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039A -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변형가능한 안창을 갖는풋웨어 - Google Patents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변형가능한 안창을 갖는풋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039A
KR19990087039A KR1019980705781A KR19980705781A KR19990087039A KR 19990087039 A KR19990087039 A KR 19990087039A KR 1019980705781 A KR1019980705781 A KR 1019980705781A KR 19980705781 A KR19980705781 A KR 19980705781A KR 19990087039 A KR19990087039 A KR 19990087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wear
wearer
layer
foot
i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만프레디 나탈레
Original Assignee
프랑코 마울라
필라 스포츠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코 마울라, 필라 스포츠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프랑코 마울라
Publication of KR1999008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8Adapting the inner sole or the side of the upper of the shoe to the sol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갑피(A), 및 이 갑피(A)에 연결되고 웨지(3)가 위치하는 창(2)을 포함하며, 착용자 발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내측 안창(6) 또는 중간창을 수용하는 하부 지지부분(1)을 구비하는 풋웨어에 있어서, 착용자의 체중하에 구부려지는 수단은 지지부분(1)의 적어도 일부의 안창 아래에 배치되고, 이들 수단은 안창이 슈즈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특정 형상을 취하도록 안창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변형가능한 안창을 갖는 풋웨어
사람의 발바닥은 개인마다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슈즈(“워킹 슈즈”라 불리우는 것 등)가 해부학적인 형태로 된 안창(insole)을 가지면 발이 지면을 닿을 때에 더욱 편안하고 안정되어, 특히 장기간의 착용시에 착용자에 있어서의 미세한 외상(골격 또는 근육 레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해부학적인 형태로 된 안창을 갖는 풋웨어(또는 슈즈)가 오랫동안 알려져 왔지만, 발바닥 형상이 개인마다 엄밀히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안창은 막연한 해부학적인 형태를 갖는다. 즉, 일반적인 착용자의 보통 발바닥에 적합하게 통상 고안된다. 바꾸어 말하면, 시판되고 있는 풋웨어의 해부학적인 안창은 각각의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부분적으로만 적합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 결과, 알려진 해부학적인 풋웨어는 종종 특히 장기간 후에 발에 상당한 피로를 느끼게 하지 않으나, 명백한 단점을 갖고 있다.
안창이 착용자의 체중으로 연속적이나 비영구적으로 변형하여, 발바닥의 형상에 적합하게 된 풋웨어는 널리 알려져 있다. 착용후에, 안창은 그것의 초기 형태로 “바운드 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적당한 편안함을 주지 않고, 비교적 고가의 생산단가를 요하며, 주로 나막신 등의 특수 형태를 갖는 풋웨어에 이용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고 사용함에 따라, 풋웨어는 발바닥의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능력이 손실된다.
본 발명은 주요 청구항의 도입부에 개시된 풋웨어(footwea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슈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슈즈의 부분에 대한 저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3-3)을 따라 취한 것이나, 조립된 슈즈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선(4-4)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슈즈 변형체에 대한 부분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개선된 해부학적인 풋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창이 완전히 영구적으로 특정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된 셀프 모델링 해부학적 풋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생산단가가 저렴하고 모든 착용 조건하에 지면에 닿을 시에 발에 적절한 안정감을 부여하여, 하부 수족의 골격 또는 근육에 대한 미세한 외상을 방지하는 상술한 형태의 풋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의 해부학적 특성 때문에 지면에 대한 발의 적당하지 않은 충격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상술한 형태의 풋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풋웨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풋웨어는 워킹 또는 스포츠 슈즈일 수 있다. 스포츠 슈즈의 경우에는, 지면과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지 수단을 갖춰질 수 있고, 동시에 실질적으로 튀어오르는 스프링처럼 최대량의 흡수 에너지를 착용자 발에 복원시킬 수 있다.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로서만 제시된 하기의 첨부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 :
도 1∼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포츠 슈즈는 갑피(A) 및 하부 베이스 또는 지지부(1)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는 예를 들면 공지 방법으로 공지된 다공성 재료(에틸비닐아세테이트 - EVA)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저밀도 고무로 된 웨지(3)가 고착되어 있는 합성고무로 된 창(2)을 포함한다. 웨지는 예를 들면 코르크로 된 마운팅 안창(5)이 놓여질 수 있는 에지(4A)를 돌출시킴으로써 한정되는 상부 리세스(4; 도 1 참조)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직물(도 3에 도시되지 않음)로 된 착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또 하나의 안창(6)은 안창(5)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의 하면에는 창(2)이 공지된 그로빙(groving; 8) 또는 이의 부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안창 또는 중간창(6)은 슈즈가 닳아 해진 후에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상태는 그 자체를 발바닥에 적합하게 하도록 발바닥의 형상을 나타낸다. 이렇게 하여, 안창(6)은 착용자 발의 발바닥에 일치하는 해부학적인 형태를 지닌다.
