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620A - 휴대폰용 안테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안테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620A
KR19990087620A KR1019980707069A KR19980707069A KR19990087620A KR 19990087620 A KR19990087620 A KR 19990087620A KR 1019980707069 A KR1019980707069 A KR 1019980707069A KR 19980707069 A KR19980707069 A KR 19980707069A KR 19990087620 A KR19990087620 A KR 19990087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network
antenna
housing
antennas
fe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8871B1 (ko
Inventor
제임스 디 쥬니어 멕도날드
야웨이 마
Original Assignee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찰스 엘 무어 쥬니어, 에릭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찰스 엘 무어 쥬니어
Publication of KR1999008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휴대폰 RF 신호회로망과 신호 수발신용 다수 안테나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공개된다. 해당 연결장치는, 상기 RF 신호회로망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포트가 구비된, 해당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암놈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에 연결된 별개의 핀 부재를 포함하고 해당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암놈부에 맞는 형상의 수놈부 또한 제공된다. 수놈부의 각 핀 부재는, 상기 연결장치의 수놈부 및 암놈부가 상호 결합한 경우, 암놈부내 대응 포트에 수용된다. 이로써, 상기 RF 신호회로망 및 안테나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휴대폰의 안테나들은,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포함하는 전화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플립카버와 일체화된 바, 해당 플립카버는 상기 전화기 베이스에 대해 고정식 또는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안테나 연결장치
본 발명의 양수인은 근간 위성 및 셀룰러통신의 이중모드에서 작동가능한 휴대폰에 관한 몇몇 특허출원을 한 적이 있다. 이들 출원중 하나로서, 출원번호 08/__,__,인 "이중모드 위성/셀룰러 휴대폰용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는, 수발신을 위한 안테나가 플립카버(flip cover)내에 배치된 휴대폰을 공개했던 바, 여기서, 해당 플립카버는 두 개의 별도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화기 베이스(base) 또는 메인하우징(main housing)에 선회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이용가능 위성과의 연결한계(link margin)를 최적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들 안테나는 동심축 케이블 또는 기타 유사수단을 통해 RF 신호회로망(전화기 베이스에 위치함)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출원번호 08/__,__,의 "휴대폰용 착탈형 플립카버 조합(assembly)"의 경우, 해당 착탈형 플립카버가 지지브라켓 조합을 수단으로 전화기 베이스에 연결된 상태의 휴대폰을 공개했다. 상기 착탈형 플립카버 역시 전화기 베이스에 대하여 두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여, 플립카버 일체형 안테나와 이용가능 위성간의 연결한계를 최적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있어서는, 별개의 연결구가 상기 플립카버내 안테나를 상기 전화기 베이스내의 RF 신호회로망과 연결시켜준다. 외부 도킹스테이션(docking station) 또는 기타 부속품에 유사한 형태의 연결구를 부설하여, 전화기 베이스로부터 플립카버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상기 도킹스테이션 일체형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앞서 언급한 바의 안테나 연결방법들이 그 목적상 만족스럽기는 하나, 상호 별개의 독립적 연결장치들로 인해 전화기 베이스 하우징 표면상의 상당면적이 소요됨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연결장치들의 중앙 접속핀은 그 크기가 비교적 작고, 적정 배치상태 확보를 위하여 약간의 이동을 필요로 한다. 이들 연결장치의 기계적, 전기적 기능은, 따라서, 어느 정도의 제한을 받게 된다.
더욱이, 도킹스테이션내에 배치된 휴대폰의 경우, 해당 휴대폰과 일체화된 어떤 고정식 안테나로 인해 통상 공간문제를 야기함을 발견하게 된다(예컨대, 상기 출원번호 08/__,__,에서 설명한 바와 같음). 물론, 착탈형 안테나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예로서, 상기 출원번호 08/__,__,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렇기는 하지만, 양쪽 상황에 다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안테나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폰용 안테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당 휴대폰과 일체화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전화기 외부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테나와 상기 휴대폰을 상호 연결시킬 수 있는, 휴대폰용 안테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포함한 휴대폰을 나타낸 사시도인 바, 여기서는, 전화기 베이스 상단부에 장착된 연결장치 암놈부(female portion)와 지지브라켓 조합(support bracket assembly)상에 장착된 해당 연결장치 수놈부(male portion)를 나타내기 위하여, 플립카버를 전화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장치를 포함한 또 다른 휴대폰을 나타낸 측면도인 바, 여기서는, 전화기 베이스 후미부에 장착된 연결장치 암놈부와 도킹스테이션내에 장착된 수놈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플립카버를 닫힌 상태로 하는 한편, 해당 전화기 베이스부를 외부 도킹스테이션으로부터 일정간격 띄워놓은 상태이며,
