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846U -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 Google Patents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846U
KR20000000846U KR2019980010418U KR19980010418U KR20000000846U KR 20000000846 U KR20000000846 U KR 20000000846U KR 2019980010418 U KR2019980010418 U KR 2019980010418U KR 19980010418 U KR19980010418 U KR 19980010418U KR 20000000846 U KR20000000846 U KR 200000008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door
unit
information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규
Original Assignee
조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규 filed Critical 조성규
Priority to KR2019980010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846U/ko
Publication of KR200000008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46U/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로서, 외부의 환경과 외부인에 의해 잠금해제 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출입문의 잠금해제 장치로서,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출입문 또는 출입문에 근접한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투명체의 안쪽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와, 버튼에 각기 근접 센서가 설치된 입력부와, 출입문의 안쪽에 설치된 잠금해제부 및 잠금해제부를 구동하기 위한 잠금해제 정보를 갖고 있으며, 입력부로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고, 정보와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잠금해제부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버튼에 순차적으로 물체를 근접시키면, 버튼의 근접 센서는 물체가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그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전송된 정보와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잠금해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Locking and opening apparatus using approach senser)
본 고안은 출입문의 잠금해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된 잠금해제 장치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의 안쪽에 설치된 잠금해제 장치를 출입문의 밖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주택, 사무실, 자동차 등에 보완과, 외부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문에 잠금해제 장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통상적인 잠금해제 장치는 열쇠를 이용하여 잠금해제 장치를 작동시켜 출입문을 열게 된다. 현재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잠금해제 장치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별도로 보조 잠금해제 장치(여기서, "보조"는 전술된 잠금해제 장치와 구분을 하기 위하여 사용한 용어이다)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즉, 잠금해제 장치를 열쇠를 이용하여 직접 열 수도 있지만, 자동차의 경우는 리모콘을 이용하거나, 주택 또는 사무실의 경우는 출입문에 전화 버튼(button)식의 입력부에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눌러 출입문이 열리도록 하는 보조 잠금해제 장치를 설치하기도 한다. 물론, 열쇠가 없는 잠금해제 장치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자동차 운전자의 경우 자동차 열쇠 또는 리모콘을 종종 차내에 두고 자동차 문을 잠근 후 차에서 내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할 것을 대비하여 자동차 운전자가 보조 열쇠를 별도로 챙기고 다니면 문제가 없지만,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보조 열쇠를 신경써 챙기는 사람들이 드물기 때문에, 서비스 회사로부터 해제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현재 자동차의 위치가 외딴곳이라든가 위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곳에 있을 때에는 해제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꽤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잠금해제 장치와 별도로 설치되는 보조 잠금해제 장치의 전화버튼식 입력부는 출입문의 손잡이 주변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 설치된 보조해제 장치는 훼손될 우려가 크다. 그리고, 버튼을 소정의 힘으로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보조 잠금해제 장치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전화버튼식 입력부는 소정의 기간을 주기로 교체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된 잠금해제 장치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잠금해제 장치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잠금해제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입력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입력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입력부 12 : 버튼부
14 : 하우징 16 : 고정판
18 : 근접 센서 20 : 제어부
30 : 스위치 40 : 잠금해제부