유리하게 웨지(3)에 결합된 연질 재료로 된 하층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놓여지게 함으로써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은 전체면 또는 특정 부분과 상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변형될 수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상술한 변형상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슈즈는 창(2)과 대향하고 풋웨어의 형태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0.7∼4㎜로 크기로 변화하는 입체를 갖는 입상층을 포함하는 하부 공동(10; 웨지와 일체형성된 층(10A)에 의해 리세스(4)와 분리되고 독립 가요성을 지님)에 있는 웨지(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층은 합성 또는 천연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상층은 입상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입상 고무(합성 또는 천연), 코르크 또는 입상 형태의 팽창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입상층(11)은 예를 들면 공동(11)의 상이한 부분에 배치되는 이들 재료의 혼합물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술한 재료가 상이한 변형 능력을 갖기 때문에, 착용자 발의 상이한 부분에 일치하는 여러 구역에서 착용자 체중으로 인해 다양하게 구부려지는 층(11)을 얻는다. 이렇게 하여, 하부(1)의 작용에 의해, 예를 들면 슈즈(워킹 또는 스포츠)의 종류에 따라 특수화된 방법으로 착용자 발을 지지할 수 있다.
착용자의 체중이 지지부(1) 상에 특수화된 방법으로 작용하고, 대개 뒤축(도 3의 K로 나타냄)에 해당하는 구역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여기서 층(11)은 척골부분(도 3에서 M으로 나타냄)에서 더 두텁다.
또는, 안창(6; 있다면, 하기에서 5)을 변형시키기 위해, 층(11)은 여러 비연통 부분, 예를 들면, 발의 장심(도 3에 P로 나타냄) 부분과 일치하게 세분될 수 있으며, 실제로 착용자의 반강체 장심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입상층이 주어진다(웨지(3)가 실제로 일부 이상 연질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착용시에 층(11)은 착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휘어진다. 이 때문에, 안창(6)이 이에 상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체중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주로 안창(6)의 특정부분(척골(M) 및 뒤축(K))에 있어서는, 이 부분은 인접 부분(예를 들면, 발의 측부를 지지하는 부분) 보다 더 크게 변형될 것이다. 상술한 변형은 창으로 기울어지는 안창을 갖는 창을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포함한다. 층(11)의 입상 재료는 각각의 공동(10)으로 이동하여, 안창이 창으로 휘어지고, 동시에 요구된 지점, 즉 슈즈의 하부(1)에서 착용자의 체중이 덜 가해지는 지점에서 발에 지지부를 제공한다. 이때문에, 착용시에 착용자가 훨씬 더 편안하고 발이 덜 피로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슈즈의 특수 조성으로 인해, 스포츠 활동 등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골격 및 근육 조직에 손상을 입힐 위험이 줄어든다.
층(11)의 입상 재료의 제 1 이동후 및 모든 경우에 있어서는 웨지(3)의 공동(10) 내부의 최종 위치에 이른 후에(바람직하게는 착용자에 의한 장기 사용후에), 이 재료는 영구적으로 상술한 위치로 남아 있도록 콤팩트된다(착용자의 체중으로 인함). 이렇게 함에 있어서, 착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안창은 영구적으로 해부학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발바닥에 일치한다.