도 3은 상기 도 1 및 도 2상의 연결장치 수놈부 및 암놈부를 나타낸 분해 평면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상의 연결장치 수놈부 및 암놈부를 나타낸 분해 배면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3 및 도 4상의 연결장치 수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3 및 도 4의 연결장치 암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상의 블록구분 스위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상기 도 6상의 스프링 케리어를 나타낸 배면도,
도 9는 상기 도 8상의 스프링 케리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상기 도 3 내지 도 5상의 연결장치 수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상기 도 3, 도 4 및 도 6상의 연결장치 암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기계적 및 전기적 작동을 최적화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 및 그 안테나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 RF 신호회로망 및 그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소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긴 중앙 접속핀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해당 핀의 소요 이동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 및 그 안테나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역시 다른 목적은, 전화기 베이스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플립카버와 안테나들이 일체화된,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 및 그 안테나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역시 또 다른 목적은, 전화기 베이스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그로부터 분리가능한 상태의 플립카버와 안테나들이 일체화된,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 및 그 안테나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휴대폰 RF 신호회로망을 그 안테나 또는 외부 도킹스테이션측 안테나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나머지 또 하나의 목적은, 전화기 베이스상의 다양한 위치에 장착가능한 장치로서, 상기 휴대폰 RF 신호회로망을 그 안테나 또는 외부 도킹스테이션측 안테나와 선택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폰 RF 신호회로망과 신호 수발신용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연결장치는, RF 신호회로망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암놈부를 포함하는 바, 해당 암놈부는 상기 RF 신호회로망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포트(port)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암놈부에 맞는 구조로서, 안테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놈부(male portion) 또한 구비되어 있는 바, 해당 수놈부는 각각의 안테나에 연결된 별개의 핀 부재를 포함한다. 수놈부의 각 핀 부재는, 해당 연결장치의 암놈부 및 수놈부가 상호 결합함에 따라, 상기 암놈부 포트들중 각 대응포트내로 삽입된다. 이로써, 이들 RF 신호회로망 및 안테나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휴대폰의 안테나는,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포함하는 전화기 베이스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플립카버와 일체화되어 있는 바, 여기서, 플립카버 연결구조는 전화기 베이스에 대해 고정식 또는 착탈식중 어떤 형태의 부착이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을, 해당 RF 신호회로망을 포함하는 전화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플립카버와 일체화된 안테나 또는 외부 도킹스테이션과 일체화된 안테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된다. 이 연결장치는,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포트를 자체내에 갖는 암놈부를 포함한다. 해당 암놈부는 또한, 다수의 관통 개구부를 갖는 전화기 베이스에 장착된 하우징과; 일정간격 벌어진 다수의 날(blade) 부재를 갖는 블록구분 스위치와; 그 일측 선단이 블록구분 스위치의 날 부재들중 하나와 접촉하고, 타측 선단은 동심축 케이블들중 하나와 접촉하는 다수의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connector)와; 그 제1선단이 상기 동심축 커넥터들중 하나와 연결되고, 제2선단은 상기 하우징 개구부들중 하나에 인접한 다수의 접속스프링과;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상으로 되어, 각 구획이 상기 한쌍의 날 부재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구획(compartment)을 포함하는 스프링 케리어(carrier)와; 그 제1선단이 상기 RF 신호회로망에 연결되고, 제2선단은 상기 접속스프링쪽으로 가압되는, 상기 스프링 케리어내에 위치한 다수의 스프링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장치의 수놈부는, 외부 도킹스테이션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각각의 외부 도킹스테이션 안테나와 연결된 별개의 핀 부재를 포함한다. 이들 핀 부재는, 수놈부내에 위치함으로써, 연결장치의 암놈부 및 수놈부를 상호 결합하는 경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암놈부 하우징으로 들어가 상기 스프링 커넥터의 타측 선단에 접속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 하우징을 외부 도킹스테이션내에 두면, 상기 외부 도킹스테이션 안테나들은 상기 RF 신호회로망쪽으로 연결되는 반면, 상기 플립카버 안테나들은 해당 RF 신호회로망로부터 분리된다.
발명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그 권리로 주장하는 바를 명백히 하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본 명세서는 결론에 이르고 있는 바,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그 내용을 잘 이해하리라 믿어진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도면을 살펴보면, 동일한 참조번호는 전 도면에 걸쳐 동일요소임을 의미한다. 도 1은, 셀룰러 및 위성통신의 이중모드에서 작동가능한 휴대폰을 나타내는 바, 해당 휴대폰은 참조번호 '10'으로 통상 표시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10)은, 역시 본 발명의 양수인이 그 소유자이고 본 명세서상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출원번호 08/__,__, "휴대폰용 착탈식 플립카버 조합"이라는 명칭의 특허출원서에 기재된 바와 본질적으로 같은 형상이다.
