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499U -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499U
KR20000000499U KR2019980009957U KR19980009957U KR20000000499U KR 20000000499 U KR20000000499 U KR 20000000499U KR 2019980009957 U KR2019980009957 U KR 2019980009957U KR 19980009957 U KR19980009957 U KR 19980009957U KR 20000000499 U KR20000000499 U KR 200000004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ir pressure
road surface
pressur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9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충석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09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499U/en
Publication of KR20000000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99U/en

Links

Landscapes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써, 연비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to improve the fuel economy and ride comfort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running speed.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는, 포장 도로와 비포장 도로 등의 노면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림의 외주면부에 설치되며 공기압의 가압 및 감압시에 개폐 작동되는 밸브 부재와, 상기 림의 중심부가 고정되는 차축의 허브와 상기 허브와 차축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스핀들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부재에 연통되는 관로와, 상기 관로에 연통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가 작동된 경우 상기 속도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현재의 주행 속도와 타이어의 공기압을 각각 입력받아 타이어의 공기압이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른 기설정된 공기압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밸브 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ir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road surface conditions, such as pavement and unpaved roads,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and detects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 pressure sensor, a valve member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and actuated to open and close at the time of pressurization and decompression of the air pressure, a hub of the axle to which the center of the rim is fixed, and a spindle moun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nd the axle; Tire pressure of the tire by receiving the current traveling speed and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from the speed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when the pipeline communicating with the valve member, the air compressor communicating with the pipeline, and the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are operated. The air compressor and the so as to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Hayeoseo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bracke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현재의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압의 부적절함으로 인한 연비 감소와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ire air press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can adju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current road surface conditions and running spe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duction of fuel economy and ride comfort due to inadequate air pressure Will be.

Description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Tire pressure control device

본 고안은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써, 연비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to improve the fuel economy and ride comfort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running speed.

타이어는 승원을 포함한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과, 구동력 및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는 기능과,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 및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며, 이러한 타이어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노면 상태(포장 도로와 비포장 도로)와 주행 속도(고속, 중속, 저속)에 따라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The tire performs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occupant,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and the braking force to the road surface, alleviating the impact on the road surface, and switching or maintaining the direction of the car. In ord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tire more effectively,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should be proper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paved road and unpaved road) and the driving speed (high speed, medium speed, low speed).

표 1에는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른 일반적인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을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the normal tire pressure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and speed.

표 1Table 1

고속high speed 중속Medium speed 저속sleaze 포장 도로Pavement H(high)H (high) M(midium)M (midium) L(low)L (low) 비포장 도로Dirt road M(midium)M (midium) L(low)L (low) LL(double low)LL (double low)

이와 같이,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이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다른 것은,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포장 도로를 고속 또는 중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트레드가 노면에서 떨어진 직후에 찌그러지거나, 타이어의 조기 파손 및 파도 모양의 마멸을 야기하는 스텐딩 워이브 현상이 초래되고, 타이어의 공기압이 높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비포장 도로를 중속 또는 저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타이어의 상하 진동이 발생되어 승차감이 불량하고 타이어의 파손을 유발하는 트램핑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며,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절하게 유지되지 못하면, 연비가 불량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roper pneumatic pressure of the tire depends on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When the pavement is driven at high speed or medium speed while the tire air pressure is kept low, the tread is crushed immediately after falling off the road surface, A standing warp phenomenon that causes premature breakage and wave abrasion is caused.When driving on an unpaved road at medium speed or low speed while the tire air pressure is maintained at high speed,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tire is generated. This is because a trapping phenomenon occurs that causes breakage of the tire, and as described above, if the tire air pressure is not proper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fuel economy is poor.