또한 슈즈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고 지면에 대한 착용자 발의 충격을 흡수하며, 그렇지 않으면 충격시에 손실되는 에너지 중 일부 이상을 지면으로 복원시키기 위해, 에너지를 상기와 같이 감소시켜 발에 복원시키는 적절한 수단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인서트(13)를 슈즈의 뒤축 부분(K)에 일치하게 형성시킨다. 이 인서트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이전의 특허 출원서에 이미 기재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가능한 배럴 형상의 엘리먼트(도시되지 않음)의 하나 이상의 층이 배치되는 기밀 하우징과 일체저으로 형성되며, 이들 엘리먼트는 하우징의 대향면에 결합된 대향 에지와 함께 가장 폭넓은 중간부분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변형체, 보통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또 다른 특허에 의하면, 이러한 인서트는 지면을 밟고 있는 착용자가 상기 인서트를 압착할 때에 액체에 의해 흡수되기에 적합한 가스 상태(도시되지 않음)의 유체 및 액체 상태의 유체를 내장하는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액체에 의한 가스의 흡수로 인해 감쇠효과가 나타나서, 착용자가 지면에 전달하는 에너지를 부분적으로 흡수한다. 상기 인서트에 대한 착용자의 압력이 중지되면, 가스는 액체에 의해 분출되고 하우징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발에 대한 일종의 탄성 트러스트를 발생시키므로, 지면에서 리프팅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인서트(13)는 지정된 위치(K 부분)에 유지시키는 입상층(11)에 파묻혀져 있다. 또는, 웨지(3)는 인서트(13)를 적소에 수용하여 지지하기에 적합한 특수 하우징(물리적으로 한정된 벽에 의해 결합됨)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13)와 동일하거나 대등한 또 하나의 인서트(13A)가 또한 도 2의 파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의 척골부분(M)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도 5에 예시되며, 상술한 도면의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나타낸다. 이 도면에서, 갑피는 웨지(3; 적어도 도시되지 않은 안창(6)이 위치하고 있음)에 이미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과 접촉한 다음에 이어서 리프팅한 후에 에너지를 착용자 발에 복원시키고, 동시에 적절한 방법으로 발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수단이 웨지(3)와 결합되어 있다. 본 출원인의 이전 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이들 수단은 복합재료로 이루어지고 웨지의 공동(10)과 창(2) 사이에 위치한 안창(4)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안창(40)은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제 1 부분(50)을 갖고 있으며(즉, 보통 직물에서와 같이 함께 결합된 씨실(T) 및 날실(O)을 포함하며, 이들 실은 열경화성 수지(또는 카본레진) 및/또는 ‘케블라(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아라미드 섬유)’로서 시판되는 섬유상 재료의 카보레진와 함침된 탄소섬유일 수 있다. 탄소섬유가 아라미드 섬유와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씨실이 탄소섬유로 되어 있고 날실이 아라미드 섬유 또는 케블라로 이루어진 직물이 얻어진다. 상술한 씨실(T 또는 날실(O))은 모두 상호 평행하게, 모두 슈즈의 종축(X)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열되어 있다(씨실이 날실에 대하여 직교하고 있는 경우에도).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제 2 부분(51)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 1 부분(50)에 결합되어, 착용자 발의 장심과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척골부와 일치하게 배치된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제 3 부분(52, 본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슈즈의 프런트 팁(53)과 제 2 부분(51) 사이의 전체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에 결합되어 있다. 제 2 부분(51) 및 제 3 부분(52)은 복합재료로 된 제 2 안창층(55)을 형성한다. 제 1 부분은 사이드 텅(50A, 50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51) 및 제 3 부분(52)은 창의 해당부분에서 꽤 상당히 비틀림 강성을 부여하도록 상호 교차적으로 배열된 섬유(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또는 유사한 것)를 포함한다. 즉, 부분(예를 들면, 50)에서의 씨실(T) 및 날실(O)은 제 2 부분(51)의 씨실(T') 및 날실(O')에 대하여 상이한 공간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면, 씨실(T)은 창의 종축(X)에 대하여 45。 각도로 배치되어 있고, 씨실(T')은 상기 축(X)에 대하여 90。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특히, 장심 지지부분에서의 제 1 부분(50)과 제 2 부분(51)의 오버랩핑에 의해, 고 비틀림 강성을 지닌 어셈블리가 얻어진다. 장심 지지부분은 또한 휨 상태하에서도 강성을 나타낸다.