휴대폰(10)은, 따라서, 참조번호 '16'으로 통상 표시된 바의 지지브라켓 조합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메인 하우징(12) 및 플립카버(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 1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12)의 상단면(22)상으로는 키이패드(24), 디스플레이(26) 및 스피커(26)가 드러나 있음을 주목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 하우징(12)은, 역시 본 발명의 양수인이 그 소유자이며 본 명세서상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하는 바의 출원번호 08/__,__,의 "이중모드 위성/셀룰러 터미널"이라는 명칭의 특허출원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해당 휴대폰(10)으로 하여금 셀룰러 및 위성통신 양측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RF 신호회로망을 자체내에 포함하고 있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플립카버(14) 및 지지브라켓 조합(16)이, 도 1의 분리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10)의 메인 하우징(12)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반면, 또 다른 실시예인 도 2상의 휴대폰(100)은, 역시 본 발명의 양수인이 권리자인 동시에 본 명세서상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되는 출원번호 08/__,__, "위성/셀룰러 휴대폰용 안테나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특허출원서에 기재된 바와 동일형상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100)용 안테나는, 두 개의 별도 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 하우징(112)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플립카버(114)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상의 플립카버(14)와는 달리, 상기 플립카버(114)는 메인 하우징(112)에 대해 착탈식으로 결합된 구조가 아니다.
상기 도 1 및 도 2 모두에 있어서, 플립카버(14 및 114)내 일체화된 안테나들을 메인 하우징(12 및 112)내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각각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상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30)는, 휴대폰(10 및 100)내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각각의 플립카버내 안테나들 또는, 메인하우징(12 및 112)을 자체내에 수용할 수 있는 외부 도킹스테이션(도 2상으로만 도시함)내 일체화된 안테나들과 선택 연결하도록 된 형상임을 알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4는, 암놈부(34) 및 그에 맞는 수놈부(36)를 갖는 장치(30)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에 있어서는, 장치(30)의 암놈부(34)가 메인 하우징(12)의 상단부(38)에 장착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수놈부(36)는 지지브라켓 조합(16)의 제1홈부(40)내에 위치한다. 비교하자면, 도 2는, 해당 장치(30)의 암놈부(34)를 메인 하우징(112)의 후미부(142)에 장착되어 그로부터 연장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플립카버(114)가 메인 하우징(112)상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관계로, 상기 후미부에 암놈부(34)를 둠으로써, 외부 도킹스테이션(32)내에 위치한 수놈부(36)를 취급하기는 보다 쉬워진다. 도시된 바와 반대의 경우라면, 그러나, 상기 장치(30), 암놈부(34) 및 수놈부(36)의 구조는 두 휴대폰(10 및 100) 모두에 잘 맞는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양측 휴대폰 형상에 따르면, 암놈부(34)는 메인 하우징(12 및 112)내 위치한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사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놈부(34)의 경우,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비롯하여 미소 전기부품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44)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그러한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암놈부(34)는, 이하에서 설명하겠거니와, RF 신호회로망과의 전기적 종합연결을 위한 몇 개의 부품을 포함하는 해당 암놈부(34)내 별도 영역들로 특정지어지는 다수의 포트(그중 하나는 도 11상의 참조번호 '44'로 도시된 바와 같음)를 포함한다. 상기 암놈부(34)와 관련하여 단 3개의 포트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기타 몇 개로도 할 수 있음은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의 특허출원에서 제시된 세 개 별도 안테나요소(셀룰러모드하의 수발신을 위한 하나의 안테나뿐 아니라, 각각 위성모드하의 수신 및 발신을 위한 안테나)에 맞추기 위해 역시 세 개의 포트(42, 44 및 46)로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 커넥터(48, 50 및 52)는, 상기 암놈부(34)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제1선단부(54, 56 및 58)가 상기 RF 신호회로망에 직접 연결된다. 암놈부(34)는 또한, 상부벽(68)상의 다수 개구부(62, 64 및 66)가 구비된 하우징(60)을 갖는다(도 3 참조). 이들 개구부(62, 64 및 66)는, 실제로 상기 스프링 커넥터(48, 50 및 52) 각각의 제2선단부(71, 72 및 74)와 일치한 위치로 되어 있다.
상기 포트(42, 44 및 46)를 보다 제대로 특정짓기 위하여, 참조번호 '76'으로 표시된 블록구분 스위치가 암놈부 하우징(60)내에 배치된다. 해당 블록구분 스위치(76)는, 상기 포트부(42, 44 및 46)의 배치영역을 한정지을 뿐 아니라 상기 RF 신호회로망의 접지부로 작용함으로써 RF 중개장치에 대한 보호수단을 제공하는, 사이간격을 둔 다수의 날 부재(78, 80, 82 및 8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의 경우, 상기 암놈부(34)에 적당한 지지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날 부재(78, 84) 측방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발(86, 88)을 갖는 것이 바람직함을 주목하게 된다. 측벽(132, 134)은 각각 그 바닥부위에 형성된 홈(131, 133)을 포함하는 바, 이들 홈으로 인하여 상기 발(86, 88)이 외측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암놈부 하우징(60)의 전방벽(90)에는, 스프링 커넥터 제1선단(54, 56 및 58)이 그 아래를 지나 연장되어 상기 RF 회로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연장홈(91)이 형성되어 있다. 실질적 U형상의 부재(92)가 상기 날 부재(78, 84)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바, 해당 부재(98)는 또한, 날 부재(80, 82)를 자신쪽으로 연결시키는 연장부(94)를 포함하고 있다. 이처럼,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는 단일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케리어(96)는, 스프링 커넥터(48, 50 및 52)를 수용하고 각각 제대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획(98, 102 및 104)(도 8 참조)을 갖는 형태로 함이 좋다. 상기 스프링 케리어(96)는 또한, 이들 구획(98, 102) 및 구획(102, 104)간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의 날 부재(80, 82)와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한쌍의 계단형 홈(106, 108)을 갖는다. 스프링 케리어 표면 외측에는 해당 스프링 케리어를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내로 잡아주기 위한 멈춤쇠(110, 12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들 멈춤쇠(110, 120)는 날 부재(78, 84)상의 절개부(122, 124)내로 삽설된다. 상호 대응하는 한쌍의 절개부(126, 128)는, 암놈부 하우징(60)의 측벽(130, 132)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멈춤쇠(110, 120)가 그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 및 스프링 케리어(96)(즉, 스프링 커넥터(48, 50 및 52))를 해당 암놈부 하우징(60)내로 붙잡아주게 된다.