그러나, 종래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작업이 카 센터 등의 차량 정비 업소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타이어의 공기압을 한 번 조절한 후에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타이어의 부적절한 공기압으로 인해 연비 감소와 승차감 저하가 야기된다 하더라도, 일반적인 운전자들이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공기압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tire air pressure is performed at a car repair shop such as a car center, and after adjusting the tire air pressure once, the tire air pressure is fixed constantly, resulting in inadequate air pressure in the tire. Even if the reduction and deterioration of the ride ca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eneral driver can not adjust th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and driving spe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므로써, 연비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ressure control device of the tire to improve the fuel economy and ride comfort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running speed.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neumatic pressur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상세도.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의 외관도.3 is an external view of a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어 유닛의 제어 흐름도.4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타이어 30 : 밸브10 tire 30 valve

31 : 주입구 32 : 밸브 바디31 injection hole 32 valve body

33 : 밸브 스템 34 : 밸브 캡33: valve stem 34: valve cap

40 : 제어 유닛 50 :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40: control unit 50: solenoid actuator

60 : 압력 센서 90 : 관로60: pressure sensor 90: pipeline

100 : 압축기 110 : 속도 센서100: compressor 110: speed sensor

120 :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 121 : 포장 도로 스위치120: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121: pavement switch

122 : 비포장 도로 스위치 123 : 비작동 스위치122: off-road switch 123: inactive swit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는, 포장 도로와 비포장 도로 등의 노면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와,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림의 외주면부에 설치되며 공기압의 가압 및 감압시에 개폐 작동되는 밸브 부재와, 상기 림의 중심부가 고정되는 차축의 허브와 상기 허브와 차축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스핀들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부재에 연통되는 관로와, 상기 관로에 연통되는 공기 압축기와, 상기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가 작동된 경우 상기 속도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현재의 주행 속도와 타이어의 공기압을 각각 입력받아 타이어의 공기압이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른 기설정된 공기압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밸브 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to select the road surface conditions, such as pavement and unpaved road,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running speed of the vehicle, and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air pressure, a valve member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the valve member being opened and closed during pressurization and decompression of the air pressure, and a hub of the axle to which the center of the rim is fixed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and axle The current running speed and the tire pressure are respectively input from the speed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when the pipeline is installed on the spindle and communicates with the valve member, the air compressor communicates with the pipeline, and the road condition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to be adjusted to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compressor and the valve memb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압 조절장치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air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타이어(10)의 내주면이 기밀하게 끼워지는 림(20)의 외주면부에는 통상적인 타이어용 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An ordinary tire valve 3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of the rim 20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is hermetically fitted.

밸브(30)는 타이어(10)의 내부와 연통하는 주입구(31)를 형성한 밸브 바디(32)와, 주입구(31)를 개폐시키는 밸브 스템(33), 및 밸브 스템(33)의 기밀을 유지하는 밸브 캡(34)으로 구성된다.The valve 30 seals the airtightness of the valve body 32 which forms the injection hole 31 which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tire 10, the valve stem 33 which opens and closes the injection hole 31, and the valve stem 33. It consists of a valve cap 34 to hold.

밸브 바디(32)는 타이어(10)의 내부와 연통하는 주입구(31)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림(20)의 외주면부에 설치되고, 밸브 스템(33)은 밸브 바디(32)의 선단측에 내설되며, 밸브 스템(33)의 선단부에는 제어 유닛(40)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밸브 스템(33)을 누르므로써 밸브(30)의 주입구(31)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50)가 설치된다.The valve body 3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let 31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ire 10, and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20, and the valve stem 33 is at the front end of the valve body 32. The solenoid actuator 50 which is built in the side and which is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40 at the front end of the valve stem 33 and opens the inlet 31 of the valve 30 by pressing the valve stem 33 is provided. Is installed.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밸브 부재는 밸브(30)와, 밸브(30)의 밸브 스템(33)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50)로 구성된다.As such, the valv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alve 30 and a solenoid actuator 50 for operating the valve stem 33 of the valve 30.

