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790A - 화상에서 블록화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에서 블록화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790A
KR19990087790A KR1019980707273A KR19980707273A KR19990087790A KR 19990087790 A KR19990087790 A KR 19990087790A KR 1019980707273 A KR1019980707273 A KR 1019980707273A KR 19980707273 A KR19980707273 A KR 19980707273A KR 19990087790 A KR19990087790 A KR 19990087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ixels
difference
point
blocking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8835B1 (ko
Inventor
칭-팡 창
리,추옌-치옌
Original Assignee
제리 에이. 밀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리 에이. 밀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크. filed Critical 제리 에이. 밀러
Publication of KR19990087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이산 코사인 변환을 사용하여 사전에 인코딩되었던 것에 의해 유발되는 블록화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를 포스트 프로세싱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블록화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가능한 블록화 포인트들이 검사된다. 블록화 포인트가 식별되면, 각각의 블록화 포인트에 대한 조정값이 결정되고, 이 조정값은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을 조정하는데 알맞게 이용된다.

Description

화상에서 블록화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정적 화상이든 또는 동적 화상(즉, 비디오 화상)이든 간에, 디지탈 화상 데이터를 압축할 필요성이 대단히 증가되어 왔다. 그 한가지 이유는 멀티미디어 컴퓨터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대단한 유행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스테이션 프로그래밍의 디지탈 방송으로의 전환 때문이다. 후자의 한가지 예는 DSSTM과 같은 직접 위성 통신 방송이다. 프로그램의 방송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또는 특정한 화상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저장 공간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압축 기법들이 이용된다. 이에 따라, 화상 데이터는 압축된 형태로 전송되거나 또는 저장되고,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압축 해제된다.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압축 알고리즘의 예들은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및 JPEG(Joint Picture Experts Group) 표준을 따르는 것들이다.
MPEG 또는 JPEG 표준들에 따르는 것들을 포함하여, 많은 압축 프로세스들은 변환 코딩(transform coding)을 이용한다. 변환 코딩 프로세스에서, 화상은 작은 블록들로 분할된다. 각 블록의 변환이 행해지고, 그 계수들이 소정의 결정된 양자화 계수 q에 따라 양자화된다. 가장 대중적인 변환은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이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의 한가지 부정적인 효과는 "블록화 효과"로서 일컬어진다. 인코딩 이전에 화상을 블록들로 분할함으로써, 인접한 블록들 사이에 불연속성(discontinuities, 블록화 효과로 참조됨)이 발생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되는 압축 해제된 화상에서 자연스런 변화에 상반되는 컬러들 사이의 또는 그레이스케일들 사이의 뚜렷한 점프에 의해 표시된다.
프리-프로세싱 및 포스트-프로세싱 기술이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용된다. 프리-프로세싱 기법은 화상 데이터의 원산자(originator)가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한 단계들을 수행할 것을 강요한다. 포스트-프로세싱 기술은, 비록 압축 해제 후에 교정이 수행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더 좋겠지만, 자체의 문제점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장 간단한 이 기술들 중에 하나는 압축 해제된 화상 데이터를 로우 패스 필터를 통해 처리하는 것이다. 비록 블록화 효과는 감소할지라도,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명료성은 나쁜 영향을 받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방법 및 회로에 있어서, 포스트-프로세싱은 압축 해제된 화상 데이터에 수행되어 화상의 명료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블록화 효과를 검출하여 최소화한다.
우선, 블록화 에러를 받은 픽셀들이 검출된다. 이웃하는 픽셀들 사이의 픽셀값(예를 들어, 휘도)들의 차가 검사되어, 차의 값이 블록화 에러로 식별되는 범위 이내인지가 판단된다. 블록화 에러가 검출되면, 화상 내의 검출된 픽셀들 및 이웃하는 픽셀들에 조정항들이 가산된다. 조정량은 블록화가 검출되었던 곳으로부터의 픽셀들의 갯수에 비례한다. 그 결과의 화상은 일관된 명료한 화상을 유지하면서 최소의 블로화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목적, 기능, 및 잇점이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전에 압축되었다가 압축 해제된 화상에서 블록화 효과(blocking effect)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화상 코딩 포맷을 토대로 MPEG, JPEG 및 다른 DCT에 따라 압축된 화상에서 블록화 효과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작동하는 시스템의 단순화된 블록도.