휴대폰(10)의 경우, 플립카버(14)내 안테나 및 외부 도킹스테이션내 어떤 안테나도 상기 암놈부 하우징(60)측 상부면(68)상의 개구부(62, 64 및 66)를 통한 제1선단(54, 56 및 58)과의 접촉을 매개로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암놈부(34)는 어떠한 추가요소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휴대폰(100)에 있어서는, 플립카버(114)내 안테나요소들이 항상 동심축 케이블(그 일예가 도 11에 나타나 있으며, 통상 참조번호 '143'과 같음)을 통해 암놈부(34)와 연결되는 관계로, 해당 암놈부(34) 또한, 납땜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의 날 부재(78, 80 및 82)에 부착됨이 바람직한 다수의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134, 136 및 138)를 갖는다. 이들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134, 136 및 138)용 공간 확보를 위하여, 암놈부(34)의 하우징(60)은 그 후미벽(141)상에 형성된 다수의 홈부(135, 137 및 139)를 갖는다(도 6에 잘 나타나 있음).
아울러, 상기 암놈부(34)내에는, 다수의 접속스프링(140, 146 및 148)이 배치되어 그 제1선단이 상기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134, 136 및 138)와 각각 연결됨으로써, 각 동심축 케이블(143)의 중심 컨덕터(conductor)(도 11상의 요소 '145' 참조)가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커넥터 제2선단(70, 72 및 74)은 상기 접속스프링(140, 146 및 148) 타측 선단의 탄발력을 받게 되어 있는 관계로, 보통의 경우(즉, 휴대폰(100)이 외부 도킹 스테이션(32)내에 있지 않고 그 일체화된 수놈부(36)에 연결된 상태), 상기 RF 신호회로망는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134, 136 및 138)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장치(30)의 수놈부(36)는, 상기 암놈부 하우징(60)에 들어맞도록 된 하우징(150)을 갖는다. 특히, 수놈부 하우징(150)은, 상기 암놈부 하우징(60)의 상부벽(68)으로부터 연장된 삽입부(154)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해당 삽입부와 결합가능한 공간부(152)를 그 내부에 갖는다. 이는 상기 암놈부 및 수놈부간 결합시의 마찰식 끼워맞춤이 이루어지게 한다. 더욱이, 상기 수놈부 하우징(150)의 상부벽(156)상에는, 다수의 개구부(158, 160 및 162)와 해당 개구부 측방의 홈(164, 166, 168 및 1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158, 160 및 162)는,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핀(172, 174 및 176)을 접수하여 실질적 고정위치에서 해당 핀들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통하여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핀 부재(172, 174 및 176)는 암놈부 하우징(60)측 상부벽(68)상의 개구부(62, 64 및 66)와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암놈부(34) 및 수놈부(36)가 결합관계를 이루는 경우, 이들 핀 부재(172, 174 및 176)는 상기 개구부(62, 64 및 66)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 커넥터 제2선단(70, 72 및 74)과 결합하게 된다.
상기 핀 부재(172, 174 및 176)는, 동심축 케이블 등을 매개로 하여, 플립카버(14) 일체형의 안테나요소와 휴대폰(10)내에서 연결됨을 이해할 것이다. 즉, 핀 부재(172, 174 및 176)가 스프링 커넥터(48, 50 및 52)와 접촉하면, 그에 따라 상기 안테나요소는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동일형태의 수놈부(36)를 도킹 스테이션에 또한 장착할 수 있는 바(휴대폰(10)에 관해서는 도 1에 나타내지 않음), 플립카버(14) 및 지지브라켓 조합(16)을 메인 하우징(12)로부터 분리하고 해당 메인 하우징(12)을 도킹스테이션내에 둘 경우, 상기 핀 부재들은 이들 도킹스테이션측 일체형 안테나와 휴대폰(10)측 RF 신호회로망간 전기적 접촉을 이루어준다.
