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905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의한 통화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의한 통화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905A
KR19990085905A KR1019980018599A KR19980018599A KR19990085905A KR 19990085905 A KR19990085905 A KR 19990085905A KR 1019980018599 A KR1019980018599 A KR 1019980018599A KR 19980018599 A KR19980018599 A KR 19980018599A KR 19990085905 A KR19990085905 A KR 19990085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hannel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010B1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8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0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는 이동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신을 시도하면 다이얼링 번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이면 소정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독출하여 통화 우선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다이얼링 번호가 수신되면 채널 및 해당 통화로의 상태를 검사여 채널이 부족하면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가 수신되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 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로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량 폭증에 의한 통화로 형성 실패시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성공율은 일반 유선전화시스템에서의 통화 성공률 보다 낮다. 그 이유는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기지국이 무선링크로 형성되고, 유선전화시스템보다 적은 수의 채널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링크 상의 이상 또는 사용자의 폭증으로 인한 채널의 부족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했을 때, 통화성공율이 떨어지고, 통화로 형성 실패시 사용자는 어떠한 이유로 통화로 형성에 실패했는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통화 시간대를 무선통신시스템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정하고, 상기 집중통화 시간대에는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는 사용자별 집중통화시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실시 예에서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는 이동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신을 시도하면 다이얼링 번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이면 소정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독출하여 통화 우선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다이얼링 번호가 수신되면 채널 및 해당 통화로의 상태를 검사여 채널이 부족하면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가 수신되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 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2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기지국을 통해 연결되고, 집중통화 시간대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과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이동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면 채널 및 해당 통화로 상태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통화량 폭증으로 인한 채널부족 상태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시간이 상기 집중통화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현재시간이 집중통화 시간대이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고,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통화우선권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에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도로서, 이동교환국(120)과 무선기지국(110)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들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2)와 연결되고, 다수의 무선기지국(110)과 연결된다. 상기 하나의 무선기지국(110)은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100)중 하나로부터 다이얼링 번호가 상기 무선기지국(110)을 통해 입력되면 공중교환전화망(이하 "PSTN"이라 함)(130)을 통해 해당 가입자로 스위칭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2)는 소속위치등록기(Home Location Registration: HLR) 및 방문자위치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ration: VLR)로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가입자 정보는 통상 다이얼링 번호 및 위치정보이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화우선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우선권정보는 가입자의 집중통화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로서, 집중통화 시간대(예:PM 02:00~AM 04:00), 통화 시도 반복횟수(예: 3회), 통화시도 주기시간(예:10sec) 등의 정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키입력부(30)에서 입력된 다이얼링 번호에 해당하는 키 데이터들은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를 거쳐 다이얼링 번호로 변환되어 신호처리부(60)로 전달된다. 상기 신호처리부(60)는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데이터 처리하여 RF부(50)로 전달한다. 상기 RF부(50)는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입력받아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도 1의 무선기지국(110)으로 송신한다.
이이피롬(20)은 다수의 파라미터 및 옵션데이터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통화우선권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는 가입자의 집중통화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정보로서, 통화 시도 반복횟수, 통화 시도 주기시간 등의 데이터이다. 롬(14)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16)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0)는 공지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 따른 집중통화 시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동작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 우선권 설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통화우선권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30)의 특정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201단계에서 통화우선권 설정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202단계에서 통화우선권을 설정할 것인지 여부를 묻고, 통화우선권 설정을 원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통화우선권 설정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는 203단계에서 통화 형성시도 반복횟수를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204단계에서 키입력부(30)를 스캔하여 통화 형성시도 반복횟수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204단계에서 통화 형성시도 반복횟수가 입력되면 제어부(10)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입력할 것을 요구하고, 206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시도 주기시간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통화 시도 주기시간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통화우선권 설정모드를 종료하고,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이동교환국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제 1실시 예에 따른 통화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통화우선권이 설정된 다음, 도 4a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0)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 번호와 통화키가 입력되어 발신이 시도되는지를 검사한다. 사용자에 의해 발신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무선기지국(110)은 무선링크를 형성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무선기지국(110)과 무선링크를 형성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다이얼링 번호를 신호처리부(60)와 RF부(50)와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링크 상으로 송신한다.