밸브 바디(32)에는 타이어(10)의 내부 공기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 유닛(40)에 공급하는 압력 센서(60)가 설치되고, 림(20)의 중심부가 고정되는 차축(70)의 허브(71)와, 허브(71)와 차축(70)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스핀들(80)에는 주입구(71)와 연통되는 관로(90)가 형성되어 있다.The valve body 32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60 that detects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tire 10 and supplies it to the control unit 40, and the hub of the axle 70 in which the center of the rim 20 is fixed ( 71 and the spindle 80 mounted between the hub 7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70 are formed with a conduit 90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71.

그리고, 관로(90)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압축기(1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의 소정 부위에는 자동차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 유닛(40)에 공급하는 속도 센서(110)가 설치되어 있고, 운전자가 운전중에 조작이 가능하도록 차실 내부의 적당한 곳에는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120)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air compressor 100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s connected to the conduit 90, and a speed sensor 110 for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supplying it to the control unit 4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120 is installed at a suitable place inside the vehicle cabin so that the driver can operate the vehicle while driving.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120)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포장 여부를 소정의 전기 신호로 제어 유닛(4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12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포장 도로 스위치(121)와 비포장 도로 스위치(122) 및 비작동 스위치(123)가 구비되어 있다.The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120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ontrol unit 40 with a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whether or not the currently running road is paved, and the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120 has a pavement switch as shown in FIG. 3. 121, an unpaved road switch 122 and an inactive switch 123 are provid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압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pressure adjust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포장 도로 스위치(121) 또는 비포장 도로 스위치(122)중 하나의 스위치가 온되면(S10), 제어 유닛(40)은 속도 센서(11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현재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며(S20), 표 1에 도시된 적정 공기압의 단계중 현재의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해당하는 적정 공기압의 단계를 판단한다(S30).When one of the pavement switch 121 or the unpaved road switch 122 is turned on (S10), the control unit 4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peed sensor 110 and detects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 S20), and determines the stage of the proper air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among the stages of the appropriate air pressure shown in Table 1 (S30).

이후, 제어 유닛(40)은 압력 센서(60)에서 감지된 타이어의 공기압이 현재의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해당하는 적정 공기압의 범위에 포함되는가를 판단하고(S40),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의 범위에 포함되면 현재의 공기압을 그대로 유지한다(S50).Thereafter,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60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proper air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oad surface state and the driving speed (S40), and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is the proper air pressure. If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current air pressure is maintained as it is (S50).

그러나, 상기 단계 S40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의 범위를 초과하는가를 판단하여(S60),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50)를 작동시켜 주입구(31)를 개방하고 압력 센서(60)에서 감지되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압을 감압한 후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50)의 작동을 해제하여 주입구(31)를 폐쇄하므로써 공기압을 유지하고(S70), 이와는 반대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압축기(100)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50)를 작동시켜 주입구(31)를 개방하고 압력 센서(60)에서 감지되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정 공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압을 가압한 후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50)의 작동을 해제하여 주입구(31)를 폐쇄하므로써 공기압을 유지한다(S80).However, if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proper air pressure in step S4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exceeds the range of the proper air pressure (S60), and when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exceeds the range of the proper air pressure, the solenoid Open the injection port 31 by operating the actuator 50, depressurize the air pressure until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60 becomes an appropriate air pressure, and then release the operation of the solenoid actuator 50 to inject the air inlet 31. ) By maintaining the air pressure (S70), on the contrary, when the tire air pressure does not exceed the proper air pressure range, the compressor 100 is operated and the solenoid actuator 50 is operated to open the inlet 31. Open and pressurize the air pressure until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60 becomes the proper air pressure, and then the solenoid The air pressure is maintained by closing the injection port 31 by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50 (S80).

이로써, 현재의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적정 공기압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can be adjusted to the appropriate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current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traveling spe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에 의하면, 운전자가 현재의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공기압의 부적절함으로 인한 연비 감소와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ire air pressure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can adju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ccording to the current road surface condition and the driving speed, thereby preventing fuel economy reduction and deterioration of riding comfort due to inadequate air pressure. It becomes possible.