휴대폰(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플립카버(114) 일체형인 안테나들이 상기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134, 136 및 138)를 매개로 암놈부(34)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바, 상기 암놈부(34) 및 수놈부(36)간 상호 결합시에 있어 수놈부(36)측 핀 부재(172, 174 및 176)는, 상기 접속스프링 커넥터 제2선단(70, 72 및 74)과 접촉할 뿐 아니라, 해당 접속스프링 커넥터 제2선단들로 하여금 상기 접속스프링(140, 146 및 148)과의 접촉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따라서, 도킹스테이션측 안테나들(예컨대, 도 2상의 참조번호 '32'와 같은)은 메인 하우징(112)내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 연결상태로 되는 한편, 플립카버(114) 일체형 안테나들은, 해당 RF 신호회로망과 연결해제된다.
상기 수놈부(36)는 또한, 제1 및 제2측방 날 부재가 '180' 및 '182'로, 중앙 날 부재가 '184' 및 '186'으로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수놈부 하우징(150)측 홈(164, 170, 166 및 168)을 통해 각각 삽입 및 지지되는 형상의,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의 날 부재를 갖는 블록구분 커넥터(178)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해당 블록구분 커넥터(178)의 날 부재(180, 182, 184 및 186)는, 암놈부 하우징(60)측 상부벽상(개구부(62, 64 및 66의 각 측방)에 형성된 홈(188, 190, 192 및 194)을 매개로,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76)측 날 부재(78, 80, 82 및 84)와의 인접관계를 이루게 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블록구분 커넥터(187) 및 블록구분 스위치(76) 날 부재는 물리적으로나 RF 중개 측면에서나 부품구성 포트(42, 44 및 46)를 명백히 구분지을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장치(30)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34) 및 수놈부(36)내 부품 크기는, 박판 형태의 RF 중개매체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안테나 입력부에 있어 대략 50옴(Ohms) 정도의 제어 임피던스(impedance)를 갖는 것이 좋다.
이처럼, 휴대폰 RF 신호회로망과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다수의 포트(42, 44 및 46)를 갖는 연결장치(30)를 구성함으로써, 해당 휴대폰 메인하우징의 체적을 실질적으로 감소된다. 이는, 주어진 공간내에서의 보다 큰 중앙 접속핀 사용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연결 신뢰도를 증대시켜 해당 중앙 접속핀의 소요 이동량 역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연결장치 이론과 비교해볼 때, 연결장치(30)의 전반적 기계적, 전기적 기능이 향상된다.
나아가, 고정식 및 착탈식 플립카버에의 적용예를 들어 설명한 것처럼, 상기 연결장치(30)는 많은 휴대폰 형상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에 근거하여,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믈론, 발명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적절한 수정예를 안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본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의 그러한 수정 또는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안테나 연결장치는, 휴대폰 및 안테나 상호연결시의 신뢰도 향상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이동통신 분야에서의 그 효용성 증대가 기대되는 발명이다.

Claims (22)

  1. (a) RF 신호회로망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수의 포트를 포함하는, 해당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암놈부와;
    (b) 각각의 안테나에 연결된 별도의 핀 부재를 포함하는, 해당 안테나들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암놈부에 맞는 수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놈부 및 암놈부가 상호 결합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핀 부재가 상기 포트들중 대응하는 하나에 수용되며, 이로써, 상기 RF 신호회로망 및 상기 안테나들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이,
    (a)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포함하는 전화기 베이스와;
    (b) 그 일체화된 상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지지브라켓 조합을 수단으로 상기 전화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착탈식 플립카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가 상기 전화기 베이스의 상단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놈부가 상기 지지브라켓 조합상에 위치하여, 상기 플립카버 일체형 안테나가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암놈부가 외부 도킹스테이션상에 위치하여, 상기 플립카버를 상기 전화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고 해당 전화기 베이스를 상기 외부 도킹스테이션내에 두는 경우, 상기 외부 도킹스테이션 일체형의 안테나가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가 상기 포트 주위의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놈부의 핀 부재가 상기 포트들쪽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의 각 포트가, 상기 RF 신호회로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선단과, 상기 하나의 하우징 개구부와 일치하는 위치로서 해당 하우징 개구부에 인접한 제2선단을 갖는 스프링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가,
    (a) 상기 각 포트의 경계를 형성하는, 사이간격을 갖는 다수의 날 부재를 갖는 블록구분 스위치와;
    (b) 상기 스프링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구획을 포함하는 스프링 케리어어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 케리어가,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상으로서, 각각의 구획이 상기 날 부재중의 한쌍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 및 상기 스프링 케리어를 상기 암놈부내에서 잡아주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개구부의 각 측방에 위치하며 해당 하우징 상단면을 지나 형성된 다수의 홈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놈부가, 상기 핀 부재를 실질적 고정위치에 잡아주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당 수놈부 하우징이 상기 암놈부 하우징에 맞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놈부가, 해당 수놈부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핀 부재의 각 측방에 위치한 일정 간격 벌어진 다수의 날 부재를 갖는 블록구분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록구분 커넥터의 일정간격 벌어진 날 부재들이 상기 암놈부 하우징의 홈내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RF 신호회로망 및 상기 안테나 사이에 있어 대략 50옴의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의 각 포트가,
    (a)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의 상기 날 부재에 부착된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와;
    (b) 상기 하나의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된 제1선단과, 상기 하나의 스프링 커넥터와 접속된 제2선단을 갖는 접속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이,
    (a)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포함하는 전화기 베이스와;
    (b) 그 일체화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화기 베이스에 선회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플립카버와;
    (c) 상기 하나의 안테나에 연결된 제1선단과 상기 하나의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된 제2선단을 갖는 다수의 동심축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립카버 안테나들이 상기 RF 신호회로망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암놈부가 상기 전화기 베이스의 후미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놈부가 외부 도킹스테이션상에 위치하여, 상기 전화기 베이스를 외부 도킹스테이션내에 둘 경우, 해당 외부 도킹스테이션과 일체화된 안테나들이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카버 일체형의 안테나들이 상기 RF 신호회로망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놈부의 핀 부재들이, 각각의 포트내 상기 스프링 커넥터 및 상기 접속스프링의 접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회로망가 상기 플립카버 안테나 또는 상기 외부 도킹스테이션 안테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RF 신호회로망과 지정 주파수의 신호 발신 및/또는 접수용의 다수 안테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장치.