50 : 경보기 60 : 전원 공급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출입문의 잠금해제 장치로서,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출입문 또는 출입문에 근접한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투명체의 안쪽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와, 버튼에 각기 근접 센서가 설치된 입력부와, 출입문의 안쪽에 설치된 잠금해제부 및 잠금해제부를 구동하기 위한 잠금해제 정보를 갖고 있으며, 입력부로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고, 정보와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잠금해제부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버튼에 순차적으로 물체를 근접시키면, 버튼의 근접 센서는 물체가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그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전송된 정보와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잠금해제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부는 앞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고정설치되며,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서 전파를 발산하는 발신부를 갖는 복수개의 근접 센서 및 하우징의 앞면에 고정설치된 패널 형태의 버튼부를 포함하며, 근접 센서의 발신부는 버튼부의 각 버튼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는 출입문의 외부에서 잠금해제부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출입문의 개폐할 수 있는 수동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는 제어부와 연결된 경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로 전송된 신호가 잠금해제 정보와 적어도 3번 이상 다른 경우에 제어부는 경보기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입력부의 부분 단면도로서, 근접 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100)는 출입문(75)이 설치된 곳(70) 예를 들면 자동차 및 주택, 사무실과 같은 건물 등의 출입문(75)을 개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0)와, 출입문(75)의 안쪽에 설치된 잠금해제부(40) 및 입력부(10)와 잠금해제부(40)와 연결되어 잠금해제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100)는 출입문(75)의 안쪽에 설치되며, 잠금해제 장치(100)는 전원 공급원(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입력부(10)는 복수개의 버튼(13)으로 구성된 버튼부(12)와, 버튼(13)에 각기 설치된 근접 센서(18)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0)는 앞면이 개방된 하우징(14; housing)과, 하우징(14)의 앞면에 고정 수단(17)에 의해 고정설치된 패널(panel) 형태의 버튼부(12) 및 하우징(14) 내부에 고정판(16)에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 복수개의 근접 센서(18)를 포함하며, 근접 센서의 발신부(19)가 버튼부(12)의 각 버튼(13)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버튼부(12)는 3행 4열의 격자형태의 버튼(13)에 "0" 내지 "9"의 숫자와, "*"과 "#"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각 버튼(13)에 근접 센서(18)가 노출되게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입력부(10)에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부(10)는 출입문(75) 또는 출입문에 근접한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투명체(73)의 안쪽에 설치된다. 여기서, 출입문이 설치된 곳(70)은 자동차 및 주택, 사무실과 같은 건물을 의미한다. 자동차의 경우에 있어서의 투명체(73)는 전면 또는 후면의 유리를 의미하며, 건물에 있어서의 투명체(73)는 건물의 유리문을 의미하며, 투명체(73)의 안쪽에 입력부(10)를 설치한다. 물론, 건물의 경우에 유리문이 없다하더라도, 출입문에 입력부를 설치할 수 있는 투명체 부분을 형성하여 그 곳에 입력부를 설치할 수 도 있고, 출입문에 근접한 창문 등의 안쪽에 입력부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근접 센서의 발신부(19)가 전파를 외부에 발산할 수 있도록 입력부의 버튼부(12)가 투명체(73)를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는 잠금해제부(40)를 구동하기 위한 잠금해제 정보―여기서, "잠금해제 정보"란 출입문(75)에 설치된 잠금해제부(4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정보로 잠금해제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의미한다.―를 갖고 있으며, 입력부(10)로 입력된 정보가 잠금해제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 잠금해제부(40)를 구동시켜 출입문(75)을 개폐시키고, 잠금해제 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잠금해제부(4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즉, 제어부(20)는 입력부의 버튼부(12)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고, 입력된 정보와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잠금해제부(40)를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와 잠금해제부(40) 사이에 스위치(30)를 설치하여 제어부(20)의 신호에 따라서 스위치(30)를 개폐시켜 잠금해제부(40)를 구동시킨다.
잠금해제부(40)는 제어부(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되지만,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잠금해제부(40)를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수동 잠금해제부(42)를 잠금해제부(40)와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동 잠금해제부(42)는 통상적으로 손잡이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한편, 근접 센서(18)는 발신부(19)를 통하여 외부로 일정한 거리(유효 거리)만큼의 전파를 발산하여, 그 유효 거리 내에 물체가 접근했을 경우 반응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버튼부(12)의 비밀번호에 대응하는 특정 버튼(13)에 순차적으로 물체를 근접시키면, 그 특정 버튼의 근접 센서(18)는 물체가 특정 버튼(13)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제어부(20)에 근접 센서(18)가 인식한 정보를 전송한다. 즉, 입력부의 버튼(13)을 직접 누르지 않더라도 출입문(75)의 외부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물체는 통상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을 의미하지만, 버튼(13)에 근접하여 그 버튼의 근접 센서(18)가 인식할 수 있는 물체라면 무방하다.