Claims (3)

포장 도로와 비포장 도로 등의 노면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와;A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road surface state such as a pavement and an unpaved road; 차량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와;A speed sensor detecting a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타이어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림의 외주면부에 설치되며 공기압의 가압 및 감압시에 개폐 작동되는 밸브 부재와;A valve member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the valve member being opened and closed during pressurization and decompression of air pressure; 상기 림의 중심부가 고정되는 차축의 허브와 상기 허브와 차축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되는 스핀들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부재에 연통되는 관로와;A conduit installed on the hub of the axle to which the center of the rim is fixed and a spindle mounted between the hub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xle and communicating with the valve member; 상기 관로에 연통되는 공기 압축기와;An air compressor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uit; 상기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가 작동된 경우 상기 속도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현재의 주행 속도와 타이어의 공기압을 각각 입력받아 타이어의 공기압이 노면 상태와 주행 속도에 따른 기설정된 공기압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공기 압축기와 상기 밸브 부재를 작동시키는 제어 유닛;When the road surface state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the air compressor and the air compressor receive the current traveling speed and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from the speed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respectively, to adju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to a preset air pressure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state and the traveling spee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valve member; 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Tire pressur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타이어의 내부와 연통하는 주입구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림의 외주면부에 설치되는 밸브 바디와, 상기 밸브 바디의 선단측에 내설되는 밸브 스템과, 상기 밸브 스템의 기밀을 유지하는 밸브 캡, 및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밸브 스템을 누르므로써 상기 주입구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2. The valve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valve memb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injec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tire, and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m, a valve stem install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valve body; And a solenoid actuator opera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open the inlet by pressing the valve stem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valve stem.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상태 선택 스위치는 포장 도로 스위치와 비포장 도로 스위치 및 비작동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공기압 조절장치.The tire pneumatic pressure regul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oad condition selection switch comprises a pavement switch, an unpaved road switch, and a non-operation switch.
KR2019980009957U 1998-06-11 1998-06-11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KR2000000049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957U KR20000000499U (en) 1998-06-11 1998-06-11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957U KR20000000499U (en) 1998-06-11 1998-06-11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99U true KR20000000499U (en) 2000-01-15

Family

ID=6951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957U KR20000000499U (en) 1998-06-11 1998-06-11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499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78B1 (en) * 2007-08-22 2009-02-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with air pressure controller
KR20200104485A (en) 2019-02-26 2020-09-04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Device for controlling tire pressure on bicy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078B1 (en) * 2007-08-22 2009-02-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with air pressure controller
KR20200104485A (en) 2019-02-26 2020-09-04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Device for controlling tire pressure on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1027C (en) Cti program pressure setting override
EP0297837B1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EP3168065B1 (en) Tire inflation system
US5553647A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CA1240244A (en) Central tire inflation system
KR100309120B1 (en) Central tire expansion device control method
MXPA04006521A (en) Tire inflation method with continious and pulsed air flow.
KR20000000499U (en)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KR100461355B1 (en) Pneumatic injection device of tire
KR19990015146A (en) Pneumatic pressure regulator of tire
KR100261427B1 (en) Tire satety device
AU2006249296A1 (en) Pressure-controlled three-way valve device, transport vehicle having ti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and method for remote pressure-controlling the valve device
KR100342216B1 (en) Air Pressure Automatic Maintenance Apparatus of Tire
KR100360645B1 (en) lift axle damage prevent system
KR20000021578U (en) ai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0290172B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pneumatic pressure of tire according to weight of vehicle
KR200251519Y1 (en) air brake system having road sensing valve
KR20050038691A (en) A pusher axle system for vehicle
KR100320523B1 (en) Internal air pressure maintaining device for tire
KR960016690B1 (en) Devices for measuring and distributing tire pressure
KR200237910Y1 (en) tire elevation apparatus
KR19980028763A (en) Active Countermeasure System for Maintaining Air Pressure of Automotive Tires
KR20000005323U (en) Automatic tire pneumatic control
KR19990015139A (en) Pneumatic Automatic Control
EP3724010A1 (en) Tyre inflation pressure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