무선기지국(110)은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다이얼링 번호를 이동교환국(120)으로 전달한다. 도 4b에 있어서, 이동교환국(120)은 321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무선기지국(110)을 통해서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송신된 다이얼링 번호가 상기 무선기지국(110)을 통해서 입력되면 이동교환국(120)은 323단계에서 채널 및 해당 통화로를 검사한다. 그리고 325단계와 326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 폭증으로 인해 채널이 부족한지 또는 해당 통화로가 다른 가입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25단계에서 채널이 부족하면 이동교환국(120)은 327단계로 진행하여 채널이 부족함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라 함)인 통화불능 원인 메시지를 무선기지국(110)을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326단계에서 통화로가 다른 가입자에 의해 점유되고 있으면, 즉 통화중이면 이동교환국(120)은 328단계에서 해당 통화로가 통화중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이하 "통화중 상태 알림 메시지"라 함)인 통화불능 원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기지국(110)을 통해 송신하고 난 다음,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그러나 상기 325단계와 326단계에서 통화로가 이상 없으면 이동교환국(120)은 PSTN망(130) 등과 같은 네트웍망을 통해 일반전화가입자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해당 가입자 통신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도 4a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상기 302단계에서 다이얼링 번호를 송신한 다음, 305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03단계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면 제어부(10)는 해당 가입자 통신단말기와 통화를 개시하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307단계로 진행하고, 신호처리부(60)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통화불능 원인 정보가 안테나(ANT)와 RF부(50)를 통해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도 4b의 327단계와 328단계에서 이동교환국(120)으로부터 통화불능 원인 메시지가 무선기지국(110)을 통해 무선신호로 송신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된 무선신호는 RF부(50)를 통해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처리부(60)로 입력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처리하여 제어부(10)로 인가한다.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해당 통화불능 원인을 표시부(40)에 표시한다. 상기 통화불능 원인 정보는 통화중 상태 알림 정보 또는 채널부족 상태 알림 정보이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통화불능의 원인이 채널 부족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통화불능의 원인이 채널 부족이 아니면 제어부(10)는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채널 부족이면 313단계에서 통화우선권을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부(40)에 표시하거나 스피커(SP)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통화우선권 사용 여부를 물은 다음, 제어부(10)는 315단계에서 키입력부(30)를 스캔하여 통화우선권 사용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나서 키입력부(30)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어 통화우선권 사용이 선택되면 제어부(10)는 317단계에서 상기 도 3에서 설정된 통화 형성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독출하여 통화우선권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무선기지국(110)으로 송신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327단계에서 채널 부족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다음, 329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우선권 정보가 무선기지국(110)에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통화우선권 정보가 무선기지국(110)을 통해 수신되면 이동교환국(120)은 330단계에서 상기 통화우선권을 요구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가입자가 당일 통화우선권 사용여부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당일 통화우선권을 사용했으면 이동교환국(120)은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사용하지 않았으면 331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통화우선권의 사용여부 검사방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의 해당 가입자 통화우선권 정보 영역을 검사하여 통화우선권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통화우선권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것은 이동교환국(120)이 소정의 기간동안만 상기 통화우선권을 가지고 있고, 상기 기간을 지나면 자동으로 삭제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통화우선권이 삭제되었을 때 가입자는 통화우선권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통화우선권 사용 기간과 횟수를 하루에 한번씩으로 제한하였으나 이것은 네트웍측(이동교환국)의 오퍼레이터(Operator)가 설정하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331단계에서는 상기 수신된 다이얼링 번호를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한다. 상기 331단계에서 상기 다이얼링 번호가 저장되면 이동교환국(120)은 333단계로 진행하여 예비채널 및 통화 완료된 채널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시간을 카운트한다. 그리고 나서 이동교환국(120)은 335단계에서 채널할당 시도횟수를 카운트하고 난 다음, 337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337단계에서 통화로가 형성되면 이동교환국(120)은 PSTN망(130)을 통해 해당 가입자 통신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를 개시한다. 그러나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33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33단계 이후에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통화우선권 정보의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초과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카운트 시간이 상기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초과하면 이동교환국(120)은 335단계에서 카운트된 채널 할당횟수가 상기 저장된 통화우선권 정보의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초과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카운트된 채널 할당횟수가 상기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초과했으면 이동교환국(120)은 대기상태로 전환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333단계 이후의 과정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에서 통화량 폭증시 집중통화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집중통화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기 위해서 가입자는 이동통신단말기 구입 시 집중통화 시간대 서비스를 신청을 해야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던 가입자는 네트웍 오퍼레이터(Operator)에게 서비스를 신청하여야 한다. 서비스 신청시 가입자는 집중통화 시간대와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 등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주어야 하며, 오퍼레이터는 이를 데이터베이스(120)의 해당 가입자 정보에 추가하여야 한다.