  21. (a) 메인 하우징과;
    (b)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드하에서 휴대폰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메인 하우징내에 위치한 RF 신호회로망과;
    (c) 상기 메인하우징에 선회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플립카버와;
    (d) 각각의 지정 통신모드용 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한, 상기 플립카버와 일체화된 다수의 안테나와;
    (e) 상기 안테나 및 상기 RF 신호회로망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당 연결장치는 또한,
    (1)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메인 하우징에 장착된 하우징, 상기 RF 신호회로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선단과 멈춤쇠쪽으로의 가압력을 받는 제2선단을 갖는 다수의 스프링 커넥터, 및 상기 스프링 커넥터 제2선단쪽으로의 접속통로를 제공하는 상기 암놈부 하우징내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암놈부와;
    (2)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안테나에 연결된 별개의 핀부재를 포함하는 수놈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핀 부재들이 상기 수놈부내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장치의 수놈부 및 암놈부가 상호 결합한 경우, 해당 핀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암놈부 하우징내로 진입하여 상기 스프링 제2선단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2. (a) 메인 하우징과;
    (b)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드하에서 휴대폰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메인 하우징내에 위치한 RF 신호회로망과;
    (c) 상기 메인하우징에 선회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플립카버와;
    (d) 각각의 지정 통신모드용 신호를 수발신하기 위한, 상기 플립카버와 일체화된 다수의 안테나와;
    (e) 상기 각각의 안테나에 연결된 동심축 케이블과;
    (f) 상기 플립카버 안테나 또는 외부 도킹스테이션 일체형 안테나를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해당 연결장치는 또한,
    (1)
    (a) 다수의 관통형 개구부를 갖는 상기 메인 하우징에 장착된 하우징;
    (b) 일정간격 벌어진 다수의 날 부재를 갖는 블록구분 스위치;
    (c) 각각의 제1선단이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의 날 부재에 연결되고, 제2선단은 상기 동심축 케이블들 중 하나에 연결된 다수의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
    (d) 각각의 제1선단이 상기 동심축 케이블 커넥터중 하나에 연결되고, 제2선단은 상기 개구부들중 하나에 인접한 다수의 접속스프링;
    (e) 상기 블록구분 스위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상으로서, 각각 상기 일정간격 벌어진 날 부재들중의 한쌍 사이에 위치한 다수의 구획을 포함하는 스프링 케리어; 및
    (f) 상기 RF 신호회로망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선단과, 상기 접속스프링쪽으로 가압되는 상태의 제2선단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케리어의 각 구획내에 위치한 스프링 커넥터를 포함하는 암놈부와;
    (2) 상기 각각의 외부 도킹스테이션 안테나에 연결된 별개 핀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외부 도킹스테이션내에 위치한 수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수놈부내에 위치하여, 해당 수놈부 및 상기 암놈부가 상호 결합한 경우, 핀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진입하여 상기 스프링 커넥터 제2선단과 접속함에 따라, 상기 메인 하우징을 외부 도킹스테이션내에 두는 경우, 해당 외부 도킹스테이션 안테나들은 상기 RF 신호회로망과 연결되고, 상기 플립카버는 해당 RF 신호회로망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19980707069A 1996-03-11 1997-03-10 휴대폰용안테나연결장치 KR100318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13,701 1996-03-11
US08/613,701 US5828343A (en) 1996-03-11 1996-03-11 Antenna connector device for a handheld mobile phone
US08/613,701 1996-03-11
PCT/US1997/003680 WO1997034342A1 (en) 1996-03-11 1997-03-10 Antenna connector device for a handheld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620A true KR19990087620A (ko) 1999-12-27
KR100318871B1 KR100318871B1 (ko) 2002-04-22

Family

ID=2445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069A KR100318871B1 (ko) 1996-03-11 1997-03-10 휴대폰용안테나연결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28343A (ko)
EP (1) EP0886893B1 (ko)
KR (1) KR100318871B1 (ko)
CN (1) CN1097331C (ko)
AU (1) AU705972B2 (ko)
BR (1) BR9708022A (ko)
DE (1) DE69702249T2 (ko)
HK (1) HK1017780A1 (ko)
WO (1) WO19970343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510B1 (ko) * 2000-01-17 2002-06-28 윤종용 지피에스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장착된 플립형단말기
KR101153182B1 (ko) * 2006-12-20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01909C (fr) 1994-10-12 2006-05-02 Technical Maintenance Corporation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numerique intelligent
US7188352B2 (en) 1995-07-11 2007-03-06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Intelligent digital audiovisual playback system
FR2769165B1 (fr) 1997-09-26 2002-11-29 Technical Maintenance Corp Systeme sans fil a transmission numerique pour haut-parleurs
US5945954A (en) * 1998-01-16 1999-08-31 Rangestar International Corporation Antenna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US8028318B2 (en) 1999-07-21 2011-09-27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Remote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means for payment and for displaying payment status
FR2781591B1 (fr) 1998-07-22 2000-09-22 Technical Maintenance Corp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FR2781580B1 (fr) 1998-07-22 2000-09-22 Technical Maintenance Corp Circuit de commande de son pour systeme de reproduction audiovisuelle numerique intelligent
USD426530S (en) * 1998-09-11 2000-06-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telephone