도 2는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단순화된 플로우 챠트.
도 3은 디지탈 화상에서의 블록들 및 블록 바운더리들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블록 단위로 블록에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회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5b는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블록화 효과를 감소시키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서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6a 및 도 6b는 하나의 바운더리를 가로지른 하나의 행에 대한 프로세스 및 그로부터 얻은 결과를 나타낸 도면들.
본 발명은 이산적으로 변환된 화상에 발생하는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상세한 내용들이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이러한 특정한 상세 내용들이 필요치 않음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는,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숨기지 않기 위해 널리 공지된 전기적 구조 및 회로가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작동하는 바람직한 예의 간략화된 블록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전송 대역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화상을 저장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양을 절약하기 위해, 화상은 종종 이산 변환을 이용한 압축 형태로 포맷된다. 유행하는 포맷의 예들은 JPEG 및 MPEG 표준에 따른 것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시스템은 수신기/디스플레이 시스템(10) 및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한다. 수신기/디스플레이 시스템(10)의 한 예는 비디오 CD 플레이어이다. 다른 예는 쏘니사(Sony Corporation)에서 제작된 것과 같은 직접 위성 수신기이다. 다른 타입의 수신기/플레이어/저장 장치/디스플레이 시스템들도 역시 가능하다.
수신기(10)는 압축된 화상을 수신한다. 수신기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만들어진 많은 타입의 수신용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택일적으로, 수신기는 텔레비젼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저장 장치(예를 들어, 메모리, VCR, CD ROM 등)로부터 검색된 화상을 수신하기 위해 저장 장치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설명상, 화상 데이터는 MPEG 표준에 맞는 포맷으로 수신된다. 그러나, 이산 변환을 사용하는 다른 타입의 압축 포맷들도 역시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상 데이터가 일단 수신되면, 데이터는 디코더(20)에 의해 블록 별로 디코딩(즉, 압축 해제)되고, 인코딩 및 디코딩 프로세스들에 의해 발생된 블록화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포스트-프로세서(30)에 의해 처리된다. 이후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4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변경된 화상 데이터는 블록화 효과가 최소화된 화상을 나타낸다.
포스트-프로세서(3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도 2를 참조하여 대략적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는, 블록 주위의 각 경계점에 있는 인접한 픽셀들 사이에 블록화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이 픽셀들이 단계(200)에서 검사된다. 만일 블록화 포인트가 식별되면, 단계(220)에서 조정값이 결정되고 그 픽셀에 인가된다. 이러한 조정값은 블록화 포인트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또는 누진적으로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에 인가된다. 인접한 픽셀들을 조정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픽셀들도 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러한 조정은 블록 경계들을 둘러싸는 영역에서 자연스러운 화상을 만든다. 검출 프로세스는 화상에서, 예를 들어, 행마다 또는 열마다 이웃하는 각 한쌍의 픽셀들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효과를 유지하면서 프로세싱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블록 바운더리에 인접한 픽셀들이 검사된다. 이것은 도 3을 참조하면 가장 잘 설명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상(300)은 블록들( 예를 들어 블록 305, 310, 320, 330)로 분할되고, DCT 및 양자화 프로세스가 픽셀들로 된 각 블록에 수행된다. 블록화 효과는 블록화 바운더리들( 예를 들어, 블록 330의 블록 바운더리들 340, 345, 350, 355)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수직 바운더리(345)가 검사된다면, 영향을 받는 행들에 있는 픽셀들, 즉 행들(351 내지 358)에 있는 블록화 바운더리의 양쪽에 있는 인접한 픽셀들이 검사되어 블록화 포인트가 존재하는지가 판단되고, 대응하는 행 내에 있는 인접하고 소정의 이웃하는 픽셀들에 대한 조정이 수행된다. 유사하게, 만일 수평 바운더리(340)가 검사된다면, 열들(361 내지 368)에 있는 인접한 픽셀들이 검사되어 블록화 포인트들이 존재하는지가 판단되고 그런 열들에 있는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이 조정된다.