이동교환국(120)은 401단계에서 지속적으로 무선기지국(110)을 스캐닝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다이얼링 번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다이얼링 번호가 수신되면 이동교환국(120)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및 해당 통화로를 검사한다. 그리고 나서 405단계와 406단계에서 통화량 폭증에 따른 채널 부족인지 통화중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405단계에서 통화량 폭증 상태로 판단되면 이동교환국(120)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베이스(122)의 상기 가입자 영역에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에 상기 가입자의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이동교환국(120)은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으면 409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시간을 리드하고, 상기 리드된 현재시간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집중통화 시간대에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리드된 현재시간이 상기 집중통화 시간대에 있으면 이동교환국(120)은 411단계에서 예비채널 및 통화가 종료된 채널에 대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고, 집중통화 시간대가 아니면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411단계 후에 이동교환국(120)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채널할당 시도 횟수를 카운트한다.(채널할당 시도횟수 초기 값(N)은 "0"이다) 상기 채널할당 시도회수를 카운트한 다음, 이동교환국(120)은 415단계에서 다시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는 채널할당 시 다른 가입자의 집중통화 시간대 중복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통화로 형성실패를 검사하기 위해서 수행된다. 이때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고, 통화로가 형성에 실패하면 이동교환국(120)은 417단계에서 상기 채널할당 이후부터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의 해당 가입자 영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시도 주기시간과 비교하고, 카운트된 시간이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417단계에서 카운트된 시간이 통화 형성 주기시간을 초과하면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413단계에서 카운트된 채널할당 시도 횟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122)의 해당 가입자 영역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비교한다. 그런 다음,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카운트된 채널할당 시도횟수가 상기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초과하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채널할당 시도횟수가 상기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411단계 이후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초과하면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우선권 정보의 수신 및 사용자별 집중통화 시간대에 대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통화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가지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연결되는 이동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신을 시도하면 다이얼링 번호를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된 소정의 신호가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이면 소정의 키 입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 시도 반복횟수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을 독출하여 통화 우선권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이동교환국이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다이얼링 번호가 수신되면 채널 및 해당 통화로의 상태를 검사여 채널이 부족하면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가 수신되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 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에서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통화 시도 주기시간 간격으로 상기 통화 시도 반복횟수 만큼 반복해서 우선적으로 채널할당을 하여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는 제 3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다이얼링 번호와 소정의 키가 입력되어 발신이 시도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발신이 시도되면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송신하고 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고,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통화불능원인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통화불능원인 정보가 수신되면 통화불능원인을 표시하고, 상기 통화불능원인이 채널부족 때문인지를 검사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통화불능원인이 채널부족이면 통화우선권 사용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 다음, 통화우선권 사용을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5단계와,
    판단결과 통화우선권 사용을 원하면 통화우선권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교환국으로 전송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면 채널 및 해당 통화로를 검사하여 통화량 폭증 상태인지, 통화중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통화량 폭증 상태이면 채널부족 상태 알림 메시지를 무선기지국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송신한 다음, 통화우선권 정보가 상기 무선기지국을 통해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통화우선권 정보가 수신되면 통화우선권이 일정 기간 내에 일정 횟수 이내로 사용되었는지를 검사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통화우선권이 일정 기간 내에 일정 횟수 이내로 사용되었으면 통화우선권 정보를 저장하고 난 다음,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채널할당 횟수를 카운트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채널할당 횟수를 카운트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여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6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기지국을 통해 연결되고, 집중통화 시간대와 통화 시도 주기시간과 통화 시도 반복횟수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이동교환국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통화량 폭증시 우선적인 채널할당에 의한 통화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다이얼링 번호가 입력되면 채널 및 해당 통화로 상태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통화량 폭증으로 인한 채널부족 상태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집중통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시간이 상기 집중통화 시간대인지를 판단하는 제 3과정과,