KR100345534B1 (ko) * 1998-10-07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립업타입휴대폰에서플립커버에설치된안테나장치
US6232924B1 (en) 1998-12-21 2001-05-15 Ericsson Inc. Flat blade antenna and flip mounting structures
US6301489B1 (en) 1998-12-21 2001-10-09 Ericsson Inc. Flat blade antenna and flip engagement and hinge configurations
US6249688B1 (en) 1998-12-21 2001-06-19 Ericcson Inc. Antenna electrical coupling configurations
USD431558S (en) * 1999-03-01 2000-10-03 Ericsson Inc. Flip and blade antenna for radiotelephone
AU4700900A (en) * 1999-05-06 2000-11-21 Qualcomm Incorporated Two-pin connection for portable phone keypad
FR2796482B1 (fr) 1999-07-16 2002-09-06 Touchtunes Music Corp Systeme de gestion a distance d'au moins un dispositif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USD434755S (en) * 1999-09-13 2000-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ion of a portable radio telephone
SE9903482L (sv) * 1999-09-27 2001-03-28 Allgon Ab Antennanordning
SE513934C2 (sv) * 1999-09-27 2000-11-27 Allgon Ab Antennanordning
US6469681B2 (en) * 1999-10-12 2002-10-22 3Com Corporation Removable antenna for connection to miniature modular jacks
US6475003B2 (en) 1999-10-12 2002-11-05 3Com Corporation Physically independent connector for retractable and removeable extensions in thin-profile electronic devices
USD434016S (en) * 1999-11-05 2000-11-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ortable telephone
US6307513B1 (en) * 1999-11-10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crowave connector
JP2001177322A (ja) 1999-12-16 2001-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FR2805377B1 (fr) 2000-02-23 2003-09-12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commande anticipee d'une selection, systeme numerique et juke-box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FR2805060B1 (fr) 2000-02-16 2005-04-08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reception de fichiers lors d'un telechargement
FR2805072B1 (fr) 2000-02-16 2002-04-05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ajustement du volume sonore d'un enregistrement sonore numerique
FR2808906B1 (fr) 2000-05-10 2005-02-11 Touchtunes Music Corp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a distance d'un reseau de systemes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FR2811175B1 (fr) 2000-06-29 2002-12-27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distribu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et systeme de distribu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FR2811114B1 (fr) 2000-06-29 2002-12-27 Touchtunes Music Corp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unication entre un systeme 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audiovisuelles et d'une machine electronique de divertissement
FR2814085B1 (fr) 2000-09-15 2005-02-11 Touchtunes Music Corp Procede de divertissement base sur les jeux concours a choix multiples
US9646339B2 (en) 2002-09-16 2017-05-09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central and local music servers
US10373420B2 (en) 2002-09-16 2019-08-06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enhanced communication features
US8584175B2 (en) 2002-09-16 2013-11-12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user-tailored music management, communications, and other tools
US7822687B2 (en) 2002-09-16 2010-10-26 Francois Brill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11029823B2 (en) 2002-09-16 2021-06-08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Jukebox with customizable avatar
US8332895B2 (en) 2002-09-16 2012-12-1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user-tailored music management, communications, and other tools
US8103589B2 (en) 2002-09-16 2012-01-2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system with central and local music servers
EP1431993B1 (en) * 2002-12-19 2007-01-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nector with integrated switch
KR100800767B1 (ko) * 2004-07-1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식 보조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락킹장치
KR100585770B1 (ko) 2004-07-21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착장치
US9171419B2 (en) * 2007-01-17 2015-10-27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Coin operated entertainment system
TWM319615U (en) * 2007-02-16 2007-09-21 Ks Terminals Inc Antenna clip and its applications
US10290006B2 (en) 2008-08-15 2019-05-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signage and gaming services to comply with federal and state alcohol and beverage laws and regulations
US8332887B2 (en) 2008-01-10 2012-12-1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ystem and/or methods for distributing advertisements from a central advertisement network to a peripheral device via a local advertisement server
WO2010005569A1 (en) 2008-07-09 2010-01-1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downloading jukebox with revenue-enhancing features