블록화 효과를 검출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한 실시예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블록 바운더리에 있는 인접한 픽셀들 사이의 차(블록화 단차)는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과 비교된다.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의 상한 및 하한은 여러가지 방법들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상한 및 하한은 픽셀들 사이의 정상적인 작은 화상 변화가 블록화 포인트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그리고 예를 들어 화상 자체에서 다른 물체들을 나타내는 화상의 상당히 큰 변화가 블록화 포인트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상한 및 하한은 경험적으로 결정된 미리 지정된 값들일 수 있다. 상한 및 하한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도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값들은 동적으로(dynamically)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하한값은 이웃하는 픽셀들에 대해 지엽적으로 변화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400)에서는, 블록 주위에 있는 이웃에서의 지엽적인 변화량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지엽적인 변화량은 블록화 포인트의 가능한 위치들 각각에 대하여 결정된다. 이웃의 크기( 즉, 픽셀들의 갯수) 및 검사되는 픽셀들의 위치는 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만일 수직 바운더리가 검사된다면, 특정의 가능한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 행의 부분은 다음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x+4 x+5 x+6 x+7 | x+8 x+9 x+10 x+11
(여기서 |은 바운더리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웃하는 픽셀들의 지엽적인 변화량은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엽적인 변화량은 사용된 이웃의 인접한 픽셀들의 휘도값들 간의 차의 절대값들을 합하여 평균함으로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웃은 6개의 픽셀들(i+5, i+6, i+7, i+8, i+9, i+1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이 사용된다.
지엽적인 변화량 = { abs( p[i+6][] - p[i+5][] ) + abs( p[i+7][] - p[i+6][] ) + abs( p[i+9][] - p[i+8][] ) + abs( p[i+10][] - p[i+9][] ) }/4
여기서 abs는 절대값 함수를 나타내고, p[][]는 픽셀 데이터를 나타낸다.
상한값도 유사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경험적으로 결정된 값이 사용된다. 이 값은 코딩 프로세스 동안 블록의 양자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에러보다 더 큰 가능한 에러를 반영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이 값으로는 32가 사용된다.
지엽적인 변화량이 일단 결정되어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범위의 값들이 확인되면, 단계(410)에서 블록 바운더리에 인접한 픽셀들 사이의 블록화 단차가 결정된다. 상기 예를 계속하면, 픽셀들 x+7과 x+8 사이의 차가 측정된다. 바람직하게, 이 차의 값은, 비록 화상 데이터의 다른 성분들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각 픽셀의 휘도 성분들 사이의 차로 구성된다.
단계(420)에서는, 블록화 단차가 상기 범위의 값들과 비교되어 블록화 포인트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만일 블록화 포인트가 존재한다면, 단계(430)에서 조정값이 결정된다.
이 조정값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값은 검출된 블록화 포인트를 최소화하고 제거하기 위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조정값은 블록화 포인트의(즉, 블록화 포인트에서의) 단차가 그에 대응하는 영역 및 이웃의 지엽적인 변화량으로 조정되도록 결정된다. 본 실시예를 계속하면, 만일 블록화 단차가 0보다 더 크다면, 조정값은 블록화 단차와 지엽적인 변화량 사이의 차( 조정값 = 블록화 단차 - 지엽적인 변화량 )와 같아진다. 그렇지 않다면, 조정값은 블록화 단차와 지엽적인 변화량의 합( 조정값 = 블록화 단차 + 지엽적인 변화량 )과 같다.