그 대신에 제 3 부분(52)은 지금까지에는 이 부분의 씨실 및 날실이 소정 공간배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되고, 즉 모두 축(X)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갖는(90。 각도로 남아있더라도) 것을 나타내는 단일 방향으로 배열된 씨실(T") 및 날실(O")을 형성하는 섬유를 포함한다. 제 3 부분(52)의 씨실(T") 및 날실(O")은 제 3부분(52)과 상호 협력하는 제 1 부분(50)에 존재하는 씨실(T) 및 날실(O)에 평행하다. 제 3 부분(52)의 일방향 실 및 제 1 부분(50)의 해당부분(상호 평행하는 씨실(T, T") 및 날실(O, O")을 가짐)에 의해, 또한 슈즈의 종축(X)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고 슈즈의 프런트 팁(53)과 제 2 부분(51) 사이에 위치하는 축(W) 주변의 척골부분에서 직각으로 구부려지도록 제 3 부분(52)이 제 1 부분(50)과 결합되는 경우에도 창의 척골부분(M)이 구부려지기 쉽다(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슈즈의 하부부분(1)에서 창(2; 안창(40)에 고착됨)은 각각 척골부분(M) 및 뒤축부분(K)에서 안창을 커버하기 위해 두 부분(57, 58)으로 세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안창(40)은 2개의 명확히 분리된 물리적 부분, 슈즈의 장심 지지부분(P)에 해당하는 강성부분 및 슈즈의 프런트 팁(53)과 상기 장심 지지부분(P) 사이에 위치한 가요성 부분을 구비한다.
착용시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창은 충분한 강성을 지니므로 운동시에 착용자의 발을 충분히 지지하지만, 척골부분이 충분히 쉽게 구부려지기 때문에, 안창이 착용자 발의 골격구조 또는 근육구조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충분한 ‘유연성’을 지니므로 특히 착용자가 운동가인 경우에 꽤 위험한 미세한 골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슈즈의 프런트 팁(53)에서 제 2 부분(51)으로 뻗어있는 제 3 부분(52)에 의해 커버되는 척골부분(M)의 가요성은 착용자가 운동시에 지면에 미치는 최대가능에너지를 복원하여, 상당한 트러스트를 발생시키는 엘리먼트로서의 기능을 한다(운동경기 또는 농구 등의 필드 경기에서 매우 유리함).
바람직하게는, 안창(40)과 웨지(3) 사이, 더욱 정확하게는 입상층(11)을 포함하는 웨지의 공동(10)과 복합재료로 된 안창(40) 사이에는 공동(10)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고 운동시에 지면상에 착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쇠시키는 엘리먼트로서 작용하는 유연성 재료(례를 들면, 팽창성 재료 또는 고무)로 된 층(60)이 있어야 한다.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운동가의 발에 해부학적으로 적합하지만, 이러한 특성을 지니지 않아도 안창(40)이 지면과 충돌하여 리프팅한 후에 상술한 에너지를 발에 복원하는 것을 방지하는 슈즈를 얻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변형체에 따르면, 오버행(59)은 제 2 부분(5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2 부분(51)과 동일평면상으로 위치하도록 이것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부분(5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위되고 제 1 부분(50)의 씨실 및 날실과 평행하는(즉, 일방향) 씨실 및 날실로 짜여진 복합재료로 된 오버행(또는 텅; 59)은 창(2)의 부분(58)의 해당 하우징(65)으로 관통된다. 이러한 구조형태로 인해, 슈즈(1)가 안정성을 지니므로, 지면에 대한 착용자 발의 지지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이한 구조형태가 기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설명을 고려할 때 여전히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안창(6) 자체는 유연성 방법(예를 들면, 안창 내부에 입상재료를 혼입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해결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서 여겨진다.