    상기 현재시간이 집중통화 시간대이면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한 다음, 통화로가 형성되는지를 검사하고, 통화로가 형성되면 통화를 개시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에서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으면 상기 통화 시도 주기시간 간격으로 상기 통화 시도 반복횟수 만큼 반복해서 우선적으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로 형성을 시도하는 제 5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18599A 1998-05-22 1998-05-22 무선통신시스템에서통화량폭증시우선적인채널할당에의한통화형성방법 KR10032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99A KR100322010B1 (ko) 1998-05-22 1998-05-22 무선통신시스템에서통화량폭증시우선적인채널할당에의한통화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599A KR100322010B1 (ko) 1998-05-22 1998-05-22 무선통신시스템에서통화량폭증시우선적인채널할당에의한통화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905A true KR19990085905A (ko) 1999-12-15
KR100322010B1 KR100322010B1 (ko) 2002-07-02

Family

ID=37460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599A KR100322010B1 (ko) 1998-05-22 1998-05-22 무선통신시스템에서통화량폭증시우선적인채널할당에의한통화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1117A (ko) * 1999-07-28 2001-03-15 윤종용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우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423926B1 (ko) * 1998-12-21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이씨티시스템에서무선채널예약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314A (ko) * 1987-12-11 1989-08-14 강진구 교환장치의 자동 리다이얼링 방법
KR970008950B1 (en) * 1994-06-21 1997-06-03 Sk Telecom Co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926B1 (ko) * 1998-12-21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이씨티시스템에서무선채널예약처리방법
KR20010021117A (ko) * 1999-07-28 2001-03-15 윤종용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우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010B1 (ko) 200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55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stations
JP4259761B2 (ja) アクセス方法およびパケット・チャネル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方法
US5726981A (en) Methods for making active channel measurements in a personal base station environment
US5809018A (en) Group call method, a system controller and a subscriber station in a radio system
EP0213929B1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926764A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US6745043B1 (en) Priort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GB2381418A (en) Multiple SIM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KR20020050114A (ko) 이동 원격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시그널링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이동 원격 통신 네트워크용 제어 요소와 통신 네트워크용 이동 사용자 장치
KR1999000822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긴급 음성 항목 할당
JP3898877B2 (ja) 無線チャネル割当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中継装置
KR10032201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통화량폭증시우선적인채널할당에의한통화형성방법
KR20000044506A (ko) 이동전화 교환망에서 발신자정보 서비스방법
JP3242709B2 (ja) 移動通信方式
KR100255818B1 (ko) 시티폰간 직접 통신하는 방법
JP2981352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11741B1 (ko) 셀롤라시스템의 이동국에 제한된 통신자원 배분방법
JP2880360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WO1996038013A1 (en) Dynamic allocation of capacity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408516A (en) Device and method for telephony interconnection intended to offer continuity of service to independent station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249861B1 (ko) 씨디엠에이 무선 로컬 루프 시스템용 무선 채널의 고효율성을위한 호 설정방법
JP3073843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基地局状態情報伝送方法
KR970002950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불법가입자 배제를 위한 통화 제어 방법
KR0148898B1 (ko) 분산제어방식의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대기방법
FI111894B (fi) Menetelmä tiedonsiirtoyhteyden muodostamiseksi, päätelaite ja tiedonsiirtojärjes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