조정값이 일단 결정된 다음,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고 제거하기 위해 적당한 픽셀에 가산된다. 바람직하게 검출된 블록화 포인트 및 이웃하는 픽셀들에 조정값의 비례량이 가산된다. 이웃하는 픽셀들의 갯수 및 가산되는 비례량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의 픽셀들 및 조정값의 비례량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i+8][] = p[i+8][] - 조정값/2
p'[i+7][] = p[i+7][] + 조정값/2
p'[i+9][] = p[i+9][] - 조정값/4
p'[i+6][] = p[i+6][] + 조정값/4
p'[i+10][] = p[i+10][] - 조정값/8
p'[i+5][] = p[i+5][] + 조정값/8
p'[i+11][] = p[i+11][] - 조정값/16
p'[i+4][] = p[i+4][] + 조정값/16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예는 두개의 인접한 픽셀들과 6개의 이웃한 픽셀들을 조정한다. 가산되는 조정량의 비율은 블록화 포인트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한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된 회로를 간략화하기 위해, 2의 거듭 제곱에 대응하는 비율값들이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비율값들 및 다른 백분율이 소정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의 블록도에 도시된 회로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용 마이크로콘트롤러 회로, 또는 논리 회로로서 또는 일반 목적의 컴퓨터에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블록화된 화상은 지엽적인 변화량 계산부(505), 블록화 단차 계산부(510), 및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의 조정부(525)로 입력된다. 지엽적인 변화량 계산부(505)는 상술한 하한의 드레숄드로서 사용하기 위한 지엽적인 변화량을 결정한다. 계산부(510)는 블록화된 화상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블록화 단차를 계산한다. 판단부(515)는 블록화 단차, 지엽적인 변화량, 및 상한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블록화 포인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블록화 포인트가 발생한다면, 계산부(520)는 지엽적인 변화량, 블로화 단차, 및 블록화 포인트의 식별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조정값을 계산한다. 조정부(525)는 조정값 및 블록화 화상을 입력으로 사용하여 이웃하는 픽셀들을 조정한다. 조정된 화상은 멀티플렉싱부(530)를 통해 출력돈다. 만일 블록화 포인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원래의 화상(블록화 화상)이 출력된다.
이러한 것이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서 시스템의 간략화된 블록도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화 화상은 입력 포트 회로(540)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 포트 회로(540)는 블록화 화상을 프로세서(545)에 공급한다. 프로세서(545)는 블록화 효과를 줄이기 위해 상술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555)로부터의 명령어들을 수행하는 중앙 처리 장치(5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잇점은 블록 바운더리를 가로지르는 단일 행에 대한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 6a 및 도 6b에 설명된 예에 의해 명백히 알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블록 바운더리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각 행 및 열에 대해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결하여 설명되었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상술한 설명에 비추어 많은 대안들, 변경들, 변화들 및 용도들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이산 코사인 변환(DCT) 및 양자화 프로세스의 사전 수행에 의해 유발되는 블록화 화상에서의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블록화하여 한정되는 상기 블록화 화상은 픽셀 데이터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블록화 포인트가 블록의 바운더리 포인트들에서 각각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블록화 포인트가 식별된다면, 식별된 블록화 포인트 각각에 대해,
    조정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인접한 픽셀들 및 상기 인접한 픽셀들에 이웃하는 픽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픽셀 데이터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더리 포인트들은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들 및 수평 바운더리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화 포인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단계는
    검사되는 각각의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에 대해,
    상기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에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차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차를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 내에 있으면, 블록화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 및
    검사되는 각각의 수평 바운더리 포인트에 대해,
    상기 수평 바운더리 포인트에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차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차를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 내에 있으면, 블록화 포인트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은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되, 상기 상한 및 하한은 픽셀들 간의 정상적으로 작은 화상 변화가 블록화 포인트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그리고 픽셀들 간의 상당히 큰 화상 변화가 블록화 포인트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은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되, 상기 하한은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이웃하는 픽셀들의 국소적인 변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픽셀들의 상기 국소적인 변화량은 상기 블록화 포인트 주위의 이웃하는 픽셀들의 절대값들을 합하여 평균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은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되, 상기 상한은 상기 양자화 프로세스 동안 상기 블록의 양자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에러보다 더 큰 에러를 반영하도록 선택되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조정값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차가 상기 블록화 포인트 주위의 이웃하는 픽셀들의 국소적인 변화량에 맞추어지도록 상기 조정값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제1 차가 0보다 더 크면, 상기 조정값이 상기 제1 차와 국소적인 변화량 간의 제2 차가 되도록 계산하는 단계 - 이웃하는 픽셀들 간의 상기 국소적인 변화량은 상기 블록화 포인트 주위의 이웃하는 픽셀들의 절대값들을 합하여 평균함으로써 결정됨 -와;
    상기 제1 차가 0 이하이면, 상기 조정값이 상기 제1 차와 상기 국소적인 변화량의 합이 되도록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조정값의 비례량들만큼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단계는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 각각이 상기 블록화 포인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에 비례하는 상기 조정값의 비례량들만큼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방법.