Claims (28)

  1. 갑피(A), 및 이 갑피(A)에 결합되고 웨지(3)가 위치하는 창(2)을 포함하며, 착용자 발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내측 안창(6)을 수용하는 하부 발 지지부분(1)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풋웨어에 있어서, 착용자 발이 놓여지는 안창(6)은 풋웨어를 1회 이상 착용한 후에 영구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 변형은 발바닥 형상에 따라 일어나서, 상기 창은 착용자 발바닥에 일치하는 해부학적인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6)은 착용자의 체중하에 구부려지는 유연성 수단(11)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놓여지고, 이들 수단은 안창을 변형시켜서 안창이 착용자 발의 발바닥 특정 형상을 영구적으로 지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수단은 변형가능한 안창(6) 아래에 위치한 수단(3)을 포함하도록 배치된 입상 재료로 된 층(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는 합성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는 입상 에틸비닐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는 입상 합성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7. 제 4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는 입상 팽창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8. 제 3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는 천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는 입상 천연고무 또는 코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0. 제 8 항에 있어서, 입상층(11)은 각종 재료의 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1. 제 3 항에 있어서, 유연성 수단의 크기를 결정하는 입체의 크기는 0.5∼4㎜이고, 크기 선택은 풋웨어의 형태, 즉 사용 용도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2. 제 3 항에 있어서, 입상 재료를 수용하는 수단은 상기 층을 포함하는 공동(10)을 구비하는 웨지(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입상층을 포함하는 공동(10)은 웨지의 상이한 부분의 작용에 따라 깊이가 변화하고, 이 깊이는 착용자 발의 뒤꿈치에 해당하는 웨지(3)의 부분(K)에 일치하는 부분에서 더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4. 제 3 항에 있어서, 입상층(11)은 연속적이고, 즉 착용자 발이 놓여지는 안창(6)의 전체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5. 제 3 항에 있어서, 입상층(11)은 착용자 발이 놓여지는 안창(6)의 상이한 부분에 일치하게 분리된 형태로 위치하는 각종 부분을 갖고서 불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6. 제 1 항에 있어서, 지면에 대한 발의 충격력을 흡수하여, 지면에서 리프팅할 때에 에너지를 발에 복원시키기에 적합한 수단(13, 40, 6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수단(13)은 입상 재료(11)로 된 층(11)에 파묻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수단(13)은 웨지와 창(2)사이에 웨지(3)의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수단(13)은 다수의 배럴형 엘리먼트가 배치되어 있는 기밀 하우징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인서트(13)를 포함하며, 이들은 중간부분에서 상호 결합되어 있고 대향단부에서는 엔벨로프(envelpoe)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0. 제 16 항에 있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수단(13)은 2개 이상의 유체를 함유하는 밀폐 하우징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인서트(13)을 포함하며, 제 1 유체는 지면과 접촉시에 착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흡수하여, 운동시에 착용자가 지면에 전달하는 에너지 중 일부 이상을 저장하도록 제 2 유체에 의해 흡수가능하고, 제 1 유체는 발이 지면에서 리프팅될 때에 발 자체로 향하는 트러스트를 발생시키도록 제 2 유체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1. 제 16 항에 있어서, 에너지를 흡수하여 복원시키는 수단은 입상 재료층(11)과 에너지를 복원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복합재료로 된 엘리먼트(40) 사이에 배치되고 감쇠 수단으로 작용하는 유효성 재료층(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2. 