그리고, 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부의 버튼(13)에 근접 센서(18)와 더불어 어두운 곳에서도 입력부의 버튼(13)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입력부의 하우징(14) 내부에 발광 다이오드 센서 및 광 센서와 같은 발광 센서 등을 병행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력부(10)로 입력된 정보가 잠금해제 정보와 다를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하여 출입문(75)이 설치된 곳을 보호할 수 있는 경보기(5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력부(10)에서 제어부(20)로 전송된 신호가 잠금해제 정보와 3번 다른 경우에 제어부(20)는 경보기(50)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잠금해제 장치는 출입문의 안쪽에 설치되고, 출입문 밖에서 비접촉 방식으로 잠금해제 장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외부의 환경과 외부인에 의해 잠금해제 장치가 훼손되는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출입문의 잠금해제 장치로서,
    상기 출입문을 열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로서, 상기 출입문 또는 상기 출입문에 근접한 상기 출입문이 설치된 곳의 투명체의 안쪽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와, 상기 버튼에 각기 설치된 근접 센서를 갖는 입력부와;
    상기 출입문의 안쪽에 설치된 잠금해제부; 및
    상기 잠금해제부를 구동하기 위한 잠금해제 정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정보와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상기 잠금해제부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상기 버튼에 순차적으로 물체를 근접시키면, 상기 버튼의 근접 센서는 상기 물체가 상기 버튼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한 것으로 인식하여 그 인식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는 전송된 정보와 상기 잠금해제 정보와의 동일성을 판별하여 상기 잠금해제부를 구동시키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앞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고정설치되며, 일정한 거리 범위 내에서 전파를 발산하는 발신부를 갖는 복수의 근접 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앞면에 고정설치된 패널(panel) 형태의 상기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 센서의 발신부는 상기 버튼부의 각 버튼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해제부와 연결되게 상기 출입문의 외부에 설치되며, 열쇠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 잠금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경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 신호가 잠금해제 정보와 적어도 3번 이상 다를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보기를 구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KR2019980010418U 1998-06-17 1998-06-17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KR200000008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18U KR20000000846U (ko) 1998-06-17 1998-06-17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18U KR20000000846U (ko) 1998-06-17 1998-06-17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46U true KR20000000846U (ko) 2000-01-15

Family

ID=6951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18U KR20000000846U (ko) 1998-06-17 1998-06-17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84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52B1 (ko) * 2001-12-12 2004-12-03 김진락 광전소자를 이용한 도어로크 제어장치
KR100858892B1 (ko) * 2007-04-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 장치
KR101404692B1 (ko) * 2008-08-13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52B1 (ko) * 2001-12-12 2004-12-03 김진락 광전소자를 이용한 도어로크 제어장치
KR100858892B1 (ko) * 2007-04-05 2008-09-17 주식회사 아이레보 디지털 도어록의 키패드 장치
KR101404692B1 (ko) * 2008-08-13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1465A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s in particular
US7106171B1 (en) Keyless command system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US20090256677A1 (en) Passive entry system and method
US6023224A (en) Door frame with integrated keyless entry system
EP1367200B1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JP5085532B2 (ja) パッシブ・エントリー・センサ・システム
US20050242923A1 (en) Passive entry systems for vehicles and other applications
KR20080071129A (ko) 원격 제어 가능한 차량용 로킹 장치
US200800619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transmitter having a range limitation to control a movable barrier operator
US20020126037A1 (en) Code learning system for a movable barrier operator
JPS62242076A (ja) 自動車用ドアのコントロ−ル装置
CN105313836A (zh) 用于进入系统的滑动及轻击验证
US6549117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5940001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controlling locking/unlocking operation of key
US5309743A (en) Door unlocking device
KR20000000846U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GB2246159A (en) Car alarm
CN217841229U (zh) 用于车门的锁定装置
CA2365700A1 (en) Remote controlled door lock system
JP2620349B2 (ja) 車輌用キーレスドアロック装置
JP2006518817A (ja) アクセス制御
KR101983665B1 (ko) 스마트키 연동 터치 패널의 자동 인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08405B1 (ko) 차량용 스마트키를 구비한 지능형 디지털 도어록
KR200166893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224925Y1 (ko) 자동잠금기능과 침입탐지 경보기능을 가진 도어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