  11. 이산 코사인 변환(DCT) 및 양자화 프로세스의 사전 수행에 의해 유발되는 블록화 화상에서의 블록화 효과를 최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블록화하여 한정되는 상기 블록화 화상은 픽셀 데이터의 블록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블록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접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화 포인트가 블록의 바운더리 포인트들에서 각각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블록화 포인트가 식별되면, 각각의 식별된 블록화 포인트에 대해, 조정값을 결정하고,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인접한 픽셀들 및 상기 인접한 픽셀들에 이웃하는 픽셀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픽셀 데이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된 픽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운더리 포인트들은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들 및 수평 바운더리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에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차를 발생하고, 상기 차를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 내에 있으면 블록화 포인트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수직 바운더리 포인트 각각을 검사하고; 상기 수평 바운더리 포인트에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차를 발생하고, 상기 차를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과 비교하여, 상기 차가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 내에 있으면 블록화 포인트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수평 바운더리 포인트 각각을 검사하여, 적어도 하나의 블록화 포인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은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되, 상기 상한 및 하한은 픽셀들 간의 정상적으로 작은 화상 변화가 블록화 포인트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그리고 픽셀들 간의 상당히 큰 화상 변화가 블록화 포인트로서 검출되지 않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은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되, 상기 하한은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이웃하는 픽셀들의 국소적인 변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화 포인트 주위의 이웃하는 픽셀들의 절대값들을 합하여 평균함으로써 상기 이웃하는 픽셀들의 상기 국소적인 변화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블록화 포인트를 나타내는 상기 미리 지정된 범위의 값들은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되, 상기 상한은 상기 양자화 프로세스 동안 상기 블록의 양자화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에러보다 더 큰 에러를 반영하도록 선택되는 경험적으로 결정된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 간의 차가 블록화 포인트 주위의 이웃하는 픽셀들의 국소적인 변화량에 맞추어지도록 상기 조정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블록화 포인트에 인접한 픽셀들의 픽셀 데이터들 간의 제1 차가 0보다 더 크면 상기 조정값이 상기 제1 차와 국소적인 변화량 간의 제2 차가 되도록 결정하고, 상기 제1 차가 0 이하이면 상기 조정값이 상기 제1 차와 상기 국소적인 변화량의 합이 되도록 결정하되,
    이웃하는 픽셀들의 상기 국소적인 변화량은 상기 블록화 포인트 주위의 이웃하는 픽셀들의 절대값들을 합하여 평균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정값의 비례량들만큼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 각각이 상기 블록화 포인트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에 비례하는 상기 조정값의 비례량들만큼 상기 인접하고 이웃하는 픽셀들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화 효과의 최소화 장치.