제 21 항에 있어서, 복합재료로 된 엘리먼트(40)는 안창이고 창의 장심 지지부분(P)과 일치하게 배치되는 강성부 및 슈즈의 프런트 팁(53)과 장심 지지부분(P) 사이에 배치된 제 2 가요성 부분을 포함하며, 제 2 부분은 슈즈의 프런트 팁(53)과 장심 지지부분(P)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축(W) 주변에서 구부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3. 제 22 항에 있어서, 창(40)의 복합재료는 직물상 섬유, 교차된 강성 제 1 부분 섬유 및 일방향인 가요성 제 2 부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4. 제 22 항에 있어서, 복합재료로 된 엘리먼트(40)의 강성 제 1 부분은 두 층 이상의 직물상 복합재료를 포함하며, 씨실 및 날실을 갖는 제 1 층은 슈즈의 종축(X)에 비스듬하게 평면상에 놓여 있고, 제 2 층의 씨실 및 날실은 제 1 층과 상이하게 이 축에 대하여 각을 이룬 평면상에 배열되어 제 1 층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5. 제 22 항에 있어서,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엘리먼트(40)의 가요성 제 2 부분은 씨실 또는 날실이 슈즈의 종축(X)에 대하여 동일한 각진 평면상에 있는, 즉 일방향으로 된 하나 이상의 직물상 복합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6. 제 22 항에 있어서,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엘리먼트(40)의 가요성 제 2 부분은 씨실 또는 날실이 모두 슈즈의 종축(X)에 대하여 동일한 각진 평면상에 있는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다수의 중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7. 제 22 항에 있어서, 복합재료로 된 엘리먼트(40)는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51, 52)을 지지하는 직물상 복합재료로 된 제 1 부분(50)을 포함하며, 이들은 직물상 복합재료로 되어 있고 적어도 슈즈의 척골부분(7A) 및 장심 지지부분(6A)과 일치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부분(50)은 제 3 부분(52)의 해당하는 실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는 씨실 또는 날실을 갖고 있고, 이들 실은 교차되는 제 1 부분의 해당 실에 대하여 상이한 평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제 1 부분(50)은 슈즈의 지지벽(1)의 모든 부분(M, P, K)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웨어.
KR1019980705781A 1996-11-27 1997-11-25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변형가능한 안창을 갖는풋웨어 KR19990087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6MI002479A IT1286411B1 (it) 1996-11-27 1996-11-27 Calzatura con sottopiede o intersuola adattabile alla conformazione del piede dell'utente
ITMI96A002479 1996-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039A true KR19990087039A (ko) 1999-12-15

Family

ID=1137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781A KR19990087039A (ko) 1996-11-27 1997-11-25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변형가능한 안창을 갖는풋웨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883352A1 (ko)
JP (1) JP2000501329A (ko)
KR (1) KR19990087039A (ko)
CN (1) CN1211901A (ko)
AU (1) AU5751198A (ko)
BR (1) BR9707314A (ko)
CA (1) CA2244246A1 (ko)
CZ (1) CZ260898A3 (ko)
IL (1) IL125345A0 (ko)
IT (1) IT1286411B1 (ko)
NO (1) NO983436L (ko)
SK (1) SK113398A3 (ko)
WO (1) WO1998023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84929B2 (en) * 2000-10-13 2006-07-27 Dansko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shoe and shoe manufactured using said process
ITFR20010017U1 (it) * 2001-07-25 2001-10-25 Tecnomeccanica Tacco di scarpa perfezionato assorbi-urto
US20080086908A1 (en) * 2006-10-16 2008-04-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Deforming Insert
TWM406368U (en) * 2011-02-14 2011-07-01 Global Action Inc Anti-electrostatic insole
CN102860628B (zh) * 2012-10-24 2015-08-19 王景阳 一种弹力透气功能的鞋底及其生产工艺
ITAN20130081A1 (it) * 2013-05-02 2013-08-01 Giuseppe Olivieri Fondo bi-materiale per calzature con inserto in gommapiuma.
