신속한 제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기(200)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물이 담겨지는 제빙용기(210)와, 냉동실의 후측벽(203)에 설치되어 제빙용기(210)가 넣어지는 제빙실(220)과, 순환되는 냉기를 제빙실(220)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냉동실의 후측벽(203)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230) 및, 제빙용기(210)의 하부로부터 감싸면서 제빙실(220)에 설치되는 축냉기(240)로 구성된다.
즉, 축냉기(240)는 철이나 구리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제빙용기(210)가 안착되는 안착홈(24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다수개의 냉각핀(243)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제빙실(220)의 제빙 가이드(221)의 바닥면과 제빙 선반(223)의 상부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냉기통로(220a)(220b)가 각각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빙 선반(223)과 제빙용기(210)간에 형성되는 냉기통로(220b)의 상하높이가 제빙용기(210)의 높이보다 크도록 하여 제빙용기(210)의 입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제빙용기(210)의 하부면은 도 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빙홈(213)을 분리하는 칸막이(211)가 상부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그 제빙용기(210)가 안착되는 축냉기(240)의 안착홈(241) 바닥면에는 칸막이(211)와 대응하는 요철부(215)가 형성되어 서로 밀착 결합된다.
한편, 제빙용기(210)의 하부면은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9a에서와 같이 제빙홈(213)을 분리하는 칸막이(211)가 상부로 요입되게 형성되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제빙용기(210)가 안착되는 축냉기(240)의 안착홈(241) 바닥면 역시 평면으로 형성되어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200)에 의하면, 우선 냉기공(230)을 통해 제빙실(220)로 유출되는 냉기의 일부는 제빙 가이드(221)와 축냉기(240)의 하부면 사이의 냉기통로(220a)로 흐르게 되고, 다른 일부는 제빙실(220)의 제빙 선반(223)과 제빙용기(210) 상부면 사이의 냉기통로(220b)로 흐르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빙용기(210) 및 축냉기(240)의 측면부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축냉기(240)는 냉기에 의해 열교환되면서 냉열을 축적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빙용기(210)의 각 제빙홈(213)에 물을 넣을 경우 제빙용기(210)에 담겨진 물은 주위를 흐르는 냉기의 대류에 따른 열전달에 의해 제빙되어 가는 동시에, 축냉기(240)의 축적된 냉열의 열전도에 의해 제빙되어 간다.
이에 따라, 제빙용기(210)에 담겨진 물은 냉기의 대류와 그 대류보다 약 5배 이상 열전달이 빠른 열전도에 의해 제빙되므로 신속한 제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축냉기(240)의 열전도에 의해 제빙되는 제빙용기(210)의 물의 량은 축냉기(240)의 질량에 의해 달라지는 바, 그 축냉기(240)의 질량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이때, 수학식 2에서 m은 축냉기(240)의 질량이고, mice는 제빙용기(210)에 담겨지는 물의 량이며, T∞는 물의 온도이며, 80은 빙결잠열이며, Cp는 비열이다.
이에 따라, 축냉기(240)의 질량 m이 증가할수록 제빙용기(210)에 담겨지는 물의 량 mice이 증가되므로 축냉기(240)의 질량 m은 금속일 경우 3 ~ 5k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빙용기의 제빙홈이 냉기공에서 멀어질수록 물을 담는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하여 제빙용기의 물이 냉기공과의 거리에 상관없이 동시에 제빙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용기에 담겨진 물의 전체 제빙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축냉기의 열전도를 이용하여 제빙용기에 담겨진 물을 제빙시킴으로써 기존 냉기의 대류에 따른 열전달을 통해 물을 제빙시키던 것에 비하여 제빙시간을 5배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빙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제빙시 소요되는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물이 담겨지는 다수개의 제빙홈(113)을 갖는 제빙용기(110)와, 냉동실(1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용기(110)가 넣어지는 제빙실(120)과, 순환되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120)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102) 일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130)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110)는 상기 냉기공(130)에서 멀어질수록 물을 담을 수 있는 제빙홈(113)의 용적이 점차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110)는 제빙실(120)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에 냉기통로(120a)(120b)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빙홈(113)의 하부면에는 상부로 요입된 공간부(1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
  3. 물이 담겨지는 제빙용기(210)와, 냉동실(2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용기(210)가 넣어지는 제빙실(220)과, 순환되는 냉기를 상기 제빙실(220)의 후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202) 일측벽에 관통 형성되는 냉기공(230)으로 구성되는 냉장고의 제빙기에 있어서,
    상기 제빙실(2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용기(210)가 안착되는 안착홈(241)을 가지며 상기 제빙실(220) 내부에 설치되는 축냉기(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용기(210)의 하부면에는 제빙홈(213)을 분리하는 칸막이(211)가 상부로 요입되게 형성되고, 그 제빙용기(210)가 안착되는 축냉기(240)의 안착홈(241) 바닥면에는 상기 칸막이(211)와 대응하는 요철부(215)가 형성되어 서로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
  5. 제3 항 또는 제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냉기(240)는 3 ~ 5kg의 질량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 다수개의 방열핀(243)이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빙실(220)의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에 일정 간격의 냉기통로(220a)(22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기.
KR2019980011158U 1998-06-25 1998-06-25 냉장고의 제빙기 KR200000014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58U KR20000001434U (ko) 1998-06-25 1998-06-25 냉장고의 제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58U KR20000001434U (ko) 1998-06-25 1998-06-25 냉장고의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34U true KR20000001434U (ko) 2000-01-25

Family

ID=6951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158U KR20000001434U (ko) 1998-06-25 1998-06-25 냉장고의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43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369A1 (ko) * 2018-11-16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WO2020101370A1 (ko) * 2018-11-16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369A1 (ko) * 2018-11-16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WO2020101370A1 (ko) * 2018-11-16 2020-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CN111197896A (zh) * 2018-11-16 2020-05-26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1197892A (zh) * 2018-11-16 2020-05-26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1197896B (zh) * 2018-11-16 2022-05-27 Lg电子株式会社 冰箱
CN114909853A (zh) * 2018-11-16 2022-08-16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566829B2 (en) 2018-11-16 2023-01-31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CN114909853B (zh) * 2018-11-16 2024-01-23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959686B2 (en) 2018-11-16 2024-04-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1381B2 (en) Clear ice making machine
US20180080699A1 (en) Modular cooling and low energy ice
CN110411070B (zh) 蒸发单元和具有蒸发单元的冰箱
WO2015029409A1 (ja) 冷蔵庫
CN108592474B (zh) 风冷冰箱
JP6023986B2 (ja) 冷蔵庫
US20120222432A1 (en) Direct contact icemaker with chambered air cooling system
KR20000001434U (ko) 냉장고의 제빙기
JP6145643B2 (ja) 冷蔵庫
JP6678542B2 (ja) 冷蔵庫
US5706673A (en) Freezing compartment air flow system of refrigerator
KR20000001440U (ko) 냉장고용 제빙 그릇
KR200180229Y1 (ko) 냉장고
CN216080555U (zh) 制冷设备
US20220146155A1 (en) Refrigerator
US3045451A (en) Refrigerating apparatus
JPH08271131A (ja) 冷蔵庫
JP4203662B2 (ja) 冷蔵庫
JPH11132637A (ja) 冷蔵庫の排水装置
JP6145640B2 (ja) 冷蔵庫
KR200217544Y1 (ko) 냉장고
JP2002340465A (ja) 冷蔵庫
JPS6215741Y2 (ko)
KR20000005166U (ko) 냉장고용 제빙 그릇
KR20000000953U (ko) 냉장고의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