KR10-1998-0707273A 1996-03-15 1997-01-10 화상에서블록화효과를감소시키기위한장치및방법 KR100508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16,559 1996-03-15
US08/616,559 US5974196A (en) 1996-03-15 1996-03-15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effect reduction in images
US08/616,559 199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790A true KR19990087790A (ko) 1999-12-27
KR100508835B1 KR100508835B1 (ko) 2005-10-21

Family

ID=2447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273A KR100508835B1 (ko) 1996-03-15 1997-01-10 화상에서블록화효과를감소시키기위한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74196A (ko)
EP (1) EP0886973B1 (ko)
JP (1) JP4060362B2 (ko)
KR (1) KR100508835B1 (ko)
AT (1) ATE221294T1 (ko)
AU (1) AU2084097A (ko)
DE (1) DE69714224T2 (ko)
DK (1) DK0886973T3 (ko)
ES (1) ES2176671T3 (ko)
WO (1) WO1997034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3894B1 (en) * 1997-02-18 2002-04-16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quantized coefficients
US7239755B1 (en) * 1997-07-30 2007-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ducing a blocking artifact when coding moving picture
KR100244290B1 (ko) 1997-09-09 2000-02-01 구자홍 저속 전송에서의 동영상을 위한 디블록킹 필터링 방법
KR100269125B1 (ko) * 1997-10-25 2000-10-16 윤덕용 양자화효과감소를위한영상데이터후처리방법및장치
AUPP444898A0 (en) * 1998-07-02 1998-07-23 Canon Kabushiki Kaisha A method and apparatus for boundary filtering a digital image
KR100308016B1 (ko) 1998-08-31 2001-10-19 구자홍 압축 부호화된 영상에 나타나는 블럭현상 및 링현상 제거방법및 영상 복호화기
JP3717725B2 (ja) * 1999-10-07 2005-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画素欠陥検出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6865229B1 (en) 1999-12-14 2005-03-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blocky picture” effect in MPEG decoded images
US7203234B1 (en) * 2000-03-31 2007-04-1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directional filtering for post-processing compressed video
US6462788B1 (en) 2000-05-30 2002-10-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color bleeding artifacts by filtering the chrominance plane of decompressed images
US6931063B2 (en) * 2001-03-26 2005-08-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oop filtering or post filtering in block based motion compensationed video coding
US7929610B2 (en) * 2001-03-26 2011-04-19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blocking artifacts with reduced complexity for spatially-scalable video coding
US7450641B2 (en) 2001-09-14 2008-11-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aptive filtering based upon boundary strength
US7075993B2 (en) * 2001-06-12 2006-07-11 Digital Interactive Streams, Inc.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igital video
US7463688B2 (en) * 2003-01-16 2008-1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s of MPEG signals in real-time video reception
WO2004107736A1 (ja) * 2003-05-27 2004-12-09 Nikon Corporation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7277592B1 (en) * 2003-10-21 2007-10-02 Redrock Semiconductory Ltd. Spacial deblocking method using limited edge differences only to linearly correct blocking artifact
KR100672592B1 (ko) * 2005-01-14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KR20070020996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칼라 에러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4555257B2 (ja) * 2006-06-06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US7876808B2 (en) * 2006-11-30 2011-01-25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oise and/or signal filtering in an HSDP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selection
US8238675B2 (en) * 2008-03-24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Spectral information recovery for compressed image restoration with 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regularization
EP2112833B1 (en) * 2008-04-24 2014-12-17 Psytechn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lockiness in video images
DE102008048257B4 (de) * 2008-09-22 2012-02-09 Trident Microsystems (Far East) Ltd. Verfahren zur Detektion eines Blockrasters
US20120182388A1 (en) * 2011-01-18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epth imag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97766B (en) * 1986-11-17 1990-07-25 Sony Corp Two-dimensional 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arrangements
JP2829954B2 (ja) * 1987-08-22 1998-12-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及び方法
EP0339589A3 (en) * 1988-04-28 1992-01-02 Sharp Kabushiki Kaisha Orthogonal transform coding system for image data
JP2900385B2 (ja) * 1988-12-16 1999-06-02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ーム化回路及び方法
JP3018366B2 (ja) * 1989-02-08 2000-03-13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信号処理回路
EP0393906B1 (en) * 1989-04-21 1994-01-19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interpolation
JP2830111B2 (ja) * 1989-07-21 1998-12-02 ソニー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
DE69116905T2 (de) * 1990-03-13 1996-06-13 Sony Corp Schattierungseffektenkorrekturvorrichtung
US5101446A (en) * 1990-05-31 1992-03-31 Aw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an image
GB2253318B (en) * 1991-02-27 1994-07-20 Stc Plc Image processing
US5337088A (en) * 1991-04-18 1994-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correcting an image signal decoded in block units
US5351083A (en) * 1991-10-17 1994-09-27 Sony Corporation Picture encoding and/or decoding system
GB2266208B (en) * 1992-04-07 1995-10-11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Imag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R2690299B1 (fr) * 1992-04-17 1994-06-17 Telecommunication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filtrage spatial d'images numeriques decodees par transformation par bloc.