CN106231945B (zh) * 2014-02-25 2020-04-17 迪亚特克斯株式会社 鞋底、鞋内底、鞋大底以及鞋
CN104490007A (zh) * 2015-01-07 2015-04-08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减震鞋底
EP4032426A1 (en) 2015-09-24 2022-07-27 Nike Innovate C.V. Particulate foam with other cushioning
EP3595478B1 (en) 2017-03-16 2022-01-12 Nike Innovate C.V.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CN109222324A (zh) * 2018-10-09 2019-01-18 陕西科技大学 一种可变换的鞋子
US11744321B2 (en) 2019-07-25 2023-09-05 Nike, Inc.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CN114206150A (zh) 2019-07-25 2022-03-1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类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06880A (fr) * 1964-09-05 1965-07-23 Scholl Mfg Co Ltd élément orthopédique rapporté pour chaussures
DE2518713A1 (de) * 1975-04-26 1976-11-04 Salamander Ag Schuh
FI57529C (fi) * 1976-03-08 1980-09-10 Karhu Titan Oy Sula foer sportsko
US4316332A (en) * 1979-04-23 1982-02-23 Comfort Products, Inc. Athletic shoe construction having shock absorbing elements
DE3245964A1 (de) * 1982-12-11 1984-06-14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mit fersendaempfung
GB2142217B (en) * 1983-06-28 1986-10-29 Johnson Shoes Berhad A shoe construction
US4603493A (en) * 1984-09-24 1986-08-05 Eston Gary A Insole with moldable material
US4815221A (en) * 1987-02-06 1989-03-28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with energy control system
US4858340A (en) * 1988-02-16 1989-08-22 Prince Manufacturing, Inc. Shoe with form fitting sole
FR2646062B1 (fr) * 1989-04-19 1992-02-14 Taes Gerard Dispositif de stabilisation, d'amortissement et de restitution d'energie pour chaussures, notamment de sport et chaussures equipees d'un tel dispositi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3436D0 (no) 1998-07-24
CN1211901A (zh) 1999-03-24
NO983436L (no) 1998-09-24
EP0883352A1 (en) 1998-12-16
IT1286411B1 (it) 1998-07-08
ITMI962479A1 (it) 1998-05-27
ITMI962479A0 (it) 1996-11-27
CZ260898A3 (cs) 1999-01-13
AU5751198A (en) 1998-06-22
IL125345A0 (en) 1999-03-12
SK113398A3 (en) 1999-04-13
CA2244246A1 (en) 1998-06-04
JP2000501329A (ja) 2000-02-08
WO1998023178A1 (en) 1998-06-04
BR9707314A (pt) 199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0376B2 (en) Shoe spring and shock absorbing system
US5224280A (en) Support structure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orporating same
US7434337B2 (en) Footwear item comprising built-in dynamic element
US5191727A (en) Propulsion plate hydrodynamic footwear
US5052130A (en) Spring plate shoe
JPH09271404A (ja) 少なくとも一つの複合材料層を有する底部を備えたスポーツシューズ
MXPA01010979A (es) Zapatos con suelas de resorte acolchonadas.
US20030221337A1 (en) Climbing slipp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insert
KR19990087039A (ko) 착용자의 발바닥 형상에 적합하게 되는 변형가능한 안창을 갖는풋웨어
CN104918509A (zh) 篮球鞋垫
JPH05503868A (ja) 履物用クッションスプリング
US5604998A (en) Sports shoe providing heel stabilization
US7832122B2 (en) Shoe heel cup and shoe equipped with one such heel cup
EP1956932B1 (en) Footwear as mat-socks
KR960014893B1 (ko) 운동기능을 갖는 신발밑창구조
KR100374727B1 (ko) 탄력을 갖는 신발
KR200238254Y1 (ko) 충격흡수 신발
CN220571653U (zh) 一种具有缓震防滑的鞋底及运动鞋
KR102606612B1 (ko) 기능성 건강 신발
CN213756884U (zh) 一种高弹性气垫运动鞋
KR200404224Y1 (ko) 신발
KR200430874Y1 (ko) 돌기가 구비된 신발 중창
KR20070097751A (ko) 기능성 신발
KR200217463Y1 (ko) 탄력을 갖는 신발
KR20010018860A (ko) 발레용 토슈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