US10719149B2 (en) 2009-03-18 2020-07-21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CN106056367A (zh) 2009-03-18 2016-10-26 踏途音乐公司 娱乐服务器及相关的社交网络系统
US9292166B2 (en) 2009-03-18 2016-03-22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karaoke-relat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564804B2 (en) 2009-03-18 2020-02-18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CA2881533A1 (en) 2010-01-26 2011-08-04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689601B1 (ko) * 2010-05-19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N103999453B (zh) 2011-09-18 2019-04-12 踏途音乐公司 具有卡拉ok和照相亭功能的数字点播设备及相关方法
CN202373800U (zh) * 2011-11-18 2012-08-0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高频转接器
US11151224B2 (en) 2012-01-09 2021-10-19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Systems and/or methods for monitoring audio inputs to jukebox devices
US9921717B2 (en) 2013-11-07 2018-03-20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Techniques for generating electronic menu graphical user interface layou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electronic devices
AU2015236102A1 (en) 2014-03-25 2016-11-03 Touchtunes Music Corporation Digital jukebox device with improved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KR20220149334A (ko) * 2021-04-30 202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rf 배선의 캘리브레이션 포트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2884A (en) * 1948-12-14 1951-02-20 Gabriel Co Antenna
US3568200A (en) * 1969-11-19 1971-03-02 Perfection Spring & Stamping Mounting assembly for loop antenna
DE3516858A1 (de) * 1985-05-10 1986-11-1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Hf-steckverbinder mit schaltfunktion
US5255001A (en) * 1989-08-29 1993-10-19 Nec Corporation Antenna system for portable radio apparatus
GB9102935D0 (en) * 1991-02-12 1991-03-27 Shaye Communica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tennae
NL9200272A (nl) * 1992-02-14 1993-09-01 Du Pont Nederland Coax-connectormodule voor montage op een plaat met gedrukte bedrading.
US5453019A (en) * 1992-12-07 1995-09-26 The Whitaker Corporation Internal/external antenna switch connector
DE4309155C2 (de) * 1993-03-22 1995-06-01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ein Mobiltelefon
US5440315A (en) * 1994-01-24 1995-08-08 Intermec Corporation Antenna apparatus for capacitively coupling an antenna ground plane to a moveable antenna
US5559522A (en) * 1994-07-25 1996-09-24 Motorola, Inc. Antenna positioning apparatus capable of substantially vertical orien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510B1 (ko) * 2000-01-17 2002-06-28 윤종용 지피에스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가 장착된 플립형단말기
KR101153182B1 (ko) * 2006-12-20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74497A (en) 1997-10-01
EP0886893B1 (en) 2000-06-07
BR9708022A (pt) 1999-07-27
KR100318871B1 (ko) 2002-04-22
HK1017780A1 (en) 1999-11-26
DE69702249D1 (de) 2000-07-13
WO1997034342A1 (en) 1997-09-18
US5828343A (en) 1998-10-27
EP0886893A1 (en) 1998-12-30
CN1097331C (zh) 2002-12-25
CN1217092A (zh) 1999-05-19
AU705972B2 (en) 1999-06-03
DE69702249T2 (de) 200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620A (ko) 휴대폰용 안테나 연결장치
US6792256B1 (en) Antenna connectors for computer devices utilizing radio and modem cards
KR100297012B1 (ko) 모듈러무선통신시스템및그방법
US5453019A (en) Internal/external antenna switch connector
US5973409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2012020256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tegrated into a computer display
US7973728B2 (en) Radio transceiver communicating i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PL180449B1 (pl) Elektroniczne urzadzenie do telekomunikacji PL PL PL
CA218371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signals
EP4293816A2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avity filter comprising the same
EP0869584B1 (en) Coaxial connector for switching antennas
US5158483A (en) Antenna connector and concealed test jack
US7011550B1 (en) Compound electrical connector
GB2203898A (en) Radio frequency signal combining/sorting device
US1148280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20070228095A1 (en) Retaining device for mobile user devices
AU725749B2 (en) Modular unit headset
WO1994026038A1 (en) Multiple antenna selection and antenna cap for computer devices utilizing radio and modem cards
GB2314483A (en) Mobile phone with additional plug-in communication module
JPH10243442A (ja) 携帯型電話機
US6738648B1 (en) Mobile telephone comprising a detachable connector between its body and its battery pack
US1181764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CN212412292U (zh) 一种射频连接器
KR20010045624A (ko) 폴더 타입 휴대폰의 안테나 접속장치
CN116111382A (zh) 连接器、连接器组件、射频模块和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