KR0148130B1 (ko) * 1992-05-18 1998-09-15 강진구 블럭킹아티팩트를 억제시키는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US5379122A (en) * 1992-10-02 1995-01-03 Xerox Corporation Decompression of standard ADCT-compressed images
GB2273619B (en) * 1992-12-17 1996-08-28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Digital filtering
US5335019A (en) * 1993-01-14 1994-08-02 Sony Electronics, Inc. Digital video data quantization error detection as applied to intelligent dynamic companding
GB2281465B (en) * 1993-08-27 1997-06-04 Sony Uk Ltd Image data compression
JP2673778B2 (ja) * 1994-02-22 1997-11-05 国際電信電話株式会社 動画像の復号化における雑音低減装置
KR0128881B1 (ko) * 1994-04-30 1998-04-10 배순훈 디지틀화상복호화장치
KR970010087B1 (en) * 1994-04-30 1997-06-21 Daewoo Electronics Co Ltd Postprocessing method for digital image
US5590064A (en) * 1994-10-26 1996-12-31 Intel Corporation Post-filtering for decoded video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6696A (ja) 2000-05-30
KR100508835B1 (ko) 2005-10-21
ATE221294T1 (de) 2002-08-15
US5974196A (en) 1999-10-26
AU2084097A (en) 1997-10-01
ES2176671T3 (es) 2002-12-01
DE69714224T2 (de) 2003-03-20
JP4060362B2 (ja) 2008-03-12
EP0886973B1 (en) 2002-07-24
DE69714224D1 (de) 2002-08-29
WO1997034422A1 (en) 1997-09-18
DK0886973T3 (da) 2002-10-07
EP0886973A1 (en) 199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835B1 (ko) 화상에서블록화효과를감소시키기위한장치및방법
US5933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ing effect reduction in images by post-processing in the spatial domain
US7778480B2 (en) Block filtering system for reducing artifacts and method
US5337088A (en) Method of correcting an image signal decoded in block units
US7620261B2 (en) Edge adaptive filtering system for reducing artifacts and method
US5796875A (en) Selective de-blocking filter for DCT compressed images
US5751378A (en) Scene change detector for digital video
KR1006725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US6434275B1 (en) Block distortion reduction method and device and encoding method and device
US606140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cene conditions likely to cause prediction errors in reduced resolution video decoders and for using the detected information
KR100197366B1 (ko) 영상 에러 복구 장치
EP0674448B1 (en) Video image reproduction with high speed
US20140056537A1 (en) Reducing digital image noise
US20070250893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JPH07236140A (ja) 動画像の復号化における雑音低減装置
US20070147505A1 (en) Processing a compressed video signal
US6643410B1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extent of blocking artifacts in a digital image
EP1396154B1 (en) Error concealment method and device
KR20010081009A (ko) 디지털 비디오 화상들에서 블록화 현상들을 식별하는 방법및 디바이스
JPH08251422A (ja) ブロック歪み補正器及び画像信号伸張装置
US20070104382A1 (en) Detection of local visual space-time details in a video signal
US6754278B1 (en) Method for recovering moving picture by extending a damaged region in which an error occurs
WO2007020572A1 (en) Image processor comprising a block artifacts detector
US200801239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block effect reduction
KR100209797B1 (ko) 영상의 전경/배경 검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